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여기 고수님들께 질문이 있는데요?(엔화대출과 예금대비민간대출비율)

비밀정보(211.215) 2008.10.28 22:22:52
조회 107 추천 0 댓글 1

<H3 id=GS_con_tit>엔화대출 받은 기업 "은행 상환 요구에 멍"</H3>< type=text/>                                                //                                                document.title = "엔화대출 받은 기업 \'\'은행 상환 요구에 멍\'\'";                                                 viewToday(\'auto\');                                                //                                                </>

머니투데이 <EM>|</EM> 기사입력 2008.10.28 17:16

40대 남성, 인천지역 인기기사 자세히보기

< type=text/>                        try{var rand = Math.random().toString();                         var ordval = rand.substring(2,rand.length);                         var clintAgent = navigator.userAgent;                        document.writeln("<iframe src=\"http://amsv2.daum.net/cgi-bin/adcgi?corpid=46&secid="+Media_AD250ID[0]+"&type=cpm&tag=iframe&mkvid=1&ord=" + ordval + "\" width=250 height=250 border=0 frameborder=0 scrolling=no marginheight=0 marginwidth=0 id=\'ad_iframe\' class=\'\' allowTransparency=\'true\'></iframe>");}catch(e){}                    </><IFRAME class="" id=ad_iframe border=0 marginWidth=0 marginHeight=0 src="http://amsv2.daum.net/cgi-bin/adcgi?corpid=46&secid=05d26&type=cpm&tag=iframe&mkvid=1&ord=31027952925419794" frameBorder=0 width=250 scrolling=no height=250 allowTransparency></IFRAME>

[머니투데이 박동희MTN 기자][엔화 대출 만기 1년 연장, 미봉책에 불과]
< 앵커멘트 >
어제 <U>한국은행</U>에서 엔화대출의 상환 만기를 1년 연장해주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중소기업들은 이번 조치로 부도는 피할 수 있지만 여전히 미봉책에 그친다며 볼멘소리입니다. 박동희 기자가 전합니다.

< 리포트 >
인천에서 기업을 운영하는 김대홍 씨 지난 해 6월 은행에서 엔화대출로 160억원을 빌렸다가 낭패를 봤습니다.

100엔에 800원 하던 환율이 이번 달 1500원 넘게 뛰면서 갚아야 할 원금만 90억원 늘었기 때문입니다.

< type=text/>     //         UI.embedSWF("http://web.play.mtn.co.kr/flash_skin/player.swf?file_key=344ae3397291ed8dc5fbd1ff268fce2c&auto_start=N&allowmaximize=YES"        , "320" , "240")     //     </><OBJECT id=UIswf_http://web.play.mtn.co.kr/flash_skin/player.swf?file_key=344ae3397291ed8dc5fbd1ff268fce2c&auto_start=N&allowmaximize=YES codeBase=http://download.macromedia.com/pub/shockwave/cabs/flash/swflash.cab#version=9,0,0,0 height=240 width=320 classid=clsid:D27CDB6E-AE6D-11cf-96B8-444553540000><PARAM NAME="_cx" VALUE="8467"><PARAM NAME="_cy" VALUE="6350"><PARAM NAME="FlashVars" VALUE=""><PARAM NAME="Movie" VALUE="http://web.play.mtn.co.kr/flash_skin/player.swf?file_key=344ae3397291ed8dc5fbd1ff268fce2c&auto_start=N&allowmaximize=YES"><PARAM NAME="Src" VALUE="http://web.play.mtn.co.kr/flash_skin/player.swf?file_key=344ae3397291ed8dc5fbd1ff268fce2c&auto_start=N&allowmaximize=YES"><PARAM NAME="WMode" VALUE="Window"><PARAM NAME="Play" VALUE="0"><PARAM NAME="Loop" VALUE="-1"><PARAM NAME="Quality" VALUE="High"><PARAM NAME="SAlign" VALUE="LT"><PARAM NAME="Menu" VALUE="-1"><PARAM NAME="Base" VALUE=""><PARAM NAME="" VALUE="always"><PARAM NAME="Scale" VALUE="NoScale"><PARAM NAME="DeviceFont" VALUE="0"><PARAM NAME="EmbedMovie" VALUE="0"><PARAM NAME="BGColor" VALUE="FFFFFF"><PARAM NAME="SWRemote" VALUE=""><PARAM NAME="MovieData" VALUE=""><PARAM NAME="SeamlessTabbing" VALUE="1"><PARAM NAME="Profile" VALUE="0"><PARAM NAME="ProfileAddress" VALUE=""><PARAM NAME="ProfilePort" VALUE="0"><PARAM NAME="AllowNetworking" VALUE="all"><PARAM NAME="AllowFullScreen" VALUE="false"></OBJECT>
시중은행들이 대출 연장을 해주지 않자 김 씨는 250억원을 갚거나, 이만큼의 금액을 높은 금리의 원화 대출로 갈아타야 했습니다.

다행히 한국은행이 엔화 대출 만기를 1년 더 연장하기로 해 발등에 떨어진 불은 껐습니다.
하지만 문제가 해결된 것은 아닙니다.
"다시 만기 시점에서도 이상태로 환율이 간다면 다시 추가 연장 요구를 해야 되겠죠. 800~900원 사이가 원화로 전환하는 안정적인 시점"

엔화 대출은 시중은행들이 일본은행에서 저금리로 엔화를 빌려와 다시 개인 사업자들에 대출해 주는 것으로 2~3년 전 크게 늘었습니다.

개인 사업자들은 대부분 10년 장기 대출인 줄 알고 시설 투자 등의 목적으로 자금을 빌렸습니다.

실제로 한 은행의 상품 소개 내용에 나와있듯 시중은행들은 10년 동안 대출 연장이 가능한 것처럼 말해 상품을 팔았습니다.

"실제 시설 투자였고 또 운영 자금으로 사용했습니다. 그때 당시에는 기한도 없었고, 10년이고 20년이고 이자만 잘 내시면 계속 쓸 수 있다고 은행에서 우리가 몇번이나 물어봤어도 답변을 받았고."

결국 상환하려면 대출한 돈으로 투자한 공장이나 부동산을 팔아야 하지만 최근 경기 침체로 팔기도 쉽지 않게 됐습니다.

또 대출 당시 환율도 돌아선다는 보장도 없습니다.
상환 연장의 칼자루를 쥔 한국은행은 엔화대출 이자가 낮은 만큼 개인 책임이라고 말합니다.
"금리차 이득에 대해서 환율에 상응하는 리스크를 지셔야하는데, 금리에 대한 이익을 보시면서 리스크는 안 지시겠다, 그말씀과 마찬가지잖아요."

엔화 대출은 환차손 위험이 있음에도 지난 6월 말 기준으로 18조원에 이르고 있습니다. 엔화 대출을 받은 기업은 가뜩이나 어려운 경기상황을 헤쳐나가는 것보다 환율 상승에 따른 부담에서 벗어나는 게 발등의 불입니다.




엔화대출액이 18조원인데 이의 용도가 쉬쉬하지만 주택구입용도로 쓰였다는게 사실인가요?

그리고 예금대비 민간대출비율이 140%로 러시아의 125%보다 높아서 앞으로 닥칠일이 매우 우려

된다는 말이 있는데요...러시아는 외환보유고가 우리보다 많은 5000억불인데도 지금위기인데요

그리고 만일 이번 달 무역적자가 나면 그야말로 큰일이라는데

다음주에 신용등급 하향이 기정사실이라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내용이 어제 이명박 대통령 연설에 반영되지 않았답니다

고수들 의견은 어떻세요?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반응이 재밌어서 자꾸만 놀리고 싶은 리액션 좋은 스타는? 운영자 25/07/28 - -
AD [삼성선물]미주옵 누구나 매월 50계약 무료 & $0.65 운영자 25/07/01 - -
AD [LS증권]해외선옵 수수료 부담? NO! $110 지원 운영자 25/07/01 - -
145652 이상과열 읽어보신분? 진지한조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2.24 70 0
145651 재건축 아파트에 임대주택끼는거 진짜 ㅄ 같은 정책이다.. [1] 교사(211.218) 09.02.24 197 0
145649 야 너네들 재건축 임대의부비율 폐지되었는데 뭐하고 있냐? ㅋㅋㅋㅋㅋㅋㅋㅋ [5] 맞을래?(125.181) 09.02.24 291 0
145648 약사vs한의사 여러분의 선택은? [1] ㄴㄴ(119.204) 09.02.24 182 0
145647 교사>>안드로메다 >>지구대폭발>>넘을수 없는벽>>>치과의 [1] 교사(211.218) 09.02.24 118 0
145646 근데 왜 돈에 목메는거지? [22] 진지한조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2.24 353 0
145645 28에 고등학교교사발령 vs 28에 치의학전문대학원 합격 [1] (222.97) 09.02.24 184 0
145644 그렇게 공무원이 좋음 직업군인 생각해 보3. [6] 빠빠(125.143) 09.02.24 256 0
145643 관악까야 텐인텐에서 관악현대 매입 조언 구하더라. 가봐라. [5] 비행소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2.24 237 0
145642 나이트클럽 부장vs치과의사 [2] 웨이터(210.106) 09.02.24 700 0
145641 치과의사 vs 교사 [19] (222.97) 09.02.24 449 0
145639 아파트 급매물로 한채 샀는데 잘 샀나요? [5] 아튼빌라(96.250) 09.02.24 608 0
145638 경제가 좀 더 막장으로 가면 공무원은 죽지않는 불사신이란 소리 나오겠다. [1] 마통주식풀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2.24 130 0
145636 요즘 치과의사 어렵다는데 9급이 [15] (222.97) 09.02.24 577 0
145635 노빠가 보구싶다.... [2] 하하(211.57) 09.02.24 65 0
145634 아파트 등기부 등본 떼본 사람? [4] 반포인(119.64) 09.02.24 505 0
145633 저는 나이트클럽에서 일할려고 합니다. [11] 웨이터(210.106) 09.02.24 534 0
145632 지하철 9호선, 부동산시장 '훈풍' [2] 뉴타운(121.131) 09.02.24 347 0
145631 경부고속도로 덮개공원 말이야... [3] 질문이(61.74) 09.02.24 303 0
145630 여자꼬실때 이런멘트 어떠삼? [3] 진지한조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2.24 592 0
145628 여러분을 꼬셔봅니다. 가나다(122.101) 09.02.24 86 0
145625 아파트 분양 관련 법규 아는횽? 나...(119.64) 09.02.24 75 0
145622 주식은 2차 폭락 시작했구나.... [4] 하하(211.57) 09.02.24 575 0
145621 강남 아파트값 '꿈틀'… 바닥 쳤을까? 강남(61.37) 09.02.24 142 0
145616 부동산 잘아는 횽들 이것쫌 봐줘 [4] 헬프(58.239) 09.02.24 207 0
145615 아놔~ 왜 영웅본색 2편을 폄하해? [8] 비행소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2.24 323 0
145614 8억으로 판교 40평 서해그랑블 가능할까? [7] ㅋ_ㅋ(121.169) 09.02.24 584 0
145611 월 350 창고부지?? 1111(124.50) 09.02.24 108 0
145610 강북강변의 천주교성지 지방으로 이전하면 안돼나? [3] 1841(121.138) 09.02.24 231 0
145609 목동옆에 이상한 큰 굴뚝 뭐야? [3] 1841(121.138) 09.02.24 332 0
145608 타펠 사는 사람들 개거지임? [1] ㅇㄹㄴㅇ(61.98) 09.02.23 251 0
145606 용인 동백지구 전세 질문입니다~~~ [4] 쥐박멸(202.133) 09.02.23 671 0
145605 강일지구 얼마까지오를까??? [6] 부갤러(121.138) 09.02.23 307 0
145604 광진구 vs 마포구 ?? [21] 용가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2.23 502 0
145602 [횽들 질문]신도림역 바로 앞 대림아파트는 왜이리 비싼지.. [10] 수정과잣(122.34) 09.02.23 656 0
145601 한국과 외국 타운하우스 가격말이야.. [2] Nabb(58.120) 09.02.23 271 0
145600 연봉 1억이면 상류층임. [15] ㅇㅇㅇ(121.125) 09.02.23 744 0
145599 3~5억이면 외국의 이런 집 살수있어? [4] Nabb(58.120) 09.02.23 352 0
145598 단순비교 철산동vs봉천동 ?? [6] 개념인(119.64) 09.02.23 318 0
145597 벤츠s class가 좋나요 베엠베 7시리즈가 좋나요 [4] 슬픈폭력(59.15) 09.02.23 586 0
145596 그럼 고대안암병원에 있는 치과의사들은 [3] 크리(58.234) 09.02.23 623 0
145595 ★구경하는집 울집이 당첨됐는데... [4] 전라디언(121.140) 09.02.23 588 0
145594 단순비교 강동구 vs 강서구 [16] 조따마(118.35) 09.02.23 409 0
145592 수정구와 분당구 [6] 디시인(125.177) 09.02.23 387 0
145590 치과의사면 지방에서 중산층으로 사는 거 가능? [1] (61.79) 09.02.23 158 0
145588 광장동 30평대 아파트 전세 얼마나 하나요? [4] 고돌아범(218.144) 09.02.23 423 0
145586 단순비교좀해보내자 강동구 vs 강서구 [10] 부갤러(121.138) 09.02.23 450 0
145585 도시근로자 가족 10분위 소득자료 돈암동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2.23 248 0
145583 앞으로 대세는 그래도 말이지... 개발(123.109) 09.02.23 92 0
145582 여기 보니까 연봉 2-3억이 캐 서민인데. 연봉 5억이면 중산층인가? [6] 송파빠(211.205) 09.02.23 357 0
뉴스 '은수 좋은 날' 김영광, "이젤 너머의 두 얼굴... 선과 악 사이에서 흔들리다" 첫 티저 포스터 공개! 디시트렌드 07.3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