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프로그래밍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프로그래밍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싱글벙글 결혼하면 좋은점 ㅇㅇ
- 포크로우스크 점령 임박...젤렌스키 "상황 어렵다, 날씨도 불리" 실베간
- 단독]민주당, '이재명 발언 비꼰' 필자 '허위사실 명훼' 고발 ㅇㅇ
- [스압] 펜탁스 67로 찍어본 터키 여행 사진들 호호아저씨
- 야인시대 실제인물과 만난 배우들 비스마르크
- 알러지 발생 줄이는 방법 야갤러
- 영화 남극의 셰프 참고해서 메뉴 선정한거 아님? 남극의 셰프 메뉴들 백갤러
- 이제 눈낮춰도 소용없는이유 28.
- 251111 설악산 마진콜
- 중국 국기를 찢는 20대 청년들 김해초오
- 105세 김형석, "100세는 아무것도 아니다" NiKe
- 싱글벙글 도트 감성.gif 수인갤러리
- 싱글벙글 장애인들을 위한 휠체어 기부 ㅇㅇ
- 노만석 검찰총장 대행, 사의표명 ㅇㅇ
- ㅅㄱㅂㄱ 일일 밥도둑반찬 만들기.manhwa 복슬복슬Teemo
ACS/PFG-2 대만 해군의 개지랄병 이지스함 건조 계획
http://www.mdc.idv.tw/mdc/navy/rocnavy/acs.htm 병신같은 사업진행과 군 방침 변경으로 PFG-1이 뒤져버리고 광화 1호 계획을 진행하던 대만 해군은 중형 전투함 8척 중소형 전투함 16척을 건조하기로 결정했는데 여기서 중소형은 울산급이 되었다가 라파예트가 되는 캉딩이고 중형이 이번 주인공 광화 1호 계획임 함급 선정 결과 OHP를 라이센스 건조하게 된 대만해군은 OHP의 방공능력이 마음에 들지 않았고 4면 방공레이더를 탑재한 고오급 전투체계, 즉 ACS(Advanced Combat System)를 탑재한 슈퍼 OHP를 건조하고 싶었음 원래는 도입 예정인 OHP 전부 개량하려고 했으나 그랬다가 사업 터지면 다 좆된다는 주장에 4척만 적용하기로 함 근데 이것도 마음에 안 든다고 2척만 하자고 해서 2척으로 줄었다가 나중가선 일단 8척 만들고 나중에 4척 추가 도입할때 개량해서 도입하죠? 라는 주장까지 나오는 개판이 벌어짐 여기서 4척 추가도입이 뭔 소리냐? 광화 계획은 함정 총 수량이 24척으로 정해진 대신 중형과 중소형 함정간 척수 교환이 가능했음 그래서 8척+16척을 12척+12척으로 바꾸는게 가능했다는 소리 아무튼 그렇게 척수가지고 쳐 싸우다가 나온 결론이 일단 원본 OHP 7척을 건조한 뒤 마지막 8번함에 ACS를 탑재해서 건조한 후 성공적이면 2차 건조분 3~4척을 추가 건조하기로 결정함 여기서 2차 건조하는 배들이 바로 이번 주인공인 PFG-2 계획임 대만 해군이 입찰 공고를 내자 미국 업체들이 여러가지 제안이 득달같이 들어왔는데 이게 왜 그러냐면 마침 나토 8개국(미국, 영국, 프랑스, 캐나다, 이태리, 네덜란드, 독일, 스페인)이 공동 건조를 추진해 도합 52척을 건조하려고 했던 NFR-90 사업이 폭파당한 직후였기 때문 NFR-90 건조때 GE를 주축으로 한 팀과 레이시온을 주축으로 된 팀이 경쟁했듯 이번에도 기업들이 저 두 기업 중심으로 나뉘어 경쟁함 일단 GE의 제안을 보면 ㄹㅇ OHP에 4면레이더만 달랑 올라간 묘한 물건이 튀어나옴 우선 레이더는 SPY-1의 축소판 FPAR을 조금 손본 ADAR-2N을 4면고정으로 탑재했고 천궁-1이 탑재된 VLS 16셀을 함수에, 천검-2가 탑재된 VLS 32셀을 함미에 탑재한 모습이 보임 이제 레이시온의 제안을 보면 구조변경 좆까고 걍 OHP에 패트리어트 레이더 파생형인 C-MAR를 올린게 전부인 모습임, 뭐? 함체 중앙에 시스페로우 있지 않냐고? 그거 확정이 아니라 제안이었음 보면 알겠지만 당연히? GE가 이겼음 막상 선체 설계에 들어가자 선체 설계를 담당한 깁스앤콕스는 와 씨발 이거 순정으로 못한다 좆박았네 ㅅㅂ 를 실감하며 선체를 대대적으로 뜯어고치고 확장하기 시작함 이건 당연한게 3천톤따리 OHP에 4면고정 이지스 레이더를 아무 개조 없이 박겠다는 주장부터가 걍 개소리고 실제론 배가 무너지기 전에 배수량을 늘려야만 했거든 겸사겸사 선체를 뜯어고치는 김에 스텔스 설계도 좀 하고 포클랜드 전훈도 반영해서 알루미늄 빼고 상부구조물을 강철로 바꾸고 무장도 좀 번경하는 등 이게 같은배가 맞냐고 할 정도의 개량이 함께 이루어짐 그래서 나온 2차 설계안이 이거임 우선 선체부터 5.18m 늘어났고 기관 출력도 강화됨 상부 구조물이 통짜였던 기존과 달리 함수와 함미 구조물을 분리해 그 사이에 하푼을 박았고 함수에 mk41 32셀, 함미 헬기격납고를 하나 밀어버리고 그 위치에 mk41을 16셀 탑재해 총 VLS는 48셀로 증가함 CIWS로 탑재된 팰렁스도 1문에서 2문으로 늘렸고 대신 40mm 보포스가 제거되었음 추진체계를 통째로 갈아버리는 개량이 고려되었지만 이건 너무 대공사라 검토만 했다고 그리고 여기서도 모자랐는지 더 개량을 때려박은 최종 설계안이 나오는데 짜쟌 선체를 원본 대비 무려 13.7m나 잡아늘리고 선폭도 최대 1.7m 늘려 이게 시발 과연 OHP가 맞는지 진지하게 의심될 수준에 이르렀고 레이더의 발열을 잡기 위해 수냉 시스템이 추가되었음 CIWS도 램 2문이 추가되어 팰렁스 2+램 2 총 4문이 탑재, VLS를 함수로 집중하여 함수에 48셀을 탑재했고 VLS가 함수로 이동한 덕분에 헬기 격납고는 다시 두개가 되었음 함포는 5인치가 적혀있는데 저건 가능하다는 소리고 대만은 76mm를 선택함 문제는 이렇게 늘어난 선체와 증가된 무장 덕분에 분명 4천톤으로 시작한 배는 6천톤이 넘는 씹돼지가 되었고 항해시 불안정성이 우려되었음 또한 전력 문제가 심각했는데 OHP 위에 4면고정 레이더를 때려박은 후폭풍으로 발전용량이 심각하게 부족해졌는데 이건 폼팩터 자체의 한계라 해결하기 매우 어려운 문제였음 때문에 상기한 문제들을 해결할 방법은 단 하나밖에 없었음 뭐긴 뭐야 싹다 버리고 다시 설계하는거지 씨팔 누가 OHP가지고 마개조 하래? 이 병신들은 PFG-1때랑 달라진게 1도 없었고 또 같은 실수를 반복한거임 좆만한 배에 무장이랑 센서를 있는대로 쳐박으니까 당연히 배가 병신이 되지 이 사단이 나도 방공구축함이 가지고 싶었던 대만 해군은 건조를 시도했으나 초도함 건조비 1조 5천억을 돌파한 애미리스한 비용증대로 인해 사업이 파탄에 이르렀고 비슷한 시기에 라파예트 도입 사태로 대규모 스캔들이 터지자 결국 강력한 방공구축함을 보유하겠다는 대만 해군의 꿈은 모형만 남기고 산산조각이 남 여기서 더 환장하는 점은 이 사업이 폭파된 90년대 이후 미중관계가 호전되고 대만의 취급이 개차반으로 쳐박히며 수출이 허가되었던 이지스 시스템과 VLS등의 최신 장비의 수출이 모조리 틀어막혔다는 사실임 대만이 이때 도입하지 못한 VLS는 30년이 지난 올해에서야 간신히 미국의 도움을 받아 간신히 국?산화 비슷한것에 성공해 탑재에 성공했을 정도고 이지스 시스템은 아직도 빠꾸쳐먹고 있음 이후 대만은 미국에 내다버린 쓰레기라도 좋으니 제발 방공구축함을 팔아달라고 요청했고 울며 겨자먹기로 이 틀딱새끼를 2000년대에 중고로 받아와 지금까지 최고급 방공구축함이라고 굴리는 신세로 전락함 여담으로 이 사업에 제안되었던 ADAR-2N은 사업중에도 완성 못하고 한창 개발중이었는데 사업 폭파 후 완성된 레이더는 SYP-1F로 개명한 뒤 노르웨이 해군이 프리드요프 난센으로 맛있게 먹었고 스페인 해군은 어디서 많이 본 함형으로신형 방공구축함 알바로 데 바잔을 건조함 진짜냐고? 나도 모름 걍 닮았더라 웃긴건 노르웨이 난센급이랑 스페인 바잔급은 각각 134m에 5290톤, 146.7m에 5810톤으로 대만이 당시 원했던 스펙을 달성했다는 거임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븅신
작성자 : ㅇㅇ고정닉
키르기즈 공화국 혼인신고&여행하러 가서 먹은 것
[시리즈] 키르기즈 공화국 썰 · 곧 키르기스 갈 예정 (혼인신고 하러 감) · (정보) 키르기즈 공화국 배우자와 혼인신고 하기 이곳은 기타음식 갤러리이니 잡다한 썰은 위의 [시리즈]로 업로드하고, 이번에 혼인신고 겸 여행하러 키르기즈 공화국에 가서 먹은걸 올려보겠음 총 7.5일간 먹은건데 올려보니 많이도 먹었네... 총 8박 7일간 키르기즈로 여행갔어 (정보: 인천공항에 7시간만에 키르기즈 비슈케크 마나스공항으로 가는 직항편이 일주일에 왕복 2편정도 있다.) (???) 첫날 호텔 도착하니 새벽 2시인데 아사할거 같아서 호텔 컨시어지에게 살려주쇼... 하니 이거나 먹으라며 사과를 받았다 내 폰이 구식이라 그런가 카메라가 좀 하자가 크다... 아무튼 이 사과는 한국에서도 보기 힘든 어두운 적색인데, 당도가 엄청 높았다.(어두운 적색처럼 안보인다면 100% 내 카메라 잘못이다.) 잠이 확 달아나는 맛이라 물도 좀 마시고 바로 잠들었다 매일마다 아침식사는 호텔에서 조식을 먹었다 매일 식사가 바뀌는데 기본구성은 오트밀(귀리, 수수, 밀, 쌀 등 돌아가며 재료를 씀), 샐러드(재료 매일 다름), 치즈와 슬라이스 햄, 잼, 말린 포도, 비스켓, 요거트, 메인메뉴(매일 다름, 첫날은 간단한 샌드위치), 과일, 빵, 에그후라이or오믈렛(선택 가능)을 준다. 오믈렛과 오트밀, 샐러드가 특히 맛있었다. 주방장 이 간단한걸 맛있게 하는거 보면 ㄹㅇ 맛잘알인듯? 여행 1일차 점심은 와이프(진) 여동생이 방학시즌이라 내가 키르기즈에 왔다는걸 듣고는 보고싶다고 해서 만난김에 패스트푸드를 먹으러 갔다. 나도 버거는 정말 좋아하지만 건강을 생각해서 한국에서는 한달에 한번정도 버거킹을 가는것으로 참고 있다. 맥날, 맘터, 쉑X버거 등등 다 시도해봤는데 난 버거킹이 맛있다...(반박시 당신 의견이 맞음) 이 패스트푸드점은 우리 귀여운 동생이 버거사달라고 해서 추천하는데로 온건데, 정말 미안하지만 내가 키르기즈에서 먹은 음식중 최악의 음식이였다. 버거는 맛없게 만들기가 힘든 음식이라고 생각하는데, 이 버거는 뭐랄까... 문제가 많았다. 1. 가격(개당 5000원 수준, 이곳 물가 고려 시 비싼 편) 2. 빵(이건 뭐 한국 편의점 식빵보다 떨어지는 맛) 3. 패티(한국 편의점 버거 패티 맛 그 자체, 낮은 품질의 소고기 패티) 4. 소스(불고기소스 짭퉁 맛) 하... 혼나야겠지 동생아? 그 다음은 키르기스의 동네 마트에도 들려보았다. 약 85솜=1달러=1450원(2025.11.09 기준)으로 보면 된다. 가격을 보면 빵, 육류가 정말 싼 편이다. 심지어 이 가게는 비싼 편이다. 아래 치킨 89솜은 한조각 89솜이 아니고 100g 기준이다. 마트의 바게뜨 샌드위치는 약 한국돈 1000~1100이면 살 수 있다. 마트에 화덕이...? 화덕에 구운 빵들이 1달러 이하다. '삼사'라는 빵은 0.5달러 수준에서 키르기스 어디서든지 살 수 있다. 이렇게 생긴 빵이 삼사인데, 안에 양고기를 넣고 화덕에서 구워버린다. 맛있는데 이게 보통 0.5~0.7달러(약 730원)이다. 마트에서 나올때 키르기즈 아이스크림을 먹었는데ㆍㆍㆍ 맛이 느끼하다 ㅋㅋㅋㅋㅋ 우유에 버터녹이고 설탕 대강뿌려 얼려둔걸 먹는 기분이였다. 마트에서 한국 아이스크림(롯데, 빙그레, 해태 등)도 팔고 있는데 가격은 좀 있지만 다들 한국 아이스크림이 더 맛있다며 한국 아이스크림을 더 좋아한다고 한다. 마트 인근의 케이크가게도 가 보았다. 1080솜짜리 피스타치오 케이크(약 18,000원)가 보이는가? 참고로 저 피스타치오 케이크는 4~5호 사이즈이다 하지만 맛은 기대안하는데 이유는 뒤에 써보겠음... 이곳은 KULIKOV라는 카페이다. 빵, 디저트, 아이스크림, 식사, 만피(만두)????, 음료 등 다양한걸 파는데 한국으로 치면 스타벅스급으로 전국에 퍼져있는 카페 브랜드이다. 스타벅스+베스킨라빈스+파리바게뜨 합쳐둔것 같은 곳이다. 밀크쉐이크(기본, 딸기) 주문했는데, 역시 목축업 많이 하는 국가라 그런지 상당히 맛있다. 참고로 KULIKOV의 커피는 개인적으로 비추천한다. 커피 산도가 높아서 맛알못인 나도 커피에서 왜 베리맛이 나는거 같지? 하며 마셨다. 맛있게 산도가 높은게 아니라 걍 맛이 없다 ㅋㅋㅋㅋ 제로콜라(약 1500원) 발견 ㅋㅋㅋㅋ 이곳은 제로음료가 한국처럼 없다. 내가 이곳저곳 마트를 가보며 유일하게 찾아낸 제로음료가 제로코카콜라다. 가격도 한국 편의점보다 비싸다ㆍㆍㆍ 이곳은 Buffet라는 브랜드이다. 한국에서 돈내고 무제한으로 먹는 뷔페 아니고, 그냥 브랜드명이 뷔페다. 이케아 레스토랑처럼 음식을 쟁반에 담아서 가면 결제해주고, 바로 앉아서 먹으면 되는 방식이다. 이런 브랜드 아니여도 키르기즈에는 먹고싶은거 담고, 결제하면 되는 식당이 많다. 이렇게 2명이서 먹으면 8달러 수준(12,000원 미만) 음료는 석류주스, 면은 Босо лагман — 보소 라그만, 닭고기는 걍 양념에 구운 닭다리이다. 여기서 키르기즈에 가면 반드시 먹을 음식으로 Босо лагман — 보소 라그만을 강력하게 추천한다. 이렇게 맛있는 볶음면은 내가 한국식, 중국식, 베트남식 다 먹어봤는데 키르기즈의 보소 라그만이 제일 나은거 같다. 피망을 평소에 안 좋아하는 편인데, 여기서는 하나도 빠짐없이 다 먹었다. Buffet라는 브랜드를 키르기즈에서 찾으면 꼭 들어가서 보소 라그만을 먹어보길 바람 마트에서 파는 엄청나게 다양한 초콜릿들... 시장에서 정확히 똑같은 초콜릿을 더 싸게 파는데, 거기서 사는걸 추천한다. 여기는 Alpen gold가 139솜 수준이지만 시장은 85솜(1달러) 정도에 똑같은걸 살 수 있다. KFC 오리지널 치킨버거도 먹으러 갔다. 키르기즈에는 버거킹, 맥도날드가 없다. 다른 치킨집이나 버거 브랜드가 없고 KFC가 경쟁자 없는 단독 1황 수준이라 3~4블럭에 KFC 매장 하나는 있고, 도심 곳곳에서 KFC 치킨이나 감자튀김 먹는 사람들을 볼 수 있다. 가격은 한국 KFC의 70% 수준이다. 버스 정류장에도 KFC 도배를 해놔서 여기는 좀 다른맛인가? 하는 궁금증에 먹으러 와보니 맘스터치가 압살하는 맛이다... 역시 치킨은 한국 자영업자들의 경쟁속에 탄생한 수많은 연구들을 넘는 맛을 찾기란 힘들다 이게... 맛있다고? 난 너가 왜 한국에서 맘스터치를 좋아했는지 알거 같아 노점상에서 파는 호박 이렇게 생긴 호박이 일반적이라고 한다 내가 먹고 있는것은 Манты — 만티, 와이프가 먹고 있는것은 Пельмени — 펠메니라고 한다. 만티는 한국 길거리에서 겨울에 파는 왕만두 먹어본적 있을건데, 그거 20% 너프먹은 맛이다. 기왕 먹을거면 양고기 들어간 만티를 추천한다. 펠메니는 물만두국 같은것인데, 저기에 카이막을 넣어먹는다. 먹어봤는데 나한테는 이걸 왜먹는지 의문이 드는 맛이였다. 머릿속의 안성재 쉐프가 이 대사치는게 계속 떠올랐다 한국으로 치면 음... 만두국에 치즈 갈아넣고 우유타서 먹는거라고 생각하면 된다. 카이막 안 넣는게 개인적으로는 더 맛있었다 그리고 다시 한번 Buffet 식당에 가서 Плов — 플로브 Мясная запеканка — 먀스나야 자뻬칸카 샐러드 레드벨벳 케이크 계란/감자/양고기 요리 소시지(개맛없음) 이렇게 주문했다 플로브가 저기 양고기 필라프인데, 이것도 여기서 먹은 음식중 TOP5 안에 들어간다. 먀스나야는... ㅋㅋㅋ '좀 더 다양한 재료 들어간 계란국' <- 적절한 비유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다음 장소는 내가 진짜 추천하는 곳이다. 지도 보고 키르기즈 오거든 꼭 가보길 바람 Хачапури — 하차푸리 Шашлык — 샤슐릭(양고기) 이렇게 2개를 주문했다. 가격은 한국 돈으로 약 30000원 2명이서 가면 이정도 주문하면 충분하다. Хачапури — 하차푸리 <- 이건 음... 솔직히 고르곤졸라피자 하위버전이다. 그런데 샤슐릭은 저기 있는 양파랑 같이 먹으면 진짜 끝내주는 맛이다. 직화로 구워서 약 30분이 걸리는데, 키르기스 물가치고는 좀 비싼 편이지만 30000원 가치가 있었다. 이거 한국 들어오면 VIPS, 아웃백 압살 가능한 맛이라고 생각함 그리고 전통시장도 한번 방문해봤다. 과일은 1달러 내면 사과 8개쯤 주는 수준이라 엄청 싸다 특히 저 큰 빵은 리뾰쉬카(?) 라고 하는거 같은데 저게 25솜(420원 수준)이다. 하나 다 못먹는 양이고, 화덕에 구운 빵인데 양이 많고 싸다. (+)마트에서 치즈나 카이막, 우유가 싼 편인데 같이 먹으면 맛있음 한번 더 갔던 Buffet에서 먹은 Фунчоза — 푼초자, 그리고 훈제연어&치킨 치킨(노맛) 훈제연어(내륙지방 아니랄까봐 소금 엄청 쳐서 짜다...) 푼초자는 비슷한 맛을 찾자면... 메밀국수로 만든 들기름막국수를 떠오르게 하는 맛이였다. 물론 푼초자에 들기름은 안 들어가지만 그냥 비슷한 느낌이 들었다. 여자친구 밥 삼사, 보소 라그만 많이 못 먹어서 삼사는 그냥 들고 갔음.. 제로콜라 아이스크림 Kulikov의 디저트와 아아, 블루베리 요거트 칵테일 커피의 산도가 너무 강하다... 와이프의 어머니도 한국에서 가져온 커피를 드셔 보시더니 "이거 왜이리 써?"라고 하시긴 하셨다. 아래는 KULIKOV에서 파는 식품들이다. 좀 큰 곳을 가면 이런식으로 판다. 케이크 아이스크림 만두...? 각종 디저트 및 샌드위치 빵 진짜로 KULIKOV는 곳곳에서 볼 수 있는거 같다 이건 MUBARAK이라는 나름 유명한 브랜드 레스토랑에서 먹은건데, 감자가 진짜 맛있었다. 한국의 감자는 강수량이 많아서 그런가 물을 많이 쳐먹어서 좀 노맛인데 여기 감자는 그냥 간단한 향신료만 뿌려서 구운건데도 맛있자. 진짜로 고기보다 감자가 더 맛있었다. 마트에서 사온 빵과 카이막... 천상의 맛? ㅋㅋㅋㅋㅋㅋㅋ 일단 키르기스 카이막은 걍 우유향 강한 버터 먹는 기분이 천상의 맛이라 할정도인지는 진짜로 모르겠음 그리고 키르기스에도 스시가 있는데 모든 스시를 이렇게 스시롤로 판다. 연어 사이에 크림치즈 가득 넣었는데 먹고 속 뒤집힐뻔 했음 역시 내륙지방은 그냥 고기요리가 답이다. 이거 ㄹㅇ 일본인이 보면 카타나 꺼내들고 주방장 베어버릴 맛임 아무튼 그렇게 키르기즈 여행 끝나고 돌아감 ㅎㅎ
작성자 : 여행자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