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인간 집단의 크기를 과학적으로 구분앱에서 작성

발명도둑잡기(118.216) 2025.11.13 01:44:37
조회 79 추천 0 댓글 0

인간 집단의 크기를 과학적으로 구분

챗지피티
좋은 질문입니다.
“인간 집단의 크기”는 사회학뿐 아니라 인류학·진화심리학·인지과학에서도 과학적으로 연구되어 왔습니다.
단순히 사람 수가 아니라 인지 능력, 사회적 결속 구조, 상호작용 패턴 등을 기준으로 구분합니다.


---

1. 인지적 한계 기반 구분 (던바 수, Dunbar’s Number)

영국 인류학자 로빈 던바(Robin Dunbar) 는 인간의 뇌(특히 신피질)의 크기와 사회적 관계망 규모 사이의 상관을 연구했습니다.
그 결과 인간이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사회적 관계의 최대 크기 ≈ 150명 이라는 결론을 냈습니다.


---

던바의 계층적 집단 크기 모델

던바는 인간의 사회적 관계를 계층적 단계(layered structure) 로 나눴습니다.

단계 평균 인원수 관계의 특징 예시

1단계 5명 가장 가까운 정서적 유대 (매우 긴밀) 가족, 절친
2단계 15명 정기적 친밀 교류, 신뢰 관계 가까운 친구
3단계 50명 공동체적 소속감, 협력 가능 동아리, 학급
4단계 150명 던바 수: 안정적 사회 단위 전통적 부족, 중소 조직
5단계 500명 명목상 아는 사람, 얼굴/이름 인식 회사 전체, 학교 학년 단위
6단계 1500명 인지 가능한 최대 사람 수 같은 마을, 소셜미디어 팔로잉 등


각 단계는 약 3배씩 커지는 비율 (3× 계층 구조) 로 구성됩니다.


---

2. 진화인류학적 해석

범주 인지·진화적 의미 인간 예시 유인원 비교

5명 내외 생존 단위, 상호 의존 강함 가족, 핵심 친구 침팬지 grooming 파트너
15~50명 협동 사냥·수렵단위 원시 부족 사냥단 침팬지 그룹 크기 (30~50)
150명 언어·문화로 유지 가능한 최대 공동체 농경 이전 부족 사회 인간 특유의 언어·규범 유지 한계
500명 이상 제도적 장치 필요 (규칙, 상징, 법) 도시, 조직, 국가 비인간 영장류에는 없음



---

3. 현대 사회 적용

사회 단위 규모 유지 방식

가족 / 절친 그룹 5명 정서적 유대
동아리 / 연구실 15~50명 빈번한 교류, 신뢰
중대·부대·마을 약 150명 개인적 관계로 운영 가능
학교 / 회사 / 기관 500~1500명 이상 공식 규칙, 제도 필요
국가 / 사회 전체 수백만~수억 명 법, 제도, 문화로 유지



---

핵심 요약

인간이 안정적으로 사회적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최대 크기 ≈ 150명 (던바 수)

이 이상 규모에서는 언어, 규범, 제도, 상징 체계가 필요함

집단 크기는 뇌의 신피질 용량, 인지적 처리능력, 사회적 기술에 의해 제약됨



---

원하시면 “던바 수 이후의 현대적 비판 및 최신 뇌과학 연구(2020년대 기준)” 도 함께 요약해드릴까요?
(최근에는 SNS와 온라인 관계망을 포함한 ‘확장된 던바 수’ 개념이 있습니다.)

좋습니다
그럼 던바 수 이후의 최신 과학적 논의 — 즉, 21세기 뇌과학·사회신경학·디지털 사회학에서 인간 집단 크기를 어떻게 재해석하는가 — 를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1. 던바 수(Dunbar’s Number)의 한계

던바의 150명 이론은 여전히 사회학의 기초 이론으로 널리 인용되지만,
최근 연구들은 “현대인의 관계 구조는 훨씬 더 복잡하고 유동적” 이라고 지적합니다.

비판 요점 설명

개인차 존재 뇌 크기와 사회적 능력의 상관은 있지만, 인지적 유연성·성격·문화에 따라 실제 관계 유지 한계는 100~250명 등 다양함.
디지털 시대 변수 SNS·메신저 등은 관계 유지 비용을 낮춰 표면적 관계는 수천 명까지 확대 가능. 그러나 “정서적 유대”는 여전히 제한적.
정의의 모호성 ‘유지 가능한 관계’의 기준(얼굴 인식? 감정 교류? 협력 가능성?)이 연구마다 다름.
뇌 구조 단순화 문제 뇌 용량만으로 사회성을 단순 환산하는 것은 사회인지 신경망의 복합적 기능을 과소평가함.



---

2. 최근 뇌과학 연구의 수정 모델 (2020년대 이후)

최신 사회신경과학 연구에서는 인간의 사회적 관계망을 다차원 네트워크로 봅니다.
즉, “150명”은 단일 수치가 아니라 관계의 깊이에 따라 겹쳐진 층위 구조의 평균치입니다.

관계 깊이 평균 수 유지 방식

매우 깊은 유대 (정서·상호 의존) 3~5명 지속적 접촉, 정서 교류
긴밀한 사회 관계 10~15명 자주 연락, 상호 도움
실질적 교류 관계 50명 신뢰·협력 가능
느슨한 관계 (던바 핵심층) 150명 이름·성향 인지 가능
주변적 관계 (인지 가능) 500~1500명 이름·얼굴만 인식 가능
디지털 확장 관계 수천~수만 명 SNS 팔로워, 온라인 커뮤니티


→ 결론:
던바 수는 여전히 유효하지만, 계층적 네트워크로 세분화되고, 온라인 확장성을 고려해야 함.


---

3. 디지털 사회에서의 확장된 던바 수

영역 관계 특성 유지 가능 인원 수 주된 매개

오프라인 인간관계 정서 중심, 깊은 유대 ~150명 대면, 언어, 감정
온라인 관계 인지 중심, 약한 유대 5000명 SNS, 텍스트, 사진
‘하이브리드 관계’ 온·오프라인 교차 약 300~600명 메신저, 그룹채팅 등


연구 예시

Gonçalves et al. (2011): SNS에서도 “던바 계층”과 유사한 5–15–50–150 구조가 반복적으로 나타남.

Sutcliffe & Wang (2022): 인지적 피로(cognitive load) 때문에 깊은 유대 관계의 수는 여전히 5~15명으로 제한됨.

Stiller & Dunbar (2020): SNS 상의 “좋아요/댓글 빈도”가 실제 친밀도의 상한을 반영함.



---

4. 현대적 통합 정리

시대 관계 유지 기술 인간 집단 크기 구조 유지 메커니즘

수렵채집 사회 언어·직접 교류 5–15–50–150 정서·협력
농경·도시 사회 문자·규범·제도 150–500–5000 법·문화
산업 사회 조직·관료제 1000–100,000+ 제도·계층
디지털 사회 SNS·AI 매개 150–5000+ 알고리즘·플랫폼



---

핵심 요약

인간의 심리적·인지적 유대 한계는 여전히 약 150명 내외.

다만 SNS·디지털 도구가 인지적 ‘확장(external cognition)’ 역할을 하여 표면적 관계는 수천 명까지 가능.

진정한 사회적 결속은 신경학적·정서적 제약 때문에 여전히 던바 모델의 구조를 따름.

현대적 표현: “던바 수는 변하지 않지만, 그 위에 SNS가 얹혀진다.”



---

원하시면 이 내용을 도표와 그래프로 시각화한 “던바 수의 현대적 확장 모델 요약 PDF” 로 만들어드릴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해드릴까요?

이런 연구가 정치, 사회, 경제와 관련해서 주는 의미

아주 좋은 질문입니다.
이건 단순히 “사람이 몇 명과 친해질 수 있나”의 문제가 아니라, 정치·사회·경제 구조 전체가 왜 특정한 규모에서 달라지는가를 설명하는 핵심 이론으로 이어집니다.
즉, 인간 집단 크기의 인지적 한계(Dunbar 수) 는 사회 제도, 권력 구조, 기업 경영, 심지어 민주주의의 형태까지 깊게 연결됩니다.


---

1. 정치적 의미: 권력 구조의 필연적 변화

핵심: “집단이 커질수록 제도와 상징이 필요하다.”

약 150명 이하의 공동체에서는

구성원 모두가 서로를 직접 알고 있음

비공식적 신뢰와 평판으로 질서 유지 가능

지도자는 “사람 중심의 리더십”을 가짐
→ 직접 민주주의, 부족장 체제에 가까움


150명을 넘어서는 순간

모두가 서로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법, 제도, 종교, 관료제가 등장함

권위는 “개인”이 아니라 “상징적 시스템”에 기반
→ 국가, 관료제, 간접 민주주의로 발전



던바 수는 “정치 제도의 규모적 기원”을 설명하는 인지적 근거가 됩니다.
예:

아테네 초기 민주정(약 5~10만 시민 중 직접 참여는 약 500명 규모)

현대 국가는 던바 수를 훨씬 초과 → 제도·정당·언론 같은 중간 구조 필요



---

2. 사회적 의미: 공동체 결속의 한계와 분화

규모 결속 방식 결과

~150명 상호 신뢰·정서적 교류 공동체적, 평등적
150~5000명 규범·명예·집단 정체성 부족, 종교, 지역 단위
5000명 이상 법·제도·문화 상징 계층화, 분업, 관료화


사회학적으로

인간은 본래 “던바 단위의 공동체” 안에서 신뢰를 형성하도록 진화했기 때문에,
대규모 사회(국가, 도시)에서는 소속감 결핍, 익명성, 사회적 소외가 발생함.

이것이 현대인의 고립감, 정치 냉소, 지역 공동체 해체의 심리적 뿌리로 해석됩니다.


예시 연구

Putnam (2000), Bowling Alone: 대규모 사회에서는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 이 약화됨.

Dunbar & Sutcliffe (2020): 던바 규모 내의 관계망이 정신건강·신뢰도·정치참여를 결정.



---

3. 경제적 의미: 기업과 조직의 최적 규모

기업 경영 측면

연구에 따르면, 팀·조직 단위의 효율성은 던바 수 근처(약 100~200명)에서 최고점을 가짐.

이 이상 규모가 커지면

비공식 정보 흐름 붕괴

관리비용 급증

신뢰와 혁신 감소
→ 조직 분화(division), 중간관리층 등장으로 해결



실제 예시

조직 규모 구조적 특징

고대 부족 / 수렵채집 사회 ~150명 비공식적 리더십
군대 중대 120~180명 실전 효율 극대화
스타트업 <150명 혁신, 자율성 강함
대기업 1000명 이상 관리층·규칙·문화 필요


현대 기업들은 “던바 단위로 분리된 팀 구조”를 채택

예: 고어(Gore-Tex) → 공장당 인원 150명 제한

예: 스웨덴의 핀덱스 조직형태 “셀 조직” → 던바 수 기반 소규모 자율팀

목적: 신뢰·협동 유지, 혁신성 극대화



---

4. 종합적 사회 시스템 해석

규모 사회적 통합 메커니즘 정치 형태 경제 구조 예시

≤150명 개인적 신뢰, 평판 직접 민주주의 교환·공유경제 부족, 스타트업
150~1500명 규범, 명예, 상징 대표 민주주의 분업·시장 마을, 중소도시
1500명~수만 명 법, 제도, 조직 간접 민주주의 관료·기업 현대 국가, 대기업
수백만~수억 명 미디어, 상징, 데이터 기술 관료제 세계시장, 디지털경제 현대 문명 전체


따라서 “집단 크기”는 제도의 형태와 경제 효율의 경계선을 결정짓는 기본 변수입니다.


---

5. 정치·사회·경제 통합적 시사점

1. 정치: 직접 민주주의는 던바 수 규모에서만 실현 가능. 대규모 사회는 필연적으로 대표·제도 중심으로 변함.


2. 사회: 인간의 심리적 구조는 소규모 공동체에 맞춰져 있어, 현대 사회의 고립감은 구조적 결과.


3. 경제: 효율적 조직 단위는 인간의 인지적 한계에 맞춰야 함 — 너무 크면 신뢰 붕괴, 너무 작으면 규모의 경제 손실.


4. 기술: SNS, 메타버스, AI 등은 이 한계를 “인지 외부 확장(external cognition)”으로 보완하려 하지만, 정서적 관계를 완전히 대체하지는 못함.




---

요약하자면,

> **던바 수는 인간 사회의 ‘규모의 한계 법칙’**입니다.
이 법칙을 넘는 순간, 인간은 제도·언어·기술을 발명해야만 질서를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즉, 국가·법·시장·기업 모두는 150명을 넘기 위해 만들어진 인간의 인지 보조 장치입니다.




---

원하신다면 이 내용을

“정치·사회·경제 관점에서 본 던바 수의 의미”라는 제목의 요약 리포트(PDF)
혹은

인포그래픽(계층적 구조 + 각 규모별 사회형태)
로 시각화해드릴 수 있습니다.


어떤 형식으로 만들어드릴까요?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대박 날 것 같아서 내 꿈에 나와줬으면 하는 스타는? 운영자 25/11/17 - -
AD 겨울가전 SALE! 쿨한 겨울 HOT세일 운영자 25/11/12 - -
공지 프로그래밍 갤러리 이용 안내 [97] 운영자 20.09.28 48725 65
2903606 [대한민국] FBI 국장 한국 방문 사이버공격 언급 프갤러(121.172) 11:45 1 0
2903604 대학교에서는 수학부터 배우는데 취미는 c부터 해야함? [1] 프갤러(61.43) 11:14 22 0
2903603 [멋쟁이사자처럼] PM 실무 부트캠프 2기 (~12/15) 프갤러(14.32) 11:03 10 0
2903602 [사례 3천원] 비대면 10분 인터뷰이 모집 [1] 프갤러(222.110) 10:30 27 0
2903601 C++ 인생 40 년 갈아 넣었습니다. [1] 프갤러(59.16) 10:25 21 0
2903599 Aliexpress 블프 쿠폰코드 총정리 프갤러(121.131) 09:49 15 0
2903595 c++공부중인데 조언좀.. [4] 크림슨발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0 42 0
2903593 운영처음햐보는데 [4] 프갤러(39.7) 08:56 54 0
2903592 꽃인줄 알았는데..ㅇㅅㅇ [3]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55 38 0
2903591 태연 ㅇㅅㅇ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7 28 0
2903590 하루 한 번 헤르미온느 찬양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6 22 0
2903588 젠장 대세 하락장 아닐 수 있겠네 [2] chironpracto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48 45 0
2903587 iOS 버전 바뀌니까 UI에 문제 생겼는데 원인을 모르면 어떻게 [1] 프갤러(86.12) 06:13 41 0
2903586 삼국사기 백제본기 근구수 편 게임 개발 후원 해주신분께 감사드립니다. [2] 책사풍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41 23 0
2903585 탑 클라스 진입 퍼펙트 가이드!# 프갤러(121.142) 05:15 41 1
2903583 홍대 거리 갔다가 [1] 발명도둑잡기(118.216) 03:25 36 0
2903582 음기 충전 발명도둑잡기(118.216) 03:20 50 0
2903579 '1232억 체납' 서울시 명단 봤더니…1위가 일본인? 발명도둑잡기(118.216) 03:10 20 0
2903577 오프라인 부트캠프 여건 안되면 [1] 프갤러(223.39) 03:00 34 0
2903576 제주 이주열풍은 '거품'.."식은 게 아닌 정상화하는 과정" 발명도둑잡기(118.216) 03:00 17 0
2903574 #악성언행 발명도둑잡기(39.7) 02:38 28 0
2903568 MS 코파일럿 개웃기네 ㅋㅋ [2]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66 0
2903566 Guiyom을 투자자/개발자 설득용 피치로 정리해 [1]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31 0
2903561 Mudd the student - 123 발명도둑잡기(118.216) 02:07 19 0
2903560 [이런뉴스] 일본에서 “에스파 오지마!” 5만 명 찬성, 무슨 일? 발명도둑잡기(118.216) 01:51 35 0
2903558 중국군, SNS 통해 ‘건방떨지 마’ 랩 영상 공개 발명도둑잡기(118.216) 01:39 30 0
2903550 [단독] 무인기 18대 북한에 보냈다‥'북한 무인기'까지 준비 발명도둑잡기(118.216) 00:46 42 0
2903548 짬이 너무 찬건지... 시장이 미친건지... [3] 프갤러(116.43) 00:35 60 0
2903547 [팩트체크] AI가 수능 문제 풀어보니…1등은 챗GPT 발명도둑잡기(118.216) 00:28 23 0
2903546 프론트 연봉 상승률 ㅁㅌㅊ [2] ㅇㅇ(118.235) 00:13 56 0
2903545 요즘 비트코인갤 미주갤에 글리젠 상대가안되네 [3] 헬마스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11 51 0
2903543 전한길 “김예지 숙청해야…박민영 감싼 장동혁 정말 잘해” 발명도둑잡기(118.216) 11.19 26 1
2903541 구글 플레이스토어 수수료 시발 존나 어이없네 [2] 뉴진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9 38 0
2903540 미래에 뜰 언어 이거 확실하다. [2] 프갤러(110.8) 11.19 72 0
2903538 오늘의 영상 기획 실마리: 세계 힙합 올림픽 발명도둑잡기(39.7) 11.19 20 0
2903535 냥덩이는 언제나 어디서나 당신곁에❤ [3] ♥KiTTY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9 42 0
2903534 누가 더 못 생김? 프갤러(39.7) 11.19 78 0
2903532 전라도 신안 염전 노예 조사 착수 ♥KiTTY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9 29 0
2903531 이런 대사 어때보여? [1] ㅁㅁ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9 73 0
2903529 Ada 코드도 이렇게 보니 이쁘네 ㅋㅋ [20]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9 65 0
2903527 내란견들을 사형시켜야 주가가 쑥쑥 오를텐데 [5] 발명도둑잡기(39.7) 11.19 41 0
2903525 오늘 설계한 Clair.Event_Loop ㅋㅋ [3]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9 35 0
2903522 내란 동조자 색출해서 씨를 말려서 2차 내란 방지해야지 [1] 발명도둑잡기(39.7) 11.19 27 0
2903520 촉촉한 초코 케익처럼 달콤한 모모링❤ [3] ♥KiTTY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9 39 0
2903519 김현지 휴대폰 수색 철저히 수사해야 [2] ♥KiTTY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9 32 1
2903516 부업하는 갤럼 있니? [3] 가연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9 70 0
2903515 기계식 키보드 샀다 [4] ㅇㅇ(113.59) 11.19 59 0
2903514 삼국사기 게임 개발 중. 후원이 필요함. [2] 책사풍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9 39 0
2903512 아직 영상 ai쪽은 많이 부족하네.. [2] ♥KiTTY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9 83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