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프로그래밍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프로그래밍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싱글벙글 청바지 전쟁중인 미국 칼아저씨
- 윤정수, 12살 연하 아내는 '광저우 여신' 원자현 긷갤러
- 동남아시아 국가 별 최고 부자 싱글벙글참치캔
- 싱글벙글 현재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핫한 사람 윤의철군단장
- 속보) 음지계 1황 유튜버 신태일 체포영장 집행 ㅇㅇ
- 무개념 팬 때문에 결국 미쳐버린 여배우 ㅇㅇ
- 이민정 이병헌 가족이랑 밥먹는 아이브 장원영 ㅇㅇ
- 90년대생의 집을 찾습니다 ≪청년 기획 – 고장 난 사다리≫ㄷ 너구리
- 니네가 신봉하는 롤도 매칭주작 터졌다 ㅋㅋ 대형유튜버가 뭄 옵붕이
- 공인중개사 믿고 계약했는데 전세사기 부갤러
- 전공의 복귀첫날, 전남대 소아응급실은 "문닫아요" ㅇㅇ
- 요즘 중국에서 반일감정 폭발한 이유...JPG ㅇㅇ
- 싱글벙글 백정이 옛날부터 혐오당한 진짜 이유.JPG ㅇㅇ
- [스압]낭만찾아 바람찾아 4차승급 대작전!!! ㅇㅇ
- 공사판 대학생 성추행한 30대 남성, 뒤져보니 초등생 성추행 살인범 감돌
"라면도 부담스러워"…국민 괴롭히는 '먹거리 물가'...jpg
화요일 친절한 경제 오늘(2일)도 경제부 한지연 기자 나와 있습니다. 한 기자, 가구별로 먹는데 쓰는 돈을 많이 줄였다는 통계가 나왔다면서요?올해 2분기 기준으로 가구 먹거리 소비가 9년 만에 최저 수준을 보였습니다.순수하게 2분기 가구별 식료품과 비주류 음료에 지출한 돈, 그러니까 이 명목 소비지출은 42만 3천 원인데요.1년 전보다 1.8% 늘었습니다. 하지만 이 명목 소비지출은 물가 상승분을 포함한 거거든요.1년 전보다 물가가 엄청나게 올랐죠.물가 상승분을 제외하고 봐야, 얼마나 소비가 줄었는지 알 수 있겠죠.물가 상승분을 제외한 실질 소비지출은 34만 1천 원으로 전년 대비 1% 줄었습니다.먹거리 지출액 자체는 늘었지만 실제 소비 규모는 줄었다는 뜻입니다.2분기만 봤을 때 식료품, 음료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2.9%에 달했습니다.이렇게 실질 지출만 뽑아서 보니까, 2023년 4분기부터 네 개 분기 연속으로 줄었다가 지난해 4분기 1.8% 늘면서 반등을 딱 한 번 했습니다.하지만 올해 1분기부터 0.4%로 다시 쪼그라들더니, 2분기에는 마이너스로 전환된 겁니다.아까 실질 지출액이 34만 1천 원이라고 했잖아요.같은 기준으로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9년 이후 최저치고요.그 이전까지 기간을 늘리면 9년 만에 가장 작은 규모입니다.먹거리 물가가 오른 걸 감안해도 지출을 줄였다는 건데 이유가 뭔가요?아무래도 고물가에 지갑을 닫았겠죠.먹거리 고물가 왜 그런가 봤더니 폭염, 폭우 이상 기후가 있었을 거고요.또 가공식품이 가격이 줄줄이 인상된 것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지난해 기억하실 텐데요. 지금 그래프 보시면 작년 연말에 원 달러 환율이 아주 가파르게 올라가는 게 보이시죠.환율이 아주 크게 올랐습니다.그러면서 우리가 수입하는 원자재에 반영이 되면서 식품 기업들이 출고가를 줄줄이 올렸고요.또 올해 상반기 정치적 불확실성까지 이어지면서 여기저기 가격 올리는 데가 많았죠.결국 이런 영향으로 밥상에 올라오는 식자재가 다 올랐고, 소비자들이 허리띠를 졸라매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 겁니다.먹거리 물가가 서민들 힘들게 한다는 얘기는 어제오늘 얘기가 아닌데요.그동안 5년 넘게 전체 물가를 훨씬 웃돌고 있습니다.이렇게 물가 상승분이 차곡차곡 쌓이면서 올해 2분기 식료품 비주류 음료 물가지수는 125.33까지 올랐는데요.전체 물가지수 116.32를 크게 웃돌고 있습니다.마지막으로 이건 정부가 시행하는 새로운 정책인가 보네요?지난달 29일에 발표한 예산안에는 밥값 지원 사업이 포함돼 있는데요.인구 감소 지역의 중소기업 근로자에게 월 4만 원 상당의 식비가 지급된다는 내용이 포함됐습니다.'직장인 든든한 한 끼'라는 이름의 이 시범 사업인데요.총 79억 원이 들어가고요. 근로자 5만 3천 명에게 지원이 됩니다.사업은 크게 '천 원의 아침밥'과 '든든한 점심밥' 두 종류로 나눠볼 수가 있겠는데요.'천 원의 아침밥'은 백반이나 덮밥같이 쌀을 활용한 식사나 김밥 같은 간편식을 한 끼당 1천 원에 제공하는 겁니다.예를 들어, 단가가 5천 원이라면 정부가 2천 원, 지자체와 기업이 각각 1천 원씩을 지원해서 직장인은 단돈 1천 원만 내면 되는 겁니다.'든든한 점심밥' 사업은 근로지 내에서 외식할 때 점심시간, 그러니까 오전 11시부터 오후 3시까지 결제한 금액의 20%를 월 4만 원 한도로 지원해 줄 예정입니다.또 이미 대학생을 상대로 지원됐던 '천 원의 아침밥'은 다들 잘 아시죠.내년 예산을 111억 원을 잡아서 지원 학교를 39개 늘려서 240개로, 대상자는 90만 명을 늘려서 540만 명으로 확대했습니다.신규로 시행되는 사업도 있는데요.초등학교 1, 2학년 늘봄 학교 대상으로 예산 169억 원을 들여서 주 1회 과일 간식을 지급하게 됩니다.
작성자 : 빌애크먼고정닉
최근 위기라는 미국 만화시장 근황...
"일본 망가가 미국 코믹스를 지배하고있다"마블,디씨 등 슈퍼 히어로물들의 성공적인 미디어믹스화는 별개로 원작은 꾸준히 침체기를 보냈고 어벤져스 엔드게임 이후로는 그에 준하는 메가히트작이 영화판에서 조차 나오질않아 요즘 미국 만화계에서 자주 언급되고 있는 말임그 콧대높은 미국 만화계에서 어째서 이런소리가 나오게 되었는가?2021~2022년 미국 코믹스/그래픽노블 연간 판매량 비율망가:76.71%슈퍼 히어로:6.45%기타:16.84%연간 판매량 비율에서 일본 망가가 무려 약 77%를 차지하는 결과가 나왔는데 당연히 미국 만화계는 큰 충격을 받았음심지어 귀멸의 칼날 단 한작품이 미국 코믹스 전체 판매량을 압도한다는 사실이 나와버린것그 이후로도 여러 히트작이 탄생했고 점점 일본 만화의 파이가 커져갔는데...2023년 미국 코믹스/그래픽노블 시장 점유율망가:53%아동 소설:26%청소년 소설:6%슈퍼 히어로:4%전년대비 4.1% 증가하면서 청소년 소설,판타지 장르와 함께 플러스 성장을 기록했으며 미국 내에서 가장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준것반대로 슈퍼 히어로물은 전년대비 -1.7% 4%까지 쪼그라들면서 4위로 전락한 상황일본의 2위 출판사인 코단샤의 매출이 마블,디씨를 합친 매출보다 크다는 사실또한 지적받고 있는 중물론 명확한 이유가 있기에 자조적인 목소리도 나오고 있는 중임미국 코믹스의 고질적인 문제점인 개성이 부족한 캐릭터, 장르의 다양성 부족, 일관성이 없고 옴니버스식으로 뚝뚝 끊기는 스토리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많은 편일본 망가는 메인/서브 캐릭터들 모두의 개성을 잘 챙기는 편이고 장르적으로도 이런것까지 있다고?(예:낚시,레저,비인기종목 스포츠 등)라는 말이 나올정도로 다양한데다가 일부 일상 작품들을 제외하면 스토리가 이어지는 경우가 많은 등 미국 코믹스와는 정반대의 특성을 보여주고있음또다른 이유는 일본 애니메이션 시장의 꾸준한 성장률일본 애니메이션 시장은 80년대 드래곤볼 이후로 글로벌화에 성공해 꾸준히 성장해왔는데 2020년 코로나 사태 이후로 보편화된 OTT 서비스를 통해 매우 큰 이득을 볼 수 있었음약 3조엔이라는 거대시장으로 성장했으며 그 중에서 절반이상이 해외전개라는 통계도 나온 상황이렇게 여러 작품이 미디어믹스화에 성공하면서 20년대의 일본 만화 매출액은 95년 2차 황금기를 넘어서는 기세를 보여주고있음귀멸의 칼날,주술회전,진격의 거인 파이널시즌,스파이 패밀리,장송의 프리렌 등 20년대 히트작들 모두가 OTT의 보편화로 인한 혜택을 받으면서 원작 판매량 또한 폭증했고 마침 침체기였던 미국 코믹스 시장을 잡아먹는것은 시간문제였다는 추측이 많은 이유 요약:미국 만화 특유의 고질적인 문제인 가독성 문제와설상가상으로 pc사상에 찌든 독개구리들까지 코믹스 시장에 마수를 뻗치니 걍 일본만화에 잠식당하는중...
작성자 : ㅇㅇ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