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러스트 담론을 해체하다: 6.2 바이너리 크기 분석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11.20 22:59:32
조회 41 추천 0 댓글 0

6.2 바이너리 크기 분석: 설계 원칙이 적용 분야에 미치는 영향

러스트 프로그램은 C/C++로 작성된 유사 기능의 프로그램에 비해 실행 파일(binary)의 크기가 큰 경향을 보입니다. 이는 러스트가 C/C++의 대안으로 논의되는 자원 제약적인 시스템 프로그래밍 영역에서 고려사항이 됩니다. 본 절에서는 이러한 현상의 기술적 원인을 분석하고, 구체적인 사례 비교를 통해 그 파급 효과를 검토합니다.

1. 기술적 원인: ABI 불안정성과 정적 링킹

러스트 바이너리 크기 증가의 원인 중 하나는 표준 라이브러리(libstd)의 ABI(Application Binary Interface)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않는다는 설계상의 특징에 있습니다. C언어는 수십 년간 안정적인 libc ABI를 기반으로, 시스템에 설치된 공유 라이브러리를 여러 프로그램이 함께 사용하는 동적 링킹을 지원합니다. 이로 인해 C 프로그램의 실행 파일은 자신의 고유 코드만 포함하여 작은 크기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반면 러스트는 언어와 라이브러리의 개선과 발전을 위해 libstd의 내부 구현을 변경할 수 있도록 ABI를 안정화하지 않았습니다. 이는 '안정적 호환성'보다 '빠른 진화'를 우선하는 설계상의 선택입니다. 이 선택의 결과로, 버전 간 호환성을 보장하기 어려운 동적 링킹 대신 프로그램이 필요한 라이브러리 코드를 실행 파일 내에 포함하는 정적 링킹이 기본 방식으로 채택되었습니다. 따라서 프로그램이라도 libstd의 관련 기능들이 바이너리에 포함되어 크기가 증가하게 됩니다.

2. 사례 연구: CLI 도구 및 코어 유틸리티 비교

이러한 설계의 영향은 실제 프로그램의 크기 비교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례 1: grep ripgrep ripgrep은 러스트로 작성된 텍스트 검색 도구로, C언어 기반의 grep과 비교되곤 합니다. 그러나 일반적인 리눅스 시스템에서 동적 링킹된 grep의 크기는 수십 킬로바이트(KB)인 반면, 정적 링킹된 ripgrep은 수 메가바이트(MB)에 달합니다. 이는 단일 애플리케이션 배포 시 의존성 관리를 용이하게 하지만, 운영체제의 기본 도구 전체를 대체하는 시나리오에서는 총용량 증가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사례 2: BusyBox uutils 자원이 제한된 임베디드 리눅스 환경에서는 ls, cat 등 다수의 명령어를 단일 바이너리로 제공하는 BusyBox가 사용됩니다. C언어로 작성된 BusyBox는 전체 크기가 1MB 미만입니다. 반면, 유사한 목적으로 러스트로 개발된 uutils는 수 MB에 달하는 크기를 가집니다. 구체적인 크기는 각 프로젝트의 버전과 컴파일 환경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나, 이러한 경향성은 두 언어의 표준 라이브러리 설계와 기본 빌드 방식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구조적인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아래 표는 알파인 리눅스(Alpine Linux) 패키지 기준의 비교입니다.

표 6.2: 코어 유틸리티 구현체의 패키지 크기 비교 (Alpine Linux v3.22 기준)1

패키지언어구조설치 크기 (근사치)
busybox 1.37.0-r18C단일 바이너리798.2KiB
coreutils 9.7-r1C개별 바이너리1.0 MiB
uutils 0.1.0-r0Rust단일 바이너리6.3 MiB

이 데이터는 러스트의 기본 빌드 방식이 BusyBox가 목표로 하는 임베디드 환경의 요구사항과는 차이가 있음을 보여줍니다.

3. 크기 축소 기법과 그 상충 관계

러스트 바이너리 크기를 줄이기 위한 여러 기법들이 존재하며, 이는 min-sized-rust 등의 가이드라인을 통해 공유됩니다. 기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패닉 핸들링 방식 변경 (panic = 'abort'): 패닉 발생 시 스택을 정리하는(unwinding) 대신 즉시 프로그램을 중단시켜 관련 코드와 메타데이터를 제거합니다. 이는 크기를 줄이지만, 자원 해제(resource cleanup) 과정을 생략하며 catch_unwind를 통한 패닉 복구를 불가능하게 합니다. 즉, 바이너리 크기 최적화와 시스템의 회복력(resilience) 확보 기능 사이의 공학적 상충 관계(trade-off)를 수반합니다.
  • 표준 라이브러리 제외 (no_std): 힙 메모리 할당, 스레딩, 파일 입출력 등 운영체제 의존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libstd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는 크기를 줄일 수 있으나, Vec<T>, String 등 자료구조와 기능들을 직접 구현하거나 외부 크레이트에 의존해야 하는 제약이 따릅니다.

이처럼 러스트에서 C/C++ 수준의 바이너리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언어가 기본으로 제공하는 기능과 일부 안전장치를 비활성화해야 합니다. 이는 러스트의 기본 설계 철학이 바이너리 크기보다 기능 및 런타임 성능에 중점을 두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무비용 추상화' 원칙과 그 구현 방식인 모노모피제이션이 초래하는 컴파일 시간 및 바이너리 크기 증가는, 러스트의 설계 철학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이러한 비용은 '성숙도 문제'가 아니라, '런타임 성능'이라는 가치를 확보하기 위해 '개발 시간'과 '배포 크기'라는 다른 자원을 교환한 '본질적 상충 관계'입니다. 이는 비용은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다른 곳으로 이전될 뿐이라는 공학의 원칙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개발자는 '무비용'이라는 용어의 이면에 있는 이러한 비용 전가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자신의 프로젝트가 요구하는 제약 조건(예: 컴파일 속도, 바이너리 크기)과 러스트의 설계 철학이 부합하는지를 평가할 필요가 있습니다.


  1. 패키지 크기는 알파인 리눅스 v3.22 안정 릴리스의 공식 패키지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설치 크기(Installed size)'를 참조하였습니다. 이 표의 목적은 특정 시점의 최신 성능을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각 언어 생태계의 설계 방식이 바이너리 크기에 미치는 구조적 경향성을 보여주는 데 있습니다. 이러한 근본적인 경향성은 안정 릴리스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폭의 패치 업데이트나 버전 변화에 의해 크게 좌우되지 않으므로, 데이터의 재현성과 논지의 일관성을 위해 특정 안정 릴리스를 기준으로 채택하였습니다. 참조된 각 패키지의 버전은 표에 명시된 바와 같습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대박 날 것 같아서 내 꿈에 나와줬으면 하는 스타는? 운영자 25/11/17 - -
AD 대학생 필수템! What's in my Bag 운영자 25/11/21 - -
2903757 gpt로 복붙하고 할거없노... 프갤러(1.233) 11.21 31 0
2903756 시간이 대부분 해결해준다 타이밍뒷.통수한방(1.213) 11.21 21 0
2903755 호주, 12월부터 16세 미만 SNS 전면 금지…세계 첫 ‘기업 처벌법’ 발명도둑잡기(118.216) 11.21 14 0
2903754 대기업 개발자 교육과정도 서탈함 프갤러(110.13) 11.21 30 0
2903752 추어탕 맛있다 [3] 루도그담당(58.233) 11.21 34 0
2903750 인지과학조져라 손발이시립디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1 28 0
2903748 개좇센은 높은 학군가면 성공함?? [4] 타이밍뒷.통수한방(1.213) 11.21 44 0
2903747 개발자 관련 카톡 옵챗 보고 있으면 [6] 루도그담당(58.233) 11.21 65 0
2903746 서울에 급진적인 성장을 30년넘게 경험했는데 [1] 타이밍뒷.통수한방(1.213) 11.21 32 0
2903745 김종국, 결혼 발표 24일 만 결별 소식…’각자의 길’ 발명도둑잡기(39.7) 11.21 62 0
2903744 80년대 컴퓨터 학원 [2] 발명도둑잡기(39.7) 11.21 39 0
2903743 imsplayer 노래방 발명도둑잡기(39.7) 11.21 16 0
2903742 폭스레인저 리메이크 소스 발명도둑잡기(39.7) 11.21 23 0
2903741 사람인 이력서 첨쓰는데 헬프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1 41 0
2903740 나이먹으니깐 잠이 안온다 먹는건 많이먹게되고 [1] 타이밍뒷.통수한방(1.213) 11.21 25 0
2903737 슬프다..일이 없다. [2] cv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1 54 0
2903736 문서 구조 개선을 위한 체크리스트 20항목 [2] amdc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1 42 0
2903735 조별과제 기능구현 다 마치고 내용 채우는 단계에서 엎자는 놈 나옴 [1] ㅇㅇ(121.127) 11.21 45 0
2903734 러스트라는 훌륭한 언어가 있는 시대에 사는것에 감사하다. [1] 프갤러(221.149) 11.21 49 0
2903732 자료구조 알고리즘 인강은 누구꺼 봐야됨? [4] 프갤러(106.245) 11.21 70 0
2903731 내가 외국인 거르는 기준이 한국에 집착하는 외국인들임 [1] 타이밍뒷.통수한방(1.213) 11.21 83 1
2903730 냥덩이 [1] 발명도둑잡기(118.216) 11.21 38 0
2903729 근데 귀 문제 이명은 아닌게 [8] 루도그담당(58.233) 11.21 72 0
2903728 소설 단 발명도둑잡기(118.216) 11.21 20 0
2903727 냥덩이 스타일 영상 발명도둑잡기(118.216) 11.21 19 0
2903726 요즘 책읽는게 너무 귀찮다 프갤러(182.231) 11.21 29 0
2903725 인생은 즐겨야 한다 chironpracto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1 37 0
2903724 아직도 못 깨닫는 내로남불 러스트 빠돌이 ㅋㅋ [14]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1 76 3
2903723 PHP 배우고 있는데 잘 하고 있는걸까 [4] 프갤러(182.231) 11.21 77 0
2903722 귀에서 이명 들려서 [18] 루도그담당(118.235) 11.21 85 0
2903721 [대한민국] 국힘! 최강의 카드를 쥔 장동혁 대표 프갤러(121.172) 11.21 20 0
2903720 소시오패스 의심해봐도 되냐? [6] 프갤러(118.235) 11.21 63 1
2903719 항아리를 파서 조각을.. ㅇㅅㅇ [3]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1 38 0
2903718 태연 ㅇㅅㅇ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1 25 0
2903717 하루 한 번 헤르미온느 찬양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1 35 0
2903716 언제나 애매하게 아는 새끼들이 가장 문제임 [13] ㅇㅇ(124.48) 11.21 174 6
2903715 품질팀이 내가만든 자동화 코드 달래 [8] ㅇㅇ(118.235) 11.21 109 3
2903713 자바 싫어하는 이유 [10] 프갤러(110.8) 11.21 95 0
2903712 인버스 안팔고 버티길 잘했네 [6] chironpracto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1 63 0
2903711 뿡애인줄 알앗는데 끙야엿넹.. [2] ♥KiTTY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1 70 0
2903710 눈치없는 사람이 계속 호감표시하면 어떻게 대처해야할까 [2] ㅁㅁ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1 49 0
2903709 ❤✨☀⭐⚡☘⛩☃나님 시작합니당☃⛩☘⚡⭐☀✨❤ [1] ♥KiTTY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1 29 0
2903708 아니 모기가 2마리가 있다고 [3] 루도그담당(58.233) 11.21 38 0
2903707 나님 모닝 끙야중 ☀+ [1] ♥KiTTY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1 60 0
2903706 최상위권 탑 명문대 합격 퍼펙트 가이드!% 프갤러(121.142) 11.21 52 1
2903705 개좆병신씨발병신코드리뷰어개패버리고싶은데어떡하냐 [3] 프갤러(86.12) 11.21 75 0
2903700 Skt 얘네 또 뭔 지랄을 했길레 ㅇㅇ(118.235) 11.21 53 0
2903698 음기 충전 발명도둑잡기(118.235) 11.21 64 0
2903696 상냥한 남자에게 발명도둑잡기(118.216) 11.21 25 0
2903695 나는 특별히 싫어하는 언어는 없는데 [1] 발명도둑잡기(118.216) 11.21 52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