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양자가 뇌파나 염력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지 연구앱에서 작성

발명도둑잡기(39.7) 2025.09.13 02:57:11
조회 56 추천 0 댓글 0

내가 25년 전쯤 일기와 그 후 온라인엔가에 염력이 주사위 결과에 영향을 못 주는 이유는 너무 무겁기 때문이 아닐까? 그래서 1/6이 아니라 소수점 30자리 이하 정도만 바꿀 수 있지 않을까? 티끌 속에 들어있는 미세한 우주에는 큰 영향을 줄 수 있지 않을까? 우리 우주의 전자기파는 거인 우주에서는 미세한게 아닐까. 그런 글을 썼었다.
오늘 검색해보니 난수발생기 염력 영향 실험은 1979년부터 했구나.
이걸 보고 생각나는 것은 한의학의 기가 유기체에서 더 활성화 되니까 아래 무기물 실험보다 유기체에 염력이나 기공 등이 영향을 주고받는지 실험해봄직 하다. 이미 많은 실험을 했고 아마 사기라고 결론났을 거다. 도올도 기는 측정할 수가 없다고 예전에 강의에서 말했다. 왜냐면 기=물질+정보 이고 정보는 물리량이 없다.
그런데 혹시 다섯번째 기본 힘이 언젠가 발견된다면 어떨까?

양자가 뇌파나 염력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지 연구

챗지피티
흥미로운 주제예요
질문을 풀어보면 “양자 수준의 입자/상태(예: 전자, 광자, 스핀 등)가 뇌파나 염력 같은 인간의 정신 활동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가?” 하는 건데, 이건 뇌과학 + 양자물리 + 초심리학이 맞닿는 부분이라 연구가 꽤 독특하게 흘러왔습니다.


---

1. 뇌파와 양자 시스템의 직접 상호작용

뇌파의 크기(EEG 전기 신호): μV(마이크로볼트) 수준

뇌 자기장(MEG 신호): 10⁻¹³ ~ 10⁻¹⁵ T 수준
➡ 이는 실험실에서 쓰는 양자 장비(레이저, 초전도 자석 등)에 비하면 너무 미약합니다.
➡ 따라서 뇌파 자체가 외부 양자 시스템(전자, 원자, 광자)을 직접 조절하기는 불가능하다는 것이 현재 과학적 합의입니다.



---

2. “의식이 양자에 영향을 준다”는 주장들

1. 양자뇌이론 (Penrose & Hameroff, 1990s)

뇌의 미세소관(microtubule)에서 양자 중첩 상태가 유지 → 의식의 기초

아직 실험적 증거 부족, 비판도 많음



2. 관측자 효과(Measurement Problem)

양자역학에서 "관측"이 파동함수를 붕괴시킨다는 해석 → 인간의 의식이 물리적 결과를 바꾼다고 주장하는 해석이 있음

그러나 주류 물리학은 "측정 기기와의 상호작용"으로 설명



3. 초심리학 연구 (PK, 염력 연구)

예: 무작위 난수발생기(RNG)가 사람의 의도에 의해 통계적으로 변하는지 실험 (Princeton Engineering Anomalies Research, PEAR 연구소, 1979–2007)

소규모에서 “미약한 통계적 편향”이 보고되었지만, 재현성이 부족해 주류 과학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음





---

3. 최신 연구 경향

EEG/MEG ↔ 양자 장치 연결 실험

뇌파로 양자 난수발생기 출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가? → 현재까지 “유의미한 상호작용 없음”


뇌 자체가 양자적일 수 있는가?

초전도체, 광자, 원자계에서 양자 중첩은 수 ms~s 유지 가능

뇌의 온도(37°C)와 환경은 탈코히런스(decoherence)가 매우 빨라서 양자상태 유지 불가 → 주류 물리학자들은 회의적


양자 난수와 인간 의식 연구

최근 일부 연구에서 “사람이 의도적으로 양자 난수를 조작할 수 있는가”를 테스트 → 현재까지는 통계적으로 무작위




---

결론

현재 과학적 합의: 뇌파나 의식이 양자 시스템(전자, 광자 등)에 영향을 주었다는 확실한 증거는 없음.

실험은 있었음: RNG 편향 실험, 뇌파-양자 신호 상관성 연구 → 재현성 부족, 주류 채택 X

연구 계속됨: 뇌-양자 연결 가능성을 찾는 “양자의식 이론”, “양자 난수 ↔ 인간 의식 상호작용” 프로젝트들이 소수 진행 중



---

정리하면: “양자가 뇌파나 염력에 의해 직접 영향을 받는다는 주장은 아직 실험적으로 증명되지 않았고, 주류 과학에서는 인정하지 않는다. 하지만 실험적 도전은 꾸준히 있어 왔다.” 라고 보시면 됩니다.

원하시면 제가 **실제 수행된 실험들(예: 프린스턴 PEAR 연구소 RNG 실험, 최근 양자 난수 실험)**을 구체적으로 정리해드릴까요?

좋습니다 그럼 실제로 수행된 “의식(뇌파, 염력)이 양자 또는 난수발생기에 영향을 줄 수 있는가?” 에 대한 연구들을 정리해드릴게요.


---

1. 프린스턴 공학 이상현상 연구소 (PEAR, 1979–2007)

목표: 사람이 “의도”만으로 난수발생기의 출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가?

방법:

하드웨어 난수발생기(HRNG, 전자 잡음 기반)를 사용

참가자가 “0이 더 나오게” 또는 “1이 더 나오게” 집중


결과:

3,500만 번 이상의 시도 → 통계적으로 아주 미세한 편향(확률적으로 0.5% 이내) 보고

하지만 재현성이 떨어지고, 독립 연구에서는 효과 확인 실패


현재 평가: 심리학적/통계적 아티팩트일 가능성이 높다고 봄.



---

2. 글로벌 의식 프로젝트 (GCP, 1998–현재)

PEAR 연구진이 확장한 프로젝트

전 세계에 설치된 RNG 네트워크(수십 개 서버)에 사람들의 “집단 의식”이 영향을 주는지 측정

사건: 9·11 테러, 다이애나 왕세자비 사망, 대규모 월드컵 경기 등 “전 세계적인 감정 집중 이벤트”

결과: 일부 사건에서 통계적으로 약간의 비정상 패턴 보고

비판: 선택적 통계 처리, 사후 분석(post hoc)이 많아 과학적 엄밀성이 부족



---

3. 뇌파 ↔ 양자 난수발생기 실험

목표: 뇌에서 발생한 신호(EEG)가 양자 난수 발생기에 영향을 줄 수 있는가?

방법:

참가자가 EEG 측정 중 “난수 제어”를 시도

난수원: 광자 분할기(quantum beam splitter RNG), 전자 잡음 기반 RNG 등


결과: 지금까지 “유의미한 편향 없음”



---

4. 최신 연구 (2010년대~2020년대)

1. 양자 난수발생기 & 의식 관측

일부 물리학 실험에서 “양자 상태 붕괴가 사람의 의식 관측에 의존하는가?” 테스트

예: 사람/컴퓨터가 번갈아 측정할 때 결과 차이 있는지 확인

결과: 차이 없음 → 의식이 직접 양자 붕괴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로 보임



2. EEG 기반 피드백 실험

참가자의 뇌파에 따라 난수 발생 장치를 실시간 피드백 → 사람 의도가 난수에 반영되는지 확인

지금까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음”





---

5. 정리

PEAR 연구소, GCP: “의식이 RNG에 영향을 준다”는 주장을 했지만, 재현성 부족 → 주류 과학계는 인정 X

양자 난수 실험: 지금까지 “의식 ↔ 양자 시스템 간 상호작용” 증거 없음

현재 상태: 초심리학·양자의식 이론 범주에서 소수 연구자들이 계속 실험 중



---

✅ 결론:
뇌파나 염력이 양자나 RNG에 영향을 준다는 과학적 증거는 아직 없음.
그러나 PEAR, GCP 같은 대규모 연구 시도는 있었고, 지금도 일부는 “양자와 의식 연결 가능성”을 계속 탐구하고 있습니다.


---

원하시면 제가 PEAR 연구에서 사용된 RNG 회로 구조나 글로벌 의식 프로젝트의 실험 방식을 좀 더 기술적으로 풀어드릴까요?

좋습니다 그럼 실제로 수행된 “의식(뇌파, 염력)이 양자 또는 난수발생기에 영향을 줄 수 있는가?” 에 대한 연구들을 정리해드릴게요.


---

1. 프린스턴 공학 이상현상 연구소 (PEAR, 1979–2007)

목표: 사람이 “의도”만으로 난수발생기의 출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가?

방법:

하드웨어 난수발생기(HRNG, 전자 잡음 기반)를 사용

참가자가 “0이 더 나오게” 또는 “1이 더 나오게” 집중


결과:

3,500만 번 이상의 시도 → 통계적으로 아주 미세한 편향(확률적으로 0.5% 이내) 보고

하지만 재현성이 떨어지고, 독립 연구에서는 효과 확인 실패


현재 평가: 심리학적/통계적 아티팩트일 가능성이 높다고 봄.



---

2. 글로벌 의식 프로젝트 (GCP, 1998–현재)

PEAR 연구진이 확장한 프로젝트

전 세계에 설치된 RNG 네트워크(수십 개 서버)에 사람들의 “집단 의식”이 영향을 주는지 측정

사건: 9·11 테러, 다이애나 왕세자비 사망, 대규모 월드컵 경기 등 “전 세계적인 감정 집중 이벤트”

결과: 일부 사건에서 통계적으로 약간의 비정상 패턴 보고

비판: 선택적 통계 처리, 사후 분석(post hoc)이 많아 과학적 엄밀성이 부족



---

3. 뇌파 ↔ 양자 난수발생기 실험

목표: 뇌에서 발생한 신호(EEG)가 양자 난수 발생기에 영향을 줄 수 있는가?

방법:

참가자가 EEG 측정 중 “난수 제어”를 시도

난수원: 광자 분할기(quantum beam splitter RNG), 전자 잡음 기반 RNG 등


결과: 지금까지 “유의미한 편향 없음”



---

4. 최신 연구 (2010년대~2020년대)

1. 양자 난수발생기 & 의식 관측

일부 물리학 실험에서 “양자 상태 붕괴가 사람의 의식 관측에 의존하는가?” 테스트

예: 사람/컴퓨터가 번갈아 측정할 때 결과 차이 있는지 확인

결과: 차이 없음 → 의식이 직접 양자 붕괴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로 보임



2. EEG 기반 피드백 실험

참가자의 뇌파에 따라 난수 발생 장치를 실시간 피드백 → 사람 의도가 난수에 반영되는지 확인

지금까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음”





---

5. 정리

PEAR 연구소, GCP: “의식이 RNG에 영향을 준다”는 주장을 했지만, 재현성 부족 → 주류 과학계는 인정 X

양자 난수 실험: 지금까지 “의식 ↔ 양자 시스템 간 상호작용” 증거 없음

현재 상태: 초심리학·양자의식 이론 범주에서 소수 연구자들이 계속 실험 중



---

✅ 결론:
뇌파나 염력이 양자나 RNG에 영향을 준다는 과학적 증거는 아직 없음.
그러나 PEAR, GCP 같은 대규모 연구 시도는 있었고, 지금도 일부는 “양자와 의식 연결 가능성”을 계속 탐구하고 있습니다.


---

원하시면 제가 PEAR 연구에서 사용된 RNG 회로 구조나 글로벌 의식 프로젝트의 실험 방식을 좀 더 기술적으로 풀어드릴까요?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군대 예능 출연해 줬으면 싶은 여자 스타는? 운영자 25/09/15 - -
AD 가전디지털, 액세서리 SALE 운영자 25/09/12 - -
2889833 삼성 9시리즈와 엘지 그램 19v 3mm 노트북 충전기가 발명도둑잡기(118.216) 09.17 79 0
2889832 애널의달성 2///3 [1]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7 61 0
2889831 마라탕 [4] 개멍청한유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7 58 0
2889830 "학벌 필요없어요" 발명도둑잡기(118.216) 09.17 64 0
2889829 gpt가 멍청해진게 아니라 당신이 멍청해진겁니다. [1] 프갤러(223.38) 09.17 67 0
2889828 17인치 휴대용 모니터 구입 발명도둑잡기(118.216) 09.17 33 0
2889825 음 요즘 gpt 왜이렇게 멍청해졌지??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7 46 0
2889822 나 유튜브 2008년 가입했구나 발명도둑잡기(118.216) 09.17 28 0
2889820 후스넘버 고소한거 불송치댐 프갤러(211.114) 09.17 55 0
2889819 오늘 ㄹㅇ 일찍잔다 [4] 루도그담당(58.239) 09.17 53 0
2889818 중경외시 중 경외시가 동대문구에 있다 발명도둑잡기(118.216) 09.17 59 0
2889817 저녁 [3] 발명도둑잡기(118.216) 09.17 40 0
2889816 흠.. [1]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7 47 0
2889815 생각이 많아진다.. [13] 개멍청한유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7 91 0
2889814 Kt 범인 조선족이네 [2] 루도그담당(58.239) 09.17 73 1
2889813 이런 쓰레기장에도 사람이 사는군요 [2] 개멍청한유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7 65 0
2889812 프론트엔드 이직 웰케 빡세냐 [1] 프갤러(125.178) 09.17 88 0
2889811 [애니뉴스] 매거진 페이지 프갤러(121.172) 09.17 35 0
2889810 홈플러스같은건 협동조합이나 노동자지주회사로 하면 안되나? [1] 발명도둑잡기(118.235) 09.17 43 0
2889809 교수님의 퀴즈 발명도둑잡기(118.235) 09.17 48 0
2889808 The Little Gardeners by Edmond Louvot 발명도둑잡기(118.235) 09.17 41 0
2889807 윤석열 탄핵 관련 이미지 [1] 발명도둑잡기(118.235) 09.17 74 0
2889805 중경외시 컴공 졸업생인데 취업이 안 된다.. [3] ㅇㅇ(223.39) 09.17 188 0
2889804 웹프론트싸개 있냐 [4] ㅇㅇ(106.173) 09.17 97 0
2889803 중소기업 지역 티어좀 알려줘 [2] 프갤러(116.47) 09.17 137 0
2889802 넥슨 코드배틀파이널 진출함 [4] 프갤러(61.78) 09.17 92 2
2889801 러스트는 최고네. [6] 프갤러(49.165) 09.17 100 0
2889799 너무 공부만 하고 사는것도 안 좋더라 [7] 루도그담당(211.184) 09.17 94 0
2889798 친구들은 다 결혼하거나 애인있어서 [11] ㅆㅇㅆ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7 118 0
2889797 바이브 레이터 코딩 [1] 프갤러(49.165) 09.17 53 0
2889796 좆 간지나는 프로그래머가 목표였는데 금공이 날 납치함 [2] ㅇㅇ(118.36) 09.17 72 0
2889795 키보드 두들기는 가짜일 말고 [8] 헬마스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7 81 0
2889794 너네들 귀멸의칼날 무한성은보고 갤질하냐 [6] ㅇㅇ(14.32) 09.17 57 1
2889793 나왔는데 할 게 없어서 초계면 먹고 집가는중 [5] ㅆㅇㅆ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7 69 0
2889792 웹개발 5년차 연봉 어떻게 하냐 [6] 프갤러(140.248) 09.17 125 0
2889791 오랜만에 러스트가 또 승리했다 [3] 프갤러(218.154) 09.17 77 1
2889790 좀 쉬어야긋다 [2] ㅆㅇㅆ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7 68 0
2889789 다들 답도 없는 인생을 어떻게 사는거냐. 나만 미치겠냐?? ㅇㅇ(223.39) 09.17 70 0
2889788 나다 좆병신들아 [3] 아스카영원히사랑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7 70 0
2889786 걍 언어 관점으로 이해하면 어려움 루도그담당(211.184) 09.17 64 0
2889785 프붕이들아 운동은 하고사냐 [7] 공기역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7 88 0
2889784 좆소 si 3년 경력직 4000 준다는데 갈까 [3] 프갤러(121.143) 09.17 100 0
2889783 안드로이드 게임 앱 apk에서 게임 이미지 추출 어떻게 하나요?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7 41 0
2889782 게임회사나 등등 플밍 현직자는 AI 얼마나 써? [13] 투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7 144 0
2889781 나는 언제나 코딩을 할 때 최선을 다한다 [2] 프갤러(218.154) 09.17 65 0
2889780 역시 디시인가? 자살이 금지어가 아닌가보네 [1] 프갤러(218.154) 09.17 47 0
2889779 놀랍긴한 생성형 AI 프갤러(121.172) 09.17 51 0
2889778 llm으론 agi에 개미 발톱에 낀 때만큼도 못도달한다. [4] 프갤러(218.154) 09.17 76 0
2889777 세상이 좋아져서 사람들이 자살을 많이 하는거누 ㅋㅋㅋㅋㅋ 뒷통수한방(1.213) 09.17 41 0
2889776 뉴비인데 자바스크립트 왤케 어렵냐 [1] ㅇㅇ(112.146) 09.17 52 0
뉴스 ‘발라드 황제’ 신승훈, 데뷔 35주년 맞이 ‘불후의 명곡’ 귀환! 데이브레이크-정준일-임한별-허각-조째즈 등 출격! 디시트렌드 09.19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