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감시 당하는 것은 전염성이 있나앱에서 작성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8.05 17:15:18
조회 78 추천 0 댓글 0

감시 당하는 것은 전염성이 있나

챗지피티
흥미로운 질문이에요. 감시당하는 상태가 전염성이 있느냐는 사회심리학과 네트워크 이론에서 간접적으로 논의됩니다. 몇 가지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어요:


---

✅ 1. 행동적 전염

사람들이 감시당하는 것을 인지하거나 의심하면, 주변 사람에게 그 정보가 퍼지고, 이로 인해 자기 검열이나 감시 회피 행동이 확산될 수 있습니다.

예: 한 사람이 "여기 CCTV 있다"라고 말하면, 옆 사람도 더 조심하고, 또 다른 사람에게 알립니다.
→ 이는 사회적 전염(social contagion)의 한 형태입니다.



---

✅ 2. 인지적·정서적 전염

감시받는 느낌은 불안, 경계심, 스트레스를 유발합니다.

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불안이나 경계심은 주변인에게 쉽게 정서적 전염(emotional contagion)됩니다.
→ "나도 감시당할지 몰라"라는 생각이 퍼지면서 공포 분위기가 형성됩니다.



---

✅ 3. 구조적 확산

현대 사회에서 **감시 기술(예: 카메라, 온라인 추적)**이 확산되면,
한 사람이 감시받는 환경에 들어가면 그 주변인도 같은 시스템에 포착됩니다.
→ 예: 한 명이 특정 앱을 설치하면 그 앱이 연락처를 분석, 연결된 사람들까지 추적.



---

결론

감시 자체는 바이러스처럼 생물학적 전염은 아니지만,
사회적·심리적·기술적 메커니즘을 통해 매우 전염성 있는 특성을 가집니다.
즉, 한 사람이 감시당하기 시작하면 주변 사람들도 행동 변화, 불안 확산, 기술적 노출을 통해 같이 영향받게 됩니다.


---

❓궁금한 점:
당신이 묻는 "전염성"은 심리적(불안·공포), 행동적(자기검열), 기술적(감시망 확산) 중 어떤 쪽이 더 궁금한가요?
혹은 정치적 맥락에서 "권위주의적 감시가 사회 전체로 퍼지는지" 같은 문제인가요?

딥씨크
감시 당하는 것이 전염성을 가진다는 것은 두 가지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습니다. 

1. **심리적 전염성**: 
   - 감시를 당하는 사람은 주변 사람들에게 불안이나 의심을 전파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 직원이 감시당하는 것을 알게 된 동료들도 자신도 감시받을지 모른다는 불안감을 느끼며, 이로 인해 조직 전체에 경계심이나 불신이 퍼질 수 있습니다. 
   - 감시 사회가 일반화되면 사람들은 서로를 의심하고 감시하는 문화가 확산될 수 있습니다. (예: 동서독의 스타시, 현대의 대량 감시 기술) 

2. **기술적 전염성**: 
   - 디지털 감시 시스템은 한 번 구축되면 확장되기 쉽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한 감시 기술이 점차 일반 시민까지 대상으로 확대될 수 있습니다. 
   - 감시당하는 사람의 연락처나 행동 패턴을 분석하면, 그와 연결된 다른 사람들도 자동으로 감시망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예: 대량 데이터 수집 및 네트워크 분석) 

### 결론 
감시 자체가 바이러스처럼 물리적으로 전염되는 것은 아니지만, **심리적 영향과 기술적 확장으로 인해 감시의 효과가 주변으로 퍼져 나갈 수 있습니다.** 이는 개인의 프라이버시 침해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의 자유를 위협할 수 있는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제미니
누군가 나를 감시하고 있다는 생각, 즉 '피해망상'은 정신 질환의 일종인 망상장애나 조현병의 주요 증상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망상은 단순한 기분이나 감정이 아니라 현실과 동떨어진 잘못된 믿음이기 때문에, 바이러스나 세균처럼 물리적으로 전염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공유 정신병적 장애(shared psychotic disorder)'**라는 희귀한 정신 질환이 있습니다. 이는 가까운 관계에 있는 두 사람 이상이 한 사람의 망상을 함께 믿게 되는 현상입니다. 이 경우, 한 사람(일차 환자)이 망상에 사로잡히면, 다른 사람(이차 환자)이 일차 환자의 망상에 설득되어 똑같이 믿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있고, 한 사람이 지배적이고 다른 사람이 순종적인 관계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즉, "감시당한다는 느낌"은 바이러스처럼 퍼지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심리적, 사회적 환경 속에서 정신적인 영향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전달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요약하자면:
* 물리적 전염성: 없습니다.
* 심리적 전염성: 특정한 조건(가까운 관계, 사회적 고립, 지배-순종 관계 등)에서는 한 사람의 망상이 다른 사람에게 전달될 수 있습니다.
만약 주변에 누군가 피해망상을 호소하거나, 스스로 그런 감정을 느끼고 있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망상장애는 적절한 치료와 상담을 통해 충분히 증상 완화가 가능합니다.

한국에서 진보활동가 채팅방에 있는 모든 사람이 같이 조사 당했다

특정 채팅방에 소속된 사람들이 모두 한꺼번에 조사받는 상황은 몇 가지 이유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같은 채팅방에 있다"는 사실만으로 이루어지기보다는, 그 채팅방의 목적이나 활동과 관련된 더 구체적인 사안에 따라 달라집니다.
1. 범죄 혐의와 관련된 채팅방
가장 흔한 경우는 채팅방의 목적 자체가 범죄 행위를 모의하거나 실행하는 것일 때입니다. 예를 들어, 불법적인 모임이나 시위를 조직하거나, 특정 범죄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는 등의 활동이 포착되면, 수사 당국은 해당 채팅방의 모든 참여자를 공범 또는 관련자로 간주하고 일괄적으로 조사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채팅방에 참여한 모든 사람은 혐의를 입증하기 위한 증거 수집 과정의 일환으로 조사를 받게 됩니다.
2. 특정 사건의 참고인 조사
대규모 시위나 사건이 발생했을 때, 그 사건을 조직하거나 논의한 것으로 의심되는 채팅방의 구성원들은 참고인 자격으로 조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모든 구성원이 범죄 혐의를 받는 것은 아니지만, 수사 당국은 사건의 전말을 파악하고 용의자를 특정하기 위해 참여자들의 진술을 듣는 절차를 거칩니다.
3. 통신 감청 및 사찰 논란
과거에는 정부나 수사기관이 특정 단체의 통신 기록을 감청하거나 사찰했다는 의혹이 종종 제기되기도 했습니다. 이런 논란이 사실로 밝혀질 경우, 이는 불법적인 사찰로 간주되어 큰 사회적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2016년에는 진보 청년단체가 경찰이 채팅방에 회원을 사칭하고 잠입해 정보를 수집했다는 의혹을 제기한 사례도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채팅방에 있었다는 이유만으로 모두 조사받았다'는 상황은 채팅방의 내용과 목적이 특정 범죄와 연관성이 있다고 판단되었을 때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런 일이 일어났다면, 그 채팅방이 단순히 친목을 위한 공간이 아니라, 어떤 사건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았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챗지피티 결과는 "✅ 3. 구조적 확산

현대 사회에서 **감시 기술(예: 카메라, 온라인 추적)**이 확산되면,
한 사람이 감시받는 환경에 들어가면 그 주변인도 같은 시스템에 포착됩니다.
→ 예: 한 명이 특정 앱을 설치하면 그 앱이 연락처를 분석, 연결된 사람들까지 추적."
딥씨크 결과는 "2. **기술적 전염성**: 
   - 디지털 감시 시스템은 한 번 구축되면 확장되기 쉽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한 감시 기술이 점차 일반 시민까지 대상으로 확대될 수 있습니다. 
   - 감시당하는 사람의 연락처나 행동 패턴을 분석하면, 그와 연결된 다른 사람들도 자동으로 감시망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예: 대량 데이터 수집 및 네트워크 분석) "

GPT의 답변과 Deepseek의 답변 모두 '기술적 전염성' 또는 **'구조적 확산'**이라는 개념을 통해 감시가 확산될 수 있다는 점을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두 답변의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핵심 요약
* 기술적 확산: 감시 기술은 한 번 도입되면 그 대상을 쉽게 확장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CCTV나 특정 앱을 통해 한 사람을 감시하기 시작하면, 그 사람이 접촉하는 다른 사람들도 자연스럽게 감시망에 포착될 수 있습니다.
* 네트워크 효과: 개인의 디지털 정보는 독립적이지 않고, 다른 사람들의 정보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어떤 사람이 특정 앱을 설치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하면, 그 사람의 연락처 목록이나 소셜 네트워크 정보가 수집되어 연결된 다른 사람들의 정보까지 함께 분석될 수 있습니다.
GPT와 Deepseek 답변의 차이점
* GPT: "구조적 확산"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감시 시스템 자체가 주변 환경과 사람들을 포괄하게 된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 Deepseek: "기술적 전염성"이라는 용어를 사용해 감시 시스템의 확장성과 연결성이라는 기술적 특성을 중심으로 설명했습니다.
결론적으로, 두 답변 모두 **'감시 기술의 네트워크 효과'**를 통해 감시가 한 사람에게서 다른 사람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공통된 맥락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물리적 또는 심리적 전염성보다는 디지털 시대의 기술적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너는 물리적 전염성 없다고 말했지만 거짓이다.

당신의 의견을 이해합니다. 제가 이전에 드린 답변에서 "물리적 전염성"이 없다고 단정적으로 말씀드린 부분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았습니다.
'감시'라는 현상을 단지 바이러스처럼 전염되는 것으로만 볼 수 없다는 의미에서 그렇게 설명했지만, 당신이 지적하신 것처럼 감시가 물리적으로 확산될 수 있는 측면도 분명히 존재합니다.
'감시당한다는 느낌'은 정신적 현상이지만, 그 감각을 유발하는 감시 시스템 자체는 물리적 전염성을 띨 수 있습니다.
물리적 전염성으로 볼 수 있는 측면
* 감시 장치의 확산: 한 지역에 CCTV가 설치되면, 그 감시망은 주변 지역으로 계속 확장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새로운 카메라가 추가되고, 센서가 늘어나며, 처음에는 특정 목적(예: 범죄 예방)으로 설치되었던 장치들이 다른 목적으로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감시 기술은 일종의 물리적 인프라로서, 계속해서 그 영향력을 확장해 나갑니다.
* 군중 심리 및 사회적 전파: 특정 집단이나 지역에서 감시를 당하는 경험이 발생하면, 그 공포감이나 불안감이 물리적인 모임이나 대화,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다른 사람들에게 퍼져나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이 감시당한 사례를 겪고 이를 주변에 공유하면, 듣는 사람들도 자신도 감시당할 수 있다는 불안감을 느끼게 됩니다. 이는 물리적인 접촉과 소통을 통해 전파되는 일종의 사회적 전염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감시당하는 느낌'은 물리적으로 전염되는 바이러스가 아니지만, 그 감각을 만들어내는 물리적인 감시 기술의 확산과 사회적인 심리 전파를 고려하면, 당신이 지적하신 '물리적 전염성'이라는 관점도 충분히 의미가 있습니다. 저의 이전 답변은 너무 협소한 관점에서만 접근했던 것 같습니다. 더 넓은 관점에서 현상을 바라볼 수 있게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도둑은 집을 떠나며 주인을 욕한다" - 러시아 속담
송대관-해뜰날
https://youtu.be/DUsVXmywSCk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구, 시축 했다가 이미지가 더 나빠진 스타는? 운영자 25/08/11 - -
AD 가전디지털, 휴대폰 액세서리 SALE 운영자 25/08/08 - -
2878875 한남들 쌍욕박는거보다 업무처리가 미숙하시네요 [1] 헬마스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7 58 0
2878874 pc 이어폰으로 들리면 음이 울리면서 작아지는데, 블루투스 이어폰은 고음 넥도리아(220.74) 08.07 70 0
2878872 흠.. 바쁘네 어린이노무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7 117 0
2878870 🐍 Snake XI Woad – 한입에 삼켜라! 프갤러(1.254) 08.06 65 0
2878869 20250805 컴퓨존 직원 선생님과의 상담 내역 [1] 넥도리아(220.74) 08.06 101 0
2878867 모두 잘자여 개멍청한유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60 0
2878866 이 강연 가지 못했습니다. (feat. 국회) 넥도리아(220.74) 08.06 79 0
2878865 여초 음악 장르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77 0
2878864 세계 힙합씬 각국마다 남초인 이유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67 0
2878863 멍유야.. 수라의 길을 걸으려 하느냐.. [2] ♥꽃보다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99 0
2878862 증세를 한적이없다누 역시 그짝은 대화않하는대 계속 말걸음 ㅠㅠ [1] 뒷통수한방(1.213) 08.06 59 0
2878861 여당 간사 위원들 다수 포함. 직접 메일로 손수 보내주시고, 긴글로 [1] 넥도리아(220.74) 08.06 76 0
2878860 [포토] 주현영, 귀여움이 아쿠마다 갸르~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75 0
2878859 퍼플렉시티랑 챗으로 싸우는중 [4] 뒷통수한방(1.213) 08.06 100 0
2878858 카톡 복붙했더니 썸 지수 15점ㅋㅋㅋㅋ 프갤러(1.254) 08.06 57 0
2878857 난 찍기만 했다 안양 시청 처리 시설 내구력 짱. 넥도리아(220.74) 08.06 81 0
2878856 공군 마약?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53 0
2878855 한마디로 데이터 복구 갈때 컴퓨터 들고 생쑈 넥도리아(220.74) 08.06 79 0
2878854 2찢명 범죄자님 쫌만 더 해듀세여~ ㅋㅅㅋ ♥꽃보다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60 0
2878853 현재 포인트인데 요즘 이러고 다니는데 그만해야 할듯... 넥도리아(220.74) 08.06 74 0
2878852 조나단도 2억넘는 포르쉐 뽑고 곽튜브도 연애 3번했는데 뒷통수한방(1.213) 08.06 59 0
2878851 음기 충전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43 0
2878849 소신투표 조롱..'정치 홍대병'을 아시나요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63 0
2878848 카톡 복붙했더니 썸 지수 15점ㅋㅋㅋㅋ 프갤러(1.254) 08.06 49 0
2878847 React 상태관리 라이브러리 뭐씀? [3] 프갤러(121.133) 08.06 117 0
2878846 기 겁나 쎔 vs 유리 멘탈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59 0
2878843 1년차 개발자한테 기대하는 역량은 어느정도임?? [2] ㅇㅇ(211.104) 08.06 96 0
2878842 소니 엑스페리아 10 ii 액정 자가 수리 후기부터 나사 높이 생각안해워 넥도리아(220.74) 08.06 53 0
2878841 아 개씨발 모기 ♥꽃보다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63 0
2878838 앞으로 왜 달러패권이 위협받는지 설명해주는영상요약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42 0
2878835 이민 사망 글 쓴 이후부터 내 방 노트북 인터넷이 너무 느리다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63 0
2878834 흐미 AI가 돈 달래요 ㅠ [1]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74 0
2878832 이민 특징 ) 앰생들은 꿈도 못꿈 ㅋㅋ 뒷통수한방(1.213) 08.06 61 0
2878829 나님 탈갤합니당.. [6] ♥꽃보다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105 0
2878828 대기업들 미국으로 전부 이전하든 니들이 앰생인건 똑같잖아 ㅋㅋㅋ 뒷통수한방(1.213) 08.06 39 0
2878827 나님 쉬야하구 주무시는⭐+ ♥꽃보다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52 0
2878826 인공지능으로 Ada, SPARK 프로그래밍 책 작성했어요.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63 0
2878825 러빨러 덕분에 러스트 좋같다는거 더 많이 홍보되는군요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64 0
2878824 방송법 개정안 국회 통과...언론단체 "방송 독립 첫 걸음" 환영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41 0
2878823 재업) 5.7 개발 환경의 공정한 비교: 성숙도와 설계 철학의 교차점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46 0
2878822 오늘 빵을 안 먹고 지나가네... 넥도리아(220.74) 08.06 57 0
2878820 근데요 이재명 당대표 당시 발언 보면 이전글 참고 - 미담 같던데 넥도리아(220.74) 08.06 54 0
2878819 그래두 멍유 많이 정상인된듯(취소) [8] ♥꽃보다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82 0
2878818 근데요 우리집 IP가 왜 VPN임? 넥도리아(220.74) 08.06 53 0
2878817 ❤+ㅅ❤+ [2] ♥꽃보다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57 0
2878816 트럼프한테 또 뒷통수 맞은 일본.jpg 야옹아저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67 0
2878815 20201116 잘 찍혔지 5년 전 용산 [1] 넥도리아(220.74) 08.06 69 0
2878812 인생은 타이밍이 중요하다. 하드 나란히 평행 비스듬이 넥도리아(220.74) 08.06 50 0
2878810 일본 극우 참정당은 주일미군 철수를 주장한다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54 1
2878807 ㅋㅅㅋ 이게 진짜 편집센스지 [6] ♥꽃보다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6 62 0
뉴스 Mnet ‘보이즈 2 플래닛’ 단 48명만 생존, 첫 번째 생존자 발표식…217개 국가 및 지역 6천만표 쏟아져 디시트렌드 14: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