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이노모티브 김종배 대표, “공유형 배터리로 공간에 이동을 연결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10.20 12:06:35
조회 69 추천 0 댓글 0
[IT동아 권명관 기자] 마이크로 모빌리티(Micro mobility)는 친환경 동력을 활용하는 1~2인용 소형 이동수단을 의미한다. 초기 전동 휠, 전동 킥보드, 전기 자전거, 전기 스쿠터(오토바이) 등 바퀴가 1개나 2개인 작은 크기의 이동수단으로 주목 받았지만, 최근에는 바퀴가 4개인 초소형전기차, 다목적 전기차(PBV) 등 용도와 목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발전했다.

마이크로 모빌리티는 복잡한 교통 상황을 피해 좁은 골목을 빠르게 이동할 수 있고, 기존 교통수단을 이용하거나 걷기에 애매한 거리를 연결하는데 유용하다. 자동차를 타기에는 가깝고, 걷기에는 먼 거리를 이동하는데 최적이다. 이 같은 장점을 바탕으로 많은 인구가 한정된 공간에 밀집하는 대도시화, 1인 가구 증가 등으로 발생하는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동수단으로 주목받는다. 또한, 전기를 충전한 배터리를 주 동력 자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기존 내연엔진 이동수단과 달리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 교통 수단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그리고 최근 마이크로 모빌리티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교체형 배터리다. 기존 마이크로 모빌리티는 대부분 배터리를 차체에 내장했다. 때문에 배터리에 충전한 전기가 떨어지면, 가까운 충전소를 찾아가 충전해야만 했다. 이렇게 보내야 하는 충전 시간은 마이크로 모빌리티 사용자에게 골치였다. 또한, 급증하는 마이크로 모빌리티를 따라가지 못하는 충전 인프라 부족은 매번 지적되는 문제다. 마이크로 모빌리티 제조사마다 조금씩 다른 충전 규격도 신경써야 한다.

이노모티브는 이러한 불편을 교체형 배터리로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기업이다. 김종배 이노모티브 대표는 “우리는 마이크로 모빌리티의 공유화를 위한 스마트 배터리 플랫폼을 개발했다”라고 말한다. 다양한 형태의 마이크로 모빌리티를 지원하는 단일화한 규격의 공유형 배터리를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그리고 공유형 배터리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통해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김종배 이노모티브 대표가 다목적 전기차 앞에서 공유형 배터리를 들고 있다 / 출처=IT동아



이에 IT동아가 지난 2023년 10월 13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3 AIoT Week Korea’에서 교환형 배터리 충전소와 공유형 배터리, 다목적전기차와 전기 스쿠터 등 마이크로 모빌리티를 전시한 김종배 이노모티브 김종배 대표(이하 김 대표)를 만났다. 그는 “공유형 배터리로 마이크로 모빌리티를 연결하면, 공간의 이동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공간에 필요한 이동을 제공합니다


IT동아: AIoT(AI+사물인터넷) 전시회에서 전기로 움직이는 스쿠터와 다목적 전기차를 볼 수 있을 거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 특히, 배터리 충전 스테이션이 눈에 띄는데… 혹시 배터리를 공유할 수 있는 다양한 마이크로 모빌리티를 선보인 것인가.

김 대표: 맞다. 전기 스쿠터, 다목적 전기차, 무거운 짐을 옮길 수 있는 저속 운반차 등 다양한 마이크로 모빌리티와 공유형 배터리, 공유형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스테이션이다. 충전한 배터리를 어떤 마이크로 모빌리티에 꽂아 사용할 수 있는, 하나의 플랫폼이다.


충전 스테이션과 저속 운반차, 다목적 전기차를 소개하고 있는 김종배 이노모티브 대표 / 출처=IT동아



IT동아: 충전 스테이션에서 충전한 배터리를 교환하며 사용할 수 있는, 여러 형태의 마이크로 모빌리티인 셈이다.

김 대표: 하하. 정확하다. 가끔 주변에서 우리를 다목적 전기차 제조사, 전기 스쿠터 제조사, 공유형 배터리와 충전 스테이션 제조사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노모티브는 그저 제품만 생산하는 제조사가 아니다. 플랫폼 기업이다. 배터리를 충전하는 전력을 관리하고, 배터리가 어떤 마이크로 모빌리티에 꽂혀 있는지 추적해 관리하며, 배터리의 위치를 파악해 정보를 분석해 이동의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이게… 참 설명하기 어렵다(웃음).

공유형 배터리와 충전 스테이션을 통해 마이크로 모빌리티와 사용자를 연결, 편리한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마이크로 모빌리티를 필요로 하는 공간에 이동을 제공한다’, 이렇게 설명하고 싶다.


하나의 배터리 팩으로 다양한 마이크로 모빌리티를 연동하는 이노모티브 / 출처=IT동아



IT동아: 공간에 이동을 제공한다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

김 대표: 자동차, 오토바이는 뭘까. 이동수단이다. 걷거나 뛰는 것보다 빠르게 이동하기 위한 교통 수단이다. 그리고 짐도 옮긴다. 대형마트에 가서, 구매한 짐을 편리하게 집으로 옮기기 위해 자동차나 오토바이를 이용하지 않나.

(고개를 끄덕이는 기자에게)

이렇게 이동수단을 필요로 하는 것을 우리는 공간이라고 생각했다. 공장, 농장, 리조트, 항만, 공항 등 외부와 단절된 공간은 폐쇄형 공간으로, 아파트, 관광단지, 농촌, 어촌, 신도시 등 여러 사람이 이용하는 공간은 공유형 공간으로 분류했다. 그리고 폐쇄형과 공유형 공간은 필요로 하는 마이크로 모빌리티가 다르다고 생각했다.

공장을 예로 들어보자. 넓은 공장 부지의 마이크로 모빌리티는 이동하기 위한 교통 수단으로서의 기능과 무거운 짐을 옮기기 위한 기능도 필요하지 않을까? 아파트 단지의 마이크로 모빌리티는 어떨까.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교통 수단이다. 때문에 사용자가 마이크로 모빌리티를 이용한 시간, 이동한 거리만큼 요금을 결제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다.


무거운 짐을 옮기는데 사용할 수 있는 저속 운반차 / 출처=IT동아



IT동아: 이노모티브의 플랫폼을 필요로 하는 공간 즉, 고객사에 맞춰서 마이크로 모빌리티와 서비스를 다르게 제공해야 한다는 뜻인가.

김 대표: 맞다. 용도와 상황에 맞춰 마이크로 모빌리티 형태도 달라야 한다. 좁은 골목이 많은 공간은 초소형자동차 보다 오토바이 형태가 좋을 것이고, 무거운 짐을 주로 옮기는 공간은 지게차 역할을 할 수 있는 저속 운반차 형태가 좋을 것이다. 넓은 리조트나 골프장을 이동하기 위한 마이크로 모빌리티는 카트 형태가 적합하지 않을까? 즉, 공간에 따라 원하는 마이크로 모빌리티 형태는 천차만별이다.

동일한 규격의 공유형 배터리와 마이크로 모빌리티


IT동아: 이해했다. 여러 형태의 마이크로 모빌리티를 동일한 규격의 배터리로 제공하고, 배터리를 빠르게 충전해 교체할 수 있는 충전 스테이션을 제공해 ‘충전’이라는 불편함을 해결한 셈이다.

김 대표: 그래서 우리는 배터리에 집중했다. 동일한 규격의 배터리와 이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 스테이션, 그리고 배터리를 관리할 수 있는 커넥티드 기술과 BMS 솔루션에 많이 신경썼다. 우리 배터리에는 GPS 센서뿐만 아니라 배터리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을 탑재하고 있다. 어떤 마이크로 모빌리티라도 우리 배터리만 탑재하면 하나로 연결해 관리할 수 있다는 뜻이다.

공간에 따라 필요로 하는 마이크로 모빌리티 형태는 다양하지 않나. 이렇게 다양한 형태의 마이크로 모빌리티를 다른 제조사와도 협력할 수도 있다. 전기 스쿠터 제조사, 전기 다목적 전기차 제조사는 국내외에 수많은 기업이 있다. 하지만, 제각각 배터리 규격은 조금씩 다르고, 충전하기 위한 방식도 상이하다. A사의 다목적 전기차와 B사의 전기 스쿠터를 이용할 때 각각 다른 충전소를 설치해야 할까? 아니라고 생각한다.

우리는 배터리에서 생각을 시작했다. 배터리에 통신 기능을 넣었고, 배터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모듈을 넣었다. 이를 바탕으로 플랫폼을 제공한다. 이노모티브 플랫폼의 기본은 10kW급의 소형 ESS(에너지 저장 장치)와 충전 스테이션, 공유형 배터리, 다양한 마이크로 모빌리티(다목적 전기차, 저속 운반차, 전기 스쿠터, 전기 자전거 등)로 구성되어 있다. 즉, 마이크로 모빌리티를 필요로 하는 공간에 우리 플랫폼을 연결하기만 하면 된다.

IT동아: 다양한 곳에서 관심을 보일 것 같은데.

김 대표: 지난 8월, 베트남에 있는 푸동 오리지널 컴퍼니와 160만 달러 규모의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지난 6월, 베트남 호치민에서 개최한 자동차 부품 전시회에 참가해 광주그린카진흥원의 '수요기반 협력사 밸류체인 고도화 및 자립화 패키지 지원 사업' 일환으로 현지 사업자와 기본 협약을 맺은 이후 체결한 본 계약이었다.


지난 8월, 배터리 교환식 마이크로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 공급 계약을 체결한 김종배 이노모티브 대표(좌)와 동광푸우 푸동 대표(우) / 출처=이노모티브



이를 통해 다낭을 중심으로 객실 수 65만 개를 가진 3만여 베트남 현지 리조트에 단일화된 배터리 팩을 이용해 현지 관광택시, 전기 스쿠터, 화물 이동용 저속 운반차 등을 지원한다. 오는 11월 말까지 최종 시범 사업 지역 3곳을 선정하고, 1곳당 약 53만 4000달러를 투입해 태양광 발전과 연계한 배터리 교환 충전소와 시범용 차량 등을 공급할 예정이다. 오는 2024년 2월까지 시범 사업을 진행하며 확보한 실증 데이터를 바탕으로 현지에 맞도록 플랫폼을 개선할 계획이다.


출처 = 이노모티브



전라남도 나주시가 진행하는 ‘에너지 프로슈머 시범 사업’에도 참여한다.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해 에너지 프로슈머를 체험하며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실증사업을 준비 중이다. 도심에서 떨어진 지역 마을에 풍력발전기, 태양광패널 등을 설치해 전력을 생산하고, 마을에서 소비하고 남는 전기를 이용해 다목적 운반차, 전기 스쿠터, 저속 운반차 등 마이크로 모빌리티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노모티브는 태양광, 풍력, 수력 등 재생에너지를 이용해 생산한 전기를 바탕으로 동일한 규격의 공유형 배터리를 충전 스테이션에서 충전해 다양한 마이크로 모빌리티를 연결하고, 관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친환경 이동수단을 (필요로 하는) 공간에 제공할 수 있다고 자부한다. 앞으로도 우리 이노모티브가 만들고자 하는 친환경 마이크로 모빌리티 배터리 플랫폼에 많은 관심과 응원을 부탁드린다.

글 / IT동아 권명관(tornadosn@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EV 시대] 목적 기반 자동차의 정의와 용도▶ 에너지 프로슈머, 전기를 직접 생산하고 소비하며 판매한다?▶ KEMS 하일정 상임이사 “동남아시아, 모빌리티 업계에게 기회의땅”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3173 배달·순찰 로봇 인도통행 허용…안전운행 담보할 기술은?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3 537 0
3172 테이프 붙은 상자도 재활용? 칼렛바이오 스텝포넷제로 리펄프 테이프[스타트업리뷰]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3 1057 6
3171 정영범 퓨리오사AI 이사 "내년 2분기 2세대 칩 출시··· 완벽한 데뷔에 사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3 117 0
3170 윤석찬 AWS 수석 “AWS 게임데이 LoL 에디션, 머신러닝 서비스 구축 기회 제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3 111 0
3169 '중고거래 싸움 줄어들까'··· 당근, '분쟁조절센터'로 거래 분쟁 중재 나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2 117 0
3168 [서울형 R&D] 루키스 홍정호 이사 “고독사 위험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2 554 0
3167 [스타트업-ing] 트윈피그바이오랩 "FDA 희귀의약품, 면역항암제 개발 박차"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2 1093 0
3166 [스타트업-ing] 에듀캔버스 “적성·진로, 종합 진단으로 개인 맞춤형 교육 제공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2 539 0
3165 금융위, 가상자산 사업자 영업 종료 시 “최소 1개월 전 공지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1 111 0
3164 "기술 몰라도 AI 활용? 초광역 GPT-AI 창업경진대회로 증명"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1 113 0
316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업 생태계 교류 위한 ‘2023 창업연합 메이커 심포지엄’ 개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1 98 0
3162 [IT신상공개] 웨스턴디지털, 28TB 하드디스크로 용량 기록 경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1 104 0
3161 [스케일업] 위닝아이 [3] 금융결제원이 인증한 비접촉 생체 인식 기술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1 880 1
3160 [과기대 S-Run] 제조창업의 시제품 제작 지원, 산업의 흐름 바꾼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1 145 0
3159 해외 쇼핑몰 직구는 이렇게~![이럴땐 이렇게!]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0 3649 6
3158 [뉴스줌인] 속도 2배? 커세어의 PCIe 5.0 지원 신형 SSD [1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8 5155 1
3157 전북콘텐츠융합진흥원, '2023 디지털 이노베이션 어워즈' 특별상 수상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7 138 0
3156 세계 농산업계 “친환경 농산물이 미래, 기술로 강화”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7 185 0
3155 [자동차 디자人] 슈퍼카 대명사 ‘람보르기니’ 디자인 책임자 ‘밋챠 보커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7 877 0
3154 ‘코로나 마스크’ 덕 본 글로벌 콘택트렌즈 시장, 이후에도 ‘기대’[K비즈니스가이드]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6 2115 0
3153 [스타트업-ing] 재활용 흡음재로 유니콘 꿈꾸는 '노이즈엑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6 1682 2
3152 백준호 퓨리오사AI 대표 "AI 반도체, 지속가능성 고려한 설계 필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6 155 0
3151 2023 하반기 빅웨이브가 선택한 바이오·딥테크 스타트업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6 109 0
3150 [스타트업人] 장기지속형 약물 전달 플랫폼 제제 연구, 티온랩테라퓨틱스 연구원 이야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6 109 0
3149 LG디스플레이 오픈이노베이션 '2024 Dream Play' 6기 스타트업 모집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6 115 0
3148 中 “2024 최고 카메라폰 지위 내 것”...점유율 확대 과제도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6 550 3
3147 개조부터 구독까지…전기차 활용 범위 확대의 배경 ‘버츄얼 트윈·클라우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5 317 0
3146 정부 주도 블록체인 서비스 개발 현황 공유 ‘블록체인 진흥주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5 111 0
3145 [리뷰] 전문가용 GPU 시장에 경종을 울리다, AMD 라데온 프로 W7700 [1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5 951 2
3144 구글 클라우드 “생성형 AI 통한 비즈니스 혁신 도울 것”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4 233 0
3143 그림·사진에 영화, 음악까지…인공지능 예술계 강타 [9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4 4538 9
3142 에스티어스 "학교 굿즈 통해 브랜딩·애교심 강화에 기여" [스타트업in과기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4 137 0
3141 가상자산 산업 “세부적이고 정확한 규제 필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4 426 0
3140 외국어 문장 번역이 필요할 땐 이렇게![이럴땐 이렇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3 195 0
3139 [스텝포넷제로] 대구경북능금농협, “사과 포장박스를 친환경 포장재로 바꾸고 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3 139 0
3138 [주간투자동향] 클래스101, 160억 원 규모의 시리즈B 브릿지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3 145 0
3137 [뉴스줌인] 요즘 인기라는 ‘2230’ 규격 SSD, 씨게이트도 신제품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1 184 0
3136 [리뷰] 현장 비즈니스 특화 초소형 노트북+태블릿, MS 서피스 고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0 149 0
3135 '빅스비 시대 저물고, 가우스 온다'··· 삼성도 생성형 AI에 도전장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0 554 1
3134 스타트업 생태계 '여전히 혹한기'···생태계 활성화 위한 정부 정책 필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0 294 1
3133 [이제는 전북 콘텐츠] 루트쓰리게임즈, “전북에서 시작해 해외로 진출하고 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0 115 0
3132 [스타트업-ing] 뉴로서킷 “탈모 관리 앱 바야바즈, 세계인 고민 나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0 123 0
3131 [스케일업] 반프 [3] 이유건 책임 “반프 사내 문화 핵심은 업무 효율·유대감 강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0 116 0
3130 스타트업 글로벌 개방성 강화 위한 3가지 정책 제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9 129 0
3129 [서울형 R&D] 머니스테이션 이정일 대표 “요즘 투자자들은 머니스테이션을 봅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9 146 0
3128 [IT애정남] 해외 유심 구매, 내 폰 호환 여부가 불확실하다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9 663 1
3127 [IT강의실] 소니 a9 III가 가진 ‘글로벌 셔터’의 장점은?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9 831 4
3126 방대한 AI 데이터 처리를 위해 개발한 ‘바스트 데이터 플랫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8 482 0
3125 에이수스코리아 잭 황 지사장 “에이수스의 혁신 제품, 한국 반응 뜨거워”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8 1208 2
3124 [리뷰] 활용도, 상품성 개선에 초점 맞춘 삼성 '더 프리스타일 2' 프로젝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08 152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