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군중을 개인들의 집합이라고 보는 시각의 사회심리학적 한계앱에서 작성

발명도둑잡기(118.216) 2025.07.29 00:20:51
조회 43 추천 0 댓글 0

군중을 개인들의 집합이라고 보는 시각이 사회심리학에 비해 놓치는  한계

챗지피티
군중을 단순히 개인들의 집합으로만 보는 시각(즉, 군중 = 개인들의 합)에는 사회심리학이 다루는 중요한 측면들이 빠집니다. 사회심리학은 군중을 단순한 합이 아니라, 상호작용과 집단적 역동이 만들어내는 새로운 심리적·행동적 특성을 가진 존재로 봅니다.

주요 한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

1. 집단적 상호작용에 의한 새로운 행동 양식 무시

개인이 혼자 있을 때와 집단 속에 있을 때 사고와 행동이 달라지는 현상(예: 집단극화, 집단사고)을 설명하지 못함.

군중 안에서는 익명성, 동조 압력, 정서적 전염 등이 작동해 개인이 평소와 다른 선택을 하게 되는데, 단순한 개인 합산론은 이를 설명하지 못함.



---

2. ‘집단적 정체성’과 ‘사회적 정체성’ 간과

사회심리학은 사람들이 군중 속에서 ‘나’보다 ‘우리’로서 행동하게 되는 현상을 강조(사회적 정체성 이론).

단순한 개인 합산 시각은 공유된 목표, 감정, 상징, 규범이 형성되어 새로운 집단적 주체가 되는 과정을 놓침.



---

3. 감정과 행동의 전염, 확산 효과 무시

군중 속에서는 감정이 급격히 확산되고, 폭력이나 공포가 증폭될 수 있음.

이를 단순히 개인 감정의 총합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움. 집단적 맥락에서 행동이 ‘증폭’되는 메커니즘을 고려해야 함.



---

4. 비합리적 행동의 출현 원인 설명 부족

군중이 때로는 비이성적, 충동적 행동을 보이는 이유(르봉, 프로이트 등 고전적 군중심리학)
→ 단순한 개인 합산론으로는 ‘왜 개인이 집단 안에서 판단이 흐려지고 폭력적이 되는지’ 설명 불가.



---

즉,
군중을 단순히 개인들의 집합으로 보는 관점은 집단에서만 나타나는 심리적, 정서적, 행동적 역동성을 설명하지 못하며,
사회심리학이 다루는 집단적 정체성, 상호작용 효과, 전염, 집단적 사고 변화 같은 현상을 간과합니다.


---

원하면,

르봉(Le Bon)·프로이트·현대 사회정체성 이론을 기준으로, 학자별 관점으로 비교한 요약표로도 정리해줄까요?

아니면 실제 사례(폭동, 팬덤, 정치 집회 등) 중심으로 설명해줄까요?
어느 쪽이 필요해요? (둘 다 가능)


그럼 1) 학자별 비교 요약표와 2) 실제 사례 중심 설명 두 가지로 나눠서 정리해줄게요.


---

1) 군중을 단순한 개인 합으로 보는 시각 vs 사회심리학적 관점 (학자별 비교)

관점 / 학자 핵심 주장 군중을 개인 합으로 보는 시각의 한계

르봉 (Gustave Le Bon) 군중은 개인과 달리 ‘집단정신’이 형성되어 비이성적·충동적이 됨. 익명성, 감정 전염, 암시가 핵심. 단순히 개인들의 합으로는 집단정신(익명성·전염 효과)을 설명 불가.
프로이트 (Sigmund Freud) 군중 속 개인은 초자아가 약화되고 원초적 본능이 강화됨. 지도자와 동일시하며 집단 행동. 개인의 정신적 억제가 해제되는 심리적 메커니즘을 설명하지 못함.
현대 사회정체성 이론 (Tajfel, Turner) 사람들은 군중 속에서 ‘개인’이 아닌 ‘집단적 우리’로 행동. 집단 규범과 정체성이 개인 행동을 바꿈. ‘우리 대 그들’ 인식, 집단 규범에 따른 행동 변화를 단순 합산론은 반영 못함.
집단극화 연구 (Moscovici, Myers) 집단에서 의견이 더 극단화되거나 위험해지는 경향(집단극화). 개인 의견 단순 합으로는 왜 더 과격해지거나 한쪽으로 쏠리는지 설명 부족.
현대 네트워크/집단역학 연구 감정·행동 전염, 집단적 의사결정 네트워크 효과, 동조 압력 등이 중요한 변수. 개별적 특성만으로는 집단 전체 행동 예측이 어렵다.



---

2) 실제 사례로 보는 한계

(1) 폭동이나 시위

시위가 단순한 개인 불만의 합이라면, 시위대가 갑자기 폭력적으로 변하거나 불법행위를 하는 것을 설명하기 어려움.

실제로는 집단 속 익명성, ‘우리 대 그들’ 정체성, 감정 전염이 폭력적 행동을 촉발.


(2) 팬덤 문화

K-POP 콘서트나 스포츠 팬덤에서 개인은 평소에 안 하던 과격 응원, 눈물, 집단적 행동을 보임.

단순한 팬들의 모임이 아니라, 공유된 정체성과 규범이 행동을 강화시킴.


(3) 주식·코인 폭락 패닉

투자자들이 개인적으로만 행동한다면 급락 시 ‘합리적’ 매도·매수 행동이 나타나야 하지만,

실제로는 공포 감정 전염으로 대규모 패닉 셀링이 일어남.


(4) 정치 집회와 극단화

집단 토론에서 의견이 더 극단적으로 변하거나 한쪽으로 몰리는 현상(집단극화) 발생.

개인들의 원래 의견을 단순히 평균 내면 이런 ‘극단화’ 현상을 설명할 수 없음.



---

정리하면,
군중을 ‘개인들의 합’으로만 보는 관점은 집단적 정체성, 상호작용, 감정 전염, 익명성, 집단극화 같은 사회심리학적 핵심 메커니즘을 무시해, 실제 군중 행동(폭동, 팬덤, 집회 등)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합니다.


---

원하면 이 내용으로 "시험용 짧은 답안" 버전(3~4줄 요약) 도 만들어줄까요?
아니면 **군중심리학의 세 이론(르봉, 프로이트, 사회정체성) 중심으로 ‘시험 답안용 비교표’**까지 만들어줄까요?
둘 다 줄까?

제미니
군중을 단순히 개인들의 집합으로 보는 시각은 사회심리학이 강조하는 군중 현상의 본질적인 측면들을 간과하는 한계를 가집니다. 사회심리학은 군중이 단순히 개인의 총합 이상이며, 집단적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특성과 행동 양식이 나타난다고 설명합니다.
군중을 개인들의 집합으로만 볼 때 놓치는 사회심리학적 한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몰개성화 및 익명성 (Deindividuation & Anonymity)
군중 속에서 개인은 익명성을 느끼고, 이는 평소 자신의 도덕적, 사회적 규범으로부터 벗어나게 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인 책임감이 약화되면서 충동적이고 감정적인 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커지는데, 이를 몰개성화라고 합니다. 단순히 개인들의 합이라고 본다면 이러한 몰개성화 효과를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개인의 고유한 특성보다는 군중이라는 상황 자체가 개인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간과하게 되는 것입니다.
2. 감정 전염 및 암시 (Emotional Contagion & Suggestibility)
군중 속에서는 특정 감정이나 생각이 마치 전염병처럼 빠르게 퍼져나가는 감정 전염 현상이 두드러집니다. 또한, 군중은 특정 암시에 매우 취약해져, 선동가의 말이나 행동에 쉽게 동조하고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는 개개인의 합리적 판단보다는 집단적인 분위기와 상호작용이 행동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3. 새로운 사회 규범의 형성 (Emergent Norms)
군중은 기존의 사회 규범에서 벗어나 그 상황에서만 통용되는 새로운 규범을 형성하기도 합니다. 이는 특정 행동을 용인하거나 금지하는 압력으로 작용하여, 개인들이 해당 규범에 따라 행동하도록 유도합니다. 단순히 개인의 특성을 파악해서는 이러한 집단 내부의 자생적인 규범 형성과 그 영향력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4. 집단 사고 (Groupthink) 및 극단화 (Group Polarization)
군중은 의사결정 과정에서 집단 사고에 빠져 비판적인 사고를 억제하고 합의를 우선시하는 경향을 보일 수 있습니다. 또한, 원래 개인들이 가지고 있던 태도나 의견이 군중 속에서 더 극단적인 방향으로 강화되는 집단 극단화 현상도 나타납니다. 이러한 현상들은 개개인의 특성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우며, 집단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과 압력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5. 책임 분산 (Diffusion of Responsibility)
군중 속에서는 개인이 자신이 저지르는 행동에 대한 책임감을 덜 느끼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여러 사람이 함께 행동하기 때문에 책임이 분산된다고 여기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책임 분산은 비윤리적이거나 위험한 행동을 부추길 수 있으며, 개별적인 개인을 분석해서는 파악하기 어려운 군중의 중요한 특징입니다.
결론적으로, 사회심리학은 군중을 단순히 개인의 집합이 아닌, 상호작용을 통해 독특한 심리적, 행동적 특성을 나타내는 동적인 실체로 이해합니다. 개인들의 특성을 아는 것만으로는 군중 속에서 나타나는 복잡하고 때로는 비이성적인 행동을 온전히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이 사회심리학이 강조하는 핵심 한계점입니다.

딥씨크
군중을 단순히 개인들의 집합으로 보는 시각은 사회심리학적 관점에서 여러 중요한 한계를 노출합니다. 다음은 주요 한계점들입니다:

1. **집합적 현상의 무시** 
   - 군중은 개인들의 단순 합계 이상의 특성을 지닙니다. 
   - **군중심리(Group Mind)** 현상(르봉 이론)이나 **탈개인화(Deindividuation)** 과정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행동 양상을 설명하지 못합니다.

2. **사회적 정체성 간과** 
   - 사회적 정체성 이론(SIT)에 따르면, 군중 행동은 개인이 집단 정체성에 동일화될 때 발생합니다. 
   - 개인 단위 분석은 '우리 대 그들'과 같은 집단적 분류의 영향을 놓칭니다.

3. **상호작용 역동성 부재** 
   - 군내 구성원 간의 **상호 자극(Contagion)** 또는 **공동목표 형력(Emergent Norm Theory)** 같은 역동성을 설명할 수 없습니다. 
   - 예: 시위에서의 구호 확산은 개인적 결정만으로 설명되지 않음.

4. **맥락적 요인 경시** 
   - 정치적 상황, 문화적 규범, 물리적 환경(예: 광장 구조) 등 외부 요소가 군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간과합니다.

5. **정서적 전이 설명 불가** 
   - 군중 내에서의 정서적 감염(Emotional Contagion)이나 집단적 흥분 상태를 개인 수준 분석으로는 포착하기 어렵습니다.

6. **비합리성/비예측성 과소평가** 
   - 개인은 이성적이지만 군중은 비합리적 행동(예: 폭동)을 보일 수 있다는 고전적 주제(프로이트, 깐띠에)를 무시합니다.

7. **권력 관계의 부재** 
   - 군중 내 리더십, 권력 계층, 소수 의견의 확대 등 계층적 역학을 분석하지 못합니다.

사회심리학은 군중을 **상호작용하는 시스템**으로 보며, 이러한 한계들을 극복하기 위해 집단 정체성, 상황적 맥락, 역동적 과정에 주목합니다. 예를 들어, 2011년 월가 점령 운동이나 홍콩 시위 분석에서 개인 수준 접근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현상들이 많았습니다.

"도둑은 집을 떠나며 주인을 욕한다" - 러시아 속담
송대관-해뜰날
https://youtu.be/DUsVXmywSCk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반응이 재밌어서 자꾸만 놀리고 싶은 리액션 좋은 스타는? 운영자 25/07/28 - -
AD 휴대폰 액세서리 세일 중임! 운영자 25/07/28 - -
공지 프로그래밍 갤러리 이용 안내 [92] 운영자 20.09.28 46003 65
2877596 팀노바인가 뭔가가 AI 부정하는건 어쩔수 없지 않나 ㅆㅇㅆ(124.216) 14:49 6 0
2877595 샤워하면 정신 맑아짐 ㅇㅅㅇ ♥님아그다리를건너지마오쩌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43 4 0
2877594 ■요즘 합격할려면 무슨 포폴이 대세인가요?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42 8 0
2877593 마음에들지도 감당가능하지도 않은 것을요. 프갤러(220.84) 14:39 10 0
2877592 코딩 문제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38 17 0
2877591 AI 내려치기 하는 애들은 팀노바 애들 아닐까 싶다 [2] 프갤러(121.148) 14:37 11 0
2877590 121.139 말하는거보니 프로그래밍쪽도 아닌거 같은데 ㅆㅇㅆ(124.216) 14:37 8 0
2877589 버림받았어요. 프갤러(220.84) 14:21 14 0
2877588 거지세계에서 ㅆㅇㅆ가 커보이는건 당연하지 ㅋㅋ [1] 프갤러(121.139) 14:09 40 1
2877587 일단 현재 프갤에서 플밍 제일 고수는 ㅆㅇㅆ인 것 같음 [6] 아스카영원히사랑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7 70 0
2877586 좀 코딩을 할 때 필요 해석문 좀 달아놔라 [5] 짇알옆차기(222.113) 13:57 52 0
2877584 인공지능에 대한 환상 프갤러(121.148) 13:48 18 0
2877582 앓느니 죽지 프갤러(220.84) 13:41 13 0
2877581 "와이프 몰래 바람피고 있습니다" 발명도둑잡기(118.235) 13:30 18 0
2877580 프로그래밍 언어 만들어본 사람 있음?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29 37 0
2877579 아이큐 같은게 사람 포텐셜을 전부 파악못하고 아이큐는 변함 [4] ㅆㅇㅆ(124.216) 13:20 36 0
2877578 무슨 부귀영화를 누리겠다고 이러고있소. 프갤러(220.84) 13:19 19 0
2877577 난 iq검사떄 프갤러(121.139) 13:19 19 0
2877576 본인 아이큐 검사 98 나왔었음 [13] 루도그담당(58.239) 13:18 51 0
2877575 내 정리한 내용들 보는데 생각보다 열심히 공부했네 ㅆㅇㅆ(124.216) 13:16 18 0
2877574 너네는 근데 공부한 내용 어떻게 정리해두냐? [4] ㅆㅇㅆ(124.216) 13:13 35 0
2877573 실베에 IQ 276 보니까 [3] 루도그담당(58.239) 13:13 38 0
2877572 ㅆㅇㅆ보면 다 인증용 류독이 하던짓이란 말이야 ㅇㅅㅇ 류류(118.235) 13:11 22 2
2877571 강유현 = 좆솔근 류류(118.235) 13:09 16 0
2877570 준비해야 할게 넘 많당 차 팔구 ♥님아그다리를건너지마오쩌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9 16 0
2877568 내가 정리한 알고리즘 개념 그래프는 이러함 [2] ㅆㅇㅆ(124.216) 13:04 30 0
2877567 내 공부법 어떤지 소개해줌. [4] ㅆㅇㅆ(124.216) 13:00 39 0
2877566 걍 라이브러리 쓸까 [9] 루도그담당(58.239) 12:53 67 0
2877565 또 장애인 한마리 계속 시비걸면서왔군 [2] ㅆㅇㅆ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53 33 0
2877564 리트코드 관련해서 어떤 데이터가 어떻게 연관있는지 정리한 [3] ㅆㅇㅆ(124.216) 12:49 28 0
2877563 하루에 한줄 감사의 코딩 [1] 공기역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47 23 0
2877562 리트코드는 문제어떤 순서로 푸냐 [3] 밀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46 24 0
2877560 고통을 오픈소스로 하여 [2] 프갤러(220.84) 12:40 34 0
2877559 거지말단새기가 아부리터는 나만 불편하나 프갤러(121.139) 12:39 29 4
2877558 요즘은 런타임에 동적 코드 소스 제네레이터 쓰라고 함 [3] ㅆㅇㅆ(124.216) 12:36 35 0
2877557 고통은 나눠야합니다. 고통을 나누면 프갤러(220.84) 12:36 17 0
2877556 습하.. 쓰읍하.. 습하.. ♥님아그다리를건너지마오쩌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30 17 0
2877555 아 어렵다 [2] 루도그담당(58.239) 12:29 23 0
2877554 나 요즘은 지피티 코드를 내 멘토로 하기로 함 [1] ㅆㅇㅆ(124.216) 12:29 28 0
2877553 확실히 정신병자 새끼들은 상종하면 안됨 [1] 프갤러(45.83) 12:24 36 4
2877551 코드 계속 따라치다보면 뭔가 그래 항상 [2] ㅆㅇㅆ(124.216) 12:20 28 0
2877550 진짜 파이 인스톨러 너무 좆같아 그냥 ㅆㅇㅆ(124.216) 12:17 16 0
2877549 날이 너무 무덥다 진짜 [2] ㅆㅇㅆ(124.216) 12:15 24 0
2877548 direct call 구현하는데 좆빡세네 루도그담당(58.239) 12:11 24 0
2877547 Dive into SOLANA [1] 어린이노무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9 33 0
2877546 시간이 길어질수록 반작용으로 튕겨나갈 증오도 거세집니다 프갤러(220.84) 11:42 16 0
2877544 청소하기도싫고, 더워서 나가기도 싫다. 프갤러(121.139) 11:38 14 0
2877543 ㅆㅇㅆ 보면 [2] 프갤러(121.139) 11:35 51 4
2877542 gpt 수고했다 [2] 프갤러(113.59) 11:27 39 0
뉴스 걸그룹 전 멤버, ‘술집서 일하다 남편 만나’ 악성 루머 유포자 고소 디시트렌드 08.0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