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월급 받으면 본국 송금은 옛말…“씀씀이 큰 이주민 없인 장사 못해요”

Stoic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5.14 11:32:09
조회 349 추천 7 댓글 4


필리핀인 제이비(32)는 충북 음성군에 산다. 음성의 한 도시락 용기 제조업체에서 생산직으로 일하고 있다. 아내인 필리핀인 그레이스(32)도 같은 회사에서 일한다. 둘은 지난해 9월 한국에서 결혼식을 올리고, 11월에 아들을 낳았다. 아기는 지금 필리핀에 있다. 한국에서 일하는 엄마·아빠 대신 친척 할머니가 돌본다.

지난 2일 저녁 7시 일을 마친 제이비와 그레이스 부부는 금왕읍내로 향했다. 사실 평일엔 퇴근 뒤 곧장 집으로 가는 게 일상이다. 둘이 간단하게 고향식으로 밥을 해 먹은 뒤 쉬거나 밀린 한국어 수업 숙제를 하다 잠자리에 든다. “그래 야 다음날 일을 할 수 있다 ”고 제이비가 웃으며 말했다 .



둘은 무극시장 근처 피자집에 들어가 고구마피자를 시켰다. 자리를 잡고 앉자마자 제이비는 스마트폰을 꺼냈다. 폐회로텔레비전(CCTV) 영상이 휴대폰에 떴다. 스피커 기능이 있는 시시티브이 카메라는 이제 막 6개월이 된 아기를 비추고 있었다. 엄마·아빠가 이름을 부르자 잠시 멈칫하더니 아기가 칭얼대기 시작했다. 그레이스는 휴대폰에 입을 대고 자장가를 불렀다. 피자가 나오자 아빠는 영상통화를 걸었다. 친척 할머니가 아기에게 엄마·아빠 얼굴을 보여줬다. 둘은 스마트폰 영상통화를 켠 상태로 피자를 먹으며 대화를 나눴다. “밥 먹을 때뿐 아니라, 다른 일상생활을 할 때도 시시티브이나 영상통화로 아기와 함께하려고 해요. 그렇게라도 엄마·아빠 목소리를 들려주고 싶어서요.”

제이비가 음성에 온 건 2016년이다. 5년10개월을 일하고 필리핀에 들어가 취업 비자를 다시 받은 뒤 2022년 다시 한국으로 왔다. 2019년 음성 지역 필리핀인 커뮤니티에서 만난 그레이스와 5년 연애 끝에 결혼도 했다. 부부가 함께 다니는 공장의 노동자들 대부분도 외국인이다. 음성은 전체 인구(10만3054명)의 12.3%(1만2771명)가 외국인이다(2023년 4월 기준). 비자가 만료된 상태로 남아 있는 미등록 외국인을 더하면 그 수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음성 지역 외국인의 절반 이상은 제이비·그레이스처럼 비전문취업(E-9) 비자로 입국한 제조업 노동자다. 음성은 수도권과 비교적 가깝고 땅값이 싸 공장이 많다. 1990년대 중반 산업단지가 본격적으로 개발되며 음성의 외국인 인구도 늘기 시작했다. 이주노동자들은 대부분 업체 기숙사나 인근 빌라·다세대주택에 산다. 등록 인구만 따지면, 대소면(3837명)·금왕읍(2993명)·삼성면(1948명)에 외국인이 많다. 음성군 맹동면과 진천군 덕산읍 일대에 들어선 충북혁신도시 쪽으로 젊은 인구가 대거 빠지면서, 현재 음성 지역의 빌라·다세대주택의 주요 수요자는 외국인이다.

제이비 부부도 삼성면에 있는 보증금 200만원에 월세 44만원짜리 투룸에 살고 있다. 비교적 신축 빌라에 거의 풀옵션인 투룸치고는 저렴한 임대료다. 제이비는 “수도권이면 이런 집을 꿈이나 꾸겠느냐”며 만족스러워했다. 제이비 부부의 월급은 둘이 합쳐 한달에 500만원 정도다. 그레이스 어머니 병원치료비로 빌린 대출금과 지인에게 빌린 돈을 갚는 데 나가는 125만원을 빼면, 아기를 위해 쓰는 비용이 가장 많다. 아이를 봐주는 친척에게 보육료로 매달 40만원을 주고, 분유·기저귀·옷·장난감 등 육아용품은 모두 한국에서 사서 때마다 필리핀으로 보내는데 그 비용도 한달에 40만원 가깝다.



두 사람의 식비는 한달 80만원 남짓인데 지역 마트와 아시아마트, 재래시장까지 두루 이용한다. 주로 육류와 일반 식재료, 음료 등은 지역 마트에서 사고, 소스·향신료 등은 아시아마트에서 구입한다. 채소·과일은 가격이 싼 오일장을 찾는 편이다. 웬만하면 밥은 집에서 해 먹고, 아주 가끔 외식하는데 제일 좋아하는 메뉴는 ‘감자탕’이다. 때마다 필요한 옷·신발·화장품 등을 사는 데 쓰이는 잡비는 대략 한달에 45만원이다. 가끔 서울 동대문에 가서 쇼핑하고, 막 입을 옷은 음성 읍내에 있는 구제숍에서도 산다. 가격을 꼼꼼히 비교해 온라인 쇼핑몰이나 중고거래 애플리케이션도 이용한다. 머리 손질은 금왕읍에 있는 단골 미용실에서 때마다 한다. 공과금(20만원)·보험료(22만원)·기름값(8만원) 등에 필리핀 어머니께 매달 드리는 30만원까지 빼고 나면 남는 건 거의 없다. 그래도 마이너스 생활은 아니라 매달 15만원씩 붓는 적금은 유지하고 있다. 한달 생활비 내용을 적은 메모를 보여주며 제이비가 말했다.

“지금은 매달 빚을 갚아야 해 모이는 돈이 적지만 점점 상황이 나아질 거예요. 필리핀에선 한달 꼬박 일해도 30만~40만원밖에 못 버는 걸 생각하면, 그래도 한국에서 맞벌이할 수 있는 지금이 우리 가족에게는 최선이에요.”

함께 사는 제이비·그레이스 부부와 달리 많은 이주노동자는 가족을 고국에 두고 한국에 혼자 나와 살고 있다. 그들은 대부분 출신 국가별로 무리를 짓고, 커뮤니티를 만들고 정보를 공유하고 서로 의지한다. 한국어와 한국 문화가 서툴고 낯선 이방인들의 자연스러운 생존 방식이다. 비영리법인 소피아외국인센터(전 음성외국인도움센터)의 고소피아 센터장은 “다른 나라에 한인동포 커뮤니티와 한인타운이 형성되는 것과 같다”고 설명했다.

일을 마친 뒤 동료·친구들과 함께 만들어 먹는 고향 음식은 타국에서의 삶을 버티게 해준다. 평일엔 오후 5시 전후로 이른 저녁을 먹고 야간작업을 마친 뒤 같은 나라 출신의 동료들과 회사 식당이나 숙소에 모여 미리 사둔 재료로 야식을 해 먹는 것이 음성 지역 이주노동자들의 일과라고 한다. 식재료는 매달 돈을 걷어 일주일에 한번씩 마트·시장에서 장을 봐 마련한다. 대부분의 지역 마트가 5만원 이상 구매하면 무료배달 서비스를 해줘 바쁠 땐 배달 주문을 할 때가 잦다. 금왕읍의 아시아마트 아닌 일반 마트에서도 무슬림을 위한 할랄 고기와 외국 소스·향신료를 쉽게 찾을 수 있었다. 금왕읍의 한 대형할인마트의 점장인 심아무개(50대)씨는 “주말에는 70%, 평일에는 30% 정도가 외국인 손님”이라고 했다.



음성에서 외국인은 지역 경제를 지탱하는 큰 축이다. 휴대폰 가게부터 운동화·옷·그릇·편의점·아이스크림 가게, 뷰티편집숍·미용실에 카페·식당·정육점까지 대부분 “주말 손님의 50~60%, 전체 손님의 30~40% 정도가 외국인”이라고 했다. 상인들은 “불경기에 내국인들 씀씀이는 줄었지만 외국인은 통 큰 소비를 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상가 취재를 하는 동안 “한국 젊은이와 좋아하는 운동화 브랜드는 비슷한데, 외국인들이 좀 더 신제품을 찾고 가격은 덜 신경쓰는 것 같다”(운동화편집숍)거나 “여럿이 오면 보통 한국인들은 각자 작은 싱글컵을 시키거나 파인트 사이즈를 하나 주문해 나눠 먹는데, 외국인들은 각자 파인트 하나씩을 먹고 커피에 디저트까지 골고루 시킨다”(아이스크림 가게), “한끼용 레토르트 식품을 많이 사 가고, 술 같은 건 한꺼번에 왕창 사 가는데 내국인보단 확실히 씀씀이가 더 크다”(편의점)는 말을 들을 수 있었다.

콜을 기다리며 담배를 피우던 택시 기사들은 “여기 택시 손님은 다 외국인이다. 불법체류자 단속이 한번 뜨고 나면 한동안 매출이 곤두박질칠 정도”라고 했다. 소피아외국인센터의 고 센터장은 “예전엔 이주노동자들이 100만원 안팎의 월급을 받으면 본인 생활비로 15만~20만원만 쓰고 나머지는 본국으로 송금했는데, 급여 수준이 오르면서 이들의 소비 패턴도 많이 달라졌다”며 “본국에 돈을 보내고도 여유가 있기 때문에 한국에서의 소비 규모가 커졌다. 사는 물건이나 방식도 요즘 한국 젊은이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했다.




필리핀인 제이비(32)는 충북 음성군에 산다. 음성의 한 도시락 용기 제조업체에서 생산직으로 일하고 있다. 아내인 필리핀인 그레이스(32)도 같은 회사에서 일한다. 둘은 지난해 9월 한국에서 결혼식을 올리고, 11월에 아들을 낳았다. 아기는 지금 필리핀에 있다. 한국에서 일하는 엄마·아빠 대신 친척 할머니가 돌본다.


지난 2일 저녁 7시 일을 마친 제이비와 그레이스 부부는 금왕읍내로 향했다. 사실 평일엔 퇴근 뒤 곧장 집으로 가는 게 일상이다. 둘이 간단하게 고향식으로 밥을 해 먹은 뒤 쉬거나 밀린 한국어 수업 숙제를 하다 잠자리에 든다. “그래 야 다음날 일을 할 수 있다 ”고 제이비가 웃으며 말했다 .


둘은 무극시장 근처 피자집에 들어가 고구마피자를 시켰다. 자리를 잡고 앉자마자 제이비는 스마트폰을 꺼냈다. 폐회로텔레비전(CCTV) 영상이 휴대폰에 떴다. 스피커 기능이 있는 시시티브이 카메라는 이제 막 6개월이 된 아기를 비추고 있었다. 엄마·아빠가 이름을 부르자 잠시 멈칫하더니 아기가 칭얼대기 시작했다. 그레이스는 휴대폰에 입을 대고 자장가를 불렀다. 피자가 나오자 아빠는 영상통화를 걸었다. 친척 할머니가 아기에게 엄마·아빠 얼굴을 보여줬다. 둘은 스마트폰 영상통화를 켠 상태로 피자를 먹으며 대화를 나눴다. “밥 먹을 때뿐 아니라, 다른 일상생활을 할 때도 시시티브이나 영상통화로 아기와 함께하려고 해요. 그렇게라도 엄마·아빠 목소리를 들려주고 싶어서요.”




제이비가 음성에 온 건 2016년이다. 5년10개월을 일하고 필리핀에 들어가 취업 비자를 다시 받은 뒤 2022년 다시 한국으로 왔다. 2019년 음성 지역 필리핀인 커뮤니티에서 만난 그레이스와 5년 연애 끝에 결혼도 했다. 부부가 함께 다니는 공장의 노동자들 대부분도 외국인이다. 음성은 전체 인구(10만3054명)의 12.3%(1만2771명)가 외국인이다(2023년 4월 기준). 비자가 만료된 상태로 남아 있는 미등록 외국인을 더하면 그 수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음성 지역 외국인의 절반 이상은 제이비·그레이스처럼 비전문취업(E-9) 비자로 입국한 제조업 노동자다. 음성은 수도권과 비교적 가깝고 땅값이 싸 공장이 많다. 1990년대 중반 산업단지가 본격적으로 개발되며 음성의 외국인 인구도 늘기 시작했다. 이주노동자들은 대부분 업체 기숙사나 인근 빌라·다세대주택에 산다. 등록 인구만 따지면, 대소면(3837명)·금왕읍(2993명)·삼성면(1948명)에 외국인이 많다. 음성군 맹동면과 진천군 덕산읍 일대에 들어선 충북혁신도시 쪽으로 젊은 인구가 대거 빠지면서, 현재 음성 지역의 빌라·다세대주택의 주요 수요자는 외국인이다.




제이비 부부도 삼성면에 있는 보증금 200만원에 월세 44만원짜리 투룸에 살고 있다. 비교적 신축 빌라에 거의 풀옵션인 투룸치고는 저렴한 임대료다. 제이비는 “수도권이면 이런 집을 꿈이나 꾸겠느냐”며 만족스러워했다. 제이비 부부의 월급은 둘이 합쳐 한달에 500만원 정도다. 그레이스 어머니 병원치료비로 빌린 대출금과 지인에게 빌린 돈을 갚는 데 나가는 125만원을 빼면, 아기를 위해 쓰는 비용이 가장 많다. 아이를 봐주는 친척에게 보육료로 매달 40만원을 주고, 분유·기저귀·옷·장난감 등 육아용품은 모두 한국에서 사서 때마다 필리핀으로 보내는데 그 비용도 한달에 40만원 가깝다.


두 사람의 식비는 한달 80만원 남짓인데 지역 마트와 아시아마트, 재래시장까지 두루 이용한다. 주로 육류와 일반 식재료, 음료 등은 지역 마트에서 사고, 소스·향신료 등은 아시아마트에서 구입한다. 채소·과일은 가격이 싼 오일장을 찾는 편이다. 웬만하면 밥은 집에서 해 먹고, 아주 가끔 외식하는데 제일 좋아하는 메뉴는 ‘감자탕’이다. 때마다 필요한 옷·신발·화장품 등을 사는 데 쓰이는 잡비는 대략 한달에 45만원이다. 가끔 서울 동대문에 가서 쇼핑하고, 막 입을 옷은 음성 읍내에 있는 구제숍에서도 산다. 가격을 꼼꼼히 비교해 온라인 쇼핑몰이나 중고거래 애플리케이션도 이용한다. 머리 손질은 금왕읍에 있는 단골 미용실에서 때마다 한다. 공과금(20만원)·보험료(22만원)·기름값(8만원) 등에 필리핀 어머니께 매달 드리는 30만원까지 빼고 나면 남는 건 거의 없다. 그래도 마이너스 생활은 아니라 매달 15만원씩 붓는 적금은 유지하고 있다. 한달 생활비 내용을 적은 메모를 보여주며 제이비가 말했다.


“지금은 매달 빚을 갚아야 해 모이는 돈이 적지만 점점 상황이 나아질 거예요. 필리핀에선 한달 꼬박 일해도 30만~40만원밖에 못 버는 걸 생각하면, 그래도 한국에서 맞벌이할 수 있는 지금이 우리 가족에게는 최선이에요.”




함께 사는 제이비·그레이스 부부와 달리 많은 이주노동자는 가족을 고국에 두고 한국에 혼자 나와 살고 있다. 그들은 대부분 출신 국가별로 무리를 짓고, 커뮤니티를 만들고 정보를 공유하고 서로 의지한다. 한국어와 한국 문화가 서툴고 낯선 이방인들의 자연스러운 생존 방식이다. 비영리법인 소피아외국인센터(전 음성외국인도움센터)의 고소피아 센터장은 “다른 나라에 한인동포 커뮤니티와 한인타운이 형성되는 것과 같다”고 설명했다.


일을 마친 뒤 동료·친구들과 함께 만들어 먹는 고향 음식은 타국에서의 삶을 버티게 해준다. 평일엔 오후 5시 전후로 이른 저녁을 먹고 야간작업을 마친 뒤 같은 나라 출신의 동료들과 회사 식당이나 숙소에 모여 미리 사둔 재료로 야식을 해 먹는 것이 음성 지역 이주노동자들의 일과라고 한다. 식재료는 매달 돈을 걷어 일주일에 한번씩 마트·시장에서 장을 봐 마련한다. 대부분의 지역 마트가 5만원 이상 구매하면 무료배달 서비스를 해줘 바쁠 땐 배달 주문을 할 때가 잦다. 금왕읍의 아시아마트 아닌 일반 마트에서도 무슬림을 위한 할랄 고기와 외국 소스·향신료를 쉽게 찾을 수 있었다. 금왕읍의 한 대형할인마트의 점장인 심아무개(50대)씨는 “주말에는 70%, 평일에는 30% 정도가 외국인 손님”이라고 했다.




음성에서 외국인은 지역 경제를 지탱하는 큰 축이다. 휴대폰 가게부터 운동화·옷·그릇·편의점·아이스크림 가게, 뷰티편집숍·미용실에 카페·식당·정육점까지 대부분 “주말 손님의 50~60%, 전체 손님의 30~40% 정도가 외국인”이라고 했다. 상인들은 “불경기에 내국인들 씀씀이는 줄었지만 외국인은 통 큰 소비를 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상가 취재를 하는 동안 “한국 젊은이와 좋아하는 운동화 브랜드는 비슷한데, 외국인들이 좀 더 신제품을 찾고 가격은 덜 신경쓰는 것 같다”(운동화편집숍)거나 “여럿이 오면 보통 한국인들은 각자 작은 싱글컵을 시키거나 파인트 사이즈를 하나 주문해 나눠 먹는데, 외국인들은 각자 파인트 하나씩을 먹고 커피에 디저트까지 골고루 시킨다”(아이스크림 가게), “한끼용 레토르트 식품을 많이 사 가고, 술 같은 건 한꺼번에 왕창 사 가는데 내국인보단 확실히 씀씀이가 더 크다”(편의점)는 말을 들을 수 있었다.


콜을 기다리며 담배를 피우던 택시 기사들은 “여기 택시 손님은 다 외국인이다. 불법체류자 단속이 한번 뜨고 나면 한동안 매출이 곤두박질칠 정도”라고 했다. 소피아외국인센터의 고 센터장은 “예전엔 이주노동자들이 100만원 안팎의 월급을 받으면 본인 생활비로 15만~20만원만 쓰고 나머지는 본국으로 송금했는데, 급여 수준이 오르면서 이들의 소비 패턴도 많이 달라졌다”며 “본국에 돈을 보내고도 여유가 있기 때문에 한국에서의 소비 규모가 커졌다. 사는 물건이나 방식도 요즘 한국 젊은이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했다.








==============


횽이 뭐라고 했습니까? 이제 외노자가 상전 된다고 했습니까 안했습니까?ㅋㅋㅋㅋㅋ

추천 비추천

7

고정닉 1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AD [삼성선물] 제로데이옵션이 뭐임? 운영자 24/05/07 - -
AD 이베스트 해외선물 수수료 $2.49 할인 이벤트 운영자 24/01/01 - -
7195476 슥보) 이준석 오늘 국회의원 1일차 [3] 부갤러(67.180) 06:50 72 2
7195475 2개월 전.. 물가 2% 달성 확신서면 엔캐리 자금 이동 빨라 질 수도 [1] 일본■전망■퍼펙트(185.54) 06:50 46 0
7195472 ㅂㅈㅁ(211.219) 이 일베충 쓰레기 새끼는 뭐라냐 [1] ㅇㅇ(1.242) 06:49 22 1
7195471 인생 살면서 디시일베같은 놈만 안사귀어도 성공한다 [2] 부갤러(125.141) 06:47 42 3
7195470 아침댓바람부터 썅욕하고 키배 뜨는 인생은 머냐 [1] ㅇㅇ(211.234) 06:46 29 0
7195467 (전문가) 민생회복지원금?인플레이션을 악화시킬 뿐이다 [3] ㅇㅇ(1.242) 06:43 33 0
7195466 투범이 특= 지 애비 싸튀충인거 댓글에 광고함 ㅇㅇ(223.38) 06:42 25 0
7195465 과천은 슬슬 줄줄이 84 상방 사라지네 [5] ㅇㅇ(175.223) 06:41 149 4
7195464 거짓말하다 개망신당한 3인방=윤석열 김호중 강형욱 [2] 부갤러(125.141) 06:41 47 1
7195463 민주당이 절대적인 다수당인데 언제까지 운동권시각으로 정당정책해야 하나? ㅂㅈㅁ(211.219) 06:38 34 0
7195462 나이 들면 잠이 없어지더라 ㅠ ㅇㅇ(211.234) 06:38 39 1
7195461 이게 다 노무현 때문입니다만ㅋㅋㅋ [11] Stoic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38 108 6
7195460 시부레 자다 깨서 잠도 안오고 딸이나 쳐야겠다 [2] 모모냥(49.171) 06:37 49 0
7195459 부자인데 아침일찍일어나서 돌아다니는사람들뭐냐 [1] 부갤러(194.195) 06:37 35 0
7195458 투범이 닥치는 말= 니애비 싸튀충이지? ㅇㅇ(223.38) 06:36 25 1
7195457 투범이도 안타까운게 강간범 자식이라 애미가 [1] ㅇㅇ(223.38) 06:35 33 0
7195455 35살이랑 53살이랑 외모 및 건강상태 ,취업시장에서 차이 커?.  [1] ㅋㅋ(223.39) 06:34 38 0
7195454 美상원 군사위 간사 “한반도 전술핵 재배치” 제안 [8] 부갤러(218.235) 06:31 60 0
7195453 비와 당신도 명곡이다 [3] ㅇㅇ(211.234) 06:29 49 0
7195450 장위안. 명나라 옷입고 경복궁가서 찢주당 리짜이밍 절받아야 [11] ㅇㅇ(223.38) 06:28 72 0
7195449 1.246이 부갤에서 제일 지능이 떨어지더라 [3] ㅇㅇ(1.242) 06:27 41 0
7195447 이문세 옛사랑 듣는다 [2] ㅇㅇ(211.234) 06:24 47 0
7195445 장위안. 명나라 복장 입고 경복궁가서 동이족들 절받는다 [9] ㅇㅇ(223.38) 06:22 80 1
7195443 부갤 백수들이 지들 걱정을 하지, 나라 걱정, 정치인 걱정 [2] 부갤러(118.235) 06:21 39 1
7195442 주갤과 메갈이 젠더갈등 선동질의 주범이지 [3] ㅇㅇ(1.242) 06:21 30 0
7195441 일본이 한국인 고기먹었단 애긴없지만 짱걔들은 즐겨 쳐먹음 ㅇㅇ(223.38) 06:20 28 0
7195440 악을 추종하는 전라디언 해충들 구역질나 부갤러(175.195) 06:20 24 0
7195439 (혐) 한국포함 소수민족 10 만명 쳐드신 바베큐 짱개파티.jpg [4] ㅇㅇ(223.38) 06:18 80 1
7195437 북한이랑 통일되고 다 해결될거라니깐 ㅇㅇ;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8 61 0
7195435 이나라는 갈등이 너무많아 [1] ㅇㅇ(123.143) 06:17 36 0
7195434 저출산 위기가 심각한데 젠더갈등 선동질하는 년놈들이 문제지 [5] ㅇㅇ(1.242) 06:16 50 2
7195431 충격) 친자식 2명 살해한 30대 여성 5년형 [6] 부갤러(218.235) 06:13 80 1
7195430 강제 얼리버드 됐다 ㅡㅡ [3] ㅇㅇ(211.234) 06:13 45 0
7195429 전라디언 해충때문에 망한나라 [2] 부갤러(175.195) 06:12 25 1
7195428 출산율 폭망 + 서울 초등학교 다문화 폭발중 ㅋㅋㅋ [4] ㅇㅇ(121.173) 06:11 113 2
7195427 북괴가 대한민국의 사회갈등을 선동하기로 유명한데 [6] ㅇㅇ(1.242) 06:11 44 1
7195425 젊은 여성 지방 떠난다, 이러니 '나솔'…저출생 뒤엔 무너진 성비 ㅇㅇ(106.102) 06:11 54 0
7195424 올해, 내년 부동산 엄청 오를거 같다 [1] 부갤러(118.235) 06:10 83 0
7195423 전라도 버러지들 존나 징그러움 부갤러(175.195) 06:10 26 0
7195421 남자들 앞으로 일 열심히 안해도 된다 ㅇㅇ(124.53) 06:06 76 2
7195420 저출산은 젊은 세대가 솔직해진 면도 있음 [8] 식초(119.201) 06:04 106 5
7195417 서울대 팔아서 젠더갈등 선동질하는 글이 념글 갔네 [14] ㅇㅇ(1.242) 05:57 64 1
7195416 비트코인선물 해보는법 총정리 부갤러(51.222) 05:57 41 0
7195414 관리비 알려준다 [1] ㅇㅇ(220.94) 05:45 47 0
7195411 미국 카푸어들 정말 심각한 문제네 [11] ㅇㅇ(1.242) 05:39 119 0
7195404 오늘의 아파트 실거래가(5.30) [1] 부갤러(103.212) 05:30 66 0
7195403 69 74 완성해서 스샷찍고.자러간다 ㅋㅋ캭 ㅋㅋ [1] ●Alida걸레살해(117.111) 05:28 45 2
7195402 6974완성해서 자러간다 ㅋㅋ ㅇㅇ(117.111) 05:27 30 0
7195401 수천년 전부터 왕과 권력자들의 잘못도 있었겠지만 [2] Kiri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5 75 0
7195399 윤두창 정권 2년만에 출산율 좇박아 [4] ㅇㅇ(1.229) 05:09 61 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