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프로그래밍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프로그래밍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아빠 환갑에 반반씩 부담해서 여행가자는 남동생 ㅇㅇ
- 마왕군 사천왕 예견의 퓨쳐뷰어 2부 52화 위마
- 230억 주한미군 공사따낸 건설사, 사기꾼이었다… 스탈린
- 싱글벙글 어쌔신크리드 근황 언성을높이지마
- 싱글벙글 현재 논란중인 검도 vs MMA.jpg ㅇㅇ
- 한국 중국인불체자 최다신고는 같은 중국인 ㅇㅇ
- [단독] 마운자로, 한국서 생산한다... 일라이 릴리, SK와 거점 구축 야떡이
- "15만원이라더니 영수증엔 150만원?"...화장품 결제 논란 스탈린
- 봉지욱: 수원지검 검사들이 법정을 뛰쳐나갈 수 밖에 없던 이유 ㅇㅇ
- 닞장판 2장 개봉 기념 여행기 (2일차) ㅇㅇ
- 사람들은 왜 점점 사회주의를 지지하는가..JPG 0과1
- 10억 받고 자퇴하기 vs 그냥 이대로 살기 ㅇㅇ
- 새벽 4시 김건희 오전 8시 尹 박성재에게 지라시 보내 ㅇㅇ
- sns에 올릴 영상 찍으려고 아기 발로 차는 엄마 ㄷㄷ ㅇㅇ
- 싱글벙글 영포티 정신으로 이대녀 번따하기 부녀자공제
한국 배당세 30% 여야 합의 완료 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
- [속보] 여야, 배당소득 분리과세 50억 초과구간 신설…최고세율 30%- 여야, 배당소득 분리과세 최고 30% 합의…'50억 초과' 신설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561272?type=breakingnews&cds=news_edit [속보] 여야, 배당소득 분리과세 최고 30% 합의…'50억 초과' 신설여야는 28일 배당소득 분리과세 최고 세율을 최대 30%로 하고, 과세 구간에 '50억 원 초과'를 신설하는 데 합의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조세소위원회 위원장인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과 여당 간사인 정태호 민주당 n.news.naver.com- dc official App- 배당소득세 개편 간단정리지금까진 매년 이자 + 배당합산2천만원 미만시 세율 15.4%2천만원 초과시 종소세로 합산 최대세율 49.5%였음1년에 2천만원이면 한달에 167만원임주40시간 최저소득으로 4주 일하면 딱 167만원 수준임이정도 돈도 종소세로 합산돼세계에서 젤 높은 배당세율을 자랑했음(종소세에 합산되면 건보료도 또 내야함)개편안 배당 + 이자 2000만원까지 15.4%2000만원 - 3억원 22%3억원 - 50억원 27.5%50억 이상 33%국제 기준으로 보면 아직도 최고수준 세율이지만그전 종소세에 합산돼서 49.5% + 건보료 때려맞는것보단 많이 줄어듬
작성자 : ㅇㅇ고정닉
상위 20%는 덜 쓰고, 하위 20%는 더 썼다...jpg
금요일 친절한 경제 한지연 기자 나와 있습니다. 한 기자, 3분기 실질 소득이 좀 늘었다는 통계가 나왔네요.일단 숫자만 보면 3분기 실질 소득이 플러스로 전환된 건 맞습니다.하지만 '경기 회복' 때문이 아니라 민생 쿠폰 같은 정부 지원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국가데이터처의 '2025년 3분기 가계동향조사'를 보면요.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43만 9천 원으로 작년보다 3.5% 늘었고, 물가 상승을 뺀 실질소득 증가율은 1.5%로 집계됐습니다.그런데 안을 들여다보면 얘기가 조금 다릅니다.먼저 근로소득은 0.8% 줄면서 2분기 마이너스 0.5%보다 감소 폭이 더 커졌습니다.임금 자체는 올랐지만, 사업체 임금 상승률이 임금근로자 수 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해서 결국 총액이 줄어든 걸로 분석됐습니다.사업소득도 1.7% 감소했는데요.지난 2분기에 이어 두 개 분기 연속 1%대 감소인데, 여전히 자영업 경기가 탄탄하게 회복되지 못한 흐름입니다.재산소득은 13분기 만에 감소로 돌아섰습니다.세부적으로 배당소득이 증가했지만, 이자소득이 줄어들면서 전체 재산소득이 마이너스를 기록했습니다.이렇게 근로, 사업, 재산소득이 모두 줄었는데도 전체 소득이 플러스로 돌아선 데는 공적 이전소득이 무려 37.7%나 급증했기 때문인데요.공적 이전소득은 쉽게 말하면 내가 일해서 버는 돈이 아니라 정부나 지자체가 국민에게 지원으로 지급하는 소득으로, '민생쿠폰 추경' 효과가 주효했습니다.또 하나, 올해 추석이 4분기로 넘어가면서 가족이나 지인에게 받는 '사적 이전소득'은 30% 이상 줄어들었는데, 그럼에도 공적 이전소득 증가 폭이 워낙 커서 전체 소득 증가를 만들었습니다.즉, 3분기 실질소득 증가는 구조적인 경제 회복이라기보다는 정책성 소득 증가의 영향이 컸다고 볼 수 있습니다.그리고 소득분배 지표가 개선이 됐다. 이것도 정부가 소비쿠폰 같은 걸 나눠준 영향이라고 봐야 될까요?소득 하위층의 소득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늘면서 소득분배 지표가 개선됐습니다.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31만 3천 원으로 작년보다 11% 증가했습니다.여기에는 근로소득이 7.3%, 이전소득이 15.3% 늘어난 영향이 크게 작용했습니다.반면, 상위 20% 가구인 5분위에서는 월평균 1천158만 4천 원으로 1년 전보다 0.4% 증가에 그쳤습니다.상대적으로 증가 폭이 작았던 거죠.그 외에 2분위는 7.1%, 3분위는 5.8%, 4분위는 4.4%의 소득 증가율을 각각 나타났습니다.여기서 5분위 배율, 즉 상위 20% 소득이 하위 20% 소득의 몇 배인지를 좀 보면요.3분기에 5.07배로 나타났는데요.작년 3분기 5.69배보다 0.62배 낮아지면서 2020년 2분기 이후 5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개선된 모습입니다.그런데 소득도 늘고 분배도 좋아졌는데 정작 정책 목표였던 소비로 이어지지는 않았네요?소비쿠폰이 집중적으로 지급됐던 3분기에도 정작 국민들의 지갑은 열리지 않았는데요.3분기 실질 소비지출은 0.7% 떨어졌습니다.명목 소비지출은 294만 4천 원으로 1.3% 늘었지만, 물가 상승을 반영하면 실제 소비는 마이너스로 돌아선 겁니다.가장 큰 이유는 추석이 작년과 달리 10월로 밀리면서 식료품·여행 지출이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됩니다.실질 소비지출은 올해 들어 1분기, 2분기에 이어 3개 분기째 줄었는데요.2019년 이후 최장기간 줄어들었습니다.품목별로 보면, 식료품·비주류 음료 지출이 1.2% 감소했고, 오락·문화 지출은 6.1%, 서적 10.2%, 단체·국외 여행비가 14.1%나 줄었습니다.그리고 소비를 억누른 또 다른 요인은 주택담보대출 이자 부담입니다.3분기 가계의 이자 비용이 1년 전보다 14.3% 급증하면서 대출 상환 부담이 커지면서 이 역시 지출을 줄이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분위별로는 저소득층에서 그나마 소비지출 증가율이 높았습니다.하위 20% 소비지출은 6.9% 증가한 반면, 상위 20%는 오히려 1.4% 줄었습니다.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흑자액은 12.2% 늘었는데요.민생회복 소비쿠폰으로 소득이 늘어난 가운데 지출 증가가 그에 못 미치면서 흑자액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이 됩니다.
작성자 : 빌애크먼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