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소유자와 비소유자의 경계가 애매한 화폐가 있나앱에서 작성

발명도둑잡기(118.216) 2025.07.29 01:10:17
조회 95 추천 0 댓글 0

수년 전에 화폐를 갖고 있으면 다른 사람에게도 혜택이 공유되는 화폐제도나 기술을 만들 수 있냐는 질문 했었는데 인공지능에 물어서 몰랐던 걸 배웠다.

소유자와 비소유자의 경계가 애매한 화폐가 있나

챗지피티
소유자와 비소유자의 경계가 애매한 화폐는 주로 소유권이 명확히 특정되지 않거나, 사용 권리와 소유권이 분리된 형태의 화폐나 준(準)화폐를 말할 수 있습니다. 몇 가지 예를 들면:


---

1. 디지털 화폐(특히 암호화폐) 중 소유권이 지갑 키로만 결정되는 경우

비트코인 같은 암호화폐는 ‘누가 소유자인가’를 법적 계약이나 계좌 명의로 판단하지 않고, 비밀키를 가진 사람이 곧 소유자로 간주합니다.

키를 분실하거나 해킹으로 유출되면 사실상 소유자 여부가 모호해집니다.

또, DeFi(탈중앙 금융)나 DAO 지갑처럼 **다중 서명(multi-sig)**으로 관리되는 자금은, 구성원들이 공동으로 통제하지만 개인이 ‘소유’한다고 말하기 어려워 경계가 흐립니다.



---

2. 예치금·은행권(은행이 발행한 예전 형태의 지폐)

현대 화폐는 대부분 중앙은행 발행이지만, 역사적으로 은행이 발행한 **은행권(banknote)**은 실제 금·은으로 교환 가능한 ‘채권증서’ 성격이 강했습니다.

이 경우, 지폐를 가진 사람은 ‘사용권’을 갖지만, 그 가치는 결국 은행의 금 보유량에 달려 있어 ‘진짜 소유자’(은행인지, 지폐 소지자인지)가 애매한 경우가 있었습니다.



---

3. 지역화폐나 포인트(법적 화폐 아님)

지방정부나 기업이 발행한 지역화폐, 포인트, 마일리지는 보통 법적으로 ‘화폐’가 아니라 ‘채권’ 또는 ‘서비스권’입니다.

발행자가 파산하거나 규칙을 바꾸면 가치가 사라질 수 있어, ‘내 소유’라고 보기 어렵고, 단순한 이용권 성격에 가깝습니다.



---

4. 공동체적 화폐/공유 자산 기반 화폐

일부 실험적 화폐(예: 공동체 크레딧, 노동시간 화폐)는 개인 소유보다는 공동체 내 교환 수단으로만 쓰이므로, 잔액이 있어도 ‘개인 재산’인지 ‘공동체 자원’인지 모호합니다.



---

원하시면:

이런 화폐들의 ‘법적 소유권’이 실제로 어떻게 판정되는지 (한국, 미국, 유럽 기준)

또는 역사적으로 소유권이 애매했던 특이한 화폐 사례들 (예: 조선시대 상평통보, 은행권 초기 사례, 노동증권 등)


중 어떤 쪽으로 더 깊게 설명해드릴까요?
또, 현대적으로 “소유와 비소유의 경계가 흐린 화폐”를 실제 사례 중심으로 정리한 표도 만들어드릴까요?

그럼 **“소유자와 비소유자의 경계가 애매한 화폐”**를 현대와 역사적 사례로 나눠서 정리하고, 각 화폐가 ‘소유권’ 측면에서 애매한 이유를 표로 만들어볼게요.


---

소유권 경계가 모호한 화폐 사례 정리

구분 화폐/유사 화폐 소유권이 애매한 이유 실제 법적 판정 (한국/미국/유럽 등)

현대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암호화폐 개인 지갑의 비밀키 보유 여부로만 소유 판정. 키 분실, 해킹, 멀티시그 지갑처럼 공동 통제 시 ‘누가 주인인지’ 모호. 대부분 국가에서 ‘재산권’으로 간주하지만, 소유권 분쟁 시 법원은 ‘키 보유자’ 또는 ‘블록체인 거래 내역’을 기준으로 판단.
DeFi·DAO 트레저리 수십~수백 명이 공동으로 다중서명 관리. 특정 개인이 ‘소유자’라기보다 집단 자산. 법적으로는 조합재산 또는 신탁(Trust)에 가깝게 취급.
항공 마일리지, 포인트, 지역화폐 계정에 쌓이지만 법적으로 ‘회사/지자체 발행 채권’이라 소유권보다 ‘사용권’에 가까움. 발행자 정책으로 소멸 가능. 대부분 ‘재산권 아님’. 한국은 민법상 채권, 미국·EU도 회사 자산으로 분류.
역사적 은행권 (19세기 은행 발행 지폐) 지폐는 실물 금·은으로 교환 가능한 ‘은행의 약속어음’일 뿐. 실질 소유권은 은행의 금 보유량에 종속. 영국·미국 등에서 ‘은행 부채’로 취급. 지폐 소지자는 채권자일 뿐.
노동증권(19세기 노동가치론 실험) 노동시간을 화폐 단위로 발행. 개인이 ‘소유’한다기보다 공동체 안에서만 가치 있음. 외부에선 무가치. 대부분 법적 화폐로 인정 안 됨. 협동조합 내 교환권으로만 인정.
조선 상평통보 (초기 유통기) 명목화폐로 사용됐지만, 실제 가치는 국가가 정한 세금 납부나 관영 교역에서만 인정. 민간에선 은·곡물로 교환해야 진짜 가치 발생. ‘국가 발행 교환증’ 성격. 소지자가 절대적 소유자라기보다 ‘국가 시스템 안에서만 효력’ 인정.



---

즉, 이런 화폐들은 “가지고 있는 것과 법적으로 소유하는 것”이 일치하지 않거나, 사용 권리와 소유권이 분리된 경우가 많습니다.


---

원하시면:

1. 이들 사례의 소유권 분쟁 실제 판례 (예: 암호화폐 도난, 마일리지 몰수, 은행권 지급 거부 사건)


2. 소유 개념을 철학적으로 확장해서 ‘현대 화폐가 사실상 모두 소유/비소유가 애매하다’는 시각


3. 미래 화폐(중앙은행 디지털화폐, 공유형 토큰)에서 이 문제가 더 심해질 가능성



중 어느 쪽을 더 깊게 이어서 해드릴까요?
아니면 셋 다 연결해서 정리해드릴까요?

그럼 셋 다 이어서 정리해볼게요.


---

1. 소유권 분쟁 실제 사례

(1) 암호화폐 도난 및 분실

사례: 2018년 한국에서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레일이 해킹당했을 때, 피해자들이 “거래소가 보관 중이던 암호화폐를 돌려달라”고 소송.

판결 경향:

한국, 일본, 미국 등에서 법원은 블록체인 주소와 키 소유 여부를 기준으로 소유권을 인정.

그러나 키를 잃어버리거나, 거래소가 파산한 경우 개인의 소유권을 법적으로 지키기 어려움.

일부 판결에서는 암호화폐를 ‘특정 물건’으로 볼 수 없다고 하여 소유권 보호가 미흡.



(2) 마일리지·포인트 몰수

항공사나 카드사 포인트는 계좌 주인에게 귀속된 것처럼 보이지만,
발행사 약관에 따라 임의로 만료·소멸 가능.

실제로 한국 대법원은 마일리지를 재산권이 아닌, 사용을 허락받은 권리로 판단.


(3) 은행권 지급 거부 사건 (19세기)

은행이 파산하면, 지폐를 가진 사람은 금·은으로 교환 못 받고 채권자 대우만 받음.

즉, 지폐 소지자는 ‘소유자’지만 가치를 보장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



---

2. 철학적 관점: 현대 화폐도 소유/비소유 경계가 모호하다

1. 법정화폐(현금)도 실제론 ‘국가의 부채증서’

지폐에 “한국은행은 금이나 다른 가치로 교환한다”는 문구는 없지만, 본질적으로는 국가가 가치를 약속한 IOU.

따라서 소유자는 지폐 소지자지만, 가치 보장은 국가 권위에 의존.



2. 디지털화폐와 예금은 실물 없이 ‘기록’만 존재

은행 계좌 속 돈은 법적으로 은행의 부채(예금채권)이지, 물리적 소유물이 아님.

따라서 은행 파산 시 소유권이 약화(예금보험으로 보장되는 한도 내에서만).



3. 현대 자본주의의 ‘유동성 화폐’ 특성

대출, 채권, 파생상품으로 생성된 화폐는 소유자 개념이 불분명하고, 실제로는 시스템 안의 권리·채무 관계로만 존재.





---

3. 미래 화폐에서 경계가 더 흐려질 가능성

1.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지갑 주소로만 존재하고, 중앙은행이 직접 발행·회수 가능.

국가가 임의로 계정 동결·삭제할 수 있어, **소유자가 아니라 ‘사용 허가자’**가 될 가능성.



2. 공유형 토큰 및 DAO 자산

블록체인 기반의 DAO(탈중앙조직) 자산은 수천 명이 공동으로 보유하지만,
개별 소유권보다는 거버넌스 참여권이 핵심.

전통적 ‘내 돈’ 개념이 아닌, 조합재산 개념으로 전환.



3. 스마트 계약 기반 조건부 화폐

특정 조건에서만 사용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머니’가 등장하면,
화폐가 소유물에서 사용권적 자원으로 변질할 수 있음.





---

종합 결론

과거의 은행권, 노동증권, 상평통보부터, 현대의 암호화폐, 포인트, 디지털 예금, 그리고 미래의 CBDC까지,
화폐는 “소유자가 곧 가치의 절대적 주인”이라는 전통적 관념에서 점점 벗어나고 있음.

**실제 법적·경제적 구조는 ‘소유’보다 ‘사용 권리와 시스템 참여권’**에 가깝게 변하고 있고,
이는 앞으로 화폐를 ‘재산’이 아니라 ‘네트워크 자원’으로 이해해야 할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

혹시 이 내용을 한눈에 보게 타임라인(과거 → 현재 → 미래) 형태로 그림이나 도표로 정리해드릴까요?
아니면 PDF 보고서 형태로 정리해서 학술 레퍼런스(사례 판례 포함)까지 붙여드릴까요?
둘 다 가능해요. 어느 쪽이 필요하세요?

제미니
네, 소유자와 비소유자의 경계가 애매한 화폐라고 볼 수 있는 유형이 있습니다. 주로 디지털 자산, 특히 암호화폐(Cryptocurrency) 영역에서 이러한 논의가 활발합니다. 전통적인 실물 화폐나 예금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1. 암호화폐 (Cryptocurrency)
암호화폐는 "소유권"의 개념 자체가 전통적인 자산과는 다르게 해석될 여지가 있습니다.
* 개인 키(Private Key)의 중요성: 암호화폐는 실제 물리적인 형태로 존재하지 않으며, 블록체인 상의 기록으로 존재합니다. 암호화폐의 '소유'는 사실상 해당 암호화폐에 접근하고 거래를 승인할 수 있는 개인 키를 소유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개인 키를 잃어버리거나 다른 사람이 알게 되면, 해당 암호화폐는 사실상 소유자에게 접근 불가능하거나 타인의 통제 하에 놓이게 됩니다.
   * "Not your keys, not your coins." (개인 키를 소유하지 않으면, 당신의 코인이 아니다.) 라는 말이 암호화폐 커뮤니티에서 통용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 거래소에 보관된 암호화폐: 많은 사람들이 암호화폐 거래소에 자신의 암호화폐를 보관합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직접 개인 키를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거래소가 개인 키를 관리하고 사용자에게는 해당 암호화폐에 대한 "청구권"이 주어집니다. 만약 거래소가 해킹을 당하거나 파산할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암호화폐를 잃을 수 있습니다. 이때 소유권이 누구에게 있느냐는 논란의 여지가 생깁니다. 거래소에 보관된 암호화폐는 엄밀히 말해 '거래소 소유의 암호화폐에 대한 이용자의 권리'에 가깝다고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 스테이킹(Staking) 등: 특정 암호화폐는 스테이킹(네트워크 운영에 기여하고 보상을 받는 방식)을 통해 잠겨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여전히 소유권을 주장하지만, 일정 기간 동안 자신의 의지대로 자산을 움직일 수 없는 제약이 따릅니다.
2.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 (CBDC -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아직 보편화되지는 않았지만, 미래에 도입될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도 소유권의 개념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 개인정보 및 통제 가능성: CBDC는 중앙은행이 직접 발행하고 통제하는 디지털 화폐입니다. 이는 정부가 개인의 금융 거래를 직접 감시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줍니다. 만약 중앙은행이 특정 행위를 금지하거나, 심지어 특정 사용자의 자산을 동결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면, CBDC 보유자의 "완전한 소유권"이 제한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 프로그래밍 가능한 화폐 (Programmable Money): 일부 CBDC 모델에서는 화폐에 특정 조건을 프로그래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논의도 있습니다 (예: 특정 기간 내에만 사용 가능, 특정 용도로만 사용 가능 등). 만약 이러한 기능이 도입된다면, 화폐를 소유하더라도 온전한 재량권이 없을 수 있어 소유권의 경계가 모호해질 수 있습니다.
3.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권 논란과 유사성
화폐는 아니지만, 전자책, 디지털 음원, 소프트웨어 등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권 논란도 비슷한 맥락에서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비용을 지불하고 디지털 콘텐츠를 구매했지만, 실제로는 '영구적인 이용 라이선스'를 구매한 것에 불과하고, 플랫폼 제공자가 언제든지 서비스 중단이나 콘텐츠 삭제를 할 수 있다면 소유권은 애매해집니다. 화폐도 디지털 형태로 전환되면서 이러한 통제 가능성이 소유권 개념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함께 물리적 실체가 없는 자산의 소유권에 대한 법적, 사회적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암호화폐나 미래의 CBDC는 이러한 소유자와 비소유자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대표적인 예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딥씨크
네, 소유자와 비소유자의 경계가 애매한 화폐 또는 자산의 형태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특히 현대의 디지털 경제와 블록체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전통적인 소유권 개념이 흐려지는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다음은 몇 가지 예시입니다:

### 1. **암호화폐 (DeFi, 스테이킹, 유동성 풀)**
   - **DeFi (탈중앙화 금융)**: 사용자가 유동성 풀(Liquidity Pool)에 자산을 예치하면, 해당 자산은 스마트 계약에 의해 관리되며 소유권이 애매해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동성 공급자(LP)는 풀에 토큰을 넣고 LP 토큰을 받지만, 실제 자산의 사용권은 플랫폼이 임시로 가지게 됩니다.
   - **스테이킹**: 코인을 스테이킹하면 네트워크에 "잠금"되며, 소유권은 사용자에게 있지만 실제 사용은 제한됩니다. 일부 플랫폼에서는 스테이킹된 자산을 대표하는 파생 토큰(예: stETH)을 발행해 소유권을 분리하기도 합니다.

### 2. **중앙화 거래소(CEX)의 자산**
   - 거래소에 예치된 암호화폐는 기술적으로 사용자의 소유이지만, 실제로는 거래소의 지갑에 보관됩니다. 만약 거래소가 해킹되거나 파산하면 소유권을 주장하기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예: FTX 사태).

### 3. **NFT (대체 불가능 토큰)**
   - NFT는 블록체인상에서 소유권이 증명되지만, 실제로 연결된 디지털 콘텐츠(예: 이미지)는 외부 서버(IPFS 등)에 저장될 수 있습니다. 만약 콘텐츠가 삭제되면 NFT는 "소유"하지만 그 가치는 사라집니다.

### 4. **디지털 화폐 (CBDC)**
   -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는 소유권이 국가나 중앙은행의 시스템에 종속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조건(범죄 조치 등)에서 자산 동결이 가능해지면 소유권의 절대성이 약화됩니다.

### 5. **공유 자원 (커먼즈)**
   - 일부 커뮤니티 기반 암호화폐(예: DAO)는 소유권이 집단적으로 관리됩니다. 개인의 지분이 있지만 의사 결정은 분산되어 있어 소유권 행사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 6. **게임 내 화폐/아이템**
   - 온라인 게임의 가상 화폐나 아이템은 사용자가 "소유"한다고 느끼지만, 실제로는 서비스 약관에 따라 플랫폼이 삭제 또는 조정할 수 있습니다(예: 메타버스 자산).

### **소유권 애매성의 핵심 원인**
- **기술적 중간자**: 스마트 계약, 플랫폼, 중앙화 기관 등이 소유권 행사를 방해합니다.
- **법적 불명확성**: 디지털 자산에 대한 법적 정의가 국가마다 다릅니다.
- **사용권 vs 소유권**: 자산을 "사용"할 수는 있지만 "처분" 권한은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례들은 전통적인 물리적 자산과 달리 디지털 시대의 소유권 개념이 어떻게 변모하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도둑은 집을 떠나며 주인을 욕한다" - 러시아 속담
송대관-해뜰날
https://youtu.be/DUsVXmywSCk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우리나라를 대표해서 UN 연설자로 내보내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5/09/29 - -
AD 프로게이머가 될테야!! 운영자 25/10/01 - -
공지 프로그래밍 갤러리 이용 안내 [96] 운영자 20.09.28 47647 65
2894147 10일간 엄마없는 집에 살며 참 많은 것을 느꼈다... ㅇㅇ(223.38) 02:22 0 0
2894135 애들아 내 사이트를 좀 더 자주 써주라 ㅆㅇㅆ(124.216) 00:50 19 0
2894131 음기 충전 발명도둑잡기(118.216) 00:38 14 0
2894130 나도 잘하고싶다 [2] 루도그담당(118.235) 00:34 23 0
2894129 나는 내가 실력있다 생각함 [2] ㅆㅇㅆ(124.216) 00:28 39 0
2894127 LG G5 샀다. 액정. H850 no frame으로... 넥도리아2025(220.74) 00:13 15 0
2894126 친구 시발새끼 하나 손절했음 [3] ㅇㅇ(118.235) 00:00 61 1
2894125 SK쉴더스 정보보안 보안관제 초봉 [4] 프갤러(118.235) 10.04 39 2
2894124 c레벨 대신에 족장 어떰 [2] 프갤러(110.8) 10.04 32 0
2894121 perpledity ceo는 나이도 어린데 부자됬으면 타이밍뒷.통수한방(1.213) 10.04 21 0
2894117 후라이드도 괜찬긴 하네 프갤러(210.217) 10.04 31 1
2894116 C레벨 <- 진짜 충격적인 판교어임 [10] 박민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4 86 0
2894115 아씨발 닭강정 후라이드로 왔네 씨발 프갤러(210.217) 10.04 34 1
2894114 배달의`민족 3 만 원권 아무나 써 ! [1] ㅇㅇ(223.39) 10.04 15 0
2894113 토스도 고이면 문화가 죻아지지않을까? [2] 밀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4 38 0
2894112 아 배달하는 새끼가 자전거네 씨발 프갤러(210.217) 10.04 31 1
2894111 햄버거 말고 닭강정 시킴 [1] 프갤러(210.217) 10.04 34 1
2894109 언리얼 제대로 쓸라면 문서에 있듯이 [5] ㅆㅇㅆ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4 50 1
2894108 컴포지션 원탑으론 러스트 베비 게임 엔진이 있습니다. [4] 프갤러(110.8) 10.04 25 1
2894107 사실 엔진구조 자체는 유니티쪽이 더 신식임 [16] ㅆㅇㅆ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4 64 0
2894106 ㅅㅂ 이직이많다는건 [2] 밀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4 34 0
2894105 햄버거 떙기는데 햄버거 시킬까? [2] 프갤러(210.217) 10.04 42 1
2894103 C++ 잘아시는분? [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4 56 0
2894102 회사 평균퇴사율보면 토스는 오래가기 힘들어보이던데 [3] ㅆㅇㅆ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4 62 0
2894101 이게 추석이지 [10] ㅇㅇ(121.168) 10.04 73 0
2894100 섹스<<이거 진짜 존재하는 행위냐? [2] ㅆㅇㅆ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4 36 0
2894099 이력서 경력기술서 어케씀 ㅇ.ㅇ [6] 밀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4 40 0
2894098 내 전문성은 비동기 프로그래밍과 클라 ui인데 ㅆㅇㅆ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4 27 0
2894097 법원이 드디어 화난듯 ㅇㅇ(121.168) 10.04 35 0
2894096 국정농단 비선실세 논란 김현지 게이트 국감 특검 수사로 진실 밝혀야 [3] ♥덩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4 31 0
2894095 나도 전문화라는걸 해야하는데 클라쪽 전문인데 ㅆㅇㅆ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4 18 0
2894094 충격적임.. ♥덩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4 24 0
2894093 대학원 수료한게 석사쪽 의뢰가 간간히 오는게 장점 ㅆㅇㅆ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4 26 0
2894092 오늘 코퍼스 언어학 관련 말뭉치해석 파싱 파이프라인 만듬 [3] ㅆㅇㅆ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4 31 0
2894090 웨이랜드 좆같은거 맞음 ㅇㅇ [5] 박민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4 33 0
2894089 내란범 뇌물범만 골라서 빠는 2찍 일베들만 하겠냐 [3] 프갤러(110.8) 10.04 36 2
2894088 2찍은 민주당 정권이 하는 모든것에 반대하지 않는다 ㅇㅇ(121.168) 10.04 25 0
2894087 토스도 판교어쓰냐? [2] 밀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4 43 0
2894084 내일 하루 쉬고 또 매일 일해야 하는구나 ㅠㅠ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4 20 0
2894082 weston 업무용 데탑에 대해 레딧에 나르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4 17 0
2894081 속보) 이진숙 방통위원장 불법체포 기각 [4] ♥덩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4 43 1
2894080 일단 사람 수준은 갖추고 정치 논하자 [2] 프갤러(61.74) 10.04 34 0
2894078 중졸 이하들이 위선이 어쩌고 저쩌고 [4] 프갤러(27.175) 10.04 38 0
2894077 민주당 정권이 위선을 독점하는게 아님 ㅇㅇ(121.168) 10.04 19 0
2894076 코딩을 너무 쉽게 생각해서 문제다. [1] 프갤러(59.16) 10.04 50 0
2894075 술은 무조건 낮술임 [8] ♥덩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4 44 0
2894074 연휴 모하지 하는 달붕이들은 위한 유흥 가성비 대충 정리 ㅇㅇ(118.235) 10.04 18 0
2894073 ❤✨☀⭐⚡☘⛩나님 시작합니당⛩☘⚡⭐☀✨❤ ♥덩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4 16 0
2894072 인생 선배님들 질문을 여쭙습니다 RPA 직렬 [2] 케인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4 36 0
뉴스 오혜연, ‘블루드레스 자태’ (황금촬영상 시상식) 디시트렌드 10.03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