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프로그래밍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프로그래밍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계부가 3년간 성 학대... 친엄마 "지나간 일인데 덮고 살자" ㅇㅇ
- 박성재 "계엄이 어떻게 내란이냐"…반박한 법무부 과장과 갈등 ㅇㅇ
- 싱글벙글 대만 건물들이 구린 진짜 이유..jpg ㅇㅇ
- 선정적이라고 욕먹는 고말숙 언행 ㅇㅇ
- 한국 농가 살리는 진짜 프렌차이즈 ㅇㅇ
- 불임 부부들 성지 였던 한의원 드디어 국가 지원 받는다 ㅇㅇ
- "여성 우산 드는 건 당연하죠"..서양 남자와 비교 받는 한국 남성들 ㅇㅇ
- 데이터센터는 과연 돈이 될까? 애기데모닉
- 싱글벙글 한화 이글스 근황 길호철
- 역대 지포스,라데온 25년치 모든 세대를 모았다 GPU수집가
- 전현희 “사면 여론 나쁘지 않아…李지지율 하락배경 아냐” 관심종자
- 전한길 언론사 창간에 윤상현 나경원 "신뢰 받을 것" ㅇㅇ
- 코스프레… 볼래…? ㅇㅇ
- "약혼녀는, VIP 접대부"…성매매 다이어리의 회장님들 ㅇㅇ
- 님들 이케빈 기억 남??.근황 삼갤러
초스압)싱글벙글 현존하는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자동차 브랜드
https://youtu.be/RMeN0CFNWmk?si=g5AJRvgtGCtixR7P(보면서 들으면 좋은 노래) 바로 제너럴 모터스 산하의 브랜드인 "뷰익"이다 1899년 창업한 뷰익은 현재까지 GM 산하에서 무려 126년이라는 세월 동안 준 프리미엄 브랜드로 존속하고 있다. "? 뷰익이 1903년 캐딜락이 1902년 창립이라 캐딜락이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자동차 메이커로 알고 있는데 무슨 소리노?" 차를 좀 아는 게이들이라면 이렇게 생각할 것이다. 이것도 틀린 말은 아니지만, 엄밀히 말하자면 1903년 창립은 뷰익이 자동차를 만들기 시작한 연도로, 실제 창립 연도는 1899년이다. 장장 126년의 장대한 역사를 써내려 갈 뷰익의 시작은 171년 전, 데이비드 던바 뷰익의 탄생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데이비드 던바 뷰익 (David Dunbar Buick)은 1854년 9월 17일, 스코틀랜드 앵거스의 항구도시 아브로스에서 목수였던 아버지와 여관 종업원이었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이후 그가 2살일 때에 가족은 디트로이트로 이주하였으며, 5살 때 아버지가 죽고 11살에는 학교를 그만두고 취업전선에 뛰어드는 다사다난한 유년기를 보내다 기술을 배웠으며, 성년이 되고 나서는 배관 업계에서 나름 탄탄히 자리를 잡게 된다. 그런데 28살이 되던 1882년, 기존에 본인이 다니던 회사가 망하자 친구인 윌리엄 셔우드 (William S. Sherwood)와 함께 다니던 회사를 매입하고, Buick & Sherwood Manufacturing Company 라는 이름으로 회사를 창립해 본격적으로 사업가의 길을 나서게 된다. 배관 사업이 순항을 겪던 1899년, 뷰익은 뜬금없이 내연기관에 흥미를 느끼고 업종 변경을 친구인 셔우드에게 제안했으나, 그는 갑자기 육갑을 떠는 뷰익이 쎄하다고 느꼈는지 손절을 선언하고 뷰익과 합의 끝에 회사를 처분한 뒤 떠나버리게 된다. 그리고 약 10만 달러의 자본금을 얻게 된 뷰익은 오히려 방해되는 친구가 사라졌다며 "개꿀 ㅋㅋㅋ" 이러고 새롭게 차린 회사를 Buick Auto-Vim and Power Company 라 명명하고 내연기관을 만들기 시작했는데, 이 회사가 바로 지금 뷰익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처음에는 개좆박았다. 당연한 이야기다. 내연기관이라는 것은 지금도 그렇지만 당대에는 최첨단 하이테크놀러지의 산물이었기에 평생을 피치공주 구하는 마리오로 살아온 뷰익에게는 하나부터 열까지 다시 배워야 하는게 바로 내연기관이었다. 그러나 하늘은 씹창을 내도 기회 한 턴은 주는 법, 뷰익은 운이 매우 좋게도 귀인들을 만나게 된다. 바로 월터 로렌조 마르 (Walter Lorrenzo Marr)가 뷰익의 회사에 합류한 것이었다. 그는 이전부터 오토바이 엔진을 만들어본 경험이 있는 이 쪽 업계에선 고인물이라 불릴 만한 인물로, 엔지니어로서의 강한 야망과 지적 호기심에 압도된 인물이라고 할 수 있었다. 그리고 그와 함께 뷰익에 합류한 유진 C. 리처드(Eugene C. Richard)도 마르와 함께 협업해 본 적이 있어 엔진에 대해 존나게 빠삭한, 마르와 함께 초기 뷰익에 엄청난 도움이 된 귀인들이었다. 하지만 데이비드 뷰익은 위에서 친구 셔우드와 싸운 것 같이, 지 꼴리는 대로 행동하던 양반이라 뭔가 마찰이 있다 싶으면 "그럼 죽어"를 시전하던 사람이다. 이 때문에 월터 마르도 결국 뷰익과 존나게 싸우고 "좆까 ㅂㅅ아 나 없이 잘 되나 보자"라며 독립을 선언하게 된다. 이에 뷰익은 "오냐 병신아 니 없이도 해본다 씨발"로 응수했는데, 참으로 자강두천이 아닐 수가 없다. 월터 마르가 회사를 떠나고 난 뒤인 1902년, 뷰익은 짱구를 존나게 굴리고 또 굴린 끝에 세계 최초로 흡기 밸브와 배기 밸브가 엔진 위에 올라가 있는 오버 헤드 벨브 (Over Head Valve, OHV) 방식의 엔진을 개발하는 것에 성공하는데, 이는 향후 100년 이상 동안 계속해서 엔지니어링에서 사용될 아주 혁신적인 발명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발명이 어째서 혁신적이냐면, 당시 대부분의 엔진은 흡기 밸브와 배기 밸브가 엔진 측면에 있는게 일반적이었는데, OHV 엔진은 비록 생산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지만 그 단점을 상쇄하는 획기적인 압축비 상승과 연소실에 공급되는 연료의 공급량 향상이라는 장점으로 기존 엔진들을 모두 사장시킬, 그야말로 기술의 정점이라 불리울 만한 엔진이었기 때문이다. 물론 뷰익이 갑자기 하늘에서 계시를 받아 이런 개쩌는 엔진을 만든건 아니고, 원래 회사에서 나갔던 월터 마르가 삼륜차에 장착하기 위해 고안했던 것을 뷰익이 짜맞춰서 만들어낸 발명이었다. 하지만 뷰익의 상황은 좋지 못했다. 1899년부터 1903년까지 판매 실적이 겨우 자동차 단 1대에 그치는 말도 안되는 실적을 보여줬는데 그동안 회사를 빚으로 굴리고 있던 처지였다. 사실 그 자동차 한대도 고객에게 판게 아니라 빚을 갚지 못해 대금 대신으로 준 것이었고, 그 자동차를 받은 사람이 바로 뷰익의 채권자이자 친구인 철재 관련 업종에 종사하던 사업가 벤자민 브리스코 (Benjamin Briscoe)였다 1903년, 회사가 망하게 생긴 뷰익은 친구인 벤자민 브리스코를 찾아가 바지가랭이 매달려가지고 형님형님형님을 외치면서 앙망하기에 이른다 브리스코는 뷰익이 경영능력이 병신이라는 것을 잘 알고 있었고, 이에 뷰익에게 3500달러를 빌려주는 대신, 주식회사를 만들어 6개월 안에 돈을 못 갚으면 대주주가 되어 뷰익의 회사를 소유하겠다는 위험한 계약을 제안했고, 결국 눈이 돌아간 뷰익이 OK 사인을 찍어버리게 된다 물론 경영능력이 씨발이었던 뷰익의 회사는 6개월이 되기도 전에 경영 부실을 이유로 결국 브리스코의 손으로 넘어가게 되었다. 노예계약 ㅍㅌㅊ? 브리스코는 이런 부실한 회사를 떠안고 싶지는 않아 자동차 사업에 진출하고 싶어하던 사업가를 물색 중, 꽤 괜찮은 인물을 찾게 되는데, 그 인물이 바로 미시간 주 플린트 시에서 마차사업을 하던 제임스 H. 휘팅 (James H. Whiting)이었다. 미시간 플린트 토박이었던 휘팅은 Flint Wagon Works라는 이름의 마차 공작소를 운영 중이었는데, 때 마침 자동차로 사업을 확장하고 싶던 와중 브리스코로부터 "님 이거 사실?"이라는 제안을 받고 바로 풀매수를 때리게 된다 이 때문에 휘팅은 사장이 되었으며 데이비드 뷰익은 사장 자리에서 쫓겨나고 생산 관리자로 강등당하게 된다 브리스코는 회사를 팔고, 위로금 명목으로 회사 주식 중 1500주를 데이비드 뷰익의 아들인 토마스 뷰익 (Thomas Buick)에게 줬다. 그런데 문제는 회사가 휘팅에게 넘어갈 때 빚인 3500달러도 같이 넘어가버려 빚을 갚기 전까지 회사 주식을 사용하지 못하게 만들어 버렸는데, 이 정도면 뷰익에게 마지막까지 엿을 맥이려는 브리스코의 티배깅이 아닌가 의심이 될 정도이다 한편 뷰익이랑 야차룰뜨고 회사를 나간 월터 마르는 상태가 좋지 않았다 당시 마르는 본인의 천재적인 짱구를 굴려 1기통 엔진을 장착한 자동차를 만들어 팔고 있었으나 얼마안가 회사가 불에 타버려 개씹알거지가 되었다 그러던 마르를 다시 휘팅이 "뷰익망호 너만 오면 ㄱ"를 시전해 다시 뷰익으로 데리고 왔는데, 결국 기가 막히게도 뷰익은 자기가 짜른 직원이랑 다시 한솥밥을 먹게되는 열불터지는 처지에 놓인 것이다 이 때 뷰익의 나이는 50세였다 어찌저찌 1904년, 수평대항식 2기통 엔진을 장착한 뷰익의 첫 자동차, 모델 B가 세상에 나오게 되며, 드디어 뷰익도 자동차 시장에 진입하게 되었음을 알렸다. 당시로서는 굉장히 고성능 자동차인 모델 B는 시장에서 큰 인기를 얻을 거라 사장인 제임스 휘튼을 행복회로에 젖게 만들었다 1년 뒤, 모델 B의 판매량은 연간 37대라는 확실하게 개좆망한 수치라는 것이 확인되자 휘튼은 "오또케 오또케" 상태에 빠지게 된다 사실 이 개좆망한 수치는 휘튼의 오판도 어느 정도 있었는데, 그는 플린트의 마차 공작소를 그대로 운영하면서 뷰익에 투자를 소홀히 하여 걍 조그만한 자동차 공정 하나만 추가했다보니 아예 공장 증축에 사활을 건 경쟁사 올즈모빌이나 캐딜락에 비할 수가 없던 것이다 결국 개좆된 휘튼은 뷰익이 그랬던 것처럼 친구를 찾아가 바지가랭이에 매달리는데 휘튼이 도움을 요청한 친구는 윌리엄 크레이포 듀란트 (William Crapo Durant)라는 사업가였다. 듀란트는 주주로 영입되어 휘튼이 투자했던 금액의 3배에 달하는 거금을 쏟아부어 공장을 증축하고 경영에 직접적으로 뛰어들며 뷰익 살리기에 나서는데, 이는 엄청난 효과를 보면서 뷰익은 1908년에 이르면 연간 자동차 9000대를 생산하는 명실상부 머기업이 된다. 이 시기 원래 뷰익의 주인인 데이비드 뷰익은 "꼬접 ㅅㄱ"를 선언하며 퇴직금 10만 달러를 받고 뷰익을 떠났다 한편 듀란트는 이 기회에 본인이 주주로 있는 자동차 회사를 통폐합하며 하나의 거대한 기업체를 만드는데 그것이 바로 제너럴 모터스 (General Motors)이다. 제너럴 모터스 산하에 들어온 뷰익은 경쟁사였던 캐딜락, 쉐보레 등과 한 몸이 되며 공격적으로 시장을 장악해 나가기 시작했고 1906년 1000마일 릴레이 경주에서 유일하게 완주에 성공한 자동차 메이커로 이름을 널리 알리며 국내외를 막론하고 뷰익은 튼튼하고 믿을 만한 고급차라는 인식을 얻게 된다 이 아래부터는 1910년대부터 2020년대까지의 뷰익의 변천사를 적었다 1910년대, 뷰익이 본격적으로 대기업으로 각성한 이후 새로운 플래그쉽 모델의 개발성을 실감하여 1914년 뷰익 식스가 등장한다. 당대 경쟁자인 포드 모델 T나, 기타 차량들에 비해 강력한 6기통 엔진을 얹고 있어 특출난 성능을 보여주었고, 더불어 높은 내구성과 멋들어진 디자인으로 중산층에게 큰 인기를 끌었다. 1920년대에는 기존 식스에서 더욱 개량한 마스터 식스와 스탠다드 식스가 등장하여 인기를 끌었으며, 직렬 6기통의 강력한 출력과 중후하고 점잖은 모습은 이후 뷰익의 상징이 되었다. 1930년대에는 세계 최초의 컨셉트 카인 Y-잡 (Y-Job)을 출시하며 향후 자동차가 나아갈 디자인 큐와 기술적 모토를 제시하였으며, 이는 업계에 큰 충격을 안겨다 주었다. 비록 양산차는 아니지만, 유선형 차체와 매끈한 디자인은 약 20년간 자동차 디자인 트렌드를 선도하게 된다. 1940~50년대에는 상단의 Y-잡에서 제시한 디자인을 그대로 개선하며 여러 차량에 적용하였으며, 뷰익은 고급스럽고 중후한 차량이라는 인식을 더욱 각인시켰다. 이 시기 뷰익의 대표적인 차종으로는 3세대 뷰익 에이트, 5세대 뷰익 로드마스터 등이 있다. 1960년대에는 쿠페와 콜라병 디자인으로 대표되는 깔끔한 유선형 라인의 차량들을 생산하였으며, 이 시기의 대표 차종으로는 스페셜이 있다. 1970년대에 들어서며 기존의 고급차인 리비에라의 세대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여러 혁신적인 디자인과 옵션을 추가하였으며, 이 3세대 리비에라는 특유의 뒷모습으로 마치 배 꽁무니 같다는 뜻에서 보트테일(Boattail) 리비에라로 알려지며 세간에 큰 호평을 받게 된다. 당시 작은 차체에 강력한 엔진을 넣어 고출력을 자랑하는 머슬카가 난립하던 미국 자동차 시장에서 점잖고 우아하지만 강력한 퍼스널카에 집중한 뷰익은 이례적인 것이었다. 다만 뷰익이 무조건적인 고급차 시장에 치중한 것은 아니고, 리갈로 대표되는 다른 GM과 플랫폼을 공유하는 중형 차량도 이 시기부터 생산하기 시작했다.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뷰익은 그 동안 오일쇼크로 성능이 저하된 미국차 시장을 타파하기 위해 저배기량 고성능에 신경을 쓰기 시작했고, 그 정점에 있는 모델이 바로 뷰익 리갈 GNX였다. 1987년에 등장한 이 차는 뷰익 리갈 2세대를 기반으로 547대 한정으로 생산되어 276마력에 토크가 무려 50kg에 육박하고, 제로백을 5초에 끊어버리는, 당대 최강 슈퍼카인 페라리 F40에 맞먹는 성능으로 전설이 되었다. 1990년대는 뷰익에게 본격적으로 암흑기가 닥쳐오기 시작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1960년대부터 공격적으로 들어오기 시작한 일본 자동차들의 198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렉서스, 인피니티로 대표되는 고급화와 더불어 나빠지기 시작한 제너럴 모터스 산하 회사들의 노사관계로 인한 품질 저하, 그리고 비용 절감을 위한 플랫폼 돌려쓰기 등으로 인해 소비자들이 등을 돌리기 시작했던 것이다. 그나마 뷰익은 이 시기 파크 에비뉴로 대표되는 독창성 있는 차량과 그 동안 쌓아 온 신뢰 덕분에 다른 계열사들에 비해 상황이 나은 편이었다. 2000년대는 제너럴 모터스 전체에 있어 큰 재앙이었다. 특히 2008년 세계 경제위기로 대표되는 자동차 시장의 위축화와 더불어 결국 방만한 경영이 불러온 제너럴 모터스의 파산은 여러 계열사를 없어지게 했다. 그러나 뷰익과 지속적인 브랜드 간섭을 빚던 올즈모빌이 채산성 악화로 사라지며 뷰익은 다시금 고급 브랜드라는 이미지를 각인하는데 성공한다. 또한 뷰익은 신형 리갈, 신형 파크 에비뉴와 생존을 위해 오펠에서 가져온 소형차인 세일 등으로 뷰익은 발빠르게 중국 시장에 재진출하여 브랜드를 지키는 것에 성공했다. 2010년대는 뷰익에게 있어 무난한 시기였다. 그 동안 깎였던 브랜드 가치가 다시 돌아오는데 성공하였으며, 중국 시장의 호재로 이제 슬슬 타격에서 회복하던 타 계열사와 달리 신차 개발에 박차를 가할 수 있었다. 이 시기 뷰익의 대표적인 차종으로는 2세대 라크로스가 있다. 2020년대에 오면서 뷰익은 SUV 시장을 크게 확대하기 시작하며, 중국 시장과 내수 시장에 더욱 집중하고 있다. 특히 플래그쉽 차종으로 SUV인 엔클레이브나, 그 동안 뷰익에서 생산된 적이 아예 없는 차종인 소형 CUV 엔비스타가 라인업에 추가되면서 계속 변화를 꾀하고 있으며, 앞으로의 귀추가 주목되는 바이다. 한국에 뷰익이 들어온 과정은 다음과 같다. 20세기 초 공격적으로 시장을 확장해 나가던 뷰익은 극동에도 눈을 돌리게 되는데, 이 시기 선통제 부의와 거물 정치인인 손문도 뷰익 자동차를 타고 다녔을 정도로 뷰익의 인기는 널리 알려지게 된다 이 인기에 힘입어 1920년대에는 일본 열도에 진출하였는데, 당시 일제강점기 조선에도 인기가 알려지며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경성 내에서 뷰익 차를 꽤 볼 수 있었다고 한다 당시 조선인 중 뷰익을 소유했던 유명 인사들은 인촌 김성수, 천만장자 최창학, 윤택영 등이 있었으며 프랑스 공사도 자국의 차량 대신 뷰익 차량을 구해 타고 다녔다고 한다. 1924년 뷰익의 지면광고를 보면 "힘과 작동과 품위의 자동차 신 뷰익"이라는 말로, 강력한 출력과 내구성을 자랑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1945년 해방 이후에도 뷰익은 한국에서 고급차로 명망이 높았는데 한영수 작가가 촬영한 고궁 사진에도 깨끗하게 관리된 뷰익 스페셜이 찍혀 있는 것으로 해방 직후에도 뷰익이 한국에 꽤나 있었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한국에서 뷰익의 오너로 잘 알려진 인물로는 백범 김구가 있는데, 뷰익 에이트를 소유하고 있었다고 한다. 해당 뷰익 에이트는 서울2331이라는 번호판을 부착하고 있었으며, 1948년 김구가 남북연석회의에 참여할 당시와, 1949년 김구의 국민장에도 동원되었다고 한다. 현재 백범김구기념관에 김구가 타던 차량은 아니지만, 동일 모델로 김구의 에이트를 재현한 차량이 전시 중에 있다. 1950년대 이승만 대통령이 당시 서울시장이던 윤보선의 배려로 차를 맞바꿈하여 뷰익을 타기도 했으며 (후일 아이젠하워가 선물한 캐딜락으로 교체), 부통령이었던 이기붕도 뷰익 엘란트라를 관용차로 사용하였는데, 이 엘란트라는 4.19 혁명 당시 시위대가 탈취한 사진으로 잘 알려져 있다. 재력가들의 자가용, 외국 공관의 차량, 고급 택시로 뷰익이 사용되면서 뷰익은 쉐보레, 포드, 지프와 더불어 가장 많이 볼 수 있던 외제차라고 할 수 있었다.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한국에서의 뷰익의 인기는 한 풀 꺾였으나 1976년 외무부 조사 당시에 해외공관장 차량 96대 중 벤츠 다음으로 수가 많았던게 뷰익이었다는 보고를 근거로 외국 공관 차량 등 공무용으로는 계속 인기를 끌었던 것을 알 수 있다. 1980년대 후반에는 같은 GM계열 기업인 대우가 위탁 판매를 맡아 한국에서 파크 에비뉴를 판매했으나 이는 1997년 외환위기로 수입이 중단되면서 한국에서 뷰익 차를 당분간 찾아볼 수 없게 된다. 그러다 2010년 GM대우에서 뷰익 라크로스를 알페온이라는 이름으로 뱃지만 바꿔 들여오면서 다시금 한국 땅에서 뷰익 자동차를 볼 수 있게 되었으나, 2016년에 알페온이 단종되며 한국에서 뷰익이 공식적으로 들어오는 길이 막히게 되었다 현재 국내에 새로 들어오는 뷰익은 대부분 개인 수입으로 대리점과 애프터서비스가 미비한 한국이지만 콘크리트 뷰익 매니아층이 소수 존재한다 비록 이전의 위세는 많이 죽었지만 역사가 매우 깊은 뷰익에 대해 알아보았다 긴 글 읽어줘서 고맙고 좋은 하루 되길 바란다 -끝- 3줄요약 1. 미국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자동차 브랜드는 뷰익임 2. 의외로 한국에도 굉장히 일찍 진출했었으나 현재는 수입하지 않음 3. GM대우에서 알페온이라는 이름으로 뷰익 차를 들여왔으나 현재는 단종됨
작성자 : 림송철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