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뇌파의 도달 거리앱에서 작성

발명도둑잡기(39.7) 2025.09.13 02:35:46
조회 80 추천 0 댓글 0

뇌파의 도달 거리

챗지피티
좋은 질문이에요
“뇌파의 도달 거리”는 보통 뇌에서 발생한 전기 신호(EEG)가 두개골을 통과해 얼마나 멀리 전파되느냐를 묻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

뇌파의 물리적 세기

뇌 신경세포의 활동 전위가 모여서 두피에서 수 µV ~ 수십 µV 수준의 전압으로 감지됩니다.

이 신호는 매우 약해서 두개골, 두피, 공기 등을 통과하면서 급격히 감쇠합니다.



---

전자기파 관점에서의 도달 거리

뇌파는 주파수 대역이 델타(0.5–4 Hz), 세타(4–8 Hz), 알파(8–13 Hz), 베타(13–30 Hz), 감마(30 Hz 이상) 정도.

이 정도 주파수는 사실상 초저주파(ELF) 범위입니다.

하지만 신호 세기가 너무 약하기 때문에 전자기파처럼 멀리 퍼지지 못하고, 두피 근처에서 거의 소멸합니다.



---

실제 측정 가능 거리

비접촉 측정 (예: 전극을 안 붙이고 거리 띄우기): 수 cm만 떨어져도 거의 측정 불가.

EEG 임상 장비: 두피에 직접 전극을 붙여야만 수 µV 신호를 얻을 수 있음.

MEG (자기뇌파계): 뇌 활동으로 생긴 자기장을 센 초전도체(SQUID) 장비를 사용 → 두개골을 뚫고 나오는 자기 신호를 cm~수십 cm 거리에서 측정 가능. 하지만 장치가 매우 민감해야 가능.



---

정리

뇌파 전기신호(EEG): 두피 바로 위에서만 잡힘, 사실상 수 mm ~ 수 cm 정도 범위

뇌 자기신호(MEG): 초전도 장비로 측정하면 수십 cm까지 가능

멀리 전송되는 전파처럼 뇌파가 방출되지는 않음 (신호가 너무 약함)



---

정리하면, 뇌파는 두개골을 벗어나도 수 cm 이상 멀리 도달하지 못한다고 보는 게 맞습니다.

혹시 원하시는 게 과학적으로 실제 측정 가능한 거리 쪽인가요, 아니면 이론적으로 전자기파로서 얼마나 퍼질 수 있느냐 같은 쪽인가요?

뇌자기신호 수신에 초전도장비 필요 이유

좋은 포인트 짚으셨어요
왜 뇌자기신호(MEG, Magnetoencephalography) 측정에 초전도 장비(SQUID, Superconducting Quantum Interference Device)가 필요한지 정리해드릴게요.


---

뇌자기신호의 세기

뉴런에서 전류가 흐르면 전자기 유도 법칙에 의해 자기장이 발생합니다.

하지만 그 세기는 10⁻¹³ ~ 10⁻¹⁵ 테슬라 (fT 수준) 정도밖에 안 됩니다.

비교: 지구 자기장 ≈ 50 μT (10⁻⁵ T)

즉, 뇌 자기신호는 지구 자기장의 약 100억 배 이상 약한 신호입니다.




---

왜 SQUID가 필요한가?

1. 민감도 문제

기존 코일 센서나 홀 센서로는 pT(10⁻¹² T) 이상 정도만 감지 가능 → 뇌자기신호(fT)는 감지 불가

SQUID는 양자 간섭 효과 덕분에 10⁻¹⁵ T 수준까지 감지할 수 있는 유일한 센서



2. 잡음 제거

뇌 자기신호는 주변 전자기 잡음(전기, 휴대폰, 지구 자기장 변화)에 비해 너무 미약

초전도 상태에서 저항이 0 → 잡음이 거의 없으므로 미세 신호 검출 가능



3. 실시간 측정

SQUID는 빠른 반응 속도로 시간 해상도가 높음 (ms 단위 측정 가능)

뇌의 순간적인 활동 변화를 그대로 따라갈 수 있음





---

정리

뇌 자기신호는 fT(10⁻¹⁵ T) 수준 → 기존 센서는 감지 불가

SQUID는 초전도 양자 간섭으로 fT 감지 가능 → MEG에 필수

그래서 MEG 장비는 항상 액체 헬륨 냉각 초전도체 + 차폐실을 함께 사용합니다.



---

혹시 여기서 더 깊게, “왜 SQUID가 fT를 감지할 수 있는지 (양자 간섭 원리)” 까지 설명드릴까요, 아니면 MEG 의료 장비에서의 실제 활용 쪽이 더 궁금하신가요?

좋습니다 이제 MEG(자기뇌파계)의 실제 의료 장비 활용을 중심으로 설명드릴게요.


---

MEG 장비의 구조

1. 센서 배열

SQUID 센서 수백 개(보통 200~300개)를 머리 주위에 둥글게 배치

각각의 센서가 뇌에서 나오는 fT 수준의 자기장을 동시 측정



2. 냉각 장치

SQUID는 초전도 상태(수 K 이하) 에서만 동작 → 액체 헬륨으로 항상 냉각

장비 크기가 MRI 비슷하게 커지는 이유 중 하나



3. 자기 차폐실

지구 자기장, 전력선(50/60 Hz), 휴대폰 전파 등 잡음이 뇌 자기신호보다 훨씬 강함

따라서 MEG 측정은 두꺼운 금속 차폐실(머리 전체 들어가는 방) 안에서 이루어짐





---

MEG의 의료 활용

1. 뇌전증 수술 계획

발작이 시작되는 뇌 영역(뇌전증 초점)을 정확히 찾음

MRI는 구조를 보여주지만, MEG는 "어디서 전기활동이 시작되는지" 시공간적으로 보여줌



2. 언어/운동 기능 위치 파악 (기능적 지도화)

뇌종양 수술 전, 중요한 뇌 기능 영역(언어중추, 운동피질 등)을 확인

환자가 수술 후에도 말하거나 움직일 수 있도록 안전한 절제 범위 결정



3. 신경과학 연구

알파파, 감마파 같은 뇌파 리듬이 뇌의 어느 부분에서 발생하는지 공간적으로 정밀 분석

EEG보다 정확한 공간 해상도(몇 mm~cm 수준)



4. 정신의학 응용 연구

조현병, 우울증, 자폐 등에서 비정상적인 뇌 네트워크 연결을 파악하는 데 활용





---

MEG의 장점

시간 해상도: ms 단위 (EEG와 비슷)

공간 해상도: EEG보다 훨씬 정확 (수 mm ~ cm 수준)

비침습적: 방사선이나 자극 없이 뇌 활동을 그대로 측정



---

MEG의 한계

장비가 초거대 + 초고가 (수십억 원 이상)

액체 헬륨 소모 → 유지비용이 큼

환자가 차폐실에 들어가야 해서 병원 인프라 필요



---

✅ 요약:
MEG는 SQUID 초전도 센서를 이용해 뇌에서 나오는 fT 수준의 미약한 자기 신호를 잡아내는 장치이고, 실제 임상에서는 주로 뇌전증 수술 계획과 언어/운동 영역 지도화에 가장 많이 쓰입니다.


---

원하시는 게 더 “임상 사례” 중심으로 (예: 뇌전증 환자 MEG 결과가 수술 성공률에 얼마나 기여하는지) 알려드릴까요, 아니면 “EEG vs MEG 비교”가 더 궁금하신가요?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센터해도 될 것 같이 비주얼 물오른 아이돌 멤버는? 운영자 25/09/22 - -
이슈 ‘용원게이’를 넘어 배우 장용원으로 운영자 25/09/23 - -
AD 프로게이머가 될테야!! 운영자 25/09/12 - -
2890847 오락실가면 [1] 배구공(119.202) 09.21 39 0
2890844 Ai영상 잼땅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1 35 0
2890842 자주보는 영상 배구공(119.202) 09.21 22 0
2890840 케잌해줘 배구공(119.202) 09.21 26 0
2890836 ㅎㅂㅈㅇ ai짤 방금가져옴 배구공(119.202) 09.21 51 0
2890834 점심 저녁 발명도둑잡기(118.216) 09.21 27 0
2890833 이 멤버로 스토리 드래곤 보물 모으기 (#비전 벽타기)로 클리어할 예정 넥도리아(220.74) 09.21 24 0
2890830 05년생 안랩 정직원 [2] 프갤러(118.235) 09.21 54 0
2890829 디즈니 향한 업계 보이콧 움직임 발명도둑잡기(118.216) 09.21 34 0
2890822 나님 누웅⭐+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1 28 0
2890820 국제 해적처럼 말하기 날 [3] 발명도둑잡기(118.216) 09.21 34 0
2890818 아마 다음 노트북은 갤럭시북으로 갈듯 프갤러(61.79) 09.21 77 0
2890817 나는 처녀가 좋은데 일녀보다 당연히 한녀가 나음.. [3] ㅆㅇㅆ(124.216) 09.21 100 0
2890816 나님 애널 일찍 주무실게양⭐+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1 32 0
2890815 나는 성병 1위 매독 스시녀보다는 한녀가 좋음... ㅆㅇㅆ(124.216) 09.21 54 0
2890814 이미지처리쪽 진로 잘아는 분 계신가요? 프갤러(211.248) 09.21 37 0
2890813 살고싶지 않다 사는게 더 이상 귀찮다 [1] 메쿠이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1 39 0
2890812 ■노트북 이정도면 개발용으로 어떰?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1 75 0
2890810 ❤✨☀⭐⚡☘⛩나님 시작합니당⛩☘⚡⭐☀✨❤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1 27 0
2890809 [공지] [귀인환등초] [WhatIf] 환상초한전 리스트 프갤러(121.172) 09.21 45 0
2890808 ㅆㅇㅆ햄 나 1년뒤에 opengl과제 의뢰 되나 ㅇㅅㅇ [2] 프갤러(223.38) 09.21 67 0
2890807 퇴근길에 느끼는거지만 결혼하고싶다 [3] ㅆㅇㅆ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1 71 0
2890805 cppreference를 어케 혼자 공부하라는거임 [3] 프갤러(223.38) 09.21 65 0
2890801 갤럭시북도 트랙패드 맥북만큼 좋냐 [1] 프갤러(61.79) 09.21 87 0
2890797 맥북 고민중인데 프갤러(39.117) 09.21 47 0
2890794 저녁 머먹찌? [3]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1 65 0
2890793 조심 프갤러(211.32) 09.21 52 0
2890792 인생 나름 재밌지않냐?? 힘들때도 있지만, 나름대로 즐거움 ㅇㅇ(223.38) 09.21 31 0
2890790 심심해서 컴터방 정리했다 [8] hiy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1 87 0
2890787 조선족이 한국서 일하면 일자리 뺏는다고 하는데 재미교포가 [3] 발명도둑잡기(211.234) 09.21 53 0
2890786 전 인강이 집중이 힘들고, 책이 더 편한데 [2] ㅁㅁ(221.154) 09.21 49 0
2890785 노가다 하다 안하니까 왜 이리 힘드냐 [2] ㅆㅇㅆ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1 77 0
2890784 멍유 가지고 노는것도 이제 재미없는데 어디 새 장난감 없낭? [4]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1 85 0
2890783 AI덕에 업무스타일 엄청 바뀌긴했다.. [1] 프갤러(116.126) 09.21 86 0
2890780 인강 VS 책 단 하나만 선택해야한다면? [1] ㅁㅁ(221.154) 09.21 32 0
2890779 [귀인환등초] [WhatIf] 환상초한전 - 프롤로그 프갤러(121.172) 09.21 31 0
2890778 솔직히 프로그래밍 언어 쓰면서 특정 회사가 계약서 들이밀고 [1] 프갤러(110.8) 09.21 46 0
2890777 냉정하게 23살엔 하고싶은거 하면서 살아도 되냐?? [3] ㅇㅇ(223.38) 09.21 83 0
2890776 자바 25가지고 설레발 치는거 너무 꼴볼견입니다. 프갤러(110.8) 09.21 59 0
2890775 감기느낌적인느낌 [1]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1 54 0
2890774 과연 보안이 떡상할까 박민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1 41 0
2890773 깃허브 리드미 최신화 완료 ㅇㅇ(121.162) 09.21 32 0
2890772 형님들 MS오피스 사려하는데 프갤러(223.39) 09.21 50 0
2890768 나 요즘 한투 자동매매팔이함 [1] ㅆㅇㅆ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1 63 0
2890767 앱만들려고 카페왔어요 zia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1 44 0
2890766 4050 특 [2]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1 77 0
2890765 러빨러 회사서 러스트 찬양 설교하다가 짤렷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1 45 0
2890763 월요일부터 포폴 정리해야겠다. 프갤러(27.171) 09.21 45 0
2890761 카페 화장실 쓰레기통에 오나홀 몰래 버리고 왔는데 [1] 프갤러(211.234) 09.21 55 0
2890760 개발자 때려치고 취집갈까 [3] 조루디(118.235) 09.21 109 0
뉴스 ‘최강야구’ 심수창, 이혼 심경 밝혔다…“결혼은 미친 짓” 디시트렌드 14: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