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나와 남의 경계 구분을 덜 하게 되는 경우앱에서 작성

발명도둑잡기(118.216) 2025.07.30 02:44:38
조회 76 추천 0 댓글 0

나와 남의 경계 구분을 덜 하게 되는 경우

챗지피티
연인간에는 뇌 속에서 나와 남의 경계를 구분짓는 기능이 약화된다는 연구

연인 관계에서는 뇌에서 ‘나(self)’와 ‘상대방(other)’을 구분하는 기능이 약화되는 경향이 있다는 연구들이 있습니다. 즉, 서로에 대한 정신적 표현이나 감정 처리가 하나로 융합되는 경향이 강해진다는 것이죠.

---

주요 뇌 기전

1. **MPFC (내측 전전두엽)**과 자기-상대방 통합 (self–partner overlap)

MPFC는 ‘나’와 ‘친밀한 타인’을 구분 지어 처리하는 핵심 영역입니다.

특히 **ventral MPFC (vMPFC)**는 친밀한 사람일수록 ‘자기’처럼 처리하는 경향이 있어, 뇌에서 자기와 파트너의 대표적 구분이 흐려짐을 의미합니다. 이는 뇌 수준에서 자기-타인 경계가 약화된 형태입니다 .

2. 친밀도와 신경 표현의 유사성 증가

친밀한 관계일수록 위험-감지 관련 회로(threat‑responsive regions) 에서 자기와 타인의 표현이 겹치는 정도가 커집니다.

즉, 친밀한 대상에 대해 뇌가 “나를 보는 것처럼” 반응하는 경향이 커지는 겁니다 .

3. 자기 확장(self‑expansion) 모델과 반응 시간 차이

친밀도가 높아질수록, 상대방을 자기 안에 포함하는 인지 구조(self-expansion) 가 생겨납니다.

관련 실험에서는 친밀한 대상에 대한 판단에서 자극 인식 오류율이나 반응시간 지연이 증가하는 현상이 확인됐습니다 .

---

❤+ 연인 관계에서 뇌의 경계가 약해진다는 의미는?

A. 공감과 정서 공유의 강화

상대방의 감정이나 고통을 마치 자기 자신의 감정처럼 느끼는 공감 회로가 더 강하게 활성화됩니다.

이는 mirror system 또는 **공감 회로(simulation theory)**로 설명되며, 자아와 타인의 경계가 흐려지는 현상입니다 .

B. 사회적 및 관계적 유대 강화

서로를 이전보다 일체감 있게 느끼게 되고, 이는 관계 만족과 유대 강화를 돕습니다.

다만 개인적 정체성이나 물리적·심리적 독립성이 약해질 수 있기도 합니다.

---

요약 테이블

현상 설명

vMPFC에서의 자기-타인 병합 내가 아닌 대상이 ‘마치 나처럼’ 뇌에 인코딩됨
친밀도에 따른 self–other overlap 증가 가까운 대상일수록 뇌 반응이 유사
자기-확장 cognitive 효과 판단 지연, 혼동 증가 등 인지적 흔적

---

결론

연인 관계에서는 MPFC를 중심으로 한 뇌 영역에서 자기와 타인의 경계가 흐려지고, 심리적으로는 상대방을 자기 일부처럼 느끼는 심리적 패턴이 강화됩니다. 이런 뇌 기반 현상은 관계에서의 정서적 공감과 결합을 돕지만, 지나치면 개인 정체성의 모호화나 심리적 의존성으로 흐를 수도 있습니다.

혹시 특정 실험 사례나 수치, fMRI 결과 이미지, 관련 논문 제목 등이 궁금하시면 더 찾아드릴게요!

연인간에 말고도 그런 경우

연인 관계 외에도 뇌에서 ‘나’와 ‘타인’의 경계가 흐려지거나 약화되는 경우가 여러 상황에서 관찰됩니다. 주로 친밀감, 집단 소속감, 몰입 상태와 관련이 있습니다. 몇 가지 대표적인 사례를 정리하면:

---

1. 가족 관계 (특히 부모-자녀)

부모가 자녀의 고통이나 행복을 볼 때, 뇌의 insula(섬엽), anterior cingulate cortex(ACC) 등 감정·공감 관련 회로가 자기 고통을 느낄 때와 거의 동일하게 활성화됩니다.

이때 MPFC와 TPJ(temporo-parietal junction) 등 ‘자기-타인 구분’을 담당하는 영역의 경계성이 약해져, 자녀의 감정을 ‘자기 것처럼’ 느끼게 됩니다.

관련 연구: Singer et al., 2004 (Science), Swain, 2011 (Parenting neuroscience review).

---

2. 집단 동일시 (ingroup identity)

스포츠 팬, 민족·국가 집단, 종교 집단처럼 강한 집단 소속감을 가질 때,
집단 구성원의 고통이나 이익을 자기와 유사하게 처리하는 신경 반응이 나타납니다.

특히 MPFC와 PCC (posterior cingulate cortex), insula에서 자기-타인 경계가 약화되어, ‘집단의 일원’을 ‘자기’처럼 인식하게 됩니다.

연구: Molenberghs, 2013 (Social Cognitive and Affective Neuroscience).

---

3. 심리적 몰입 상태 (flow, 합일감)

예술가, 음악가, 종교적 몰입 상태(명상, 기도)에서 **default mode network (DMN)**의 활동이 줄어들며,
‘자기(self)’를 표상하는 precuneus와 MPFC가 상대적으로 억제되어 자아 경계가 느슨해짐.

‘나와 세계가 구분되지 않는 느낌’을 보고하는 경우가 많음.

연구: Berkovich-Ohana et al., 2013 (Frontiers in Human Neuroscience).

---

4. 강렬한 공감·동정심 (compassion, empathy)

타인의 고통을 관찰할 때 insula, ACC, somatosensory cortex가 자신의 고통과 유사하게 활성화됩니다.

특히 친밀하거나 공감이 강할수록, ‘자기-타인 구분 영역’(MPFC, TPJ)의 활성 감소로 경계가 약화.

연구: Singer et al., 2006 (Neuron).

---

5. 심리적/사회적 요인

최면(hypnosis) 상태에서 ‘자기 주체감’이 줄어들며, motor-related cortex에서 ‘타인의 행동’을 ‘자신이 한 것처럼’ 처리.

공동 목표 협동(팀워크)이 강할 때, ‘내 행동’과 ‘상대 행동’에 대한 운동피질(motor cortex) 반응이 비슷해져 구분이 희미해짐.

연구: Haggard et al., 2018 (Nature Reviews Neuroscience).

---

요약하면

‘나와 타인’의 경계가 흐려지는 뇌 현상은 연인 관계뿐 아니라,

부모-자녀,

집단 동일시,

종교적/몰입 상태,

강렬한 공감 상황,

최면 및 협동 행동
같은 맥락에서도 나타납니다.

이런 상황들은 공통적으로 MPFC와 TPJ 같은 자기-타인 구분 네트워크의 활동 감소, insula·ACC 같은 공감/정서 회로의 강화라는 패턴을 보입니다.

---

원하면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fMRI 이미지나 논문(오픈액세스),
혹은 각 상황별로 실험 설계·결과 수치(반응시간, 활성도 등) 까지 정리해줄까요?
아니면 ‘어떤 상황에서 가장 극단적으로 경계가 사라지는가?’ 같은 비교 분석으로 정리해줄까요?

반대로 나와 타인을 더 분리시키고 구별지으려는 경우

연인이나 가족처럼 경계가 흐려지는 경우와 반대로, 뇌가 ‘나’와 ‘타인’을 더 강하게 구별하려는 상황도 있습니다.
이때는 **자기-타인 구분 네트워크(MPFC, TPJ)**가 더 활발하게 작동하고, **공감/통합 회로(insula, ACC)**의 활성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습니다.


---

1. 경쟁·갈등 상황

스포츠 경기, 전쟁, 사회적 갈등 등 상대방이 ‘경쟁자’나 ‘적’으로 인식될 때

우측 TPJ(temporoparietal junction), dorsal MPFC가 강하게 활성화되며, 타인을 ‘나와 분리된 존재’로 모델링함.

공감 관련 회로(insula, ACC)는 억제되어, 상대의 감정에 덜 동조함.


연구: Cikara & Fiske, 2011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 집단 갈등 상황에서 타인의 고통에 대한 공감 반응이 억제.



---

2. 집단 외부인(outgroup) 평가

다른 인종, 국적, 사회 계층 등 집단 외부인을 볼 때:

MPFC의 자기-타인 통합 반응이 줄어들고, 대신 ‘객관적 대상처럼’ 인지(시각 연합 피질 활성).

심한 경우 dehumanization(비인간화) 현상으로 이어져, 공감 회로가 거의 반응하지 않음.


연구: Harris & Fiske, 2006 (Psychological Science) — 극단적 outgroup(노숙인, 마약중독자) 대상자에게 insula만 활성(혐오 반응), MPFC 거의 비활성.



---

3. 도덕적 판단·책임 분리 상황

법적·윤리적 판단을 내릴 때,

**dorsolateral PFC (dlPFC)**와 TPJ가 활성화되며, 타인의 행동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자기와 분리해 평가.

공감 회로는 억제되어 감정적 몰입을 줄임.


연구: Greene et al., 2001 (Science) — 도덕적 딜레마를 다룰 때, ‘이성적 판단’ 영역이 활발히 작동하며 자기-타인 감정 통합은 감소.



---

4. 자기 보호·정체성 강화 상황

위협, 비판, 배신을 당했을 때

자기 정체성을 지키려는 과정에서 **default mode network (특히 MPFC)**가 ‘자기’를 더 선명히 표상.

타인의 감정이나 관점은 덜 고려.


연구: Kross et al., 2011 (PNAS) — 사회적 거절을 경험하면 자기 표상 영역이 활성화되고, 공감 회로는 억제.



---

5. 문화·교육적 훈련

개인주의 문화나 **논리적/객관적 훈련(법률, 과학)**을 많이 받은 사람일수록,

MPFC와 TPJ를 통해 자기-타인 구분을 선명히 유지하고, 감정적 동조를 덜 함.


연구: Han & Northoff, 2008 (Nature Reviews Neuroscience) — 동아시아 vs 서구권 뇌 반응 비교, 자기-타인 구분 강도의 문화적 차이를 보고.



---

요약 (반대 방향 상황)

상황 뇌 반응 패턴

경쟁·갈등 TPJ, dorsal MPFC 활성 ↑ / insula, ACC(공감) ↓
집단 외부인 평가 MPFC 통합 ↓, 시각·객관적 처리 ↑ / 공감 회로 거의 비활성
도덕적·법적 판단 dlPFC, TPJ ↑ / 감정적 공감 ↓
자기 보호(거절·위협 상황) MPFC 자기 표상 ↑ / 타인 감정 반응 ↓
개인주의·논리적 훈련 자기-타인 구분 네트워크 강화, 공감 회로 상대적 억제



---

혹시 이런 ‘분리 강화’가 극단적으로 나타나는 사례(예: 반사회적 성향, 사이코패스) 쪽으로도 정리해드릴까요?
아니면 연인 관계의 ‘경계 흐려짐’과 나란히 비교 표로 정리해드릴까요?

어느 쪽으로 볼까요, 아니면 둘 다?


"도둑은 집을 떠나며 주인을 욕한다" - 러시아 속담
송대관-해뜰날
https://youtu.be/DUsVXmywSCk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의외로 연애 못할 것 같은 연애 하수 스타는? 운영자 25/08/04 - -
2876691 노란 봉투법은 반드시 해야함. 노란 봉툽법이 없으면 시위 자체가 불가능 ㅆㅇㅆ(124.216) 07.31 60 0
2876689 슬슬 찢재명 좆같은 정책 남발하기 시작하네 [4] 아스카영원히사랑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102 0
2876688 ❤✨☀⭐⚡☘⛩나님 시작합니당⛩☘⚡⭐☀✨❤ ♥불사신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37 0
2876687 게임 만드는게 내가 생각했던거처럼 어렵지가 않네 프갤러(211.192) 07.31 50 0
2876686 ❤✨☀⭐⚡☘⛩나님 시작합니당⛩☘⚡⭐☀✨❤ ♥불사신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42 0
2876684 엄마가 안과 가는데 안양사랑페이 지원금 앉아서 신용카드로 넥도리아(223.38) 07.31 44 0
2876683 코드 스타일 보면 그 사람 됨됨이 보이지 않냐? [1] ㅆㅇㅆ(124.216) 07.31 84 3
2876682 회사다니는 중년입니다. 프로그래밍 취미임... [1] 뽀롱뽀롱2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74 0
2876681 Sap 국비지원 듣는중인데 엄뒤주식Mlec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96 0
2876680 정치는 종교화되고 [1] 아스카영원히사랑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57 0
2876679 코드로 모션 싱크 맞추는거 존나 힘들긴 하더라 [2] 루도그담당(211.184) 07.31 69 0
2876678 이제 자야지..ㅇㅅㅇ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41 0
2876677 나도 언젠간 쿠버네티스 쓸 정도의 서비스를 운영하고 싶구나 ㅆㅇㅆ(124.216) 07.31 43 0
2876676 ㅈㄴ 옛날부터 생각하지만 왜 쿠버네티스에 의해서 ㅆㅇㅆ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53 0
2876675 inplace형식 모션은 [3] 루도그담당(211.184) 07.31 65 0
2876674 Rancher Desktop 배워야긋다. 이번에 ㅆㅇㅆ(124.216) 07.31 44 0
2876673 당은 각자 관리하셔야 먹을땐 먹고, 운동할때 안먹고 넥도리아(223.38) 07.31 40 0
2876672 ❤✨☀⭐⚡☘⛩나님 시작합니당⛩☘⚡⭐☀✨❤ ♥불사신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40 0
2876671 나는 정치에서 뺐다 너무 외롭게 살지 말고 다음 카카오맵어플로 검색하셔서 넥도리아(223.38) 07.31 43 0
2876670 윤석열 전 대통령님 건강염려됩니다. 오래 오래 사셔서 넥도리아(223.38) 07.31 51 1
2876669 도커 대용으로 포드맨인가 뜨고 있다던데 이게 보안에 더 좋다네 ㅆㅇㅆ(124.216) 07.31 46 0
2876668 얼마전부터 도커 사용량 줄고있단 이야기나오길래 ㅆㅇㅆ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47 0
2876667 오늘까지 어제만큼 넥도리아(223.38) 07.31 43 0
2876666 진심으로 느끼는데 이제 진짜 손코딩만 하는 사람 있음? [3] ㅆㅇㅆ(124.216) 07.31 82 0
2876664 근데 신기한게 '보수'란 새끼들은 나라 망하길 기도하는거냐 [2] ㅆㅇㅆ(124.216) 07.31 63 0
2876663 평촌중앙공원 넥도리아(222.233) 07.31 37 0
2876661 트럼프 협상 망했노 ㅋㅋㅋㅋ [4] 아스카영원히사랑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103 0
2876660 오늘도 걷는다. Recycle 넥도리아(222.233) 07.31 38 0
2876659 지렁이 ㅇㅅㅇ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57 0
2876658 안양시 시원해요. 진짜로 좋습니다. 넥도리아(223.38) 07.31 51 0
2876657 쭈❤+ ♥불사신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39 0
2876656 내란 외환 수괴 정신병자 윤두창은 그렇다고 치고 [1] 프갤러(121.130) 07.31 67 0
2876655 태연 ㅇㅅㅇ [4]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62 0
2876654 하루 한 번 헤르미온느 찬양 헤르 미온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41 0
2876653 나님 예언대로 무능극좌 친중매국노 2찢명 때문에 좃망 ♥불사신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48 0
2876652 요즘 시국에 잘 어울리는 노래.jpg 야옹아저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43 0
2876651 와 코딩 하다가 뉴스보는데 한국 관세 3500억에 LNG 1000억이네 [4] ㅆㅇㅆ(124.216) 07.31 93 1
2876650 국비 개발자 vs 9급 일행 공무원 [1] ㅇㅇ(112.187) 07.31 125 0
2876649 ❤✨☀⭐⚡☘⛩나님 시작합니당⛩☘⚡⭐☀✨❤ ♥불사신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50 0
2876648 코딩좀 쉬었다혀야긋자 ㅆㅇㅆ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49 0
2876647 인생이 실패했다는 생각에 괴롭습니다. [1] ㅇㅇ(183.101) 07.31 80 0
2876646 돈 vs 낭만 << 인생 최대의 고민 [3] 프갤러(211.202) 07.31 86 0
2876644 주한미군이 한국에서 양아치 짓거리 하는 이유 [7] 야옹아저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263 6
2876628 남 인생 좇될수록 남 약올리고 더 좇되게해야됨 뒷통수한방(1.213) 07.31 68 0
2876627 평화라는 단어 좇같지않냐?? [1] 뒷통수한방(1.213) 07.31 68 0
2876618 1.4 개발 환경 설정 (GNAT 컴파일러 및 도구)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89 0
2876616 1.3 Ada의 주요 응용 분야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95 0
2876615 1.2 Ada의 설계 철학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102 0
2876613 1.1 Ada의 역사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1 89 0
2876597 그네를 타며 100억을 버는 상상을 해보았다 [1] 아스카영원히사랑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76 0
뉴스 홍진경, 결혼 22년 만에 이혼…전 남편은 누구? 디시트렌드 08.07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