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러스트, 반짝이는 갑옷의 무게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8.26 03:01:45
조회 53 추천 0 댓글 0

러스트(Rust)는 등장과 동시에 수많은 개발자의 찬사를 받았다. '메모리 안전성', '두려움 없는 동시성', 'C++에 버금가는 성능'. 이 세 가지 기치 아래, 러스트는 시스템 프로그래밍의 고질적인 문제들을 해결할 구원자처럼 보였다. 7년 연속 스택 오버플로우 설문조사에서 '가장 사랑받는 언어' 1위를 차지한 사실은 그 인기를 증명한다. 오로지 인기만 있다. 실제 사용자는 거의 없다. C/C++ 대비 0.001% 정도의 사용성?? 두려운 없는 동시성이라고 과대성 홍보를 하는데, Ada도 데이터 경쟁을 방지한다. ㅎㅎ 이건 몰랐지? ㅋㅋ

하지만 반짝이는 갑옷은 무겁기 마련이다. 러스트가 제공하는 눈부신 안전성의 대가로 우리가 무엇을 지불해야 하는지, 그 이면의 그림자를 냉정하게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1. 가파른 절벽, 그리고 끝나지 않는 싸움

러스트를 배우는 과정은 종종 '가파른 학습 곡선'을 넘어 '절벽'에 비유된다. 그 중심에는 러스트의 핵심 철학이자 가장 큰 장벽인 '소유권(Ownership)'과 '빌림 검사기(Borrow Checker)'가 있다. 이들은 컴파일 타임에 메모리 오류를 원천 차단하는 강력한 수문장이지만, 수십 년간 다른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에 익숙해진 개발자에게는 새로운 사고방식을 강요하는 고문관과도 같다.

개발자는 문제 해결에 집중하기보다, 컴파일러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 코드와 씨름하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간단한 연결 리스트(Linked List) 구현조차 러스트에서는 고도의 훈련을 요구하는 과제가 된다. 이는 생산성의 급격한 저하로 이어지며, 특히 빠른 프로토타이핑이 중요한 환경에서 러스트는 최악의 선택지가 될 수 있다. 컴파일만 되면 작동한다는 말은, 그 컴파일까지 가는 과정이 얼마나 험난한지에 대한 반증일 뿐이다.

그래서 오죽하면 "고통의 미학"이라는 정신병이 다 생길까? ㅎㅎ 고통 속에서 개발하여 쾌락을 얻는단다.

2. 느린 컴파일, 더딘 개발 속도

러스트의 컴파일러는 수많은 정적 분석을 통해 꼴랑 코드의 메모리 안전성을 보장한다. 하지만 이 철두철미함의 대가는 끔찍하게 느린 컴파일 시간이다.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질수록, 코드 한 줄을 수정하고 결과를 확인하기까지의 시간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이는 빠른 피드백 루프(코드 수정 → 컴파일 → 테스트)가 생명인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에 치명적인 단점이다. Go 언어의 초고속 컴파일이 주는 경쾌함이나 스크립트 언어의 즉시성에 비하면, 러스트의 개발 경험은 무겁고 답답하게 느껴진다. 개발자는 코딩하는 시간보다 컴파일러가 일하는 것을 기다리는 시간에 더 많은 커피를 마시게 될지도 모른다.

3. 모든 것을 해결해주지는 않는 생태계

crates.io로 대표되는 러스트의 패키지 생태계는 경이로운 속도로 성장했지만, 여전히 성숙한 언어들에 비해 부족한 부분이 매우 많다. 특히 GUI 개발, 데이터 과학, 게임 개발(최근 Bevy 등의 약진이 있지만)과 같은 특정 도메인에서는 라이브러리의 선택지가 좁거나 대부분 검증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이는 러스트를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만능 언어'로 채택하기 어렵게 만든다. 사실 불가능한다. 특정 목적을 위해서는 수십 년간 라이브러리와 노하우가 축적된 C++, Java, Python이 훨씬 현실적인 대안이다. 러스트는 웹 백엔드나 CLI 도구와 같은 특정 영역에서는 유용하지만, 그 외의 영역에서는 아직 '미완의 대기'에 가깝다.

4. 복잡성의 그늘: 제2의 C++이 될 것인가?

러스트는 메모리 안전이라는 명확한 목표를 가지고 시작했지만, 언어의 규모는 계속해서 커지고 있다. async/await, const generics, GATs(Generic Associated Types) 등 고급 기능들이 추가되면서 언어 자체의 복잡성은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그러면서도 OOP를 반쪽만 지원한다. ㅎㅎ Ada와 극명한 대조를 이루는 부분이다.

이는 C++이 걸어왔던 길을 연상시킨다. 수많은 기능이 추가되면서 언어 전체를 깊이 있게 이해하는 전문가가 드물어지고, 팀 내에서 사용하는 기능의 부분집합(subset)이 달라 코드 스타일이 파편화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안전성을 위해 도입한 복잡성이 오히려 새로운 종류의 '인지적 부하'를 만들어내는 아이러니가 생기는 것이다. 또한, 안전을 보장할 수 없는 영역을 위해 남겨둔 unsafe 키워드는 러스트의 안전성이라는 신화를 떠받치는 아슬아슬한 기반이다. 결국 성능을 극한으로 추구하는 코드는 unsafe 블록으로 채워지게 되고, 그곳에서는 러스트가 자랑하는 어떤 안전장치도 작동하지 않는다. 러스트가 자랑하는 안전성은 unsafe에서 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실제로 unsafe없이 러스트는 사실상 작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unsafe위에 세워진 safe라는 불안한 안전성 신화. 그것도 메모리 안전에만 한정.

제발 타 언어, 타 언어 사용자들을 욕하지 말라.

러스트는 위대한 언어가 아니며, 특히 안정성과 성능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스템 프로그래밍 영역에서는 C/C++, Ada를 쓴다. 하지만 러스트를 선택하는 것은 '빛나는 갑옷'의 무게를 기꺼이 감당하겠다는 결심과 같다. 그래서 '러스트는 위대하다'며 자기 체면을 걸어 인지 부조화를 해소하고 있는 것이다.

가파른 학습 곡선, 느린 개발 속도, 아직도 부족한 생태계, 그리고 점점 커지는 복잡성. 이 모든 비용을 치를 가치가 있는 문제인지 신중하게 저울질해야 한다. 러스트는 위대한 언어가 아니다. 그저 매우 특수하고 강력한 목적을 위해 하나를 얻고 두 개를 잃는 그리고 다루기 매우 어려운 도구일 뿐이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존재만으로도 웃음주는 최고의 '웃수저' 스타는? 운영자 25/08/25 - -
이슈 느린 여행으로 삶의 속도를 찾는 유튜버 꾸준 운영자 25/08/26 - -
AD MD's pick 상반기 인기 노트북 운영자 25/08/26 - -
공지 프로그래밍 갤러리 이용 안내 [90] 운영자 20.09.28 46721 65
2885358 나른하고 더운 금요일 개멍청한유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26 0 0
2885357 좇센은 법조계 연예인 정치계 공무원 it가 잠식했는데 뒷통수한방(1.213) 14:17 8 0
2885356 친중반미 극좌 리짜이밍 회담에서조차 거짓말 결과 트럼프의 배웅없었다 [1]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17 14 0
2885355 좇센에서 구글같은거 만들어봤자 업적은 문재인 찢재명 이준석업적임 뒷통수한방(1.213) 14:10 13 0
2885354 삶의 태도가 선택과 집중보다 두마리 토끼일때 난 더 활기차더라... [1] ㅇㅇ(223.38) 14:09 14 0
2885353 프로그래밍 경진대회 같은거 나가려면 ㅇㅇ(106.101) 14:08 13 0
2885352 돈없으면 불쌍한게 웬만한 하드웨어 지원도 막혀서 발전이 막힌다는거임 뒷통수한방(1.213) 14:06 8 0
2885351 뉴프로선물폭탄 난리낳다 [1] 헬마스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51 16 0
2885350 it업계의 문제점은 ㅆㅇㅆ같은 더닝크루거 좁밥이 많다는거임 프갤러(121.139) 13:51 33 1
2885349 요즘 굴이 떙기네 [3] 류도그담당(211.171) 13:47 20 0
2885347 121.139 점마 말하는거보이 루비 유동이네 ㅆㅇㅆ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38 19 0
2885346 전업외주로 200중반버는데 피말리긴함 [3] ㅆㅇㅆ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33 41 0
2885345 요즘 광고게임모델 연예인안나오고 일반인나오는이유가뭐임?? [2] 뒷통수한방(1.213) 13:32 20 0
2885344 전업 외주는 불안해서 어캐하냐 [3] 프갤러(119.207) 13:31 23 0
2885342 복음주의 우파가 미국도 그렇고, 한국도 그렇고 [2] ㅆㅇㅆ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27 30 1
2885339 기독교 극우가 판치는구나 싶다 ㅆㅇㅆ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24 17 2
2885338 아놔.. 구글 PLAY 무슨 업데이트를 또 하라네 무한탐구(218.234) 13:22 15 0
2885335 수능 1등급이어려움 신입취업이어려움? 뒷통수한방(1.213) 13:17 10 0
2885333 나노 바나나 정채 공개 프갤러(59.13) 13:15 23 0
2885332 요즘 신입 ㄹㅇ 드가기 개빡쌔긴한듯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3 27 0
2885330 나이가 드니 만화도 재미 없네 [4] ㅆㅇㅆ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0 24 0
2885329 초창기 해커들 소스를 훔쳐 만든게 유닉스 [2]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57 26 0
2885328 바이브코딩으로 취업 가능? ㅇㅇ(220.80) 12:53 27 0
2885327 ai에 호들갑 떠는애들은 자신이 좁밥임을 증명하는거임. [1] 프갤러(121.139) 12:51 38 1
2885326 자료구조 개어렵네 [3] ㅇㅇ(106.101) 12:51 33 0
2885325 WSJ "빌 게이츠 이혼은 아동성범죄자 엡스타인과 친분 때문"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50 17 0
2885324 전략수정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39 16 0
2885323 [대한민국] 그라운드씨의 역사 공부 - 이승만, 박정희 프갤러(121.172) 12:39 14 0
2885322 흠..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33 16 0
2885321 유튜브에 기술이 더이상 발전할수 없다고하는데 뒷통수한방(1.213) 12:31 24 0
2885320 후스넘버로 개인정보 털린사람입니다. [6] 프갤러(114.202) 12:08 46 1
2885319 안녕하세요 처음 시작하려고 합니다 [3] 프갤러(121.185) 12:01 25 0
2885316 리눅스 쓰면 배우는 건 많다. [7] (121.151) 11:37 54 1
2885315 가방에 간단한 상비약이랑 간식상자 이런거 안들고댕김?? ㅇㅇ(223.38) 11:33 14 0
2885314 리눅스/유닉스쪽 빠돌럼들의 역사 [2]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2 24 0
2885313 러빨럼은 왜 벌써부터 틀딱인가?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9 16 0
2885312 냥덩이 괴롭히지 말라냥!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7 30 0
2885311 기업들이 MS윈도우 임베디드 쓰는 이유 [2]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0 35 0
2885310 ㅆㅇㅆ 내가 200 주고 고용하고 싶다 [4] 아스카영원히사랑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44 55 0
2885308 러스트는 이제는 사라져야할 언어입니다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8 18 0
2885307 리눅스는 유닉스 복제품입니다. 이거 모르는 사람 태반이더라구요 [8]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2 44 0
2885306 리눅스같은 오픈소스 허벌창 시스템은 AI가 다따먹음 [5] 네오커헠(121.157) 10:16 79 0
2885305 슬슬 루비 왔으니 갤좀 쉬어야겠군 밤에 보자 [2] ㅆㅇㅆ(124.216) 10:15 31 0
2885304 러빠가 리눅스 써본 적 없는데 빠는 이유 ㅋㅋ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3 28 0
2885303 러스트 빠돌이의 정체 ㅋㅋ 리눅스 빠돌이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9 17 0
2885302 안티치트 개발자들 천재노 [3] 류도그담당(118.235) 10:01 49 0
2885301 윈도우 임베디드는 그야말로 틀딱들이 리눅스 배울 지능이 없어서 프갤러(218.154) 09:47 32 0
2885300 오늘 하루는 좀 휴식하다가 돈 벌 준비해야겠다 [4] ㅆㅇㅆ(124.216) 09:43 41 0
2885298 ostep 이부분 뭐냐? 나만 이해안됨? [10] 코드조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0 95 0
뉴스 ‘백번의 추억’ 80년대 신입 안내양 역의 신예은, “MZ 세대도 충분히 감동받을 수 있는 작품” 확신...그 이유는? 디시트렌드 08.28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