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나와 남의 경계 구분을 덜 하게 되는 경우앱에서 작성

발명도둑잡기(118.216) 2025.07.30 02:44:38
조회 132 추천 0 댓글 0

나와 남의 경계 구분을 덜 하게 되는 경우

챗지피티
연인간에는 뇌 속에서 나와 남의 경계를 구분짓는 기능이 약화된다는 연구

연인 관계에서는 뇌에서 ‘나(self)’와 ‘상대방(other)’을 구분하는 기능이 약화되는 경향이 있다는 연구들이 있습니다. 즉, 서로에 대한 정신적 표현이나 감정 처리가 하나로 융합되는 경향이 강해진다는 것이죠.

---

주요 뇌 기전

1. **MPFC (내측 전전두엽)**과 자기-상대방 통합 (self–partner overlap)

MPFC는 ‘나’와 ‘친밀한 타인’을 구분 지어 처리하는 핵심 영역입니다.

특히 **ventral MPFC (vMPFC)**는 친밀한 사람일수록 ‘자기’처럼 처리하는 경향이 있어, 뇌에서 자기와 파트너의 대표적 구분이 흐려짐을 의미합니다. 이는 뇌 수준에서 자기-타인 경계가 약화된 형태입니다 .

2. 친밀도와 신경 표현의 유사성 증가

친밀한 관계일수록 위험-감지 관련 회로(threat‑responsive regions) 에서 자기와 타인의 표현이 겹치는 정도가 커집니다.

즉, 친밀한 대상에 대해 뇌가 “나를 보는 것처럼” 반응하는 경향이 커지는 겁니다 .

3. 자기 확장(self‑expansion) 모델과 반응 시간 차이

친밀도가 높아질수록, 상대방을 자기 안에 포함하는 인지 구조(self-expansion) 가 생겨납니다.

관련 실험에서는 친밀한 대상에 대한 판단에서 자극 인식 오류율이나 반응시간 지연이 증가하는 현상이 확인됐습니다 .

---

❤+ 연인 관계에서 뇌의 경계가 약해진다는 의미는?

A. 공감과 정서 공유의 강화

상대방의 감정이나 고통을 마치 자기 자신의 감정처럼 느끼는 공감 회로가 더 강하게 활성화됩니다.

이는 mirror system 또는 **공감 회로(simulation theory)**로 설명되며, 자아와 타인의 경계가 흐려지는 현상입니다 .

B. 사회적 및 관계적 유대 강화

서로를 이전보다 일체감 있게 느끼게 되고, 이는 관계 만족과 유대 강화를 돕습니다.

다만 개인적 정체성이나 물리적·심리적 독립성이 약해질 수 있기도 합니다.

---

요약 테이블

현상 설명

vMPFC에서의 자기-타인 병합 내가 아닌 대상이 ‘마치 나처럼’ 뇌에 인코딩됨
친밀도에 따른 self–other overlap 증가 가까운 대상일수록 뇌 반응이 유사
자기-확장 cognitive 효과 판단 지연, 혼동 증가 등 인지적 흔적

---

결론

연인 관계에서는 MPFC를 중심으로 한 뇌 영역에서 자기와 타인의 경계가 흐려지고, 심리적으로는 상대방을 자기 일부처럼 느끼는 심리적 패턴이 강화됩니다. 이런 뇌 기반 현상은 관계에서의 정서적 공감과 결합을 돕지만, 지나치면 개인 정체성의 모호화나 심리적 의존성으로 흐를 수도 있습니다.

혹시 특정 실험 사례나 수치, fMRI 결과 이미지, 관련 논문 제목 등이 궁금하시면 더 찾아드릴게요!

연인간에 말고도 그런 경우

연인 관계 외에도 뇌에서 ‘나’와 ‘타인’의 경계가 흐려지거나 약화되는 경우가 여러 상황에서 관찰됩니다. 주로 친밀감, 집단 소속감, 몰입 상태와 관련이 있습니다. 몇 가지 대표적인 사례를 정리하면:

---

1. 가족 관계 (특히 부모-자녀)

부모가 자녀의 고통이나 행복을 볼 때, 뇌의 insula(섬엽), anterior cingulate cortex(ACC) 등 감정·공감 관련 회로가 자기 고통을 느낄 때와 거의 동일하게 활성화됩니다.

이때 MPFC와 TPJ(temporo-parietal junction) 등 ‘자기-타인 구분’을 담당하는 영역의 경계성이 약해져, 자녀의 감정을 ‘자기 것처럼’ 느끼게 됩니다.

관련 연구: Singer et al., 2004 (Science), Swain, 2011 (Parenting neuroscience review).

---

2. 집단 동일시 (ingroup identity)

스포츠 팬, 민족·국가 집단, 종교 집단처럼 강한 집단 소속감을 가질 때,
집단 구성원의 고통이나 이익을 자기와 유사하게 처리하는 신경 반응이 나타납니다.

특히 MPFC와 PCC (posterior cingulate cortex), insula에서 자기-타인 경계가 약화되어, ‘집단의 일원’을 ‘자기’처럼 인식하게 됩니다.

연구: Molenberghs, 2013 (Social Cognitive and Affective Neuroscience).

---

3. 심리적 몰입 상태 (flow, 합일감)

예술가, 음악가, 종교적 몰입 상태(명상, 기도)에서 **default mode network (DMN)**의 활동이 줄어들며,
‘자기(self)’를 표상하는 precuneus와 MPFC가 상대적으로 억제되어 자아 경계가 느슨해짐.

‘나와 세계가 구분되지 않는 느낌’을 보고하는 경우가 많음.

연구: Berkovich-Ohana et al., 2013 (Frontiers in Human Neuroscience).

---

4. 강렬한 공감·동정심 (compassion, empathy)

타인의 고통을 관찰할 때 insula, ACC, somatosensory cortex가 자신의 고통과 유사하게 활성화됩니다.

특히 친밀하거나 공감이 강할수록, ‘자기-타인 구분 영역’(MPFC, TPJ)의 활성 감소로 경계가 약화.

연구: Singer et al., 2006 (Neuron).

---

5. 심리적/사회적 요인

최면(hypnosis) 상태에서 ‘자기 주체감’이 줄어들며, motor-related cortex에서 ‘타인의 행동’을 ‘자신이 한 것처럼’ 처리.

공동 목표 협동(팀워크)이 강할 때, ‘내 행동’과 ‘상대 행동’에 대한 운동피질(motor cortex) 반응이 비슷해져 구분이 희미해짐.

연구: Haggard et al., 2018 (Nature Reviews Neuroscience).

---

요약하면

‘나와 타인’의 경계가 흐려지는 뇌 현상은 연인 관계뿐 아니라,

부모-자녀,

집단 동일시,

종교적/몰입 상태,

강렬한 공감 상황,

최면 및 협동 행동
같은 맥락에서도 나타납니다.

이런 상황들은 공통적으로 MPFC와 TPJ 같은 자기-타인 구분 네트워크의 활동 감소, insula·ACC 같은 공감/정서 회로의 강화라는 패턴을 보입니다.

---

원하면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fMRI 이미지나 논문(오픈액세스),
혹은 각 상황별로 실험 설계·결과 수치(반응시간, 활성도 등) 까지 정리해줄까요?
아니면 ‘어떤 상황에서 가장 극단적으로 경계가 사라지는가?’ 같은 비교 분석으로 정리해줄까요?

반대로 나와 타인을 더 분리시키고 구별지으려는 경우

연인이나 가족처럼 경계가 흐려지는 경우와 반대로, 뇌가 ‘나’와 ‘타인’을 더 강하게 구별하려는 상황도 있습니다.
이때는 **자기-타인 구분 네트워크(MPFC, TPJ)**가 더 활발하게 작동하고, **공감/통합 회로(insula, ACC)**의 활성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습니다.


---

1. 경쟁·갈등 상황

스포츠 경기, 전쟁, 사회적 갈등 등 상대방이 ‘경쟁자’나 ‘적’으로 인식될 때

우측 TPJ(temporoparietal junction), dorsal MPFC가 강하게 활성화되며, 타인을 ‘나와 분리된 존재’로 모델링함.

공감 관련 회로(insula, ACC)는 억제되어, 상대의 감정에 덜 동조함.


연구: Cikara & Fiske, 2011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 집단 갈등 상황에서 타인의 고통에 대한 공감 반응이 억제.



---

2. 집단 외부인(outgroup) 평가

다른 인종, 국적, 사회 계층 등 집단 외부인을 볼 때:

MPFC의 자기-타인 통합 반응이 줄어들고, 대신 ‘객관적 대상처럼’ 인지(시각 연합 피질 활성).

심한 경우 dehumanization(비인간화) 현상으로 이어져, 공감 회로가 거의 반응하지 않음.


연구: Harris & Fiske, 2006 (Psychological Science) — 극단적 outgroup(노숙인, 마약중독자) 대상자에게 insula만 활성(혐오 반응), MPFC 거의 비활성.



---

3. 도덕적 판단·책임 분리 상황

법적·윤리적 판단을 내릴 때,

**dorsolateral PFC (dlPFC)**와 TPJ가 활성화되며, 타인의 행동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자기와 분리해 평가.

공감 회로는 억제되어 감정적 몰입을 줄임.


연구: Greene et al., 2001 (Science) — 도덕적 딜레마를 다룰 때, ‘이성적 판단’ 영역이 활발히 작동하며 자기-타인 감정 통합은 감소.



---

4. 자기 보호·정체성 강화 상황

위협, 비판, 배신을 당했을 때

자기 정체성을 지키려는 과정에서 **default mode network (특히 MPFC)**가 ‘자기’를 더 선명히 표상.

타인의 감정이나 관점은 덜 고려.


연구: Kross et al., 2011 (PNAS) — 사회적 거절을 경험하면 자기 표상 영역이 활성화되고, 공감 회로는 억제.



---

5. 문화·교육적 훈련

개인주의 문화나 **논리적/객관적 훈련(법률, 과학)**을 많이 받은 사람일수록,

MPFC와 TPJ를 통해 자기-타인 구분을 선명히 유지하고, 감정적 동조를 덜 함.


연구: Han & Northoff, 2008 (Nature Reviews Neuroscience) — 동아시아 vs 서구권 뇌 반응 비교, 자기-타인 구분 강도의 문화적 차이를 보고.



---

요약 (반대 방향 상황)

상황 뇌 반응 패턴

경쟁·갈등 TPJ, dorsal MPFC 활성 ↑ / insula, ACC(공감) ↓
집단 외부인 평가 MPFC 통합 ↓, 시각·객관적 처리 ↑ / 공감 회로 거의 비활성
도덕적·법적 판단 dlPFC, TPJ ↑ / 감정적 공감 ↓
자기 보호(거절·위협 상황) MPFC 자기 표상 ↑ / 타인 감정 반응 ↓
개인주의·논리적 훈련 자기-타인 구분 네트워크 강화, 공감 회로 상대적 억제



---

혹시 이런 ‘분리 강화’가 극단적으로 나타나는 사례(예: 반사회적 성향, 사이코패스) 쪽으로도 정리해드릴까요?
아니면 연인 관계의 ‘경계 흐려짐’과 나란히 비교 표로 정리해드릴까요?

어느 쪽으로 볼까요, 아니면 둘 다?


"도둑은 집을 떠나며 주인을 욕한다" - 러시아 속담
송대관-해뜰날
https://youtu.be/DUsVXmywSCk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대박 날 것 같아서 내 꿈에 나와줬으면 하는 스타는? 운영자 25/11/17 - -
AD 겨울가전 SALE! 쿨한 겨울 HOT세일 운영자 25/11/12 - -
2876531 물리질문 [1] 배구공(119.202) 07.30 87 0
2876527 멍유야 이리 와 해줄게..(속닥속닥..) [6] ♥불사신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115 0
2876525 퇴근했다 씨발럼아 [10] 아스카영원히사랑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152 0
2876516 체력 좀 더 키워야하는뎅 ♥불사신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78 0
2876514 나님 문화토양은 너무 다양해 ♥불사신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76 0
2876513 나님 왤케 특별할깡? ♥불사신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64 0
2876510 쭈쭈클럽❤+ [3] ♥불사신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97 0
2876509 나님 피궁해서 애널 일찍 주무실게양⭐+ ♥불사신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79 0
2876503 춍춍춍! 딱춍(61.253) 07.30 99 0
2876500 웹히키씨 죽은건 아니겠지? [2] 헬마스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155 2
2876497 이재명씨 국무회의 재밋더라 헬마스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92 0
2876496 애널의달성 1.1/1/3 ♥불사신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68 0
2876494 뿡야 했는데 조금 나온거 같당.. ♥불사신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66 0
2876493 끼힝끼히잉 딱쟁이(61.253) 07.30 71 0
2876492 아 씨발 ㅈ됐다ㅋㅋ 프갤러(211.202) 07.30 104 0
2876491 아이스크림 먹는 미소녀- 프갤러(121.172) 07.30 90 0
2876487 대가리를 딱! 딱딱이(61.253) 07.30 81 0
2876485 [1] 프갤러(172.225) 07.30 81 0
2876484 [1] 딱코이(61.253) 07.30 91 0
2876482 멍퀴님 성희롱 그만하세요 [3] ♥불사신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79 0
2876480 ㅋㅅㅋ ♥불사신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48 0
2876479 지금 한국은 무정부상태인둣;; ♥불사신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107 0
2876478 한국 관세 25%+a 대한민국 제 2의 IMF 부도시작 ♥불사신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94 1
2876476 저는 살면서 부산 대구를 가본 적이 없어요 [3] 아스카영원히사랑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169 0
2876474 윤수괴가 안그랬다고 버티던 부하들 하나둘 분다는구나 [1] 헬마스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125 0
2876473 일본무슨 1.5m 파도를 쓰나미라고 호들갑떨더라 [4] 헬마스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138 0
2876471 포괄이 사라지면 굽삐는 어떻게 되는겁니까?! [3] 개멍청한유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112 0
2876470 건강이 먼저다 [2] 개멍청한유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103 0
2876468 복사 의뢰하러 데이터 복구센터 간다. 넥도리아(223.38) 07.30 84 0
2876465 웹앱땔깜을 비하하고싶어서 도저히 못참겠다 [1] 네오커헠(211.235) 07.30 157 0
2876464 섹. 프갤러(121.139) 07.30 68 0
2876462 Rx Tx Engine - 작업 상황! [2] 프갤러(121.172) 07.30 114 0
2876461 Wow.. Postman mcp 라는 것도 있었네 어린이노무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102 0
2876460 SUI 더블업 티셔츠 하나 사야겠당 어린이노무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77 0
2876459 내년 나이 24살, 사회경험이 전혀 없습니다. 무스펙, 무경력 인생을 어 [1] ㅇㅇ(223.39) 07.30 216 0
2876458 나님 SoapUI로 json 쏘다 실패해서 [1] 아스카영원히사랑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129 0
2876457 [메가존] 클라우드 개발자(DevOps) 대기업 채용연계형 부트캠프 메가존클라우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216 0
2876456 나님 당 떨어진.. [1] ♥불사신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108 0
2876455 처음엔 내가 낙오자였는데 ㅇㅇ(220.84) 07.30 87 0
2876452 왜 국민세금으로 가짜대통령 2찢명 권력유지 해줘야 하는지? ♥불사신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108 0
2876449 관세협상 최악의 위험 리스크 2찢명 ♥불사신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106 0
2876444 ❤✨☀⭐⚡☘⛩나님 시작합니당⛩☘⚡⭐☀✨❤ ♥불사신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89 0
2876443 무능친중극좌 가짜대통령 2찢명은 어디서 뭐하는지? 특검해야됨 ♥불사신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150 0
2876440 어린이노무현이 따당이임?? [1] ㅇㅇ(14.32) 07.30 78 0
2876439 중국애들 코드 킵하고 미국애들 코드 킵하고 [1] ㅆㅇㅆ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146 0
2876437 진짜 세상 좋아졌다 나처럼 프로그래밍 재능없는놈도 [4] ㅆㅇㅆ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144 1
2876435 너네 지피티한테 코드던져서 잘 쓰인 코드면 킵해두냐 [2] ㅆㅇㅆ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129 0
2876434 나죽는거냐 ㅇㅅㅇ [3] 어린이노무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149 0
2876433 ❤+ ♥불사신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91 0
2876432 매트랩 AI [1] 프갤러(163.152) 07.30 104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