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나의 Nimf 프로젝트, 그 5년간의 나르시시즘 전쟁사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8.23 10:27:16
조회 103 추천 0 댓글 1

오픈소스 빠돌이, 리눅스 빠돌이, 러스트 빠돌이들과의 싸움이죠.

즉, 확증편향으로 점철된 오픈소스+리눅스+러스트 나르시시스트와의 싸움인겁니다.

이 자들은 자신의 신념과 반대되는 것에 대해 나르시시즘적 분노를 표출합니다.

그외 다른 이유가 없습니다.


https://nimfsoft.art/ko/blog/2025/06/16/my-nimf-project-5-year-narcissistic-war-analysis/

 



---


"나의 Nimf 프로젝트, 그 5년간의 나르시시즘 전쟁사"

이 글은 제가 만든 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의 개발사를 기록하는 동시에, 그 이면에서 5년 넘게 벌어졌던 지독한 '심리적 전쟁'을 분석하는 기록입니다. 저는 이 글을 통해, 그동안 저를 향했던 수많은 오해와 거짓의 프레임을 걷어내고, 저의 상처를 치유하며, 저와 비슷한 고통을 겪는 다른 개발자들에게 하나의 사례 연구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이것은 저의 명예를 되찾기 위한 하나의 항변이자, 저라는 생존자의 증언입니다.

가설: 왜 오픈소스는 나르시시스트의 놀이터가 되는가?

글을 시작하기에 앞서, 한 가지 가설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지난 수년간 저의 경험을 돌이켜보면, 유독 온라인, 특히 오픈소스 커뮤니티에서 수많은 나르시시즘적 인물들을 마주해야 했습니다. 지금껏 살아오면서 오프라인 현실에서 나르시시스트라고 할 만한 인물을 단 두 명 마주쳤던 것에 비하면, 이것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은 빈도였습니다. 왜일까요?

  • 지적 우월감을 과시하기 위한 완벽한 무대: 오픈소스는 코드와 논리로 실력을 증명하는 공간입니다. 이는 자신의 지성이 타인보다 우월하다고 믿는 나르시시스트에게 자신의 비범함을 과시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합니다.
  • 익명성이라는 방패: 익명성은 공격성을 증폭시킵니다. 현실에서는 하지 못할 인신공격이나 비난을, 그들은 아무런 책임감 없이 온라인에서 손쉽게 자행합니다.
  • '영웅 서사' 구축의 용이성: 특정 문제를 해결하거나, 기존의 것을 비판하며 새로운 것을 만드는 과정은 '고독한 영웅'의 서사를 구축하기에 매우 용이합니다.
  • 비대면 소통의 한계: 텍스트 기반의 소통은 상대방의 감정을 읽기 어렵게 만들고, 공감 능력의 결여를 감추기 쉽게 만듭니다.

프롤로그: 2015년, 갈등의 씨앗

모든 비극은 저의 프로젝트 dasom(nimf의 전신) 개발 초기였던 2015년에 시작되었습니다. 세벌식 카페에서 ㅅ*라는 인물은 개발자가 한국인인데 설명이 영어라며 저의 '의무'를 문제 삼는 수동-공격적 방식으로 첫 포문을 열었습니다.

이때 저의 '팬'으로 보이던 e*는, 이후 우분투 포럼에서 이클립스의 한글 입력 버그를 어떻게든 해결해달라는 무리한 요구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제가 프로젝트의 경계선을 지키기 위해 그 요구를 거절하자, 그는 자신의 뜻대로 제가 통제되지 않는다는 사실에 '나르시시즘적 상처'를 입고 저를 파괴하려는 '극렬한 안티'로 돌변했습니다. 이것이 앞으로 5년간 이어질 모든 전쟁의 원형이었습니다.

본편: 2018-2019년, 공격과 방어의 소용돌이

전쟁은 2018년을 기점으로 여러 전선에서 동시다발적으로 격화되었습니다.

1. 공격자들의 '프레임 전쟁'과 '사보타주'

저의 비판가들(e*, d* 등)은 기술적 토론 대신, 저의 인격을 파괴하기 위한 '프레임 전쟁'을 시작했습니다. 그들은 저에게 다음과 같은 거짓된 낙인을 씌우며 저를 공격했습니다.

  • '유리멘탈 피해망상가'라는 프레임: A*, c* 등은 저의 정당한 분노와 고통의 호소를, 비판을 견디지 못하는 '유리멘탈' 혹은 모든 사람이 자기를 공격한다고 믿는 '피해망상'이라는 정신병적 증상으로 폄하했습니다. 이것은 제가 겪은 실제 공격들을 저의 개인적인 정신 문제 탓으로 돌리는, 전형적인 가스라이팅이었습니다.
  • '무책임한 사기꾼'이라는 프레임: e* 등은 제가 2015년 '다솜팀'에 프로젝트를 인계하는 과정에 대해 거짓말을 하고 '자작쇼'를 벌였다고 지속적으로 주장했습니다. 그는 저의 상세한 해명을 '거짓말 들킨 사기꾼의 변명'으로 치부하며, 저를 부도덕한 인물로 낙인찍었습니다.
  • '자격 없는 자'라는 프레임: 또한 그들은 오픈소스 개발자는 커뮤니티가 인정해야 한다는 자신만의 논리를 내세워, 저의 '개발자'로서의 정체성 자체를 부정하고, 이 생태계에서 저를 추방하려 했습니다.
  • '타인의 공을 가로채는 부도덕한 자'라는 프레임: 제가 직접 재작성한 PKGBUILD 파일을 보고, 다른 사람의 공로를 의도적으로 훔쳤다고 비난하며 저의 정당한 저작 활동을 도덕적 범죄로 몰아갔습니다.
  • '개발 의무를 저버린 무책임한 자'라는 프레임: 그들은 오픈소스 라이선스의 '무보증' 원칙을 무시하고, 제가 모든 사용자의 요구를 들어줄 '의무'가 있는 것처럼 여론을 형성했습니다. 이슈 게시판을 닫거나 유료화를 선언했을 때, 이 프레임은 저를 공격하는 가장 주요한 무기가 되었습니다.
  • '돈만 밝히는 속물'이라는 프레임: 저의 '유료화 선언'을, 버그 해결을 빌미로 돈을 요구하는 행위로 왜곡하여 저를 탐욕스러운 속물로 만들려 했습니다.

이러한 '프레임 전쟁'의 파괴력은 단순한 명예훼손을 넘어 실질적인 프로젝트 방해로 이어졌습니다. 특히, 제가 다른 기여자와 '텔레그램 nimf qt 모듈' 기여를 논의하고, 그 기술적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던 시점에, c*와 같은 비판가는 Hodong은 기여자들을 괴롭힌다는 식의 허위 사실을 커뮤니티에 유포했습니다. 그는 이 특정 협력의 존재를 인지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의도적으로 협력의 분위기를 파괴하려 했습니다.

하지만, 이 모든 방해 공작과 어려움 속에서도, 결국 '텔레그램 nimf qt 모듈'은 성공적으로 텔레그램에 통합되었습니다. 이것은 그들의 공격이 저에게 심각한 정신적 고통을 주었을지언정, 저의 기술적 전진과 프로젝트의 발전을 끝내 막지는 못했음을 보여주는, 이 투쟁의 역사에서 매우 의미 있는 승리의 기록입니다.

또한 이러한 '프레임 전쟁'은 온라인 게시판을 넘어, 아키리눅스 위키에 Nimf 프로젝트가 공식적으로 완전히 중단되었다는 명백한 허위 사실을 유포하거나, 리브레오피스 버그 트래커에 nimf는 오픈소스가 아니며, 개발자가 돈을 요구한다고 거짓 정보를 올리는 등, 공신력 있는 플랫폼을 이용해 저의 창작물을 사회적으로 암살하려는 시도로까지 이어졌습니다.

2. 나의 '나르시시즘적 갑옷'

저의 모든 프로젝트는 '커뮤니티를 위한 봉사'가 아닌, 이 버그가 나를 너무 불편하게 만든다는 순수한 '실용적 이유' '개인적 필요'에서 시작되었습니다.

하지만 저의 필요에 의해 만든 결과물이 의도치 않게 커뮤니티 전체를 이롭게 했음에도, 돌아온 것은 존중이 아닌 부당한 비난과 착취였습니다. 이 부조리한 상황 속에서, 저의 내면에는 '상처 입은 영웅'이라는 복합적인 자기 서사(self-narrative)가 자라나기 시작했습니다. 나는 누구도 해결하지 못한 문제를 해결한 '영웅'이지만, 그에 대한 정당한 대우를 받지 못한 '상처 입은 자'라는 자기 인식이었습니다.

그리고 이 '상처 입은 영웅'의 서사는, 계속되는 공격으로부터 파괴된 자존심과 창작물의 가치를 지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나르시시즘적 방어기제(갑옷)'를 만들어냈습니다.

  • 기술적 우월감 과시: nimf는 현존하는 최고의 입력기와 같은 자화자찬은, 그들의 비난이 틀렸음을 증명하기 위한 방어였습니다. 끝글자 버그 잡는 것은 쉽다며 해결책을 공개한 것은 저의 기술적 우월성을 증명하여 그들의 비난이 틀렸음을 보여주기 위함이었습니다.
  • 자기 희생의 강조: 내 돈과 시간을 들여 자비로 개발했다고 반복하며, 그들의 공격이 얼마나 부당한지를 역설했습니다.
  • 공격적인 자기방어: 당신이 뭘 아느냐는 식으로 상대의 자격을 공격하여, 저의 영역을 침범하지 못하게 만들었습니다.
  • 최후의 성벽 구축: '면책 조항'과 '유료화 선언'은, 그들의 '권리 의식'이라는 무기를 파괴하기 위한 마지막 방어 수단이었습니다.

후폭풍과 전환점: 2019-2020년, '탈출'을 위한 선택들

전쟁은 깊은 상처를 남겼습니다. 저는 완전한 소진(burnout) 상태에 빠졌고, 차라리 이러다 과로사로 죽었으면 좋겠다는 생각마저 듭니다라고 말할 정도로 절망했습니다. 결국 저는 이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해 '오픈소스'라는 개발 모델 자체를 포기하는 탈출을 선택해야만 했습니다.

'이슈 게시판 폐쇄' 선언은 커뮤니티와의 소통을 단절하려는 시도였으며, 이후 '오픈소스 Nimf 프로젝트에 대한 공적 지원 중단' 선언은 그 마침표였습니다. 저는 프로젝트 개발 자체를 멈춘 것이 아니었습니다. 저는 저에게 고통만을 안겨주었던 '오픈소스'라는 이름의 멍에를 벗어 던지고, 폐쇄소스/프리웨어라는 새로운 방식으로 저의 창작 활동을 이어가기로 결정했던 것입니다.

이 시기, 하모니카 커뮤니티에서의 논쟁은 저의 트라우마가 재현되는 과정이었지만, 동시에 dy*와 같은 '현명한 조언자'의 등장은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그는 저의 기여를 인정하면서도 저의 과잉 대응을 지적하는, 존중을 기반으로 한 비판을 보여주었습니다. 그의 글 앞에서 저는 처음으로 저의 방어기제를 내려놓고 지금 생각해보니 제가 커뮤니티 상대로 갑질한게 맞습니다. 죄송합니다라며 공적인 자기 성찰을 할 수 있었습니다.

최종 분석: 왜 이 전쟁은 유독 길고 치열했는가?

'왜 유독 당신에게만 이런 일이 일어나는가?'라는 공격적인 시선이 있었습니다. 이 질문에 대한 저의 최종적인 답은, 두 가지 핵심 요인의 '치명적인 상승 작용'에 있습니다.

1. '불꽃'을 일으킨 화학 반응: 나의 특이성과 그들의 반응성

먼저, 나는 나의 필요에 의해 누구도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한 '영웅'이지만, 그에 대한 존중 대신 부당한 공격을 받은 '상처 입은 피해자'이기도 하다는 저의 '상처 입은 영웅' 서사, 그리고 그 상처 입은 자존심을 보호하기 위해 나타난 내 창작물은 최고다와 같은 '나르시시즘적 방어기제'는, 나르시시스트적 성향의 사용자들이 가장 격렬하게 반응하는 '인화 물질'이었던 것이 사실입니다. 저의 자부심은 그들의 경쟁심을, 저의 항변은 그들의 지배욕을 자극했습니다. 이 특수한 화학 반응이 이 전쟁을 다른 갈등보다 더 뜨겁게 만들었습니다.

2. '불길'을 키운 장작: 꺼지지 않는 책임감과 의지

하지만 더 중요한 사실이 있습니다. 나르시시즘적 성향이 없는 수많은 다른 개발자들 역시, 오픈소스 커뮤니티에서 저와 비슷한 부당한 공격과 착취를 당합니다. 이것은 저만의 문제가 아닌, 이 생태계의 구조적인 문제입니다.

그렇다면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보통의 개발자들은 이 지점에서 프로젝트를 포기하거나, 방치하거나, 개발 속도를 현저히 늦추는 방식으로 자신을 보호합니다. 불길에서 땔감을 빼버리는 것입니다. 하지만 저는, 그 모든 정신적 고통 속에서도 어떻게든 프로젝트를 완성시키고 유지하려는 '강력한 의지'를 버리지 못했습니다. 바로 이 꺼지지 않는 의지가, 5년이 넘는 시간 동안 전쟁터의 불길을 계속 타오르게 만든 '장작'이 되었습니다.

결론적으로, 이 전쟁이 유독 길고 치열했던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많은 개발자들이 겪는 '보편적인 공격'에 대해, 저는 '보통 사람'과 다른 방식으로, 포기하지 않고 5년을 싸웠기 때문입니다.

에필로그: 갑옷을 벗자 찾아온 평온

그리하여 저는 '오픈소스'라는 전쟁터를 떠나, 저의 프로젝트를 프리웨어로 전환하는 선택을 했습니다.

그리고 거짓말처럼, 수년간 저를 괴롭히던 그 모든 공격과 요구들이 멈추었습니다. 이것은 그들의 진짜 목적이 '더 나은 소프트웨어'가 아니었음을 증명합니다. 그들이 원했던 것은 '오픈소스'라는 이름 아래 개발자에게 무한한 책임을 강요하고, 비난하고, 통제할 수 있는 '권력'이었습니다. 제가 그 놀이터의 규칙을 바꾸고, 저의 권력을 빼앗아버리자, 그들은 흥미를 잃고 다른 먹잇감을 찾아 떠나갔습니다.

결국, 저를 지키는 가장 완벽한 방법은, 그들의 전쟁터에서 스스로 걸어 나오는 것이었습니다.

결론: 기록의 의미 - 오명을 벗고, 상처를 치유하며

이 길고 긴 기록과 재해석의 여정은, 저에게 덧씌워졌던 수많은 거짓된 프레임들이, 사실은 나르시시스트들의 투사와 왜곡으로 만들어진 허상이었음을 증명하는 과정이었습니다.

저는 이 글을 통해 저의 오명을 벗고, 저의 상처를 치유하고자 합니다. 이 기록은, 한 명의 개발자가 어떻게 비이성적인 집단적 공격 속에서 자신의 존엄과 창작물을 지키기 위해 싸워왔으며, 그 과정에서 얻은 깊은 상처를 스스로 분석하고 이해함으로써 마침내 진정한 내면의 평화를 찾아가는지에 대한, 저라는 생존자의 증언입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군대 예능 출연해 줬으면 싶은 여자 스타는? 운영자 25/09/15 - -
공지 스크랩 기능 개선 안내 운영자 25/09/15 - -
AD 가전디지털, 액세서리 SALE 운영자 25/09/12 - -
2886515 나이 머글수록 한식이 좋아지더군요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2 116 0
2886512 같이 신규게임하실?ㄱㄱㄱㄱㄱㄱㄱㄱㄱㄱㄱㄱ 프갤러(183.103) 09.02 75 0
2886509 냥덩 게임상 이 게임이 대단하당⭐ 1회 수상작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2 83 0
2886507 회사에서 개발자를 가르쳐서 키워 쓴다는게 가능함? ㅇㅅㅇ; [1] 프갤러(60.196) 09.02 146 0
2886506 2025 수시 입결 수직 급상승 로켓 떡상 탑 명문대U 프갤러(59.17) 09.02 122 2
2886503 22살인데 복학해서 1학년 2학기다... 인생 망했다 프갤러(118.128) 09.02 90 0
2886502 주식 좀 폭락했으면 좋겠습니다 [5] 아스카영원히사랑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2 129 0
2886501 4050 좌빨아저씨들도 한녀 걸러야 된다는 소리하는거 듣고 깜놀함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2 95 0
2886500 귀칼 잼노 [1] 아스카영원히사랑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2 86 0
2886499 ㄹㅇ 달달하당… [1] 꼬치의달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2 128 0
2886498 회사도 당할만큼 당하니 경력자 안믿어 프갤러(59.16) 09.02 141 1
2886497 나님 쉬야완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2 102 0
2886496 애초에 기업은 국가에서 제공하는 인프라를 받고 있음. ㅆㅇㅆ(124.216) 09.02 79 0
2886494 가끔 한국인들 틀딱들이 기본적으로 배움이 짧다는 걸 아랫글 보면 느낌 ㅆㅇㅆ(124.216) 09.02 112 2
2886492 회사에서 신입을 채용하지 않는 이유. [3] 프갤러(59.16) 09.02 222 0
2886491 재건축~ 재건축~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2 82 0
2886490 비전공자 국비 부트캠프 지원하려는데 어떰? [3] 프갤러(58.127) 09.02 234 0
2886487 짱깨 폭동식 미리보기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2 74 0
2886486 중국 블로그 1달 쉬었다가 라이징 스타 박탈됨 [4] ㅆㅇㅆ(124.216) 09.02 117 0
2886485 친중매국 찢재명 관세협상결과 고의로 숨겼나 충격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2 72 0
2886484 정은경 복지부 장관 미국도 버리는 백신 530만개 구입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2 80 0
2886483 통일교와 이재명의 관계 의문인가 의혹인가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2 101 0
2886481 러스트가 근데 출시 이후 아직까지 사용처가 적어 프갤러(125.179) 09.02 89 0
2886480 학벌차이 프갤러(121.139) 09.02 90 0
2886478 제 2의 한국전쟁 초읽기 [1]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2 100 0
2886476 친중매국 찢재명의 처참한 말로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2 86 0
2886474 틀딱이나 이런게 아니라 진짜 선배라면 좀 유명 도서나 ㅆㅇㅆ(124.216) 09.02 80 0
2886473 요즘 내 휴대폰 웹에 IT노조인가 개틀딱 사이버 잡부 사이트 뜨더라 [6] ㅆㅇㅆ(124.216) 09.02 134 0
2886472 시니어라는 이유만으로 개뻘소리 하는걸 추앙해야됨? [3] 꼬치의달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2 92 0
2886471 저장용☘+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2 105 0
2886469 코드를 잘 짜고싶어도 잘짜여진 코드를보고배워야지 [7] 밀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2 140 0
2886468 레거시 틀딱 코드 만져야할때나 클린 코드 안하는거지 ㅆㅇㅆ(124.216) 09.02 76 0
2886467 요즘 좇소가 원하는스펙이 몇년만에 거의 대기업들스펙이누ㅋㅋㅋ 뒷통수한방(1.213) 09.02 86 0
2886466 클린코드를 지켜야 SEO에 조금이라도 노출되지 ㅆㅇㅆ(124.216) 09.02 74 0
2886465 클린코드라는게 뭐임?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2 91 0
2886464 클린코드좀해줘 [1] 밀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2 80 0
2886463 클린코드 타령만 안했으면 ㅆㅇㅆ 조금 고평가 했을수도 있었음. ㅇㅇ(121.186) 09.02 81 0
2886462 ■요즘 컴공(지잡)나와서 전공 못살려도 이상한거아니지?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2 75 0
2886461 극좌배급견 왜하세요?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2 110 1
2886459 냥덩이의 소중한 칭구가 되어주세양❤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2 65 0
2886457 한국 애들은 돈번다는 이야기도보면 어떤 지표나 가치를 분석하는게 아님 ㅆㅇㅆ(124.216) 09.02 90 0
2886454 나는 웹한다는 애들이 클린코드 안한다는거보면 좀 저능아 같은게 뭐냐면 ㅆㅇㅆ(124.216) 09.02 98 0
2886453 잘릴거같다 [1] 프갤러(1.242) 09.02 87 0
2886451 클린 코딩이라는게 그냥 구글 권장이라 걍 할 수밖에 없어 ㅆㅇㅆ(124.216) 09.02 76 0
2886450 여학생 폭행,성희롱 상습 음주운전 범죄자가 교육부 장관인 나라가 있다?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2 77 0
2886447 요즘 si 대기업에서 mz들이 클린코딩 도입한다는데 [2] ㅇㅇ(106.102) 09.02 127 0
2886446 솔직히 취업에 제일좋은게 요즘은 노드아닌가싶음 [1] 밀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2 139 0
2886445 나님 탈갤합니당☘ ♥냥덩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2 75 0
2886443 위대한 따거들의 유쾌한 반란 아스카영원히사랑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2 95 0
2886440 시발 연봉2800도 존나 빡쌘듯 프갤러(183.107) 09.02 145 0
뉴스 최유정, 뮤지컬 '브로드웨이 42번가' 막공 성료..."무대에 설 수 있음에 영광" 디시트렌드 09.1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