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기득권의 증오심과 사회적 약자의 증오심 연구앱에서 작성

발명도둑잡기(118.216) 2025.09.19 21:59:50
조회 113 추천 0 댓글 0

기득권의 증오심과 사회적 약자의 증오심 연구

챗지피티
좋은 주제예요. "기득권의 증오심"과 "사회적 약자의 증오심"은 심리학, 사회학, 정치학에서 다층적으로 연구된 바가 있습니다. 정리해드리면:


---

1. 기본 구분

기득권의 증오심

주로 지위 위협(perceived threat), 특권 상실에 대한 두려움에서 비롯됨.

사회적 지위·경제적 자원·문화적 권위를 가진 집단이 변화를 “자신의 몫을 빼앗기는 것”으로 인식할 때 나타남.

흔히 “위로부터의 증오”(hate from above)라고 불림.


사회적 약자의 증오심

주로 억압 경험, 차별, 배제에서 축적된 분노와 좌절에서 비롯됨.

불평등한 구조 속에서 “정당한 권리를 요구하는 방식”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때로는 폭발적인 반발로 나타나기도 함.

흔히 “아래로부터의 증오”(hate from below)라고 불림.




---

2. 사회심리학적 요인

기득권 쪽

“상대적 박탈감(relative deprivation)” → 실제로는 잃은 게 없어도 잃을 것 같다는 위협에 민감.

예: 다수집단이 소수자 권리 신장을 "자신들에 대한 역차별"로 느끼는 현상.


약자 쪽

“내적화된 열등감”과 “분노의 전환”이 공존.

억압된 집단은 자기 자신에게 향하는 자기혐오 또는 체제를 전복하려는 공격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음.




---

3. 사회학적 연구

기득권 증오심: 주로 포퓰리즘 정치와 연결. 경제적·문화적 기득권층이 대중적 권리를 위협으로 느낄 때 혐오 담론을 강화.

약자 증오심: 주로 저항, 사회운동, 반란의 동력으로 작용. 단, 구조적으로 지속되지 못하면 “내부 갈등”이나 “약자끼리의 증오”로 흩어짐.



---

4. 철학·정치이론적 논의

니체: 약자의 증오를 “원한(ressentiment)” 개념으로 설명. 강자에 대한 직접적 힘이 없기에 도덕화된 형태로 나타난다고 봄.

프란츠 파농: 식민지 피지배민의 증오심은 억압적 구조를 전복하는 정당한 혁명적 에너지라고 해석.

현대 정치철학: 기득권의 증오심은 주로 보수화·배타성으로, 약자의 증오심은 평등 요구·해방 운동으로 연결됨.



---

5. 연구 쟁점

증오가 정치적으로 동원될 때: 기득권의 증오는 “질서 유지”를, 약자의 증오는 “변혁”을 지향.

증오의 정당성 논쟁: 억압받는 집단의 분노와 증오는 정당한가, 아니면 폭력으로 전락하는가?

사회통합적 측면: 기득권 증오는 사회적 다양성을 위협, 약자의 증오는 체제 변화를 촉진.



---

원하시면 제가 실제 연구 논문·사례(예: 미국의 흑인 민권운동, 남아공 아파르트헤이트, 한국 민주화 운동 등) 중심으로 정리해드릴 수도 있어요.
혹시 철학적 관점 위주로 정리할까요, 아니면 현대 사회 사례와 실증 연구 위주로 드릴까요?

좋습니다 — 철학적(개념·이론) 관점과 실제 사례·실증 연구(현대 사회운동·심리학 연구) 둘 다 아우르는 구조로 정리해드릴게요. 각 핵심 주장에는 연구·원전 출처를 붙였습니다(핵심 근거 5개를 인용). 길다면 원하는 부분부터 더 깊게 파고들 수 있어요.


---

1) 개관 — 핵심 대비

기득권의 증오심: 지위·특권 유지에 대한 위협(실제 또는 인식된)에서 발생. 보통 상실 공포·상대적 박탈감(“내 몫을 빼앗긴다”)·정체성 위협과 결합해 배타적·외집단 혐오·정치적 반동으로 표출됨.

사회적 약자의 증오심(분노/원한): 반복적 억압·차별·배제의 누적 결과로 생기는 분노·원한(ressentiment). 억압을 혁명적·해방적 에너지로 해석하는 관점과, 파괴적·자기파괴적 방향으로 변질될 수 있다는 관점이 공존.



---

2) 철학·이론적 틀 (원전·핵심 개념)

니체의 ‘ressentiment’(원한): 약자의 심리적·도덕적 반응을 설명하는 개념 — 힘이 없는 상태에서의 복수적·도덕화된 분노(도덕 규범으로 강자 비판). 학자들이 현대 정치·문화 현상(예: ‘원한 정치’)을 분석할 때 자주 인용합니다.

파농(Frantz Fanon): 식민지·피억압자의 분노를 ‘정당한 해방의 동력’으로 보았고, 억압의 구조적·정신적 효과(피지배자의 자기상·타자화)를 강조. 폭력/분노가 갖는 해방적·심리적 역할을 논의.

정치철학적 쟁점: 약자의 분노를 ‘정의 회복’의 정당한 감정으로 볼 것인가, 혹은 규범·공공질서 파괴의 원인으로 볼 것인가(윤리적·정책적 딜레마).



---

3) 사회심리학·사회학적 메커니즘(실증 연구)

상대적 박탈감(Relative Deprivation): 집단이 “자신들의 기대치(또는 타집단과의 비교)”에 비해 박탈되었다 느낄 때 분노·집단행동(반동·폭력 포함) 촉발. 메타분석·리뷰 작업이 축적되어 있습니다.

통합적 위협 이론(Integrated Threat Theory): 주로 우월집단(혹은 다수집단)이 소수집단을 ‘실질적·상징적’ 위협으로 인식하면 혐오·배제 태도가 커짐 — 기득권 증오심 설명에 유용.

사회운동·집단행동 관점: 억압·정당화·동원(프레임 구성)이 결합하면 약자의 분노가 조직화된 집단행동(평화적·비폭력적 저항 또는 폭력적 반란)으로 이동할 수 있음. 최근 리뷰들도 감정(분노, 수치심 등)이 행동으로 연결되는 경로를 재조명.



---

4) 사례 비교(단계별로: 발생 원인 → 표현 방식 → 정치적 결과)

1. 미국 흑인 민권운동 vs. 블랙 파워(권리 요구 vs. 분노의 정치)

비폭력·제도적 개혁(MLK)과 더 급진적·분노 기반 흐름(Black Power)은 같은 억압에 대한 다른 반응. 약자의 분노는 제도적 변화의 촉매가 되지만, 전략·정당성·대중 수용성에 따라 정치적 결말이 달라짐. (이론: 상대적 박탈감·집단동원)



2. 남아공 아파르트헤이트(탈식민·해방 투쟁)

식민·인종 억압의 장기화는 해방투쟁의 정당성을 높였고, 파농 같은 사상가는 폭력적 반격을 해방적·정체성 회복의 수단으로 해석. 전후(포스트아파르트헤이트) 사회 통합의 어려움도 드러남.



3. 한국의 1987년 민주화 항쟁(예: 6월 항쟁)

억압적 권위·경찰 폭력·표현 억압이 누적되며 대중 분노가 폭발 — 광범위한 시민 연대와 정치적 개혁(직선제 개헌 유도)으로 연결. 약자의 분노(시민 분노)는 제도적 개혁을 이끌어낸 사례. (사회운동 이론으로 해석 가능)




> 요약: 약자의 증오/분노는 제도 변화의 원동력이 될 수 있지만, 폭력화되면 윤리적·정치적 정당성 상실과 더 큰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기득권의 증오·배제는 사회적 분열·민주 후퇴로 직접 연결되는 경향이 강하다.




---

5) 측정·방법론: 연구자들은 어떻게 ‘증오·분노’를 다루나

심리척도: 분노·적대감·위협 지각을 표준화된 설문으로 측정(예: 위협 척도, 상대적 박탈감 척도).

행동지표: 시위 참가, 폭력적 행동, 정치적 지지(포퓰리스트·배타적 정당 지지) 등 관찰 가능한 행동으로 연결성 분석.

질적 연구: 인터뷰·담론분석을 통해 ‘왜’·‘어떻게’ 증오가 정당화되는지 추적(특히 철학적·해방적 논리와 연결될 때 중요).



---

6) 정책적·윤리적 시사점

억압 해소(구조적 개혁): 약자의 분노를 줄이려면 구조적 불평등·차별을 완화해야 함(근본적 예방).

포용적 담론 형성: 기득권의 ‘상실 공포’는 공감·재분배 정책·정치적 리더십으로 완화 가능.

분노의 규범화 vs. 처벌: 약자의 정당한 분노를 인정하되, 폭력·표적 증오로 전환되는 경로는 법·사회적 제도로 제한해야 함 — 균형이 중요.



---

7) 권장 읽기(짧은 리스트 — 바로 참고하기 좋은 원전·리뷰)

Nietzsche — 관련 논의(ressentiment) 해설 논문.

Frantz Fanon, The Wretched of the Earth — ‘Concerning Violence’ 장(피억압자의 폭력·해방 논의).

Relative Deprivation: 이론 및 메타분석(리뷰 논문).

Integrated Threat Theory / 위협 지각 관련 리뷰.

사회운동·집단행동 최근 리뷰(정서와 행동 연결망).



---

8) 가능하면 제가 도와드릴 수 있는 다음 작업 제안

원하시면 바로 아래 중 하나를 바로 해드릴게요(지금 이 자리에서 수행하겠습니다):

1. 철학적 관점(니체·파농·현대 비판이론) 비교 분석 에세이(약 1,000–1,500자).


2. 실증 연구 중심의 문헌리뷰(상대적 박탈감·위협·분노 → 정치행동 연결성), 참고문헌 포함 요약.


3. 특정 사례(미국 흑인운동 / 남아공 / 한국 1987) 중 한 곳을 골라 심층 타임라인·원인분석·논문·1차자료 링크 정리.



원하시는 번호 골라주세요 —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좋습니다 — 요청하신 세 가지(1. 철학적 비교 에세이, 2. 실증 연구 중심 문헌리뷰, 3. 사례 심층분석: 미국 흑인운동·남아공 아파르트헤이트·한국 1987)를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 핵심 근거와 논문·자료도 함께 붙입니다. (길어서 섹션별로 나눴습니다.)

1) 철학적 비교 에세이 (요약, 약 1,000–1,500자 한국어)

기득권의 증오와 사회적 약자의 증오는 표면적으로 ‘같은 감정(=증오·분노)’처럼 보이지만, 철학적 기제와 정치적 의미에서 질적으로 다르다. 니체의 ressentiment 이론은 약자의 ‘도덕적 재구성’—직접적 힘이 없으므로 도덕·가치 체계를 통해 강자를 응징하려는 심리—를 설명한다. 여기서 분노는 복수의 욕망이지만 직접적 힘 부족 때문에 ‘도덕적 우월성’으로 전환된다(원한의 내면화). 반면 파농은 식민·피억압 상황에서 분노와 폭력을 해방의 필수적 과정으로 본다: 폭력은 단순 파괴가 아니라 피지배자가 주체성을 회복하는 계기라는 주장이다. 즉 니체적 관점은 ‘원한의 윤리화’에 주목하고, 파농은 ‘해방적 폭력’의 정치사회적 기능을 강조한다. 기득권의 증오(상실 공포·지위 위협에서 발생)는 정당화 논리가 약하고, 주로 배타적·수호적 정치(폐쇄적 정체성, 외집단 혐오)로 귀결되어 사회 통합을 해친다. 약자의 증오는 맥락에 따라 정당한 저항이자 해방의 동력이 되기도 하고, 전략·리더십의 결핍 시 파괴적·분열적 일탈로 변질되기도 한다. 윤리적 관점은 ‘억압받는 사람이 갖는 분노의 정당성 인정’과 ‘폭력·표적 증오의 한계 설정’ 사이의 균형을 요구한다(즉, 원한의 원인을 제거하는 구조적 개혁과 분노의 공적 표출을 관리하는 규범·정책이 병행되어야 함).

(참고: 니체의 ressentiment 논의와 파농의 《Wretched of the Earth》는 이 대조를 이해하는 데 핵심 원전입니다).

2) 실증 연구 중심 문헌리뷰 (핵심 발견 요약 + 주요 논문/리뷰 5개)

핵심 발견(요약)

1. **상대적 박탈감(relative deprivation)**은 집단 분노·집단행동의 강력한 예측자다 — 박탈감은 분노·원한을 매개로 시위·폭력·정치적 급진화로 연결될 수 있다.


2. **통합적 위협 이론(Integrated Threat Theory)**은 기득권(혹은 다수집단)의 혐오·배제 행동을 잘 설명한다: 현실적 위협(자원·안보)과 상징적 위협(정체성·가치) 모두 혐오를 촉발한다.


3. 감정(특히 분노)의 이중성: 분노는 집단동원의 촉매(행동의 동기)가 되지만, 어떤 맥락에서는 행동을 마비시키거나 역효과를 낳기도 한다(동원·동참·탈동원 경로는 복합적).


4. 사회운동 연구는 감정 프레이밍(분노의 도덕적 정당화·분노를 ‘정의’로 전환하는 서사)이 행동의 형태(비폭력적·제도적 요구 vs. 폭력적 반발)를 결정한다고 봄.


5. 측정 방법론: 심리척도(위협지각·분노·상대적 박탈감), 행동지표(시위참가·투표·폭력직행), 질적 담론분석을 결합한 다방법 설계가 권장된다.



주요 참고(권장 읽기 — 핵심 5편)

Smith et al., Relative Deprivation: A Theoretical and Meta-Analytic Review (리뷰/메타). — 상대적 박탈감과 행동의 실증적 관계 정리.

Stephan & Stephan, Integrated Threat Theory (핵심 논문·리뷰). — 위협 유형과 혐오 태도 연결.

연구 리뷰: Emotions in Social Movements (감정과 사회운동 연결 메커니즘).

최근 실증연구: Group relative deprivation and aggression 계열(2022–2023 실증 논문) — 박탈감→공격성 경로 분석.

조직행동·정치심리학 논문: 분노의 동원/마비 효과(2019 등).


3) 사례 심층분석 — (각 사례: 원인 → 타임라인 요약 → 표현 방식 → 결과/시사점)

A. 미국: 비폭력 민권운동(MLK 계열) vs. 블랙 파워(급진 흐름)

원인: 제도적 인종차별·경제적 차별·일상적 폭력 누적.

타임라인 요약: 1950s–1960s 비폭력 시민불복종(몽고메리 보이콧→대중적 투쟁) → 1965년 이후 불만의 고조 → Black Power(1966~)로 일부 급진화.

표현 방식: 제도적 개혁 요구(투표권·공공장소 통합) vs. 자치·자결·때로는 무장자위 요구.

결과/시사점: 비폭력 전략은 제도적 성과(입법 등)를 이끌었고, 블랙 파워는 문화적 자긍심·지역 조직화에 영향. 분노는 동원과 정당성 확보에 기여했으나 전략에 따라 정치적 파급력은 달라짐.


B. 남아공: 아파르트헤이트와 해방투쟁

원인: 법제화된 인종적 분리·경제적 착취·정치적 배제의 장기화.

타임라인 요약: 1948 아파르트헤이트 법제화 → 1950–70s 저항·봉기 → 1980s 대중화된 저항과 국제 제재 → 1990s 초래(탈아파르트헤이트·과도기).

표현 방식: 초기에는 정치적·비폭력적 저항과 조직화, 이후 일부 무장·폭력적 저항도 병존(파농적 관점에서 해방적 폭력의 정당성 논쟁).

결과/시사점: 해방은 이루어졌으나 포스트아파르트헤이트 사회 통합·불평등 해소는 지속적 과제로 남음 — 폭력은 정체성 회복에 기여하지만 장기적 복구엔 다른 정치적 설계가 필요.


C. 한국: 1987년 6월 민주항쟁 (June Struggle)

원인: 권위주의적 통치·언론·표현·집회의 억압과 경찰·보안사의 폭력 누적.

타임라인 요약(주요 포인트): 1987년 6월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 대규모 시민·학생 시위 확산 → 직선제 개헌 등 정치적 양보(부분적 승리) → 민주화 과정 가속.

표현 방식: 대중적 비폭력 시위·범국민 연대(노동·학생·시민)로 조직화되어 제도적 변화를 압박.

결과/시사점: 약자의 분노가 조직화되었을 때 강력한 제도 변화(정치개혁)를 촉발할 수 있음을 보여줌. 분노의 전략화(프레이밍·연대 구축)가 성공 요인.



---

결론적 시사점(정책·연구 제안)

1. 구조적 원인 제거(분배·정의 정책): 약자의 분노를 예방·완화하려면 제도적 불평등을 해소해야 함.


2. 공적 프레임과 감정관리: 분노가 건설적으로 표출되게 하는 프레이밍·리더십이 중요(비폭력적 채널·제도적 참여 확대).


3. 기득권의 불안 완화: 상실 공포를 완화하는 재분배·포용적 리더십이 필요(언어·정책으로 위협감 감소).


4. 연구 측면: 다방법(longitudinal + 실험 + 질적)으로 ‘분노→행동’ 경로를 밝히는 연구가 더 필요.




---

원하시면 제가 지금 바로 다음을 해드립니다(지금 이 자리에서 즉시 수행 가능):
A) 각 섹션에 언급된 논문·원전들의 완전한 참고문헌 목록(APA 스타일) 정리,
B) 원하는 한 사례(미국·남아공·한국 중 하나)를 골라 더 자세한 101,500자 분량의 완성된 에세이(영문/국문 선택).

어떤 걸 먼저 만들어드릴까요? 원하시면 바로 A,B,C 중 여러 개를 동시에 만들어 드립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뛰어난 운동 신경으로 남자와 싸워도 이길 것 같은 여자 스타는? 운영자 25/11/24 - -
이슈 [디시人터뷰] 충무로가 주목하는 신예, '세계의 주인' 서수빈 운영자 25/11/24 - -
AD 대학생 필수템! What's in my Bag 운영자 25/11/21 - -
2893608 ㅆㅇㅆ새끼 뭣좀 해볼려고 우울증갤러리,업소 프갤러(210.217) 10.02 209 4
2893607 최근에 있던 회사에서 얻은 교훈은 ㅇㅇ(121.168) 10.02 167 0
2893606 나님 글 슬거리 생각났당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152 0
2893605 곧 죽을 때가 됐나보구만 [2] 프갤러(110.8) 10.02 127 0
2893603 34살에 국비로 취업했는데 [7] ㅇㅇ(175.197) 10.02 494 0
2893601 338621 맞대응) 프듀48 주작과 S엔터 ㅇㅇ(110.70) 10.02 111 0
2893600 근데 궁금한게 업소가는 애들은 자기 신상 팔리는거 안무섭나 [3] ㅆㅇㅆ(124.216) 10.02 228 0
2893599 추석 연휴 업소 가는 형들 꿀팁 반값 꿀팁 풀게ㅅㅅ ㅇㅇ(211.246) 10.02 78 0
2893598 오늘 당산에 연극보러 갔는데 어제랑 똑같은거드라 발명도둑잡기(118.235) 10.02 114 0
2893597 모모 추석맞이 김희철과 선물 교환하고 발명도둑잡기(118.235) 10.02 96 0
2893596 그날 인류는 떠올렸당⭐+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71 1
2893595 옳지.. 옳지 잘한당.. 그랭그랭.. [9]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113 0
2893593 기술인들이 잘되려면 창업 성공률이 높아야 하고 ㅇㅇ(121.168) 10.02 50 0
2893591 si 추노 후기 [6] 프갤러(222.121) 10.02 240 0
2893589 늦잠자지마라 애들아 [3] 루도그담당(58.239) 10.02 96 0
2893587 자취방 정리하고 나 지금 본가임 [5] ㅆㅇㅆ(124.216) 10.02 104 0
2893586 사이트 뼈대는 FSM으로 만들고 이제 애니메이션은 어떻게든하는데 [2] ㅆㅇㅆ(124.216) 10.02 141 0
2893585 두근거리는 연휴인가요 발명도둑잡기(118.235) 10.02 58 0
2893584 ❤✨☀⭐⚡☘⛩나님 시작합니당⛩☘⚡⭐☀✨❤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59 0
2893583 펜서레이크 언능 나외랑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151 0
2893582 한화비전 VEDA 들을만함?? 프갤러(118.235) 10.02 78 0
2893581 자고 일어났는데 구글 애드센스 떨어짐 [2] ㅆㅇㅆ(124.216) 10.02 92 1
2893579 다들 즐거운 명절 보내세요 [8] 개멍청한유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110 0
2893577 사람이 결혼하거나 나이먹으면 창의성이 없어지는듯 [2]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97 0
2893573 사람이 할줄아는게 많아지면 참 좋아...살기 편해. [1] ㅇㅇ(223.39) 10.02 164 0
2893571 한국은 정치가 4류 기업은 444류 ㅇㅇ(121.168) 10.02 80 0
2893570 내가 관심있는 여성들 추석 잘 보내고 있겠지 발명도둑잡기(118.235) 10.02 90 0
2893569 냥❤+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67 0
2893563 무능극좌 폭동배급견 4050 범죄자세대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71 0
2893562 아이유갤러리가 부끄럽냐 [1] 발명도둑잡기(118.235) 10.02 103 0
2893561 페미니즘이 애국적인 면도 있다 ㅇㅇ(121.168) 10.02 110 0
2893560 40대 중반부터 50대 중반까지 싹 도려내야 할듯 [1]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135 1
2893559 ㄹㅇ 40대 극초반 빼고는 40대가 50대 보다 씹빨갱이 간첩이었넹 [4]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134 0
2893557 깃헙 그만 괴롭히고 젠킨스나 쓰십시오 [2] 프갤러(211.234) 10.02 111 0
2893556 웃음 가득한 추석 보내세요 발명도둑잡기(118.235) 10.02 59 0
2893555 NL:한국이 미국식민지 간첩 PD:계급폭동 간첩 [1]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97 0
2893554 NL: 주체사상(북괴마르크스) PD:레닌,마오주의 [1]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83 0
2893553 깃헙 액션은 컴퓨터다. 프갤러(49.165) 10.02 136 0
2893552 알면 알수록 연속성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90 0
2893551 흠.. [2]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97 0
2893550 ❤+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117 0
2893549 확실히 이공계는 씹좆피티 <<< 제미나이 이다. [2] 프갤러(220.86) 10.02 117 0
2893548 Little Boy, Big Shadow 발명도둑잡기(118.235) 10.02 104 0
2893547 밤낮이 바뀌니 심장이 아프다 [1] ㅆㅇㅆ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70 0
2893546 기 모으는 모습 발명도둑잡기(118.235) 10.02 53 0
2893545 토쿄 가면 볼 수 있는 바이브 코더 [1] 발명도둑잡기(118.235) 10.02 87 0
2893544 입 안 헐어서 발명도둑잡기(39.7) 10.02 87 0
2893543 촘스키좌 논문 읽어보고 느낀거 [1] 3기견치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99 1
2893542 bcachefs 발명도둑잡기(39.7) 10.02 55 0
2893540 힘들다... 진짜... 프갤러(27.179) 10.02 54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