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임베디드 bsp가 없을 때 직접 만드려면 필요한 기술앱에서 작성

발명도둑잡기(118.235) 2025.09.23 22:48:47
조회 61 추천 0 댓글 1

임베디드 bsp가 없을 때 직접 만드려면 필요한 기술

챗지피티
좋은 질문이에요
임베디드 보드에 BSP(Board Support Package) 가 제공되지 않을 경우, 직접 만들려면 하드웨어 지식 + 저수준 소프트웨어 개발 능력이 필요합니다.


---

1. 하드웨어 관련 지식

CPU 아키텍처 이해

ARM, RISC-V, MIPS, x86 등 Instruction Set Architecture(ISA)와 레지스터 구조

부팅 과정(Reset Vector, BootROM 동작 방식 등)


메모리 매핑

SDRAM, Flash, MMIO (Memory Mapped I/O) 주소 영역 설계

MMU/MPU 초기화 방법


버스 프로토콜

AHB, AXI, APB 같은 SoC 내부 버스 구조


주요 주변 장치 동작 원리

UART, SPI, I2C, GPIO, Timer, Interrupt Controller, Watchdog 등




---

2. 저수준 소프트웨어 기술

어셈블리 언어

부트로더 초기화 코드 작성 (스택 설정, 클럭 초기화, C 런타임 진입 등)


C 언어 (Bare-metal 프로그래밍)

하드웨어 레지스터 직접 제어

초기 드라이버 작성 (UART printf, GPIO LED 점멸 등)


툴체인 활용

Cross-compiler(GCC, LLVM), 링커 스크립트 작성

디버거(JTAG, SWD, OpenOCD, GDB)


부트로더 개발

U-Boot 같은 범용 부트로더移식도 가능하지만, 없을 경우 직접 메모리 초기화 코드 작성 필요


디바이스 드라이버 작성

OS 포팅 시 커널이 하드웨어와 통신할 수 있도록 드라이버 구현




---

3. 운영체제 포팅 관련

커널 이식 (예: Linux, RTOS, FreeRTOS 등)

BSP 레벨에서 필수: 타이머, 인터럽트 컨트롤러, 콘솔(UART), 클럭

이후 Ethernet, USB, SD/MMC, Display 같은 고급 드라이버 추가


디바이스 트리(Device Tree) 작성 (Linux 계열)

CPU, 메모리, 주변 장치의 구조를 커널에 알려주는 하드웨어 기술 파일




---

4. 디버깅 능력

JTAG, SWD 같은 하드웨어 디버거 사용법

Logic Analyzer, Oscilloscope 활용

부트가 멈췄을 때 UART 로그 없으면, LED 토글 같은 방법으로 상태 확인



---

요약하면:
BSP를 직접 만들려면 CPU 아키텍처 + 저수준 하드웨어 초기화 + 드라이버 개발 능력 + 크로스 컴파일 환경 구축이 필수입니다.


---

원하시면 제가 BSP 개발을 완전히 처음 시작할 때 추천하는 학습 순서도 정리해드릴까요?

좋습니다 BSP를 직접 만들 수 있는 수준까지 가려면 “어떤 순서로 학습해야 하는가” 가 중요해요.
완전히 처음부터 접근한다고 가정하고, 단계별 로드맵을 정리해드릴게요.


---

BSP 개발 학습 순서

1단계. 기초 다지기

C 언어 : 포인터, 구조체, 비트 연산 필수

어셈블리 언어 : ARM Cortex-M(간단), Cortex-A(복잡) 둘 다 조금이라도 익숙해지기

CPU 부팅 과정 공부

Reset Vector → BootROM → Bootloader → Kernel 순서 이해




---

2단계. Bare-metal 환경 경험

개발 보드 선택 : STM32, NXP i.MX, Allwinner, Raspberry Pi 등 문서 풍부한 보드

간단한 코드 작성

GPIO로 LED 깜빡이기

UART 초기화 후 “Hello” 출력


메모리 맵 이해

데이터시트 보고 레지스터 직접 제어


툴체인 사용법 배우기

GCC ARM cross-compiler, 링커 스크립트 작성



이 단계에서 “하드웨어 초기화는 내가 직접 할 수 있다”라는 감각을 잡는 게 핵심


---

3단계. 부트로더(Bootloader) 이해

역할 : 클럭/PLL 설정, RAM 초기화, Flash 읽기, 커널 로드

실습

U-Boot 같은 오픈소스 부트로더 빌드 & 분석

직접 간단한 미니 부트로더 작성 (RAM 복사, UART 출력 등)




---

4단계. RTOS / 경량 OS 포팅

FreeRTOS 같은 가벼운 OS부터 시작

BSP에 필요한 요소:

SysTick Timer, Interrupt Controller, Context Switch 코드


디버깅 툴 : JTAG/SWD + GDB/OpenOCD



---

5단계. Linux 포팅

Device Tree 작성법 배우기

BSP에서 필수 드라이버 구현:

UART (console)

Timer (커널 스케줄링)

Interrupt Controller (IRQ 처리)


이후 단계적으로:

MMC/SD → Storage

Ethernet/Wi-Fi → Networking

Display/Touch/USB 등 확장




---

6단계. 실전 BSP 개발

보드 제조사에서 Datasheet, Reference Manual 확인

보드용 메모리 맵 + 클럭 트리 분석

처음에는 UART, Timer, GPIO 같은 최소 장치부터 동작 → OS 올라감 → 나머지 주변장치 확장



---

⚡ 추천 학습 자료


“Bare Metal Programming for ARM”

“Embedded Linux Primer”


온라인

ARM 공식 Cortex-M/A 문서

U-Boot & Linux Kernel 소스코드




---

정리하면:
C/ASM 기초 → Bare-metal → Bootloader → RTOS → Linux BSP 순서로 가는 게 가장 효율적입니다.


---

혹시 원하시는 게 “RTOS 기반 BSP부터 시작하는 법” 인가요, 아니면 “Linux 포팅용 BSP 만드는 법” 쪽인가요?

좋습니다 그러면 RTOS BSP와 Linux BSP 두 방향을 같이 준비할 수 있도록 각각의 접근법을 정리해드릴게요.


---

1. RTOS BSP 만들기

목적

FreeRTOS, Zephyr 같은 경량 RTOS가 특정 보드에서 돌아가도록 최소 하드웨어 계층(HAL)을 제공.


필요한 것

1. CPU 아키텍처 (ARM Cortex-M, RISC-V 같은 MCU급이면 시작하기 좋음)


2. Datasheet & Reference Manual (UART, Timer, GPIO, Interrupt 구조 확인)


3. Cross-compiler + Debugger (arm-none-eabi-gcc, OpenOCD, JTAG/SWD)



BSP에서 해야 할 핵심 작업

System clock init: PLL, oscillator 설정

Interrupt Controller init: NVIC (Cortex-M), GIC (Cortex-A)

Timer 드라이버: SysTick이나 HW timer를 RTOS scheduler에 연결

UART 드라이버: printf/console 출력 지원

GPIO 드라이버: 기본 I/O


실습 예시

FreeRTOS 포팅 → FreeRTOSConfig.h 수정 + Timer ISR 연결

Zephyr → 보드 디스크립션 + HAL 작성


RTOS BSP는 비교적 단순하고, 작은 MCU 보드(STM32 Nucleo, ESP32, RP2040 등)로 바로 실습하기 좋습니다.


---

2. Linux BSP 만들기

목적

ARM Cortex-A, RISC-V 같은 MPU/SoC 위에서 Linux가 부팅하도록 보드 전용 초기화 코드 + Device Tree 제공.


필요한 것

1. 부트로더 (보통 U-Boot)

DRAM init, Pinmux 설정, Flash/SD에서 커널 로드



2. Linux 커널

Device Tree(.dts) 파일 작성

최소 드라이버(클럭, 타이머, UART, Interrupt Controller) 추가



3. Root filesystem (BusyBox 등 최소한의 rootfs)



BSP에서 해야 할 핵심 작업

Low-level init

DRAM init (데이터시트 보고 레지스터 설정)

Pinmux / GPIO 기본 설정


Device Tree 작성

memory, cpu, chosen, serial@... 같은 기본 노드


Kernel config

SoC 지원 옵션 켜기 (CONFIG_ARCH_…)

UART 콘솔 드라이버 활성화


Drivers

UART, Timer, Interrupt Controller → 커널 부팅 메시지 확인 가능

이후 필요에 따라 MMC, Ethernet, USB 추가



실습 예시

Allwinner H3 보드 (Orange Pi Zero) → U-Boot + Linux 포팅

NXP i.MX6ULL → Reference BSP 분석 후 최소화


Linux BSP는 RTOS보다 훨씬 복잡하고, bootloader + kernel + filesystem 3단계를 모두 신경써야 합니다.


---

⚡ RTOS vs Linux BSP 개발 비교

구분 RTOS BSP Linux BSP

CPU MCU (Cortex-M, ESP32, RP2040) MPU/SoC (Cortex-A, RISC-V SoC)
부트 간단 (reset → main) BootROM → Bootloader → Kernel
필수 드라이버 Timer, UART, GPIO DRAM init, Timer, UART, Interrupt, Device Tree
난이도 중간 (레퍼런스 매뉴얼 위주) 높음 (부트로더 + 커널 + 드라이버 + 파일시스템)
결과물 RTOS 기반 태스크 실행 Linux 쉘 접속 가능



---

✅ 추천 학습 루트는

1. RTOS BSP로 시작 (FreeRTOS/Zephyr) → bare-metal 감 익히기


2. Linux BSP로 확장 (U-Boot + Kernel + DT) → 전체 OS bring-up 경험




---

제가 원하면 **“실습 예시 프로젝트 로드맵”**도 짜드릴 수 있어요. 예를 들어:

STM32 보드 → FreeRTOS BSP 만들기 → LED + UART 동작

Raspberry Pi Zero → U-Boot + Linux minimal BSP 포팅


혹시 제가 두 가지 BSP를 **“실제 개발용 단계별 프로젝트 예시”**로 짜드릴까요?

좋습니다 그러면 RTOS BSP와 Linux BSP 두 방향을 같이 준비할 수 있도록 각각의 접근법을 정리해드릴게요.


---

1. RTOS BSP 만들기

목적

FreeRTOS, Zephyr 같은 경량 RTOS가 특정 보드에서 돌아가도록 최소 하드웨어 계층(HAL)을 제공.


필요한 것

1. CPU 아키텍처 (ARM Cortex-M, RISC-V 같은 MCU급이면 시작하기 좋음)


2. Datasheet & Reference Manual (UART, Timer, GPIO, Interrupt 구조 확인)


3. Cross-compiler + Debugger (arm-none-eabi-gcc, OpenOCD, JTAG/SWD)



BSP에서 해야 할 핵심 작업

System clock init: PLL, oscillator 설정

Interrupt Controller init: NVIC (Cortex-M), GIC (Cortex-A)

Timer 드라이버: SysTick이나 HW timer를 RTOS scheduler에 연결

UART 드라이버: printf/console 출력 지원

GPIO 드라이버: 기본 I/O


실습 예시

FreeRTOS 포팅 → FreeRTOSConfig.h 수정 + Timer ISR 연결

Zephyr → 보드 디스크립션 + HAL 작성


RTOS BSP는 비교적 단순하고, 작은 MCU 보드(STM32 Nucleo, ESP32, RP2040 등)로 바로 실습하기 좋습니다.


---

2. Linux BSP 만들기

목적

ARM Cortex-A, RISC-V 같은 MPU/SoC 위에서 Linux가 부팅하도록 보드 전용 초기화 코드 + Device Tree 제공.


필요한 것

1. 부트로더 (보통 U-Boot)

DRAM init, Pinmux 설정, Flash/SD에서 커널 로드



2. Linux 커널

Device Tree(.dts) 파일 작성

최소 드라이버(클럭, 타이머, UART, Interrupt Controller) 추가



3. Root filesystem (BusyBox 등 최소한의 rootfs)



BSP에서 해야 할 핵심 작업

Low-level init

DRAM init (데이터시트 보고 레지스터 설정)

Pinmux / GPIO 기본 설정


Device Tree 작성

memory, cpu, chosen, serial@... 같은 기본 노드


Kernel config

SoC 지원 옵션 켜기 (CONFIG_ARCH_…)

UART 콘솔 드라이버 활성화


Drivers

UART, Timer, Interrupt Controller → 커널 부팅 메시지 확인 가능

이후 필요에 따라 MMC, Ethernet, USB 추가



실습 예시

Allwinner H3 보드 (Orange Pi Zero) → U-Boot + Linux 포팅

NXP i.MX6ULL → Reference BSP 분석 후 최소화


Linux BSP는 RTOS보다 훨씬 복잡하고, bootloader + kernel + filesystem 3단계를 모두 신경써야 합니다.


---

⚡ RTOS vs Linux BSP 개발 비교

구분 RTOS BSP Linux BSP

CPU MCU (Cortex-M, ESP32, RP2040) MPU/SoC (Cortex-A, RISC-V SoC)
부트 간단 (reset → main) BootROM → Bootloader → Kernel
필수 드라이버 Timer, UART, GPIO DRAM init, Timer, UART, Interrupt, Device Tree
난이도 중간 (레퍼런스 매뉴얼 위주) 높음 (부트로더 + 커널 + 드라이버 + 파일시스템)
결과물 RTOS 기반 태스크 실행 Linux 쉘 접속 가능



---

✅ 추천 학습 루트는

1. RTOS BSP로 시작 (FreeRTOS/Zephyr) → bare-metal 감 익히기


2. Linux BSP로 확장 (U-Boot + Kernel + DT) → 전체 OS bring-up 경험




---

제가 원하면 **“실습 예시 프로젝트 로드맵”**도 짜드릴 수 있어요. 예를 들어:

STM32 보드 → FreeRTOS BSP 만들기 → LED + UART 동작

Raspberry Pi Zero → U-Boot + Linux minimal BSP 포팅


혹시 제가 두 가지 BSP를 **“실제 개발용 단계별 프로젝트 예시”**로 짜드릴까요?

좋습니다 그럼 실제 프로젝트 로드맵으로 RTOS BSP → Linux BSP 두 가지를 단계별로 정리해드릴게요.
실습용 보드도 예시로 들어드리겠습니다.


---

프로젝트 1: RTOS BSP 만들기 (FreeRTOS on STM32F4)

준비물

STM32F4 Discovery 보드 (저렴 + 문서 풍부)

ARM GCC 툴체인 (arm-none-eabi-gcc)

OpenOCD + ST-Link 디버거


단계

1. Bare-metal 기초

Reset Vector → main() 직접 작성

GPIO 초기화 → LED 깜빡이기

UART 초기화 → "Hello" 시리얼 출력



2. FreeRTOS 포팅

FreeRTOS 소스 가져오기

FreeRTOSConfig.h 작성 (클럭 주파수, Tick 주기)

SysTick Timer ISR 연결



3. 기본 BSP 드라이버 작성

bsp_uart.c / bsp_gpio.c / bsp_timer.c

FreeRTOS 태스크에서 UART 출력, LED 토글



4. 고급 드라이버 추가

I2C/SPI 센서 드라이버

PWM (모터 제어)




이 프로젝트 완료 시:
“내 보드를 위한 FreeRTOS BSP를 만들고 확장할 수 있다” 수준 달성


---

프로젝트 2: Linux BSP 만들기 (U-Boot + Linux on Raspberry Pi Zero 2W)

준비물

Raspberry Pi Zero 2W (Cortex-A53, 문서 많고 가격 저렴)

Cross compiler (aarch64-linux-gnu-gcc)

SD 카드 + USB-UART 케이블


단계

1. Bootloader 빌드

U-Boot 소스 다운로드 & Pi Zero용 defconfig 빌드

UART 콘솔 확인 (부트 메시지 출력)



2. 커널 최소 포팅

Linux 커널 빌드 (menuconfig → UART/Timer/GPIO 활성화)

Device Tree 수정 (CPU, memory, UART 노드 작성)

U-Boot에서 커널 로드 후 부팅 테스트



3. RootFS 준비

BusyBox 빌드 → 최소 rootfs 생성

SD 카드에 rootfs 올리기

부팅 후 UART로 BusyBox 쉘 접속



4. 드라이버 확장

SD/MMC → 파일 읽기/쓰기

Ethernet/Wi-Fi → 네트워크 연결

Framebuffer → 간단한 콘솔 그래픽




이 프로젝트 완료 시:
“내가 직접 Linux BSP를 만들고, 최소 Linux 시스템을 부팅시킬 수 있다” 수준 달성


---

⚡ 확장 로드맵 (RTOS → Linux 연결하기)

RTOS BSP 경험으로 “하드웨어 초기화 감각” 습득

Linux BSP에서 “부트로더/커널/드라이버/FS 전체 bring-up” 이해

나중에는 커스텀 SoC나 칩 제조사 문서만 있는 보드도 지원 가능



---

정리하면:

프로젝트 1 (STM32 + FreeRTOS) → 빠른 진입, 드라이버 감각 익히기

프로젝트 2 (Raspberry Pi Zero + Linux) → 전체 BSP bring-up 경험



---

제가 원하면 위 로드맵을 **구체적인 학습 기간(예: 3개월 플랜)**으로 쪼개서 커리큘럼 형태로 짜드릴 수도 있는데, 그렇게 해드릴까요?

좋습니다 그럼 3개월짜리 BSP 학습 커리큘럼을 단계별로 나눠드릴게요.
목표는 3개월 안에 RTOS BSP + Linux BSP 둘 다 경험해보는 것입니다.


---

BSP 학습 3개월 로드맵

1개월차 – 기초 다지기 + RTOS BSP

주차 1: 기본기 다지기

C 언어 복습 (비트 연산, 포인터, 구조체, 레지스터 매핑)

ARM Cortex-M 구조 읽기 (NVIC, SysTick, GPIO)

도구 설치: arm-none-eabi-gcc, OpenOCD, STM32CubeProgrammer


주차 2: Bare-metal 실습

STM32 보드로 LED 깜빡이기 (GPIO 직접 제어)

UART 드라이버 작성 ("Hello, World" 출력)

링커 스크립트, startup.s 코드 직접 수정


주차 3: FreeRTOS 포팅

FreeRTOS 빌드 → FreeRTOSConfig.h 수정

SysTick Timer ISR 연결 → 태스크 스케줄링 동작 확인

LED Task, UART Task 구현


주차 4: BSP 드라이버 확장

GPIO + UART 드라이버 정리

I2C 센서 읽기 or PWM 제어 추가

“내 보드를 위한 RTOS BSP” 완성



---

2개월차 – Linux BSP 준비

주차 5: Linux 커널 기초

Linux 커널 빌드 과정 학습 (menuconfig, cross-compile)

BusyBox로 최소 rootfs 만들기 실습 (host PC에서)

Device Tree 기본 문법 학습


주차 6: U-Boot 실습 (Raspberry Pi Zero 2W)

U-Boot 빌드 & SD 카드에 올리기

UART 연결 → U-Boot 프롬프트 확인

DRAM, 클럭, UART 초기화 코드 구조 확인


주차 7: Linux Minimal Boot

커널 빌드 → Pi Zero용 Device Tree 수정 (CPU, memory, UART)

U-Boot에서 커널 + DT 로드 후 UART 콘솔 출력 확인

“Kernel panic” 뜨더라도 과정 이해가 목표


주차 8: RootFS 연결

BusyBox rootfs → init 스크립트 작성

커널이 rootfs 마운트 → BusyBox 쉘 접속 성공

“Hello from Linux on my BSP!” 확인



---

⚡ 3개월차 – BSP 고급화 + 프로젝트 완성

주차 9: Linux 드라이버 확장

MMC/SD 드라이버 활성화 → 파일 읽기/쓰기

네트워크 드라이버 활성화 → ping 동작


주차 10: RTOS 심화

FreeRTOS에 SPI Flash 드라이버 추가

FAT 파일시스템 연동 실습


주차 11: Linux 그래픽/프레임버퍼

Framebuffer console 활성화

간단한 “Hello World” GUI 출력


주차 12: 정리 + 보고서 작성

RTOS BSP + Linux BSP 결과물 비교

“내 보드 bring-up 매뉴얼” 문서화

GitHub에 프로젝트 업로드



---

최종 목표 (3개월 후)

RTOS BSP: STM32 보드에서 FreeRTOS + 커스텀 드라이버 동작

Linux BSP: Raspberry Pi Zero 2W에서 U-Boot → 커널 → BusyBox 쉘 부팅 성공

성과물: 최소 2개 보드의 BSP bring-up 경험 + GitHub 포트폴리오



---

이렇게 진행하면 3개월 뒤에는 RTOS와 Linux BSP 모두 처음부터 만들어보고 bring-up 할 수 있는 엔지니어 수준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혹시 이 커리큘럼을 주차별로 더 세부적인 "과제 리스트" (매주 할 실습 항목) 형태로 쪼개드릴까요?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센터해도 될 것 같이 비주얼 물오른 아이돌 멤버는? 운영자 25/09/22 - -
이슈 ‘용원게이’를 넘어 배우 장용원으로 운영자 25/09/23 - -
2891510 c cpp 가지고 싸우지 말고 러스트나 하십쇼 프갤러(218.154) 09.24 26 0
2891509 ㅎㅎㅎ GPT를 발렸습니다. ㅋㅋ [14]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4 70 0
2891508 아무리 생각해봐도 동적 타입은 쓸게 못된다. [2] 프갤러(218.154) 09.24 40 0
2891507 뭐냐 디시에 개죽이 나오는거 [5] 루도그담당(58.239) 09.24 50 0
2891506 보석새끼 지가 하던 짓 똑같이 당하고 있나보네 프갤러(218.154) 09.24 26 0
2891505 ❤✨☀⭐⚡☘⛩나님 시작합니당⛩☘⚡⭐☀✨❤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4 22 0
2891504 Cpu만 이제 바꾸면되는데 씨피유 이거 밀면 ㅆㅇㅆ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4 24 0
2891503 어제한거 정리해서 보내줘야하는데 넘힘들다 [3] ㅆㅇㅆ(124.216) 09.24 36 0
2891502 고소 드립 == 패배 선언 프갤러(125.131) 09.24 27 0
2891501 일론머스크, 주커버그, 빌게이츠같은 애들은 경영자임 공학자임?? ㅇㅇ(221.153) 09.24 24 0
2891500 ■개발컴에 CPU랑 RAM 중 뭐가 더 중요함?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4 25 0
2891499 ❤✨☀⭐⚡☘⛩나님 시작합니당⛩☘⚡⭐☀✨❤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4 23 0
2891498 확실히 여기가 국비 웹떌깜 갤러리구나 프갤러(125.130) 09.24 27 0
2891497 나는 김호동이다. 사진有 사이버 스토킹/범죄 계속하면 고소하겠다. [50]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4 50 1
2891495 125.128 너 진짜 왜 AI로 나를 음해하는데 사용하니? [1]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4 31 0
2891494 어제 Ada 3장 어휘 요소 목차를 다음처럼 뽑았었죠 ㅎㅎ [2]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4 23 0
2891493 GPT Pro야 '나르시'의 성향을 평가해봐 프갤러(125.128) 09.24 28 3
2891492 ↓ 밑에 나르시 조현병 똥글의 GPT Pro의 반박 프갤러(125.128) 09.24 31 0
2891491 ㅋㅋㅋ GPT한테 물어봐도 c/c++ 유래, 내 말이 맞잖아 ㅋㅋ [2]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4 40 0
2891490 무조건 반대만 하는 정신병은 어떻게 고침? ㅇ ㅅㅇ; [1] 프갤러(60.196) 09.24 28 0
2891489 ↓ 밑에 나르시 망상병 똥글의 GPT Pro의 반박 프갤러(125.128) 09.24 28 0
2891488 결국 ChatGPT도 c/c++ 표기에 대한 저의 의견을 뒷받침하는군요. [1]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4 33 0
2891487 나르시 망상병에 대한 GPT Pro의 반박 프갤러(125.128) 09.24 31 0
2891486 다시보는 C++ 환자 ㅎㅎ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4 38 0
2891485 Agi가 완벽하게 바로 등장하는게 아니라.. [1] ㅇㅇ(175.208) 09.24 34 1
2891484 노동 해방이 빨리 왔으면 좋겠다 ㅇㅇ(211.219) 09.24 18 0
2891483 C++ 환자들 난리 나셨나 봅니다. ㅎㅎ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4 22 0
2891482 MS조차 사용하는 C/C++ 표기 ㅎㅎ 이게 틀렸다고??? [5]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4 53 0
2891481 어제부터 나랑 사귄 여친 사진인데 어떠냐 메쿠이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4 23 1
2891480 ❤✨☀⭐⚡☘⛩나님 시작합니당⛩☘⚡⭐☀✨❤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4 25 0
2891479 증거 有) 내가 GPT 안 쓰고 제미니 쓰는 이유 ㅋㅋ [2]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4 46 0
2891478 c/c++ 표기의 유래 업뎃 및 gpt 글에 대한 반박 ㅋㅋ [2]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4 41 0
2891477 [대한민국] 트럼프 대통령 UN 연설 영어 원문 프갤러(121.172) 09.24 27 0
2891476 sd카드 에뮬레이터 발명도둑잡기(118.216) 09.24 27 0
2891475 [취업 완성반] 엘리스 프론트엔드 인턴연계 부트캠프 4기 모집 (~10/ 프갤러(14.32) 09.24 41 0
2891474 나르시님 저렴한 싸구려모델 제미나이 쓰나보네요 프갤러(121.168) 09.24 27 0
2891473 1인컴공 졸작 낮은 수준이어도 통과해주냐 [3] ㅇㅇ(125.182) 09.24 73 0
2891472 징벌적 과징금으로 파산시키고 정부가 지분 매입해서 프갤러(218.154) 09.24 36 0
2891471 보안 사고내면 회장 일가 참수하고 벌금으로 파산시켜야 [3] 프갤러(218.154) 09.24 47 0
2891470 3. 업계의 표준적 사용, 요부분은 수정하죠 [2]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4 52 0
2891469 보안 인재 양성 1년에 고작 40명…심각해진 ‘인력 가뭄’ ㅇㅇ(106.102) 09.24 44 0
2891468 나르시 -> C/C++ 똥글 반박 [5] 프갤러(121.168) 09.24 145 10
2891467 뉴비 관리해라 프갤러(219.248) 09.24 29 0
2891466 ❤✨☀⭐⚡☘⛩나님 시작합니당⛩☘⚡⭐☀✨❤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4 23 0
2891465 c, c++ 섞었는거 아주 흔합니다 ㅎㅎ [2]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4 48 0
2891464 c++, 러스트 정병의 주요 허위사실들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4 33 0
2891463 러스트 꼴통이 늘어나는가봅니다 [1]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4 28 0
2891462 자본주의 문명의 위기에 대처하려면 언어 등 ‘공동영역’에 대한 근본적 발 발명도둑잡기(118.216) 09.24 25 0
2891461 다음 외계 우주선 이름음 어우야어우야 [11]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4 53 0
2891460 공부 잘하는건 방법이나 공부량보다도 태도의 문제인거같음... ㅇㅇ(223.39) 09.24 30 0
뉴스 '빽투더차트' MC 김소연, 만능 엔터테이너 입증! 90년대 음악 총정리 디시트렌드 09.2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