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학벌의 가치가 떨어지는게 아니라 사람의 가치가 떨어지는겁니다만

ㄴr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6.08.11 06:20:14
조회 453 추천 2 댓글 1
														


viewimage.php?id=24b0dd29f3d33aaa6bac&no=29bcc427b38b77a16fb3dab004c86b6f113d37b1bcb96f755d6c09c06c4ba46d672622742a3616782e25ae080a1f0f347ea93977d405d00077ba48c056b193dc




2만 명 근무하던 중국 공장, 로봇 투입 뒤 100명만 남아

[중앙일보] 입력 2015.03.14 00:07 수정 2015.03.16 09:18

로봇도 진화를 한다. 지난 12일 한국산업기술대 디자인융합연구소에서 본 ‘양팔 로봇’이 한 예다. 기존 산업용 로봇이 한 팔만 가졌다면, 이 로봇은 말 그대로 작업용 팔이 두 개다. 움직이는 물체를 한 팔로 잡은 뒤 다른 팔로 가공할 수 있다. 이 연구소의 홍성수 책임교수는 “작업 효율이 한 팔 로봇보다 여섯 배 높다. 인류로 빗대면 오스트랄로피테쿠스에서 호모 에렉투스로 진화한 셈”이라고 설명한다. 이 로봇의 또 다른 특징은 작업에 따라 사람의 손에 해당하는 ‘모듈’을 갈아 끼울 수 있다는 점이다. 이전엔 운반용 로봇, 조립용 로봇, 포장용 로봇을 따로따로 마련해야 했다. 하지만 ‘양팔 로봇’ 한 대로 운반·조립·포장이 다 가능하다.

내년을 목표로 한창 개발 중인 이 로봇은 휴대전화 생산라인에 투입될 계획이다. 지금까지 휴대전화 공장에선 로봇을 찾아보기 힘들었다.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정교한 작업이 많아 사람의 손으로만 이뤄졌기 때문이다. 그래서 ‘양팔 로봇’은 이르면 내년부터 휴대전화 공장의 풍경을 확 바꿔 놓을 것으로 보인다.


동시에 ‘로봇의 발달이 우리의 일터를 빼앗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암울한 전망이 쏟아지고 있다.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 교수는 올 초 다보스포럼에서 “로봇이 이끄는 제3의 산업혁명으로 인간의 일자리가 줄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옥스퍼드대 연구팀은 “20년 후 미국의 일자리 47%가 소멸된다”고 했고, 토머스 프레이 미국 다빈치 연구소장은 “2030년 일자리 20억 개가 사라진다”고 밝혔다.

  문제는 ‘로봇 혁명’이 전부가 아니라는 거다. 인공지능과 3D 프린팅 등 기술 진보는 육체 노동뿐만 아니라 상당수의 지적 노동을 대체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문상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로봇·미디어연구소장은 “서서히, 그러나 거대한 쓰나미가 노동시장에 밀려올 것”이라며 “그게 언제인지 알 순 없지만 그렇게 멀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로봇·인공지능의 발전이 중산층을 위협한다’ 보고서를 낸 나준호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로봇과 컴퓨터의 대체 가능범위는 더욱 넓어질 것”이라며 “비숙련 노동은 물론 숙련 노동·전문 노동도 그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적지 않은 중산층들의 경제적 지위가 불안해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요즘 로봇은 시각인식·인공지능·다관절 등 첨단 기능을 갖춰 사람의 섬세한 동작을 보면 그대로 따라하는 수준까지 개발됐다. 일반 산업용 로봇 가격은 2007년 4000만~5000만원에서 최근 1000만~2000만원으로 떨어졌다. 미국 자동차 제조업의 산업용 로봇의 운영비는 이미 일반 패스트푸드 매장 직원의 임금과 거의 비슷한 수준이라고 한다. 익명을 요구한 한 로봇 전문가는 “2만 명이 근무하던 중국의 한 공장에서 최근 로봇이 투입된 뒤 로봇을 관리하는 직원 100명만 남은 사례가 있다”고 말했다.

  3D 프린팅은 보석 가공·금형·플라스틱 모델 성형 등 제조업에서도 숙련 노동의 자리를 위협하고 있다. 영국의 BAE시스템스는 지난해 말 토네이도 전투기의 금속 부품을 3D 프린터로 제조했다.


인공지능의 초기 형태인 지능형 알고리즘은 빅데이터와 맞물려 무섭게 발전하고 있다. 계산과 같은 단순하고 반복적인 작업에서 벗어나 분석과 예측까지 가능하다. 마이크로소프트(MS)의 음성 비서 서비스인 ‘코타나’는 올해 아카데미 수상자 24명 가운데 20명을 정확히 맞혔다. 영화와 배우의 빅데이터를 검색엔진으로 분석한 결과다. 지난해는 21명을 적중했다.

 미국 언론계에선 ‘로봇 저널리즘’이 화제다. 시간을 다투는 금융, 결과가 숫자로 쉽게 나타나는 스포츠 분야 보도에서 알고리즘이 자동으로 기사를 작성하고 있다. 하버드대 경제학과 리처드 프리먼 교수는 “기술의 발달로 사무직뿐만 아니라 의사·변호사·회계사 등 전문직도 일자리를 위협받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맥킨지 글로벌 인스티튜트는 2025년 로봇이 전 세계 제조업 일자리 4000만~7500만 개를 뺏는 반면 알고리즘은 1억1000만~1억4000만 명의 일을 대신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게다가 한국은 이와 같은 쓰나미의 여파가 가장 빨리, 더 크게 올 수도 있다. 한국의 로봇 밀도(제조업 노동자 1만 명당 제조로봇 수)는 2013년 437대로 세계 1위다. 2위 일본(323대)보다 100대 더 많다. 한국 제조업의 중심이 전자·자동차 등 로봇으로 자동화하기 쉬운 산업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지난달 미국의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은 한국을 2025년까지 로봇 도입에 따른 노동비용 절감효과가 가장 높은 국가(지난해 대비 33%)로 꼽았다. 나준호 선임연구원은 “변수가 많아 그만큼 노동비용 절감효과를 볼 수 있는지 개인적으로 의심이 든다”면서도 “노동시장의 전반적 변화는 이미 진행 중이며, 앞으로 속도가 더 붙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로봇과 인공지능이 인간의 일자리를 얼마나 잠식할 것인가? 일자리의 미래를 낙관하는 쪽이 좀 더 많다. 지난해 미국의 여론조사업체 퓨 리서치는 과학자·개발자·기업인 등 전문가들에게 ‘로봇이 사람의 일자리를 빼앗아 갈 것으로 생각하느냐’고 물었다. ‘그러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52%)이 ‘그렇다’(48%)보다 약간 높게 나왔다. 이런 논리다. “헨리 포드가 대량생산 방식을 도입해 ‘포드T’를 만들면서 많은 노동자가 해고됐다. 그러나 차값이 떨어져 주문이 늘면서 고용도 증가했다. 교통수단 발달로 관광과 같은 새로운 산업에서 일자리가 생겨났다. 로봇도 마찬가지다.”(미국의 브루킹스 연구소) 박광순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한국의 산업 자동화는 도장·용접 등 노동자들이 꺼리는 공정을 중심으로 이뤄진 게 특징”이라며 “대규모 구조조정 사태가 일어날 가능성은 작다”고 분석했다. 김문상 소장은 “요즘 로봇 공학의 트렌드는 사람과의 컬래버레이션(협업)”이라며 “당분간 생산직 노동자는 ‘로봇 동료’와 일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비관론자는 생산성이 증가하고 경제가 성장해도 고용은 늘지 않아 중산층이 무너질 수도 있다고 본다. 새로운 일자리가 생기더라도 전환하는 데 시간이 걸리고, 또 그 일자리의 질이 낮을 수도 있다. 『제2의 기계 시대』 저자인 앤드루 맥아피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부교수는 “저숙련 일자리는 육체노동이 많기 때문에 여전히 수요가 있다. 하지만 중간 정도 숙련을 요구하는 일자리는 여러 기계가 대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나준호 책임연구원은 “노동시장이 바뀌는 과정에서 일자리의 양적 감소, 고용의 질적 저하, 과거 직업 종사자들의 도태가 일어날 수 있다 ”고 말했다. “기술 발전으로 불평등이 심화돼 1%의 1%(전체 인구의 0.01%)가 부의 대부분을 차지할 수도 있다”(앤드루 맥아피 부교수)는 경고도 나온다.

 그래서 세계적인 로봇 권위자인 영국 브리스틀대 앨런 윈필드 교수는 로봇과 자동화에 따른 실업 위기를 대비해 ‘자동화세’를 부과하자고 제안했다. “기업들이 더 많은 인력을 고용할 수 있도록 장려하기 위해 인건비와 기업이익에 대한 세금을 없애야 한다”(빌 게이츠)는 의견도 있다. 일부 좌파 지식인들은 19세기 영국의 섬유산업 노동자들이 방직기계를 파괴했던 ‘러다이트 운동’을 다시 벌여야 할 때라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 장재호 생산기술연구원 연구원은 “로봇과 인공지능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라며 “피해는 줄이고 이익은 늘리는 데 집중하자”고 말했다. 지난해 퓨 리서치 조사에 답변했던 낙관론자·비관론자 모두 동의하는 게 있다. 바로 교육이 중요하다는 거다. 나준호 선임연구원은 “로봇·컴퓨터와 경쟁에서 이기려면 창의성을 길러야 하는데 지금의 교육 시스템은 미흡하다”며 “혁신적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S BOX] “증강현실 건축가, 소셜교육 전문가 등 새 직업 생길 것”

앞으로 구직시장에서 가장 큰 경쟁자는 다른 사람이 아닌 로봇과 인공지능이 될 것이다.

 로봇과 인공지능이 위협하는 일자리는 부지기수다. 이런 일자리로 미국 방송사 NBC는 약사, 변호사, 운전사, 우주비행사, 점원, 군인, 베이비시터, 재난구조원 등을 선정했다. 옥스퍼드대 연구팀은 텔레마케터, 파쇄기계 운전기사, 굴착기 운전기사, 약제사, 조림 근로자, 동물 관리인 등이라고 내다봤다. 단순노동·비숙련직은 지난 수십 년 동안 자동화가 많이 됐기 때문에 당분간 안전하다. 그러나 벌이는 시원찮다.

인간의 비교 우위가 지켜질 분야도 있다. 이발사, 승무원, 코디네이터, 제빵사 등 섬세한 사람의 손길이 필요한 분야다. 로봇 개발이 어렵고 개발하더라도 경제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시니어 산업과 같이 다른 사람과 정서적으로 교감을 나눠야 하는 직업도 끝까지 경쟁력을 지킬 것으로 전망된다.

 미래를 너무 암울하게 생각할 필요는 없다. 새로운 직업도 속속 등장하기 때문이다. 무인비행기 드론은 전투기 조종사의 일자리를 빼앗았지만 드론의 운용인력은 전투기보다 더 많은 편이다. 미래학자인 토머스 프레이 다빈치 연구소장은 지난해 “10년 후 일자리 60%는 아직 탄생하지도 않았다”며 “증강현실 건축가나 도시농업경영자, 소셜교육 전문가, 기후변화 전문가 등의 직업이 생길 것”이라고 예측했다.

  손화철 한동대 교수는 “로봇과 인공지능의 여파를 경제적 측면뿐 아니라 인간 소외 측면에서도 고민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출처: 중앙일보] 2만 명 근무하던 중국 공장, 로봇 투입 뒤 100명만 남아


추천 비추천

2

고정닉 0

0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AD #삼성선물 #해외선물모투대회 #총상금 #2250만원 운영자 24/06/18 - -
AD LS증권 해외선물 수수료 $2.49 할인 이벤트 운영자 24/01/01 - -
1299712 난 18인데 [2] ㅇㅇ(211.202) 16.08.19 77 0
1299711 남역이는 크로스핏해야된다 [1] 부갤의 현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8.19 104 0
1299710 대물이라고 시부리는 놈치고 대물 없지 ㅇㅇ(223.62) 16.08.19 47 0
1299709 나 17센친데 첨하는여자들 다 아파하더라 [4] ㅇㅇ(223.62) 16.08.19 229 0
1299707 아는사람 하나없는 제주에 혼자사는거 어떨거같냐 [1] ㅇㅇ(211.253) 16.08.19 108 0
1299706 신혼집으로 압구정 현대 어떰? [3] ㄷㄴ(223.62) 16.08.19 301 1
1299704 행정사 하다가 외노자 ㅇㅇ(223.62) 16.08.19 97 0
1299703 여자따먹고 다닌 얘기나 대물로 여자조지는 얘기 하면 깎아내리는 병신들은 ㅇㅇ(14.39) 16.08.19 83 0
1299702 똑똑한 여자는 있어도 천재는 없다지? [4] ㅁㅁ(211.207) 16.08.19 145 0
1299700 역대 대통령 개인적인 점수 ... [6] ㅇㅇ(14.37) 16.08.19 194 0
1299699 클루니 서울대 나온 브레인 아니냐 ㅇㅇ(175.223) 16.08.19 57 0
1299698 클루니 괴롭히지 마라 ㅅㅅ(166.104) 16.08.19 46 2
1299697 서울대 인증 어찌 하면 되냐?? [1] ㅇㅇ(223.62) 16.08.19 93 0
1299696 근데 헬스로 몸키우는거에 집착하는 애들중 자지 작은애들이 많다더라. [1] ㅇㅇ(14.39) 16.08.19 142 2
1299695 송도 자이 하버뷰 vs 푸르지오 하버뷰 [2] 송도??(202.214) 16.08.19 214 0
1299693 나이드신횽아들 뭐좀 물어볼게 ㄴㄱㄴㄹ(223.62) 16.08.19 75 0
1299691 좆도 아닌 새끼들이 미친새끼들이 [3] ㅇㅇ(223.62) 16.08.19 104 0
1299690 [투자용토지] 광명 노온사동 특별관리지역내 토지 평당 549,000원 신한경매김정환(121.65) 16.08.19 1386 0
1299689 이명박 아직 힘이 있나? [2] aa(211.207) 16.08.19 233 0
1299688 근데 아너힐즈 왠지 마피 뜰거 같지 않냐? [5] ㅇㅇ(222.99) 16.08.19 327 0
1299687 30대 되면 피트니스에서 몸 조지는것 보다 ㅇㅇ(211.241) 16.08.19 340 0
1299686 자격증보다 사람의 성격과 외모가 좌우하는시대야 ㅇㅇ(122.32) 16.08.19 65 0
1299685 ※※※너의 스물아홉은 어땠나요?※※※ [4] Rommel.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8.19 513 3
1299683 니네 돈 100억음 있냐?? [3] ㅇㅇ(223.62) 16.08.19 101 0
1299682 애견가 이해 못함 ㅇㅇ(223.62) 16.08.19 45 0
1299681 한남뉴타운 2구역 [2] 김다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8.19 416 0
1299680 남역아 ㅇㅇ(222.99) 16.08.19 40 0
1299679 부갤 행님들 모기지론 관련 질문 하나만.. ㅇㅅㅇ(116.123) 16.08.19 131 0
1299678 고덕그라시움 너무너무사고싶어미치겟다ㅠㅠ [1] ㅇㅇ(110.70) 16.08.19 227 2
1299676 판교 광교등 경기남부 단독주택지 향후 어캐될거같냐 [2] ㄹㄹ(175.209) 16.08.19 306 0
1299675 주위에 공인중개사 아직도 못딴 사람 있으면~ [1] ㅇㅇ(210.126) 16.08.19 254 0
1299674 송도시민의 양심고백 ㅇㅇ(14.39) 16.08.19 223 1
1299673 6억짜리에 4억 대출받아 사면 하우스 푸어 되나요? [4] ㅇㅅㅇ(116.123) 16.08.19 436 0
1299672 북촌이 게시물 보면 10개에서 7개가 친목글이네. ㅂㅂ(39.7) 16.08.19 96 8
1299668 동부이촌동 우성아파트 25평짜리 파는게 나을까요? 조언좀 [4] 555(218.146) 16.08.19 617 0
1299667 위례가 자꾸 깝치는데 판교 수준보고 까라 [6] ㄷㅌ(223.62) 16.08.19 311 3
1299666 나 요즘 운동이 존나 안됨 [4] 검은머리미국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8.19 215 0
1299665 100세 시대에 돈 버는 25-60세사이에 존나게 벌어라 ㅇㅇ(223.62) 16.08.19 98 0
1299663 개포 아너힐즈 경쟁률 예상 ㅇㅇ(175.223) 16.08.19 159 0
1299662 준비하는 시험이 있다면 잠시 인터넷, 스마트폰.. 과는 멀리하는게 [2] 빚과수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8.19 118 0
1299660 우쭈쭈 우리 알파 월급 570만원이세여? [2] ㅇㅇ(223.62) 16.08.19 166 2
1299659 요즘 안망한 전문직이 있냐?ㅋㅋㅋㅋㅋ [6] ㅇㅇ(223.62) 16.08.19 376 2
1299658 발가락 수술안해도 된다 야호 워키토키(110.70) 16.08.19 105 1
1299657 오늘부터 1주일에2만원치로또매주사면 ㅇㅇ(223.62) 16.08.19 48 0
1299655 캐쉬 3억 있는데..이걸로 아너힐즈 비볐다간 한강 가는거? [1] ㅇㅇ(222.99) 16.08.19 214 0
1299652 하늘소가 남한테 조언할 자격이나 있냐? [1] ㅇㅇ(223.38) 16.08.19 99 9
1299651 순자산30억에 월 세후2천이면 람보르기니 뽑아도됨? [4] ㅇㅇ(223.62) 16.08.19 229 0
1299646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을 다시한번 읽어봐라 부갤의 현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8.19 127 0
1299645 요즘 왜 삼구 안보이냐? [5] ㅂㅅㅈ(49.143) 16.08.19 100 0
1299644 나 다시 돌아갈래 ㅠㅠㅠㅠ [6] Rommel.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8.19 284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