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이민준비 잘되고 있지?

ㅇㅇ(211.241) 2016.07.31 15:48:17
조회 215 추천 2 댓글 1

20대국회 상임위원장 릴레이 인터뷰⑦
“최고부자들, 소득 90% 세금으로 내도 대한민국 살리겠다고 각오해야”

“대한민국호(號)라는 배에 구멍이 뚫려서 물이 들어온다.”

양승조 국회 보건복지위원장은 지난 21일 조선비즈와의 인터뷰에서 저출산 문제를 이렇게 비유했다. 그는 “물이 차면 아무리 큰 배도 침몰하는데, 물이 들어오는 것을 모르고 웃고, 떠들고, 자고, 싸우는 것이 현재 한국의 상황”이라고 경고했다.

양 위원장은 “이 상태로 가면 현재의 5100만명인 인구가 2100년에는 2000만~2300만명 밖에 안 남아 나라가 없어질 것”이라며 “인구가 반으로 줄어드는 과정에서 경제규모 축소와 내수침체로 이루 말할 수 없는 고통을 겪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양승조 보건복지위원장 / 사진=박정엽 기자
▲ 양승조 보건복지위원장 / 사진=박정엽 기자

그는 저출산 대책으로 ▲난임 부부 지원 ▲과도한 보육비와 사교육비 해소 ▲직장 어린이집 확대 등을 지목했다.

양 위원장은 “(저출산 악순환의) 연결고리가 약한 곳을 끊어줘야 한다”며 이같은 대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저출산극복세’, ‘국가지속가능세’ 등 명칭을 붙여서라도 세금을 걷어 투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양 위원장은 법조인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비인기 상임위인 보건복지위원회에서 10년 넘게 일했다. 그는 “초선 때(17대국회) 법제사법위원 2년하고서 보건복지위원 2년을 해보니 한국의 문제가 상당수 여기 있었다”며 “저출산, 고령화, 양극화 등의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미래가 없을 것 같은데 양심상 다른 상임위를 못가겠더라”고 말했다.

-저출산 문제, 얼마나 심각한가.

“출산율이 1.30명이 안되면 초저출산국이라고 한다. 선진국들은 출산율이 1.30 밑으로 떨어지면 정부가 적극적인 정책을 펴 2~3년 내에 돌파했다. 반면 한국은 출산율이 1.30을 밑도는 상태가 15년 동안 계속되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 국회입법조사처 등에 따르면 이 상태로 가면 2100년에는 현재 5100만명인 인구가 2000만~2300만명으로 줄어든다고 한다. 대한한국이 사라지는 것 만큼 심각한 일이다.”

-인구 감소로 인한 파장을 구체적으로 설명해달라.

1972년생은 102만명이 넘지만, 2013년생은 43만5000명이다.1972년생은 2070년이면 대부분 사망하는데, 이들을 2013년 생이 대체할 때가 되면 102만명의 인구가 43만명 밖에 남지 않게 된다. 세금을 내는 인구가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는 얘기다.


양승조 보건복지위원장 / 사진=박정엽 기자
▲ 양승조 보건복지위원장 / 사진=박정엽 기자

-저출산 문제에 대해 정부도 여러가지 대책을 내놓고 있다.

“정부의 저출산 대책은 언 발에 오줌누기다. 저출산 대책 예산이 29조원이라고 하지만,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턱 없이 부족하다. GDP의 2.1% 수준 밖에 안된다. 프랑스는 GDP의 3.98%가 저출산 대책 예산이다. 저출산 대책이 성공한 나라인 스웨덴은 3.75%, 영국은 4.22%다.”

-저출산 문제가 개선되지 않는 원인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저출산고령화위원회 위원장이 대통령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취임 후 3년6개월 동안 회의를 딱 한번 주재했다. 대통령이 관심이 없으니 누가 신경을 쓰겠나.”

-시급하게 예산이 투입돼야 하는 분야가 있다면?

“난임 부부 지원은 효과가 굉장히 크다. 대부분이 결혼을 했고 아기를 낳고 싶어하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육아 환경을 개선하는 것도 중요한 포인트다. 일과 가정의 양립이 가능하게 하려면 직장 어린이집을 대폭 늘려야 한다. 일정한 규모가 넘는 사업장은 직장 어린이집을 의무적으로 설치하지 않으면 상당한 부담을 느낄 수준의 과징금을 부과해야 한다. 대신 직장 어린이집을 설치하면 정부가 지원을 해야 한다.”

-현 정부는 재정과 복지가 상충관계라고 보는 것 같다.

“저출산 문제를 극복해야만 재정 안정성이 담보 된다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지금 추세대로면 40만명인 2013년생이 100만명인 1972년생을 먹여살려야 할 때가 온다. 지속 가능하지 않은 구조다. 출산률을 높여서 세금 내는 사람을 늘려야 재정 안전성이 담보될 것이다.”

양승조 보건복지위원장 / 사진=박정엽 기자
▲ 양승조 보건복지위원장 / 사진=박정엽 기자


-그렇다고 해서 무작정 돈을 풀어서 갖다 댈 수는 없는 것 아닌가.

“빚내는 것이 부담이 있으니, 돈 있는 사람과 돈을 더 많이 버는 기업이 세금을 더 낼 수 밖에 없다. 노무현 대통령 때 조세부담율이 21%였는데, 지금은 17% 밖에 안된다. 조세부담율을 21%로 올리면 (쓸 수 있는 돈) 30조원이 늘어난다. 이 정도만 늘어도 저출산 대책에 많이 쓸 수 있다.”

-복지재정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획기적인 복안이 있나.

“목적세(稅) 형태의 저출산극복세(稅)를 걷어야 한다. 노인장기요양보험료를 내서 치매부분 요양 문제를 상당히 해소한 것 처럼 저출산극복을 위한 세금을 걷어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투자해야 한다.”

-세금이 늘어나는 것에 대한 저항이 있을 수 있다.

“부자들이 솔선수범 해야 한다. 이건희 회장 지난해 주식 배당액이 1771억원이다. 1771억원 중 90%를 세금으로 내도 171억원이 남는다. 세율을 90%로 올리자는 것은 아니지만, 최고부자들이 90%를 내도 대한민국을 살리겠다는 각오가 있어야 한다. 영속 가능한 나라를 만들기 위해 내가 더 부담하겠다는 국민적 합의가 있어야 한다.”

                
▲ 양승조 보건복지위원장 / 사진=박정엽 기자

-박근혜 대통령은 최근 몽골 순방 성과로 원격진료를 제시하기도 했다. 원격진료에 대한 입장은?

“섬, 산골, 교도소 이런 곳은 원격진료를 허용해도 괜찮지만, 일반화 해서는 안된다. 의료기기 산업이 발전한다지만 겨우 화상진료를 하는 수준이다. 원격 진료로 돈을 벌 수 있는 것은 일부 대형 대학병원에 불과하다. 원격진료가 일반화되면 이들 대형병원에 환자가 몰릴 것이다. 지방에 있는 의원급 병원에 누가 가려고 하겠나. (병원까지) 차를 타고 두 시간 가야 하는 미국, 호주 같은 곳은 너무 불편하니까 원격 진료를 할 수 밖에 없다. 우리나라와는 상황이 다르다.”

-의료 영리화에 대해서는 어떤 입장인가.

“의료기기 산업은 육성해야 한다. 작년에 3조원 수출을 했는데, 확 키워야 한다. 중국, 인도, 베트남 시장으로 의료기기를 수출하는 것은 아주 좋은 것이다. 그렇지만 의료의 영리화는 안된다. 대표적인 의료 영리화 국가인 미국은 건강보험 사각지대가 전체 인구의 15%인 4500만명이 넘는다. 의료법인이 영리화되면 병원이 투자자에게 배당을 해야하고, 그러자면 이익이 남아야 한다. 이익이 남으려면 돈을 많이 받아야 하고, 비급여를 늘릴 수 밖에 없다.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제도 중 하나인 한국 건강보험제도의 근간이 흔들릴 것이다.”

-정부는 해외환자를 유치하기 위해서라도 부분적인 영리화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외국인 환자 유치는 지금 시스템에서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한국의 의료 경쟁력이 있기 때문에 환자 유치는 원활하게 이뤄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외국인 환자를 유치하기 위해 국민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건강보험 체계를 흔드는 일이 일어나면 곤란하다.”

-임기시작하자마자 경로당 및 노인학교 지원법 제정안, 노인청을 설치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내놓았다.

“고령화 문제도 심각하다. 현실적으로 심각한 것은 세계 최고의 노인 빈곤율이고, 건강하지 못한 노인의 삶이다. 건강 수명이 평균 수명보다 10년이나 짧다. 또 독거노인들이 140만명이나 된다. 이들이 고독함을 어떻게 할 것인가. 노인 문제 해결을 위해서 국가기관으로 노인청이 필요하다. 세계 최고의 노인 빈곤율, 노인 자살율을 해결하기 위해서 기초연금도 받을 만큼 드려야 한다. 그래서 법안들을 낸 것이다.”

 

 

 

 

 

유럽식 사민주의는 항상 세금 폭증을 불러왔다

모든걸 국가가 해결하려고 굴거든

그런다고 국가가 다 해결했냐는 별개의 문제지만 


저 양승조 위원장의 말에서 국가가 국민을 세금 내는 기계로 생각 하는 가치관을 가감없이 잘 드러내줬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추천 비추천

2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AD #삼성선물 #해외선물모투대회 #총상금 #2250만원 운영자 24/06/18 - -
AD LS증권 해외선물 수수료 $2.49 할인 이벤트 운영자 24/01/01 - -
1289343 위례 자래이 학군 정리해준다 [12] ㅇㅇ(222.236) 16.08.08 457 6
1289340 청담자이 안 부러운 흑석동 한강현대 [1] 135(211.208) 16.08.08 587 1
1289339 잠실누나가 얼굴 인증했냐 [1] ㅇㅇ(121.162) 16.08.08 221 0
1289336 완벽한 출 장 만 남 섹시한언니들 대기중 키스1(218.147) 16.08.08 49 0
1289335 진정한부자는 강북,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2] 동네망나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8.08 290 0
1289333 개포 대치 지금 등기치는게 막차일듯 합니다만 [1] ㅇㅇ(112.170) 16.08.08 381 4
1289332 우리 아빠 대기업 임원인데 분당 사니까 부갤러들 기준으로 서민일텐데 ㅇㅇ(122.36) 16.08.08 158 0
1289329 33살 먹고 남자 얼굴 따지는 여자얘는 뭐냐 [4] 아임세수머신(223.62) 16.08.08 270 0
1289328 이년들아 정신차려라(부갤에 대한 단상) [8] (49.246) 16.08.08 241 2
1289325 아무리 예에에에에에쁜 여자도 질릴 수 밖에 없다는게......... [1] 부랄탁(223.32) 16.08.08 156 0
1289323 진짜좃밥들이0씨부리는말 진정한부자는강북산다 [1] ㄱㄱ(223.62) 16.08.08 102 1
1289322 현직 변호사도 이게 왜 고소인지 이유를 모르겠다고 한다 [5] ㅇㅇ(128.199) 16.08.08 524 1
1289321 10년후 가치 선반영 ㅇㅇ(223.33) 16.08.08 116 1
1289320 호재라고 값 오르는지역은 다시 꺼질 가능성이 있다 ㅇㅇ(122.32) 16.08.08 109 0
1289319 니들은 왜 뱅쿱이나 꽃노를 미워하냐 [5] 도뉴(125.131) 16.08.08 195 6
1289318 송도는 전두환때 구상했음. 송도위키(121.64) 16.08.08 129 0
1289315 살다 살다 주변상권이랑 엮어서 아파트 개발호재로 미는 미개한 동네가 있네 [3] 도뉴(125.131) 16.08.08 202 0
1289314 위례 자래이 9.0 호가 나온다던데 사실이냐?? [28] ㅌㅌ(223.62) 16.08.08 414 3
1289311 븅신들 상권이란 건 연예인+이쁜년들 조합이면 끝난다 oo(175.223) 16.08.08 119 1
1289310 수저평가ㄱㄱ [8] ㅈㄱㅈㅂ(223.62) 16.08.08 302 0
1289309 성수동 부동산 4군데 다녀보니까 딱 사이즈 나오던데 [6] ㅁㅁ(61.253) 16.08.08 862 2
1289308 US는 가가멜한테 발리고 부갤 끊었다고 들었다. [1] 5555(116.121) 16.08.08 99 1
1289306 위례 성남은 정말 잘 생각하고 들어가라. [8] ㄷㄷ(49.166) 16.08.08 492 4
1289305 오후에 워런트 이야기 올렸던 게이야 [1] ㅎㅎ(39.7) 16.08.08 110 3
1289304 용인 기흥역 풍림아파트라고 2.05에사서 (175.223) 16.08.08 267 0
1289302 송도 무현이 작품이냐??? [1] ㅌㅇㅇㅇ(211.108) 16.08.08 100 0
1289301 부모 세대(?)들이 좀 웃긴 게 뭐냐면 ㅇㅇ(121.188) 16.08.08 115 1
1289300 30대 부부10억 요샌 진짜 꽤 많은 듯 [6] oo(175.223) 16.08.08 555 3
1289299 명일주공 산다는놈 봐라. [3] ㅇㅇ(171.253) 16.08.08 204 0
1289298 성수동이 이미 너무 비싸다고? [1] ㅇㅇ(211.36) 16.08.08 219 1
1289297 도원삼성 20평대가 5.1억인데 명일주공 30평이 5억이네 [2] ㅇㅇ(171.253) 16.08.08 366 0
1289296 부갤의현자 1년차수의사 월급150 받는넘이네.ㅋㅋㅋㅋ [2] ㅇㅇ(223.62) 16.08.08 162 1
1289294 아파트 브랜드도 세대교체 [1] ㅇㅇ(203.226) 16.08.08 207 0
1289293 도웜삼성 임장 후기 [1] 그랑조(171.253) 16.08.08 301 0
1289292 인천이 송도 개발한 이유 [4] ㅁㅁ(61.253) 16.08.08 266 0
1289291 9호선 4단계 예타 통과했냐? ㅇㅇ(223.62) 16.08.08 88 0
1289289 성수가 뜨면 갭투자는 여기다 [4] ㅇㅇ(175.223) 16.08.08 506 0
1289288 길음동은 어케될거같냐? ㅁㅅ(1.229) 16.08.08 130 0
1289286 9호선 고덕역 급행 타면 봉은사역까지 10분대 진입 가능? [2] ㅇㅇ(182.227) 16.08.08 280 9
1289285 지금 보고있는 데가 ㅇㅇ(175.223) 16.08.08 115 0
1289282 압구정 동네가 물가가 비싼게 느껴지는건 (175.223) 16.08.08 169 0
1289278 명일주공9단지 전세끼고 매매한다는놈 봐라 [8] ㅇㅇ(211.108) 16.08.08 466 0
1289277 너네들 좆싸구리 동남아 여행좀 고만다니곸ㅋㅋㅋㅋ [1] Ass(61.73) 16.08.08 143 1
1289274 명일동 주공9단지 [5] ㅇㅇ(223.62) 16.08.08 580 10
1289273 자래이 로얄동 (7~9동) 로얄층 9.0이 참말이냐? [2] ㅋㅌ(223.62) 16.08.08 113 0
1289271 우리집 흙수전데 여기 글들보면 [14] (211.36) 16.08.08 434 0
1289270 공급과잉 하는데... 동네마다 다 다른 거 아닌가 ㅇㅇ(182.227) 16.08.08 69 0
1289269 여자한테 무시 당할거 같아서 여자만 보면 위축된다... 즐거운심해여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8.08 138 0
1289266 양천구 새끼들이랑 겸상을 하면안됨 [3] ㅇㅇ(211.108) 16.08.08 284 2
1289265 아파트 실거주 매매시기 ㄷㄷㄷ(122.35) 16.08.08 123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