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프로그래밍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프로그래밍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싱글벙글 현대인들이 아침에 피곤한 이유.jpg 수인갤러리
- 이세계 흔한 이야기 1~9화 나로딩
- 용산 오시면 풀코스 대접해드리겠습니다 (20장) doer
- 싱글벙글 인류 역사상 어깨가 제일 컸던 사람.jpg 니키타_
- 시간딱게임 sgtHwang
- 고대 죄수와 운명의 패 - 프롤로그 백룡파두목
- 미친 폭주족과 찍찍이가 워해머 보드게임 하는 만화 2 김다리미
- 싱글벙글 일남한테 여자몸무게 몇까지 가능 질문함 ㅇㅇ
- 호넷단 신입 울산-서울-속초-울산 투어후기 및 히스토리 호오네엣
- 한복 세종대왕 중국꺼? 한국 문화 지키려는 핀란드 레오 블룸
- 오늘 범어사 갔다왔워 aseven
- 싱글벙글 학교에 개 데려오면 생기는 일 ㅇㅇ
- 코멘터리랑 게스트인터뷰 다 보고 오니까 ㅇㅇ
- 대구의 명물 "대구 죽궁"...jpg ㅇㅇ
- 프랑스 망했네 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 VWVWV
세계 인기급상승 뮤직비디오 1위를 알아보자
볼리비아 GRACIAS ( 고마워 )밴드 Explosión Cumbiera의 노래 후술할 그녀의 세계 대폭격 속에서 볼리비아 유튜브 뮤직 비디오 1위를 지키고 있는 밴드다특유의 남미적 비트와 분위기가 특징.당연하지만 볼리비아 밴드다.브라질Sua Boca Mente ( 너의 거짓말 ) - Zé Felipe, Ana Castela 볼리비아와 마찬가지로, 그녀의 세계 뮤직 대폭격 속에서도 당당히 자국 뮤직비디오 1위를 지키고 있는 듀오 가수다특이하게도 브라질의 컨트리 뮤직이라고 할 수 있는 sertanejo 장르의 가수들이다.칠레JERE KLEIN - DEMONIAKA ( 악마 같이 )마찬가지로, 그녀의 대폭격 속에서도 칠레의 뮤직비디오 1위를 사수하고 있는 칠레의 랩퍼노래는 칠레 랩 스타일특이사항 : 청소년 때 마약함, 동료 래퍼와 맞따이 깜사실 전반적으로 남미는 자기들 가수 뮤직비디오가 1위 먹는데혼자 전세계적인 1위 싹 다 따먹고 계신 미친 분이 계시는데우리 미친 테일러 스위프트 누님 되시겠다. ( 인터넷으로 확인 결과 이 누님 위에 뮤직비디오는 유튜브가 따로 스페셜한 재생버튼까지 만들었다;; )대부분 선진국들 및 남미 국가들은 다 이 누나 뮤직비디오가 1위로 도배 되고 있다.나열하자면 아르헨티나, 오스테리아, 호주, 벨기에, 캐나다, 덴마크, 엘살바도르, 독일,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뉴질랜드, 노르웨이, 스웨덴, 스위스, 아랍에메르트, 영국, 미국까지 지 혼자 1위 석권하고 있으며여기서 언급 안 된 나라에서 동아시아, 인도, 사우디 제외하면 이 누나가 10위권에 무조건 머물고 있으며 그냥 씨발 생태계 파괴자로써 군림하고 계신다.아 한국은 뭐냐고? 변동은 많겠지만https://youtu.be/6k__sn8dWWk이별이라는 말로 우리의 연애가 끝난다는 게 - ROCOBERRY 이 뮤직비디오가 1등이며일본은,체인소맨 극장판 : 레제편 오프닝으로 사용 된 요네즈 켄시 - 「IRIS OUT」이 1등이다. ( 한국에서는 6등 )세계 뮤직비디오 유튜브 순위는 https://charts.youtube.com/charts/TrendingVideos/kr/RightNow YouTube Music ChartsTop Songs, Artists, Videos on YouTube.charts.youtube.com이 링크로 확인 가능하니 세계 돌아가는 걸 알고 싶다면 여기를 참조해라. ㅅㄱ
작성자 : 무대포고정닉
(박제) 한 닌붕이의 인생
-유딩시절-은색 DS 라이트랑 wii 가지고 놀았음Ds는 찾으려는데 안보인다그때 ds는 알포 썼었음7살 꼬맹이라 몰랐는데 함 봐줘라Ds로 마리오관련 게임 엄청 좋아했어서마카땜에 엄마한테 위 사달라 조른 기억이 있음말 계속 잘 들으니까 사주셨던거 같은데주말마다 가족들이랑 마카 했던 기억이근데 리모컨 하나밖에 없으니까서로 계속 번갈아가면서 했었음 ㅋㅋ그때 당시 샀던 게임은 저 5개가 끝특이하게 슈마갤 없고 슈마갤2만 있음그래서 늘 슈마갤1을 하고싶어 했던 기억이 있어-초딩시절-이땐 누나가 튀동숲하려고 산튀동숲 에디션 구큰으로 많이 놀았음걍 누나가 동숲 깔짝이다닌텐도 흥미 잃어서 내꺼가 된 ㅋㅋ근데 그건 내가 망가뜨러부림집안 어딘가에 있을텐데 찾기 귀찮그 구큰의 영혼을 뉴큰에 이식 시켰음그래서 튀동숲 다운 되어있다(튀동숲 에디션은 본체에 튀동숲 내장 되있음데이터이사 시키면 이것도 딸려옴)저 뉴큰은 내가 초4때부터지금까지 애지중지하게 써온 기기임구큰 망가뜨렸으니 당연히소중히 다루는 법을 알게됐지ㅋㅋ저기서 요시빼고 다 두루두루 많이 했었는데그중에서 포켓몬이랑 튀동숲을 많이 함개초딩이라 요괴워치 산거 ㅋㅋ근데 요괴워치 재밌긴 함대난투 들어가서 여자 러플레로혼자 게임 많이 돌림 ㅋㅋ내가 초2때 러브라이브로 오타쿠 돼서 그런가여캐를 엄청 좋아했음짤에 있는 겜들은 내가 엄마랑마트가서 다 정가 주고 산것들이야사고싶은 게임들이 너무 많아서이때 못산 게임들은이샵 게임 소개영상 계속 보면서 상상게임 하고 놀았음초3때까지 ds겜은 다 알포로 했었는데갤주영상 비슷한거 보고 계몽해서알포칩 버리고 다 정품만 쓰기로 다짐했음마루알3랑 울슈디, 소닉테크노마트에서 각각 5천원에 팔아가지고엄마가 3개 다 사줘서 엄청 기뻤음나머지는 초5정도에 용산에서 산건데다시 생각해보니까 살때 가격 좀 바가지 맞은거 같음초6때 포켓몬 실전 처음 시작해봤는데처음에 개체치? 노력치? 알기술? 이런거 몰라가지고쌩 바닐라 포켓몬으로 싸워서 맨날 졌는데실전개체 만들어가면서점점 이기는 판이 많아지니까게임을 점점 깊게 파게되고다양한 샘플들을 만드는게 재밌어서중1 소실 출시전까지 울썬문 진짜 엄청 했었다이때 맨날 실전 유튜버들이랑 일본 실전배틀 봤음게임부라는 일본 버튜버 엄청 봤었는데 추억이구나근데 걔네 회사가 성우한테 갑질 해가지고 지금은 망했어다운전용 겜들도 좀 있음22년에 돈 다운겜에 다 때려박어야 했는데달구네 야구, 밀고당기고등등삼다수 다운전용겜중에재밌는 게임 엄청 많다 들었음내가 후회된다 ㅠㅠ수많은 플레이의 흔적들-중딩시절-스위치는 19년도 말에 샀는데그때 소실 나와서임이때 야숨 처음 해봤는데 진짜 신세계였다커피를 안마셨는데도 그렇게 오래오래잠안자고 게임 할수있다는게 진짜 놀라웠다나도 그때 진짜 어캐 한건지 몰겠음진짜 3시간 자고 20시간 게임 했는데소실 레이팅은 의외로 금방 질려버려서20년도에 관뒀음코로나때 비대면수업 할때카메라 꺼놓고 마카8이랑 모동숲 했었는데이게 진짜 엄청 재밌었음그러고 성적 나락가서 엄마한테 뒤지게 혼났다이때는 그냥 님들이 아는 게임들 거의 다 사서 했음근데 게임이 많이 없어보이는데이거 고딩때 레트로겜 입문해버려서돈 없어가지고 중고로 다 팔아버려서 비어있는거스위치 살려 했던 이유인 포켓몬 소드도 팔아서 없음 ㅋㅋ-고딩시절-디커 나올때 디커 하고생각해보니 트디 안해봐서 트디 샀다가다크메타나이트 때문에 거울대미궁 하고싶어서중고로 거울대미궁 샀었음내 첫 중고거래가 임마임그러고 레트로에 입문 해버리고내 인생을 크게 바꿔버림중고거래도 이때 시작하게 됐는데내가 어렸을때 못샀던 게임들이 널려있으니까진짜 사람 미치게 만들었음처음에는 삼다수, ds위주로만 샀었다겜보이랑 겜큡겜 모은거아 빼먹을뻔 했다위게임들 모은거https://youtu.be/5yuLRgoJbUw?si=Xi3S2fSMptlGihpc그러다가 22년에 에코즈랑 신세계수 했었는데이거 하고 얘네 두시리즈가 내 최애 시리즈가 됐음세계수는 저 영상보고 입문했고에코즈는 그냥 파엠 입문 뭘로 할지 고르고 있는데“소년은 힘을, 소녀는 신을 믿었다“이 문구가 그냥 나를 이끌어버림세계수는 맵 탐험하면서 지도 그리는게너무 재밌었고파엠은 그냥 내가 오타쿠고 srpg랑 아주 잘맞아서 최애가 됨에코즈 똥 전투로 유명한데 나 이거 하면서 재미 느낌아름다운 전투브금(에코즈는 브금 goat로 유명함)들으면서아름이랑 그레이가 살인전차쇼 하는게 너무 재밌었어에코즈 하고 나서 어? 파엠 재밌네해서이프랑 풍설 바로 사서 했었음그러고 얼마뒤에 인게이지 출시했었는데인게이지 전투가 너무 재밌어서연속으로 3회차 돌렸다할때 회차마다 난이도 올리면서해가지고 파창력 엄청 올라갔음인게이지 질려가지고이프 암야 루나틱 해봤는데 진짜 엄청 재밌었음공방진 시스템이랑 맵디자인이 진짜 미쳤어23 파갤에서 막 구작주인공들 얘기많이 나와가지고 그거 계속 들으니까파엠 구작들이 너무 하고싶었어도적질의 트라키아, 역대급 스토리라는 성전의 계보그냥 재밌어 보이는 봉열검, 창염근데 다 일본판밖에 없고 한패 할려면 에뮬 써야해서정돌이 인생 무너지는게 싫어가지고 일본어 배우는 계기가 됨파엠뿐만 아니라 세계수도 계기가 되는데 일조했지사실 사진 번역으로 충분히 다 할수 있겠다 싶었는데해보니까 못해 먹겠어서 일본어 배움세계수 3이랑 각성 그렇게 했는데게임을 하는게 하는거 같지 않았어얘네 덕분에 내 일본어 실력이 n2까지 올라갔어내년에 n1 딸 예정이야모은 세계수 겜들일단 본가는 전부 모았고해본건 신섹12랑 섹리마만 해봄섹4도 하긴 했는데 2계층까지만 깸다른것들도 해보고싶었는데일본어 실력이 많이 늘었을때는군대 가야해가지고 아…섹5는 번장 보는데한정판 매물 팔고 있길래 한정판으로 샀어저거 안에 아트북이랑 앨범있음파엠도 모든 본가시리즈 전부 다 모았음찐찐 초기작 암흑문장외전 빼고실기로 전부 엔딩까지 다 봤음각성 - 성마 - 신암흑 - 봉검, 열검 - 신문장 - 창염 - 새벽 - 성전 - 트라키아 - 암흑문장외전이 순으로 모았음트리키아 곽팩이 진짜 고난이였는데얜 곽팩 하나 가격이 60만원임 오우스위치2 예구시즌때 나 트라키아 하고 있어서트라키아 곽팩이 진짜 갖고싶었어원래는 이렇게 빨리 살 계획 없었는데스위치2 살때 군대 가가지고스위치2 살려고 모아뒀던 돈 써서 샀음트라키아 사고나서 보니까초기작 3개 더 모으면파엠 본가시리즈 올컬렉 돼서나머지들도 호다닥 샀음구작런은 올해 2월부터 달리고 5월에 다 끝냈음작년 겨울에 N2 따가지고 자신감 뿜뿜 했지모르는 단어가 좀 있긴 하지만그래도 웬만한 말은 다 이해해서쾌활하게 진행 했으성전은 실기로 하다 속 뒤집어질뻔트라키아랑 신문장 진짜 재밌더라내가 모은 굿즈들도 봐줘문장사의 반지야가챠토이 치곤 퀄이 상당히 높음끼고 다니진 말자내가 리프반지 끼고 다녀봤는데도색 다 까져있더라초기작 주인공 마르스의 히로인 시더와이프 암야루트의 여동생 엘리제 넨도둘다 재판을 단 한번도 안했고적게 생산돼서 프리미엄이 엄청 붙은 레어넨도임넨도가 잘 뽑혔고 파츠가 풍성해서돈 쓴 보람이 있다군대 가있어서 가지고넨도 박스 안에 넣어놨고다시 꺼내고 조립하기 좀 번거로워서짤은 예전에 찍은거 사용함엘리제 사쿠라 그려진삼다수 선불카드 쪼가리누가 파갤에 저 일러 올렸는데선불카드 일러인거 알고 나니까쪼가리라도 저게 너무 갖고 싶은거야그래서 혹시저런 쪼가리도 멜칼에 파나 했는데팔긴 하더라근데 이건 매물이 진짜 없어맨날 멜칼에 저거 매물 언제 나오는지 체크했었음한 2,3달 하니까 떠서 바로 먹었어이건 진짜 한국에 가지고있는 사람이 나밖에 없다해도 과언이 아닐듯 ㅋㅋ인게이지 한정판이거 좀 뒤늦게 샀는데펩시 특전 주더라 ㅋㅋ파엠 한정판은 아쉽게도 이거밖에 없다https://youtu.be/WuK1WOgHSto?si=a3u8JFDjL_iZfc06성전과 트라키아 ost트라키아 앨범에만 수록된 곡을우연히 들었는데 너무 좋아서 앨범까지 샀어트라키아 사는김에 성전앨범도 같이 샀다파엠 ost앨범들도 언젠가 다 모으고싶다세계수는 피규어나 굿즈 같은거 없을줄 알았는데찾아보니까 있긴 있더라거너짱 이뻐요혹시 이것도 굿즈로 쳐줄진 모르겠는데내가 고딩때 만든 거너 키링이야 ㅋㅋㅋㅋ사진찍다 우연히 찾아서얘도 그냥 올려봄 ㅋㅋㅋㅋㅋㅋㅋ아미보랑 피규어들저거 종이 마리오는마루알 페마믹스 예약 특전이였어루이지랑 굼바도 있었는데어머니가 버리는건줄 알고 버려버린 ㅠㅠㅠㅠㅠㅠㅠhttps://www.nintendo.co.jp/kids/sp/151125/mario_luigi/index.html ニンテンドーキッズスペース|任天堂任天堂のキッズ向けのさまざまな情報をお届けする『ニンテンドーキッズスペース』です。www.nintendo.co.jp근데 저건 지금도도면도 다운 가능해서다시 만들수 있긴함 ㅋㅋ뭐냐 나 선불카드 쪼가리 안버리고잘 보관해놨었네 ㅋㅋㅋㅋㅋ3ds섭종때라 기념으로 남겼었지 ㅋㅋㅋ마지막으로 모은 기기들 보여주고 끝 맞칠게구작다수 - 뉴큰으로만 겜해서작다수로도 겜 하고싶은데 뉴작 비싸서 구작 샀음보통 12, 13년도에 나온 3ds게임 하는 용으로 사용함빨간 뉴큰다수 -위에서 나왔던 나의 가장 소중한 파트너 기계파란 뉴큰다수 -일본판 3ds겜을 돌리기 위해 샀음초기형 ds -Gba는 하고싶은데Dsl은 키감이 별로고 gba는 비싸서 샀음gba게임을 돌릴때 주로 사용함근데 무거워서 게임 좀 오래하면 손 엄청 아파Dsl -초기형 Ds는 최대밝기가 너무 낮고 무거워서rpg같은 조작 많이 필요로 안하는 게임 하려고 샀음Dsi -겜보이갤에서 ds겜은 dsi로 할때가가장 재밌다 바이럴 당해서 샀음근데 신기한게 진짜 맞는말임 ㅋㅋㅋㅋㅋㅋㅋ얘로 ds게임 하니까 더 재밌음 ㅋㅋ겜보이 라이트 -게임보이 사고싶은데순정만 쓰고싶은 마음때문에백라 내장된 정식제품인 라이트를 샀음얘가 겜보이 컬러 나오던 해에출시된 기계라 생산량이 너무 적어서 엄청 비쌌음근데 얘 백라 켜도 어둡더라진짜 불 꺼도 겜할수있다 이정도냉장고 겜보이 -게임보이 갤러리랑 유튜브에서실물사진 보고 바이럴 당해서 샀음게임보이 어드밴스 -나중에 겜큡으로 gba겜 돌릴때콘트롤러로 쓰려고 산거사실 그냥 난 이거 실기를 내 손으로만져보고 싶어서 샀어근데 스피커가 너무 구리다최대 볼륨이 너무 낮아슈패랑 일판위슈패는 온전히 파엠용으로 산거고일판위는 겜큡겜이랑 일본에만 나온 위겜 하려고 샀음한국판 위는 맨윗짤에 있다오스위치랑 컨트롤러들스위치 추가 컨트롤러는슈패콘이랑 프로콘만 샀음나머진 위리모컨이랑 눈차크, 겜큡콘임충전기도 저기 있다나도 내가 이렇게까지 물건들을 많이 모았는지 몰랐는데 진짜 엄청 많네 ㅋㅋ빨리 전역하고 해피닌텐도 라이프 하고싶다 ㅠㅠㅠ다음 휴가땐 스위치2 사서 ZA랑 슈마갤2 야무지게 돌려야지
작성자 : 미르라고정닉
[한국갤럽] 2025년 미디어•컨텐츠•SNS 이용률
한국갤럽이 2025년 3월부터 7월까지 전국(제주 제외) 만 13세 이상 5,251명에게 미디어·콘텐츠·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18종 각각에 대한 이용 경험을 물었다. 우선 미디어·콘텐츠 관련 서비스별 최근 1년 내 이용 경험자 비율(이하 '연간 이용률')부터 보면 유료 동영상이 재작년(2023년 3~7월, 이하 '2023년') 57%에서 올해 67%로, 같은 기간 유료 음원도 33%에서 37%로 증가한 반면, 라디오 정기 청취는 37%에서 28%로 감소했다. 이외 콘텐츠 연간 이용률은 팟캐스트 청취 11%, 유료 전자책 7%, 유료 종이책 6%, 유료 오디오북 5%, 종이신문 유료 구독 4%, 종이잡지 유료 구독 1% 순으로, 2년 전과 거의 변함없었다. ◎ 연령별 유료 동영상 연간 이용률은 10대 76%, 20대 90%, 30대 87%며, 2년 전과 비교하면 중장년층에서의 증가 폭이 크다: 40대 70%→83%, 50대 51%→65%, 60대+ 19%→36%. 즉, 이제는 넷플릭스, 웨이브, 티빙 등과 같은 유료 OTT 서비스가 널리 보편화되었음을 보여준다. 유료 음원 서비스는 오래전부터 10~30대(연간 이용률 10대 66%, 20대 72%, 30대 61%) 위주였는데, 최근 수년간 40대(2022년 20% → 2023년 32% → 2025년 43%)와 50대(9%→17%→25%) 유입세가 이어지고 있다. ◎ 라디오와 팟캐스트는 소리로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라디오 정기 청취자 중에는 50대 이상 남성, 경제활동자가 많은 편이며, 20~40대가 주축인 팟캐스트보다 저변이 넓다. 다만 연간 라디오 정기 청취율은 2021~2022년 32%에서 2023년 37%로 늘었다가 이번에 다시 28%로 줄었다. 이는 중장년층의 유료 동영상·음원 이용 증가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 2023년에는 코로나19 팬데믹이 끝나면서 통근, 외출, 여행 등 자동차 이용 빈도 증가와 함께 자가 운전자의 라디오 청취가 잦아진 것으로 봤다. 팟캐스트는 2019년 연간 이용률 18%에서 2020년 13%로 감소, 이후 10%대 초반에 머문다. 기존 팟캐스트 제작자 상당수는 콘텐츠를 유튜브로 동시 송출, 라디오 프로그램들도 일명 '보이는 라디오'를 표방하며 스튜디오 영상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청취자를 사수하며 영상물과 경쟁하고 있다. ◎ 유료 영상·음원 대비 유료 텍스트 콘텐츠 소비는 계속 부진하다. 최근 1년 내 종이책을 한 권이라도 산 사람(연간 구입/구독 경험률)은 2019년 16%, 2020년 13% 2021년부터는 10% 아래다. 그나마도 학생이 많은 저연령대에 치우친다(10대 12%; 60대+ 2%). 한국갤럽 조사에 따르면 지난 1993년에는 한국인 중 33%가 한 달에 한 권 이상 책을 샀으나, 인터넷이 급속히 보급되던 즈음인 2000년 26%로 감소했고, '1인 1스마트폰' 시대인 현재 그 비율은 25년 전의 1/10 수준으로 추정된다(월간 구입/구독 경험 기준: 2019년 7% → 2025년 2%). ◎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집에 머무는 시간과 비대면 소비가 늘면서 한때 전자책의 장점이 주목받았고, 여러 업체가 월정액 구독 서비스를 확대했다. 전자책은 종이책의 대안일까? 아직은 알 수 없다. 지난 수년간 종이책 구입/구독이 줄어든 만큼 전자책 구입/구독이 늘어나지는 않았다. 유료 오디오북도 마찬가지다. 다만 2019년 이후 유료 이용률 기준 종이책은 올해가 최처치, 전자책과 오디오북은 최고치다. ◎ 종이신문 유료 구독률은 지난 1993년 57%, 2000년 53%였으나 인터넷 시대 본격화와 함께 급감했다. 종이신문 연간 유료 구독률은 2019년 12%, 2020년 9%, 2021년부터 5% 내외며, 주 구독자는 50대 이상 남성이다. 최근 1년 내 카카오톡 등 모바일 메신저 이용 경험자 비율(이하 '연간 이용률')은 94%, 연령별로 볼 때 10대부터 50대까지는 90%대 중후반, 60대 이상에서도 86%다. 이는 모바일 메신저가 한국인의 필수 소통 수단이라는 점, 동시에 60대 이상 일곱 명 중 한 명꼴로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중심 사회에서 소외됨을 보여준다. 스마트폰을 쓰는 사람은 대부분 모바일 메신저도 쓴다. 참고로, 국내 성인 기준 스마트폰 사용률은 2012년 1월 53%에서 그해 6월 60%, 2013년 2월 70%, 2014년 7월 80%, 2016년 11월 90%를 돌파했고, 2025년 현재 99%다(70대 이상 91%)(→ G20250707). ◎ 국내외 주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이하 'SNS') 연간 이용률은 유튜브 95%, 네이버 밴드 48%, 인스타그램 45%, 틱톡 35%, 페이스북 34%, 카카오스토리 33%, 엑스(옛 트위터) 14% 순으로 나타났다. 숏폼 유행을 이끈 틱톡은 2021년 연간 10% → 2023년 19% → 2025년 35%로 급증했고, 이용자도 10대 주축에서 50대까지 넓어졌다. 국내 양대 포털 서비스인 네이버 밴드와 카카오스토리, 한때 글로벌 SNS 대표 주자였던 페이스북과 엑스는 코로나19 이전과 비슷하거나 못한 수준이다. ◎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은 같은 모회사(메타)를 둔 서비스다. 연간 이용률 기준으로 볼 때 2021년까지는 페이스북이 인스타그램을 소폭 앞섰으나, 2022년 우열이 뒤바뀌었고 이후 격차가 더 커졌다. 최근 한 달 내 이용률(이하 '월간 이용률') 변화도 뚜렷하다. 페이스북 월간 이용률은 2020년 27%에서 2025년 올해 19%로 줄었고, 같은 기간 인스타그램은 늘었다(21%→32%). 10~40대 연간·월간 이용률 모두 인스타그램이 페이스북을 앞선다. ◎ 동영상 기반 유튜브는 구독자와 조회 수가 일정 기준 이상인 콘텐츠 제작자('유튜버')에게 광고 수익을 배분하며, 기존 방송·신문 등 언론사의 보조 채널로 활용되는 등 미디어·광고 플랫폼 성격이 짙다. 또한 유튜브에 가입하지 않은 사람도 영상을 보거나 링크를 공유할 수 있어 접근도 쉽다. 유튜브 연간 이용률은 10~50대에서 90%대 후반, 60대 이상에서도 86%다. ◎ 이러한 유튜브, 그리고 넷플릭스, 웨이브, 티빙 등 유료 OTT 서비스 콘텐츠 이용 급증은 유료 텍스트 콘텐츠 소비 감소에도 한몫하는 것으로 보인다. 텍스트 읽기는 영상 시청보다 더 많은 집중력을 요구하며, 주어진 하루 24시간 중 콘텐츠 소비에 쓸 수 있는 시간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다만 이 조사에서 나타난 유료 텍스트 콘텐츠 소비 감소가 텍스트 콘텐츠의 가치 저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포털 사이트 뉴스, 각종 홈페이지 주요 공간은 대부분 텍스트로 채워져 있고,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 SNS 글쓰기, 메신저 커뮤니케이션 등도 텍스트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 네이버 밴드와 카카오스토리 이용자는 20대부터 50대까지 비교적 고르게 분포한다. 연령별 연간 이용률 기준으로 볼 때 네이버 밴드는 20~50대에서 50%대, 10대 41%, 60대+ 33%다. 카카오스토리는 20~40대에서 40%대, 10대와 50대에서 30%대, 60대+ 20%다. 다른 SNS보다 40대 이상 중장년층, 기혼자 비중이 큰 편이다. ◎ 140자(현재 최대 280자, 유료 1만 자) 단문 기반 트위터는 테슬라 최고경영자 일론 머스크에게 인수 합병돼 2023년 상반기 엑스(X)로 명칭이 바뀌었고, 그 과정에서 많은 직원 해고와 일부 서비스 변경·유료제 도입 등 곡절을 겪었다. 대안 서비스로 메타가 '스레드'를, 기존 트위터 창업자가 '블루스카이'를 내놨지만, 여전히 기존 이용자 상당수는 트위터를 떠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월간 이용률과 연간 이용률 간 차이가 작을수록 일상생활에서 빈번하게 하는 활동이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메신저 월간·연간 이용률은 각각 91%·94%로 비슷하지만, 카카오스토리 월간 이용률(17%)은 연간 이용률(33%)의 절반가량, 엑스(월간 4%, 연간 14%)는 1/3 수준이다. ◎ 'SNS를 이용한다'라는 것은 자신이 직접 글을 쓰고 사진·영상을 게시하는 방식의 적극적 참여뿐 아니라 타인의 게시물을 읽고 댓글을 쓰거나 공감 표시·링크 공유와 같은 소극적 참여까지 포괄한다. 지난 2018년 조사에서 '평소 인터넷/SNS에 본인 생각을 글로 남기는' 사람은 성인 중 14%, '다른 사람의 의견을 읽는' 사람은 63%로 파악됐다. 20~40대로 좁혀 보더라도 사이버 공간에서 타인 의견을 읽는 사람은 약 75%, 자기 생각을 글로 남기는 사람은 20%를 넘지 않았다(→ 제304호). 소셜 네트워크 기반 빅데이터를 분석할 때는 서비스별 이용자 특성이 편중(偏重)되어 있으며, 그중에서도 일부만 실제로 의견을 개진한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특정 고객군을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홍보 등에는 유용할 수 있지만, 전체 시장 구조를 파악하거나 전 국민 '여론(輿論)'으로 해석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 끝으로, SNS는 아니지만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첨병으로 등장한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 챗GPT에 관해서도 물었다. 만 13세 이상 소비자 중에서 챗GPT 서비스를 1년 내 이용한 적 있는 사람은 2023년 7%에서 2025년 34%로 크게 늘었다. 연령별로 보면 10~30대에서는 52~60%, 40대 45%, 50대 21%, 60대+ 8%며, 직업별로는 사무/관리직과 학생에서 50%를 넘었다.https://www.gallup.co.kr/gallupdb/reportContent.asp?seqNo=1586 한국갤럽조사연구소한국갤럽조사연구소www.gallup.co.kr- [한국갤럽] 2025년 금융•쇼핑•생활편의•미용 이용률 한국갤럽이 2025년 3월부터 7월까지 전국(제주 제외) 만 13세 이상 5,251명에게 금융, 쇼핑, 생활편의, 미용 관련 서비스 19종 각각에 대한 이용 경험을 물었다. 우선 금융 관련 서비스별 최근 1년 내 이용 경험자 비율(이하 '연간 이용률')부터 보면 모바일/스마트폰(이하 '모바일') 뱅킹이 79%로 인터넷/PC(이하 'PC') 뱅킹(42%)을 크게 앞섰고, 간편결제(○○페이)와 인터넷전문은행(카카오뱅크, 케이뱅크 등) 각각 55%, 모바일 주식 거래 30%, PC 주식 거래 19% 순으로 나타났다. 주요 쇼핑 채널별 연간 이용률은 모바일 쇼핑 63%, TV홈쇼핑 49%, PC 쇼핑 41%, 해외 직구 28%다. ◎ 모바일 뱅킹 연간 이용률은 코로나19 팬데믹 직전(2019년 7월~2020년 2월, 이하 '2020년') 58%에서 2025년 올해 상반기 79%로, 같은 기간 인터넷전문은행과 간편결제도 각각 21%·25%에서 55%로 크게 늘었다. 한편, PC 뱅킹(47%→42%), PC 쇼핑(43%→41%), TV홈쇼핑(52%→49%)은 전만 못하다. ◎ 다량 업무나 정보 처리, 정교한 작업에는 여전히 PC가 더 유용하지만, 온라인 뱅킹·쇼핑의 지속적 성장은 모바일 플랫폼이 주도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대화면·고성능·다기능화, 보안 측면에서 지문·얼굴인식 등 생체인증 활용 증가도 한몫한 것으로 보인다. 최근 한 달 내(이하 '월간') 이용률 기준으로 보면 차이가 더 도드라진다. 모바일 뱅킹 월간 이용률은 2020년 50% → 2025년 72%로 늘었지만, 같은 기간 PC 뱅킹은 35%→23%로 되레 줄었다. 신규 이용자 유입도 PC보다 모바일에서 더 많다. 예컨대 스마트폰과 디지털 네트워크 입성이 뒤늦은 60대 이상의 모바일 뱅킹 월간 이용률은 2020년 15%에서 2025년 56%로 급증한 반면, PC 뱅킹(11%→12%)은 5년 전 수준에 머문다. ◎ 모바일 주식 거래 연간 이용률은 2020년 6% → 2022년 26% → 2025년 30%로 늘었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국내외 증시 활황이 신규 투자자들을 대거 불러들였고, 엔데믹에 접어들면서 고금리·고물가로 위축됐다가 인공지능(AI) 투자 붐과 금융시장 정책 변화에 힘입어 활기를 되찾았다. 다만 PC 주식 거래 연간 이용률은 2020년 7%에서 2022년 20%가 되었으나, 이후로는 제자리다(2025년 19%). 참고로, 한국 성인 중 주식 투자자(펀드 제외) 비율은 2014년 15%, 2020년 8월 21%에서 2022년 9월 38%로 단기간에 급증했다. 2025년 9월 기준 주식 보유자(ETF, 펀드 등 간접투자 포함) 비율은 2025년 47%다(→ 제633호). ◎ 한국 성인 대다수가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쓰지만, 활용 범위와 빈도 등은 천차만별이다. 전반적으로 여러 온라인 서비스 이용률은 20·30대에서 높고 60대 이상에서 가장 저조하다. 예를 들어, 모바일 쇼핑 연간 이용률은 20~40대 80%대, 50대 71%, 10대 55%, 60대 이상 30%다. 간편결제 연간 이용률은 20~40대 80%대, 50대 58%, 10대 36%, 60대 이상에서는 20%다. 이러한 차이는 모바일 기반 이벤트를 진행하거나, 키오스크 등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 위주 비대면 서비스 도입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요인이다. ◎ 참고로, 모바일 인터넷 활성화를 이끈 스마트폰 사용률(성인 기준)은 2012년 1월 53%에서 그해 6월 60%, 2013년 2월 70%, 2014년 7월 80%, 2016년 11월 90%를 돌파했고, 2025년 7월 현재 99%다. 스마트워치 사용률 33%, 무선이어폰 사용률은 58%로 작년까지의 급증세가 올해 멈췄다(→ G20250707). ◎ TV홈쇼핑 연간 이용률은 2019·2020년 52%에서 2022년 40%로 하락했다가 2025년 49%로 재상승했다. 여전히 예전만 못하지만, 독자적 상품 기획과 영상 콘텐츠의 강점을 모바일 라이브 커머스와 결합하는 등 활로를 모색 중이다. 남성(연간 36%)보다 여성(62%), 특히 40·50대 여성(80% 내외)이 주 고객인데 이들은 모바일 쇼핑도 즐긴다. 주요 생활편의 서비스에서는 음식 배달 앱 연간 이용률이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직전 42%에서 2025년 64%까지 늘었다. 20·30대의 음식 배달 앱 연간 이용률은 90%를 웃돌고, 월간 이용률도 80% 안팎이다. 13~18세 청소년 중에서도 1년 내 74%, 최근 한 달 내 56%가 이용한 적 있다고 답해 명실상부한 생활 필수 서비스라고 볼 만하다. ◎ 신선식품 새벽배송 서비스 연간 이용률 또한 2020년 7%에서 2025년 33%로 약진했다. 과거 핵심 고객은 30대 여성이었으나, 점차 20대와 40·50대 여성으로 저변이 넓어졌다. 재작년 대비 남성(남성 19%→27%; 여성 31%→39%), 중소도시(25%→32%; 대도시 25%→37%)에서의 이용도 늘었다. 2015년 당시 신생기업 마켓컬리가 시작한 신선식품 새벽배송은 쿠팡·SSG닷컴 등 기존 물류 유통 전문업체와 대기업 진입으로 한층 치열한 각축장이 됐고, 최근에는 네이버와 배달의민족까지 가세했다. ◎ 중고물품 거래 앱도 부지불식간 우리 일상에 스며든 서비스다. 당근마켓·번개장터·중고나라 등 중고물품 거래 앱 연간 이용률은 만 13세 이상 기준 37%, 20~40대에서는 50%를 훌쩍 웃돈다. 마켓컬리와 비슷한 시기 선보인 당근마켓은 이제 지역 생활 커뮤니티로 성장했고, 특히 '당근하다'라는 말은 중고물품을 내놓는다는 의미로 통용되고 있다. ◎ 그 외 택시 앱 연간 이용률은 41%, 숙박 공유 14%, 카셰어링·차량 공유 9%, 네일 케어 19%, 피부 관리 17%, 두피·탈모 관리 12%다. 차량 공유, 숙박 공유는 20~40대 중심으로 점증, 여성 기준 네일 케어(2019년 24% → 2025년 36%)와 피부 관리(23%→31%), 남녀 두피·탈모 관리(남성 4%→8%; 여성 10%→16%) 등 생활편의·미용 서비스 대부분 팬데믹 이전 수준을 넘어섰다. https://www.gallup.co.kr/gallupdb/reportContent.asp?seqNo=1585 한국갤럽조사연구소한국갤럽조사연구소www.gallup.co.kr
작성자 : 모스크바의밤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