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러스트 담론을 해체하다: 5.4 명시적 오류 처리 모델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11.20 22:58:11
조회 51 추천 0 댓글 0

5.4 명시적 오류 처리 모델(Result<T, E>)의 실용성 재고

러스트는 Result<T, E> 열거형과 패턴 매칭, ? 연산자를 통해 컴파일 시점에 오류 처리를 강제하는 명시적 오류 처리 모델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 모델은 오류 처리 누락을 방지하는 기능을 합니다. 본 절에서는 이 모델의 실용성을 분석하기 위해, 대안적인 오류 처리 방식과의 비교, 개념의 역사적 기원, 그리고 실제 사용 시 발생하는 비용을 분석합니다.

1. 대안적 모델과의 비교: try-catch 예외 처리

러스트의 Result 모델을 논의할 때, try-catch 기반의 예외 처리 모델은 종종 예측 불가능한 제어 흐름으로 인해 비판의 대상이 됩니다. 그러나 예외 처리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은 공학적 특징을 가집니다.

  • 관심사의 분리(separation of concerns): try 블록에는 정상적인 로직을, catch 블록에는 예외 상황 처리를 분리하여 기술할 수 있습니다. 오류가 발생한 지점에서 이를 처리할 지점까지 제어 흐름을 즉시 전달하므로, 여러 함수 단계를 거치며 오류를 수동으로 전파하는(return Err(...)) 방식을 피할 수 있습니다.
  • 컴파일 시점 검사: 어떤 예외가 발생할지 모른다는 비판은 모든 경우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자바(Java)의 '체크 예외(Checked Exception)'는 함수가 던질 수 있는 예외를 시그니처에 명시하도록 하고, 컴파일러가 그 처리를 강제합니다. 이는 오류 누락을 방지한다는 목표를 Result 타입과 다른 방식으로 달성하는 사례입니다.
  • 시스템 회복력(resilience): 예외 처리 시스템은 오류 기록(logging), 자원 해제(finally), 그리고 오류 복구 로직을 통해 프로그램의 비정상적인 중단을 막고 서비스의 운영을 지속하는 데 역할을 합니다.

2. 개념의 역사적 기원: 함수형 프로그래밍

Result Option을 통한 명시적 오류 및 상태 처리 방식은 러스트 고유의 것이 아니며, 기존에 존재하던 개념을 차용한 것입니다. 이 아이디어의 뿌리는 함수형 프로그래밍(functional programming) 진영에 있습니다.

하스켈(Haskell)의 Maybe a, Either a b 타입이나 OCaml, F#과 같은 ML 계열 언어의 합 타입(Sum Type)은 수십 년 전부터 값의 부재나 오류 상태를 타입 시스템으로 표현하고, 컴파일러가 모든 경우를 처리하도록 강제하는 방식을 사용해왔습니다.

따라서 러스트의 기여는 이 개념을 '발명'한 것이라기보다, 시스템 프로그래밍 언어의 맥락에 맞게 '재해석'하고 ? 연산자와 같은 문법적 편의성을 통해 '대중화'한 데에 있다고 분석될 수 있습니다.

3. 실용적 비용: 오류 타입 변환의 장황함(verbosity)

? 연산자는 동일한 오류 타입을 전파하는 시나리오에서는 사용되지만, 다양한 외부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는 한계를 보입니다. 각기 다른 라이브러리는 자신만의 고유한 오류 타입(예: std::io::Error, sqlx::Error)을 반환하며, 개발자는 이들을 애플리케이션의 단일한 오류 타입으로 변환해주는 상용구 코드(boilerplate code)를 반복적으로 작성해야 합니다.

// 여러 다른 종류의 오류를 단일 애플리케이션 오류 타입으로 변환하는 예시
fn load_config_and_user(id: Uuid) -> Result<Config, MyAppError> {
    let file_content = fs::read_to_string("config.toml")
        .map_err(MyAppError::Io)?; // std::io::Error -> MyAppError

    let config: Config = toml::from_str(&file_content)
        .map_err(MyAppError::Toml)?; // toml::de::Error -> MyAppError

    // ...
    Ok(config)
}

이러한 반복적인 변환을 해소하기 위해 anyhow, thiserror와 같은 외부 라이브러리가 사용됩니다. 그러나 생태계에서 특정 기능(이 경우, 유연한 오류 처리)을 위해 외부 라이브러리 사용이 사실상 표준처럼 여겨진다는 사실은, 언어의 기본 기능만으로 실용적인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추가적인 요구사항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4. 사례 연구: Cloudflare 장애와 unwrap()의 사용

러스트의 오류 처리 모델이 실제 운영 환경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는 2025년 11월 발생한 Cloudflare의 서비스 중단 사고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1 이 사고는 Result 타입을 반환하는 함수에서 에러 케이스를 match ? 연산자로 처리하지 않고, unwrap()을 사용하여 패닉(panic)이 발생했기 때문입니다.

러스트는 Result 타입을 통해 개발자가 오류를 명시적으로 처리하도록 강제합니다. 그러나 동시에 unwrap()이라는 메서드를 통해 그 강제성을 우회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합니다. 이론적으로 unwrap()은 프로토타이핑이나 테스트 코드에 주로 사용되지만, 실제 개발 과정에서는 복잡한 에러 처리 로직을 작성하는 비용을 줄이기 위해 프로덕션 코드에서도 사용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사례는 언어의 강제성이 개발자의 편의성을 우선시하는 선택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음을 시사합니다. 컴파일러가 규칙을 강제하더라도, 개발자가 구현 편의를 위해 안전장치를 우회하는 경로(unwrap)를 선택한다면, 그 결과는 시스템 중단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는 러스트의 '강제적 안전성' 모델이 실제 엔지니어링 현장의 인적 요인(Human Factor)과 결합될 때 발생할 수 있는 한계를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1. Matthew Prince, 2025년 11월 18일 Cloudflare 서비스 중단, Cloudflare Blog, 2025-11-18. https://blog.cloudflare.com/ko-kr/18-november-2025-outage/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뛰어난 운동 신경으로 남자와 싸워도 이길 것 같은 여자 스타는? 운영자 25/11/24 - -
이슈 [디시人터뷰] 충무로가 주목하는 신예, '세계의 주인' 서수빈 운영자 25/11/24 - -
AD 대학생 필수템! What's in my Bag 운영자 25/11/21 - -
2904313 카리나가 맛집이넹 ♥냥덩이의우웅한하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3 130 0
2904309 그러고 보니 프갤에서 고랭 팬은 못본거 같은데 [5] chironpracto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3 91 0
2904303 클라우드 엔지니어 희망하는데 [2] 프갤러(118.235) 11.23 77 0
2904298 cursor 대체할만한거 있어? [2] ㅇㅇ(124.48) 11.23 91 0
2904295 개발만한 취미가 없는 것 같음 프갤러(61.73) 11.23 106 0
2904294 살면서 잘 한 일... 후배한테 노트북 키스킨 딱 맞는 카라스스킨 5천원 넥도리아(220.74) 11.23 49 0
2904291 에구궁.. 나님 일욜밤까지 모임하구와서 배불러양 [2] ♥냥덩이의우웅한하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3 95 0
2904289 웹디자인은 이미 AI때문에 망한듯 [1] 프갤러(220.70) 11.23 89 0
2904285 왜 극좌들은 하나같이 왕따 당하는걸까? [3] ♥냥덩이의우웅한하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3 82 0
2904266 인공지능 댓글 검사기 발명도둑잡기(118.216) 11.23 56 0
2904265 배달기사 레전드네 진짜; [7] 루도그담당(58.233) 11.23 109 0
2904264 [긴급속보] 한국 연구진이 노벨상 근거를 뒤집자 현재 난리난 천문학계 발명도둑잡기(118.216) 11.23 54 0
2904262 왕따재명 안쓰럽네 ㅠ ㅅ ㅠ [2] ♥냥덩이의우웅한하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3 81 1
2904261 소프트웨어 이름으로 이렁 거 어때? [4]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3 89 0
2904259 긴sql도 셸스크립트도 보기 싫은데 [10] 슈퍼막코더(116.64) 11.23 105 0
2904256 이거 이직 중인데 두개중 어디가야하노 [2] 프갤러(58.231) 11.23 84 0
2904255 베린이평가좀 [1] ㅇㅇ(39.7) 11.23 86 0
2904247 간철수도 어셈블리어한다는데 [2] 타이밍뒷.통수한방(1.213) 11.23 97 0
2904245 국비조언좀요 [2] 프갤러(220.86) 11.23 111 0
2904244 어셈 짜는 중인데 헷갈린다 이기 [12] 루도그담당(58.233) 11.23 119 0
2904243 폴리글랏 툴체인이 나오면 프갤에 평화가 오려나? [10] chironpracto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3 90 0
2904242 베이스 ㅍㅌㅊ? ㅇㅇ(203.232) 11.23 70 0
2904240 나 불렀서? ㅇㅅㅇ [6] 프갤러(49.165) 11.23 98 0
2904237 탑 클라스 명문대 진학 퍼펙트 합격 가이드!T 프갤러(121.142) 11.23 70 1
2904232 ❤✨☀⭐⚡☘⛩☃나님 시작합니당☃⛩☘⚡⭐☀✨❤ [3] ♥냥덩이의우웅한하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3 93 0
2904231 이제 러스트 빠돌이 프갤에 안 오겠군 ㅋㅋ [1]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3 82 0
2904230 언어 선택권도 수저순일텐데 [2] chironpracto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3 90 0
2904229 파이선 얼마나 개떡 같은데 ㅎㅎ [10]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3 124 0
2904226 언어에 자아의탁하는거? 뭐 그럴수 있음 [16] 박민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3 178 4
2904222 좇센 노무 살기좋은 나라이긴해 타이밍뒷.통수한방(1.213) 11.23 54 0
2904221 파이썬 패키지 설치를 못해? [5] ㅇㅇ(211.234) 11.23 117 3
2904220 백화점 상품권 시세 크롤링하는건 불법일까요? [1] 프갤러(14.32) 11.23 60 0
2904217 요즘가수 머리 90년대같지 않습니까? [4] 헬마스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3 93 0
2904209 러스트도 못배우는 저능아랑 얘기해봤자 별로 소득이 없어 [11] 프갤러(110.8) 11.23 125 0
2904205 ❤✨☀⭐⚡☘⛩☃나님 시작합니당☃⛩☘⚡⭐☀✨❤ [3] ♥HERO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3 70 0
2904204 [대한민국] 파일에서 해쉬값 출력 소스 다운로드 프갤러(121.172) 11.23 46 0
2904202 오늘은 이벤트 루프 재설계 돌입합니다 ㅋㅋ [3]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3 56 0
2904200 박모모 님아, 날 차단하고 내글 클릭 안 하면 돼 [21]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3 80 0
2904199 내 눈을 의심함 [3] 에이도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3 107 0
2904195 오랜만에 프갤왔는데 위키, 점진이, 무현이 이런애들 다 어디갔음? [10] 에로망가센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3 89 0
2904193 파이썬 왜씀? 프갤러(49.165) 11.23 63 0
2904191 35이면 새로 시작할수 있는 마지노선인데.. [1] ㅇㅇ(211.235) 11.23 82 0
2904190 파이썬 왜씀?? [3] 프갤러(49.165) 11.23 87 0
2904189 파이썬 왜씀? [5] 프갤러(49.165) 11.23 85 0
2904187 삼국사기 백제본기 근구수 편 게임개발일지_WSAD 이동 구현 책사풍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3 37 0
2904186 아 또 백수퍼거들 지랄났노 프갤러(211.235) 11.23 56 0
2904183 스크립트 언어에서 ffi하는건 깔거리가 아님 [21] 박민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3 163 3
2904182 추첨을 통하여 기프티콘을 드립니다 재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3 47 1
2904175 나르시 그나마 프로그래밍 관련글이라도 써서 애써 무시했는데 [28] 박민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3 174 5
2904174 파이썬 왜씀? [26] 프갤러(49.165) 11.23 191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