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2020년 도쿄 올림픽後, 日부동산 붕괴된다

ㄴr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6.07.07 19:59:37
조회 624 추천 0 댓글 2

日은행권 부동산 대출 사상 최대치…770조원
부동산 수익률 3.7%, 20년 국채 이자의 46배
2023년 日빈집수 1396만호…5채중 1채 꼴

일본의 부동산 시장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올해 3월 기준 일본의 부동산 대출 규모는 67조엔(771조원)으로 1980년대 후반 자산 버블 당시보다 큰 수치를 나타낸 반면, 저출산 고령화로 인해 부동산 수요를 뒷 받침해 줄 인구는 점점 줄어들어 超공급과잉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일본의 다이와 부동산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도쿄 상업용 부동산가격은 11% 뛰어올랐다. 마이너스 금리로 인해 투자자들이 채권보다는 부동산 투자에 몰리면서 가격 급등세가 연출된 것으로 보인다. 도쿄 중심부 상업용 부동산의 지난 1분기 평균 기대 수익률은 3.7%를 기록해 지난 2007년 중반 이후 최고치를 나타냈다. 현재 20년 국채 수익률이 0.08%인 것과 비교해 무려 46배나 높은 수치이다. 

부동산 대출 증가와 가격 급등은 최근 일고 있는 아파트(맨션) 건축 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아파트 건축붐은 통계로도 확인된다. 5월 중 신축주택 착공 증가율은 일반 주택이 전년 대비 4.3%인데 비해 아파트 등 임대용 건물 신축 증가율은 15%에 달했다.


아파트 등 임대용 건물 신축이 증가한 이유는 크게 두가지다.

첫째는 단카이(베이비붐) 세대의 상속 대책이다. 작년 1월에 시행된 세법개정으로 상속세 비과세 한도인 기초공제가 낮아진 데다 세율도 달라졌다. 상속세법상 현금 자산을 물려주는 것보다 부동산을 물려줄 경우 평가액이 낮아진다. 임대용으로 신고하면 평가액이 더 낮아진다. 자식에게 재산을 물려주려는 사람들이 절세대책으로 아파트 신축에 나서는 이유다.

두번째로 일본은행의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꼽을 수 있다. 이자수입이 줄어든 은행들이 아파트 대출에서 활로를 찾고 있기 때문이다. 세금을 적게 내려는 개인과 대출을 늘리려는 은행 측의 이해가 맞아떨어진 것이다.

문제는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해 빈집이 늘고 있는 상황에서 아파트 신축 증가가 적정 수준에서 이뤄지고 있느냐다. 

대다수의 일본 부동산 전문가들은 2020년 도쿄 올림픽 이후 '빈집' 문제가 커다란 사회문제가 될 것이라고 예견하고 있다. 실제로 일본 총무성이 5년마다 발표하는 '주택·토지통계조사'에 따르면 일본 전국의 빈집수는 2013년 현재 820만호로 일본내 주택 총 6063만호 대비 13.5%에 달한다.

노무라 종합 연구소는 특히 지방지역의 고령화와 인구감소로 인해 2018년 일본의 빈집수는 1000만호를 넘어설 전망이며, 2023년에는 1396만호로 빈집비율이 21.0%에 달해 5채 중 1채꼴로 빈집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실제로 도쿄는 빈집비율이 10.9%로 전국 평균을 밑돌지만 빈집수는 일본내 1위인 약 81만7000호에 달한다. 다음은 오오사카로 67만9000호, 빈집비율은 전국평균을 크게 웃도는 14.8%다. 카나가와현은 48만7000호, 치바현과 사이타마현은 35만호 이상이 빈집으로 현재도 심각한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상황이 이런데도 불구하고 상속·증여세 등 세금 회피를 위한 아파트 등의 임대 주택의 신축은 끊이질 않고 이어지고 있다.

여기에는 앞서 언급한대로 마이너스 금리로 인해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은행들의 대출 경쟁, 게다가 도쿄 올림픽에 따른 개발 기대감과 아베노믹스로 대변되는 풍부한 정책자금도 부동산 과열을 부추기는데 일조하고 있다. 

하지만, 2020년 도쿄올림픽을 전후로 투자자금이 억제되고 금리 인상이 가시화되면 부동산 시장은 급격히 얼어 붙을 수 있다. 게다가 일본 전국적으로 800만명이 넘는 단카이세대가 70세를 맞이해 의료기관이나 노인시설의 입주가 본격화되면 이들이 거주하던 도쿄, 오사카 등지의 교외는 빈집비율이 30%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로 인한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월 관리비 체납은 슬럼화를 부추기고, 지방 재정의 악화를 초래해 도시 자체가 슬럼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50년전 도쿄올림픽 직후에도 일본의 부동산 경기가 불황을 맞이한 적이 있었지만, 당시의 잠재성장률은 10%로 점차 활력을 찾기에는 무리가 없었다. 하지만, 현재는 그때와는 비교도 할 수 없을 만큼 대내외적 환경이 열악한 상황이다. 

미쓰비시UFJ은행이 자체조사한 인구동태와 신축주택 수를 토대로 장기 적정수요를 계산한 결과, 현재의 아파트 등 임대주택 건축붐은 거품경제기나 2008년 리먼 브러더스 사태 전과 비슷한 상태로 평가됐다. 한마디로 공급과잉이라는 것이다. 

30년전 부동산 버플 붕괴의 그림자가 저출산·고령화의 탈을 쓰고 다시한번 일본 부동산에 짙은 먹구름을 드리우고 있다.

김성규 기자 pressm123@naver.com

<저작권자 © 프레스맨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AD #삼성선물 #해외선물모투대회 #총상금 #2250만원 운영자 24/06/18 - -
AD LS증권 해외선물 수수료 $2.49 할인 이벤트 운영자 24/01/01 - -
1280526 내 감인데 이건 [10] 압구원주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29 349 0
1280525 이유없이 싫은 갤러 3명 있는데 [11] A.Baby(223.33) 16.07.29 621 17
1280523 현재상환에서 재테크는 한화현금보유와 부동산이 답?? [1] ㅇㅇ(223.62) 16.07.29 167 0
1280522 힐스테이트 VS 중흥S클래스 [2] ㅇㅇ(112.187) 16.07.29 184 0
1280521 진지하게 지금 30대 백수들 어케 되냐? [1] ㅁㅁ(221.141) 16.07.29 178 2
1280520 암튼 환율 관련해서는 양념반후라이드반 전략을 쓰시는게 좋습니다 [4] 花老堂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29 344 0
1280519 나 25인데 [1] 무조건우상향(218.39) 16.07.29 83 0
1280518 가을에 환율 쩜 더 떨어지면 좋겠다 검은머리미국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29 109 0
1280516 2억오천 대출받아서 주식살건데 행운을 빌어줘라 [4] 김관진(223.62) 16.07.29 244 0
1280514 푸하핫 제말듣고 투매하신분들 많은가보네요 ㅋㅋㅋㅋㅋ [2] 문외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29 229 1
1280512 무뇌충아 올해 환율 폭등하고 미국 금리 인상하고 대한민국 집값 반토막 [9] (116.39) 16.07.29 655 19
1280511 꽃형 파운드 매수 어때?? [1] ㅇㅇ(223.62) 16.07.29 92 0
1280510 진지하겤ㅋㅋㅋㅋ [5] 花老堂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29 732 22
1280509 미니어쳐 장인 ㅇㅇ(14.43) 16.07.29 137 2
1280508 참사에 대한 우덜 86이들 데모꾼들의 이중성 [6] ㅇㅇ(108.59) 16.07.29 548 39
1280506 일본이 돈푼다고하는데 ㅇㅇㅇ(110.12) 16.07.29 93 0
1280505 직원들 차명계좌나 늘어날듯 ㅁㅁ(221.141) 16.07.29 66 0
1280503 ㅎ 근데 20까지 어케가지 [1] 압구원주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29 80 0
1280502 나이 32 아파트한채 보유했는데 해외여행 허락해주시겠습니까?? [4] 김관진(223.62) 16.07.29 167 0
1280501 환율과 집값은 반비례 한다던 무뇌충은 어찌 되었나요? [1] ㅇ로(116.39) 16.07.29 182 3
1280500 에라이 어떻게 13에서 발전이없냐 [2] 압구원주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29 129 0
1280498 영어 늘어라고 미국 보내면 말입니다 ㅇㅇ(223.62) 16.07.29 138 0
1280496 cnn student news 이것만 자주 들어도 실력 향상됨? [4] ㅇㅇ(121.188) 16.07.29 168 0
1280495 서울시장 국토부 간부들과 잠실의 관계 [2] ㅈㄴ(223.62) 16.07.29 245 7
1280494 대리석 바닥 장단점 [9] ㅇㅇ(14.52) 16.07.29 1472 0
1280493 아리팍 34평 분양권 20억넘었지? 00(116.121) 16.07.29 180 0
1280491 개병신같은 법 [7] Rommel.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29 196 0
1280488 부동액 사건 진짜에요?? 사람 마시는 음료에 부동액을 타다니.. [2] ㅁㅁ(49.167) 16.07.29 184 4
1280486 서울이 홍콩보다 아래라는건 뭔개지랄이냐? [13] 로이스초콜렛먹는로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29 270 2
1280485 개포3단지 4170에 분양하기로함 [6] lol(211.229) 16.07.29 437 0
1280483 영어 존나 잘하고 싶다 어떻게 하면 만랩찍을까 [9] ㅇㅇ(103.254) 16.07.29 211 1
1280482 요즘 집에 모노륨 깔고 사시는 분 계십니까? [9] 花老堂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29 451 5
1280480 전국 깡통 아파트가 많은 지역 1순위 분당 [4] ㅇㅇ(175.223) 16.07.29 354 3
1280479 실거주 아파트 매수문의(방배,잠실,서초) [6] ㅋㅋㅋㅋ(14.52) 16.07.29 760 0
1280478 서울과 도쿄에 산다면 돈 모으기는 서울이 더 낫지 않나? [10] ㅇㅇ(210.117) 16.07.29 317 2
1280477 어케 병원비를 법카쓰지,, [2] 일광선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29 162 0
1280476 꼰노땅 선생은 싫어할 수가 없다 이기.....허허 [2] 가가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29 147 2
1280475 회사 돈으로 살림 살이를 하는게 기본이린다 부갤 어린이들아 [4] ㅇㅇㅇ(223.62) 16.07.29 170 0
1280474 부갤에서 쫓아내야할 동네 [8] ㅇㅇ(223.62) 16.07.29 451 5
1280473 송파강동권 물딸충들의 진실 [2] 명일동오디터(223.62) 16.07.29 380 1
1280472 국제 도시 송도 외국인비율? [6] ㅇㅇㅇㅇ(211.36) 16.07.29 262 2
1280471 부갤에서 가장 저평가가 심한 한명 [5] ㅇㅇ(59.5) 16.07.29 189 3
1280469 이 아팟 어딘지 아는 사람 [5] ㅇㅇ(223.62) 16.07.29 302 0
1280467 회사 돈으로 집 장보고 살림사림 하는 사람 태반임 [3] ㅇㅇㅇ(223.62) 16.07.29 309 0
1280465 여행간다고 달라로 환전했는데 ㅇㅇ(58.148) 16.07.29 63 0
1280464 원달러 환율 1120원도 깨졌다 [1] ㅁㅁ(128.199) 16.07.29 185 0
1280463 그리고 생활수준으로 보면 한국은 이미 세계 최상위권이죸ㅋ [2] 花老堂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29 288 3
1280462 부개러들 말은 그냥 재미로 봐도 되는 이유 (마포) [3] ㅇㅇ(223.62) 16.07.29 219 2
1280461 오너 일가가 회사돈으로 돈 써서 망할정도면 오너가 문제 [1] ㅇㅇㅇ(223.62) 16.07.29 83 0
1280460 오너일가가 비용처리 신나게하고 회삿돈 신나게 쓰면 [6] 검은머리미국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29 222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