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프로그래밍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프로그래밍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점점 미쳐가는 토스 주식 갤러리 ㄷㄷ 지붕이
- 목욕물 받아주는 일본인 아내 ㅇㅇ
- 유튜버 구제역, '쯔양 협박' 손해배상 1심 불복 항소 ㅇㅇ
- 싱글벙글 현재 해외에서 논란인 도쿄의 어느 술집 ㅇㅇ
- 싱글벙글 20대 중국인 남성. 서해안 고속도로 역주행 만취 음주운전 ㅇㅇ
- 현재 해외에서 논란 중인 유명한 보고서...jpg 아우스레제
- 싱글벙글 가난에도 이자가 붙는다는 뜻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는 의사. ㅇㅇ
- 검찰총장 대행 "다음에 말하겠다" ㅇㅇ
- 제마 풀코스 끝까지 뛰어본 후기 러드
- 싱글벙글...바이크 소리 큰 이유..jpg 아린퍄퍄
- 14회 서울레코드페어 후기 롯데코코낫
- 아이슬란드 사진 몇장 heeeeya
- 싱글벙글 미국의 저주받은 통나무..jpg ㅇㅇ
- 제32회 친구들 보겜동 모임 후기! 당근사과비트
- 법무부, 연어 술파티 편의점 결제 내역 "소주 맞다" 하이라잇
국산 오토바이 산업의 경쟁신화를 알아보자
안녕 최연소다오늘 알아볼 알아보자 시리즈는 바로8~90년대 대림혼다와 효성스즈키의 박터지는 경쟁의 대표주자들은 어땠을지 알아볼 것이다내가 알고있는 정보로만 만들었기 때문에 오류가 있을수 있는 점은 양해 부탁한다 shake it들아 ㅋ 이 이야기를 하기 위해서는 1962년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그때 기아산업은 오토바이 부문 기아기연을 통해 혼다와 처음 기술제휴 하였고 (당시 차량부문에서는 마쓰다와 제휴)조립생산을 중심으로 하여 6~70년대 국산 바이크 시장을 독점하였다한편 1978년 효성도 오토바이 산업에 도전하게 되었고 효성기계공업이 설립된다하지만 1980년 땅1크양반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가 들어섰고신군부의 자동차공업 통한조치로 인해 기아는 울며 겨자먹기로 오토바이 사업을 대림에 매각하였다대림혼다의 탄생이었다마침 효성도 스즈키와 기술제휴로 효성스즈키 브랜드를 출범시겼고 첫 바이크를 생산한다초창기에는 경쟁 구도라고 할 만한 게 형성되지 않았으나80년대 중반으로 가며 점점 치고박고 싸우게 되었고오늘 소개할 것이 바로 이 경쟁의 산물들이다1. 모페드모페드란 전자장비와 무게를 최소화하고 엔진도 ㅈ만한 걸 얹어서 '원동기장치자전거' 라는 명칭에 제일 어울리는 장르였고 유럽과 미 대륙에서 인기가 많았다1983년 대림은 50cc 모페드 '핸디'를 출시한다핸디는 리버티라는 이름으로 해외수출이 되었고국내보다 해외에서 더 인기를 끌게 된다.1987년 효성도 대항마로 걑은 50cc 모페드 '러브' 를 출시하였으며국내에서는 둘 다 판매량이 바닥을 기어 국내경쟁은 의미가 없었으나해외에서는 둘 다 나름 선전하여 현재도 일부가 돌아다니고 있다.2. 언더본언더본 바이크 설명은 바이크 덕후라면 다 알 테니 넘어간다수퍼커브 만쒜1981년 효성이 먼저 FR50 언더본 바이크를 출시한다국내에서 보기 드문 50cc 언더본 바디였다1982년 대림 DH88 출시80cc 언더본으로 FR50을 위협했고 결국 효성보다 앞선다여기서부터 대림이 앞선 거다1980년대 중반 효성 FB100 (FM100) 패밀리아 출시모든면에서 88을 압도하였으나 잔고장이 잦았다고 전해진다(무려 1999년까지 생산한 걸로 보인다)1987년 대림 씨티100 출시이때부터 효성은 오토바이 시장에서 콩라인이 되어버렸고 이때부터 씨티신화가 시작된다국내 최다판매의 오토바이의 전설 주인공이다뭐 다 알 거다1990년 초반 효성 슈퍼윈디 출시씨티를 잡기위해 출시하였으나 심장병으로 인해 씨티를 잡지 못함 ㅠㅠ이후 대림 씨티는 시리즈가 계속 나오며 수퍼커브 수입 전까지 승승장구했지만효성은 윈디 이후 마이다스, 마스터, 에스코트 등으로 언더본 시리즈를 계속 이어가도 씨티를 단 한번도 따라잡지 못했다고 전해진다....이는 현재진행형이다3. 스포츠80년대 후반 효성은 감마를 출시하여 유선형 스포츠 바이크에 진입하였다초반엔 잠깐 반짝 하였으나....1989년~VF 등장이요~VF는 감마를 순식간에 눌러버렸다이후풀카울링의 효성 감마 C쌍라이트의 효성 TN125얘내들도 VF 견제에 실패해버림하지만....~95년 효성 엑시브 등장이요~효성이 대림을 따라잡은 유일한 바이크다4. 절망대림과 효성은 이후 2000년대 초반까지 박터지는 경쟁을 하고있었지만결국 2000년대 들어 정부의 내수산업 보호정책은 개방 위주로 전환되었고혼다와 스즈키는 제휴를 끊은 뒤 직접 한국에 진출하게 된다불행하게도 40여년 간의 독과점 상태에서 외산 바이크에게 충분한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한 대림과 효성은 경쟁력을 상실하고 쪼그라들고 만다2025년 현재 국산 바이크는 디엔에이모터스 (구 대림) 의 씨티와 KR모터스 (구 효성) 의 아퀼라를 제외하면 경쟁력을 완전히 잃고 말았고힘겹게 버티는 상황이다한국의 오토바이 산업은 이대로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하는 걸까?댓글 한번찍만 부탁한다이상이다
작성자 : 디시최연소고닉고정닉
"지금 아니면 집 못 산다"…30대 '영끌 패닉바잉' 급증...jpg
월요일 친절한 경제 한지연 기자 나와 있습니다. 한 기자 서울 아파트 산 사람 중에 30대가 가장 많다면서요?지난 9월 기준으로 서울 아파트를 산 사람 중에 30대 비중이 36.7%로 10명 중의 4명에 달하는데요.4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요즘 금리도 여전히 높고 대출 규제도 강해졌는데요.그럼에도 30대가 다시 움직인 건 일반대출보다 금리가 낮고, 조건도 좀 더 유리한 '생애 최초 주택 구입자', '신생아 특례 대출' 같은 정부의 정책 대출이 영향을 줬기 때문입니다.특히, 대출 규제 이후에도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계속되면서 '지금 아니면 더 집 사기가 어려워질 것 같다'며 서둘러 집을 사려는 30대의 '패닉바잉', 또는 '영끌' 수요가 늘었다는 분석입니다.특히 직장 접근성이 좋고 가격이 비교적 낮은 지역에서 매수세가 강했습니다.강서구가 48%로 가장 높았고, 관악구 46%, 성동구 45%, 은평·영등포·서대문·성북구도 모두 40%를 넘겼습니다.거래된 집 두 채 중 한 채를 30대가 샀다는 뜻입니다.이 지역들은 대부분 10·15 대책 이전까지 토지거래허가구역이 아니어서 전세를 낀 갭투자가 가능했던 곳이기도 한데요.정책 자금과 갭투자 수요가 겹쳐진 결과로 보입니다.전문가들은 10·15 대책으로 규제 지역이 확대되면서 정책 자금 활용이 가능한 30대 매수 비중은 더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다음으로 금융사들 영업이익이 많이 늘었는데 부실도 같이 늘었다. 이런 얘기인가 보네요.실제로 그런 흐름이 보이는데요.4대 금융지주에서 3분기 이익이 15조 원을 돌파하면서 사상 최대를 기록했습니다.하지만 동시에 부실 대출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습니다.9월 말 기준 3개월 이상 연체된 대출, 즉 고정이하여신 NPL 규모는 9조 2천억 원으로 1년 전보다 18% 늘었습니다.아직 이자를 내고 있지만 언제 부실로 넘어갈지 모르는 '요주의 여신' 규모도 18조 3천억 원으로 2019년 이후 최대입니다.반면에 부실 감당 능력을 가늠할 수 있는 4대 금융지주의 단순 평균 'NPL 커버리지 비율'은 1년 새 18.5%포인트 떨어져서 123.1%로 역대 최저 수준입니다.4대 금융지주가 3분기까지 충당금을 5조 6천억 원 가까이 쌓았지만, 부실채권이 늘어나는 속도를 막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입니다.이런 흐름은 단순히 경기 둔화 때문만이 아니라, 고금리 장기화로 자영업자·중소기업 같은 취약 차주는 물론, 가계의 상환율도 함께 떨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결국, 은행의 수익은 커졌지만, 부실 리스크도 함께 커지고 있는 겁니다.마지막은 금리 얘기네요. 저축은행 예금금리가 떨어진 모양이죠?제2금융권 중에 저축은행의 예금금리가 9월 초에 3% 안팎이었던 게 최근 2%대 중후반으로 떨어졌는데요.이제는 3%대 상품이 거의 사라졌다고 보면 됩니다.9월부터 예금자 보호 한도가 5천만 원에서 1억 원으로 올라가면서, '이제 저축은행에 넣어도 안전하다'는 인식이 생겼지만, 막상 가보면 예금금리는 오히려 낮아져 있습니다.이유는 요즘 제2금융권이 예금 경쟁보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 PF 관련 부실채권 정리에 더 집중하고 있기 때문입니다.PF 대출은 분양 수익으로 돈을 갚는 구조인데, 부동산 경기가 식으면서 공사가 중단되거나 분양이 실패해 연체가 생긴 겁니다.실제로 부실채권을 털어낸 결과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은 6월 말 8.37%에서 9월 말 6.78%로, 신협도 8.36%에서 7%대 초반으로 낮아졌습니다.현재 2금융권은 PF부실 여파로 기업 대출은 섣불리 내줄 수 없고, 대출 규제로 가계대출도 줄이다 보니 수신을 확보할 유인이 크지 않은 상황인데요.결국, 지금의 이러한 상황이 기준금리 인하 흐름과 맞물리면서 예금의 매력은 줄고, 자금은 점차 다른 투자처로 옮겨가고 있습니다.
작성자 : 빌애크먼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