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야 위례학교 좇됐다 ㅋㅋㅋㅋㅂㄷㅂㄷㅂㄷㅂㄷ모바일에서 작성

ㅇㅈ(61.254) 2016.03.01 14:33:31
조회 829 추천 0 댓글 0


행정 통합 못한 위례신도시…`학군 대란`에 집값 술렁
본문듣기


기사입력 2016.02.26 오전 5:11
최종수정 2016.02.26 오전 10:12
11
6
SNS 보내기
가-가+

위례, ‘서울 송파·경기 성남·하남’ 3개 권역으로 나눠져

하남 5000가구에 학교 4곳뿐…권역 내 학교만 입학 가능

전용 96㎡형 송파권과 1억差, ‘학군 대란’에 집값 악영향

[이데일리 양희동 박태진 기자] “올해 7살인 손자가 내년이면 초등학교에 입학하는데 다닐 수 있는 학교가 하나밖에 없다니 걱정입니다. 이곳 위례는 내년이면 입주가 거의 끝나는데 학생들이 한꺼번에 몰려 정원을 넘기라도 하면 어디로 보내야 할지….”

위례신도시 ‘에코앤 롯데캐슬’ 아파트(1673가구)에 지난 13일 입주한 최모(72)씨는 함께 사는 어린 손자의 초등학교 입학 문제로 걱정이 많다. 이사온 단지 근처에 새로 문을 열거나 운영 중인 초등학교가 7개나 되지만, 행정구역상 손자가 다닐 수 있는 학교는 하남권역의 단 1곳 뿐이기 때문이다. 입주가 마무리된 후 학생 수용 인원이 초과하기라도 하면, 멀리 떨어진 하남 시내까지 통학을 해야할 수도 있어 최씨 가족의 근심은 커지고 있다.



원본보기◇같은 신도시인데도 타 권역 학교 못 다녀

지난해 가을부터 속속 입주가 이뤄지고 있는 위례신도시는 행정구역상 △서울 송파구 △경기 성남시 △하남시 등 3개 권역으로 나눠져 있다. 위례라는 하나의 이름으로 불리지만 행정통합이 이뤄지지 않아 입주민 자녀는 각자 자신의 단지가 속한 권역의 초·중·고교만 다닐 수 있다. 이런 태생적 한계 탓에 송파·성남에 비해 학교 수가 절반 수준인 하남권역은 입주가 본격화하면서 ‘학군 대란’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25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내년 4월까지 입주하는 위례신도시 하남권역 아파트는 5개 단지, 총 4982가구다. 입주 물량이 성남권역(8670가구)보다는 적지만 송파권역(5584가구)과 비슷한 수준으로 전체 입주민은 1만명을 훌쩍 넘을 전망이다.

문제는 하남권역에 신설될 학교 수가 다른 권역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데다 행정구역이 달라 다른 권역의 학교는 입학할 수도 없다는 점이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위례사업본부와 서울·경기교육청 등의 학교 신설 및 운영 계획을 보면 위례신도시에는 초등학교 10곳과 중학교 5곳, 고등학교 4곳 등 총 19개 학교가 새로 들어선다. 이 중 하남권역에서 문을 여는 학교는 초등학교 2곳(위례·위례1초)과 중학교 1곳(위례중), 고등학교 1곳(학암고) 등 4곳에 불과하다. 초등학교 4곳과 중학교 2곳, 고등학교 1곳 등 7개 학교가 들어서는 송파권역이나 초등학교 4곳, 중학교 2곳, 고등학교 2곳(특목고 1곳 포함) 등 8개 학교가 문을 여는 성남권역의 절반에 불과하다.

더욱이 하남권역 초등학교 2곳 중 신도시 북쪽에 들어설 1곳(위례1초)의 경우 군부대 이전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정확한 개교 시기조차 알 수 없다. 현재 유일한 초등학교인 위례초는 입주가 끝나지 않았다는 이유로 올해 학년당 1개 반(34명)씩만 배정, 입학 가능 인원이 204명에 불과한 실정이다. 지난해 말 입주한 엠코타운 플로리체에 살고 있는 이모(40)씨는 “아홉살 딸이 곧 위례초 2학년으로 전학 가야하는데 학급이 이렇게 적은지 몰랐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정원 초과 땐 구도심까지 통학해야…“향후 집값에도 부정적”

위례신도시의 학군 문제는 향후 집값에도 영향을 줄 것이란 분석이 많다. 위례는 2006년 개발 계획 수립 단계부터 행정구역 통합을 추진했지만 각 지자체 간 이해관계가 얽히면서 2012년 10월 통합 논의가 최종 무산됐다. 이 때문에 하남권역의 경우 신설 학교 수용인원을 초과하면 바로 옆에 있는 송파나 성남권역 학교를 가지 못하고 8~10㎞나 떨어진 하남 시내까지 통학을 해야 한다. 특히 하남권역은 골프장과 산 등으로 둘러싸인 고립된 입지 탓에 하남시내로 이동할 대중교통도 마땅찮다. 송파·성남과 달리 하남이 고교 비평준화 지역인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상대적으로 열악한 학군 조건에도 불구하고 하남권역에 공급된 아파트의 분양가는 3.3㎡당 1700만~1800만원 선으로 송파나 성남권역과 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앞으로 입주에 따른 학군 문제가 전면에 부상하면 집값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실제 국토교통부의 분양권 실거래가 자료를 보면 올해 1월 송파권역인 ‘송파와이즈더샵’ 전용 96.28㎡짜리 아파트는 7억 9650만원, 전용 96.76㎡형은 8억 2345만원에 팔렸다. 그러나 바로 옆 단지인 하남권역 ‘엠코타운 센트로엘’ 전용 95.43㎡짜리 아파트는 7억 2000만~7억 6000만원에 거래됐다. 비슷한 면적인데도 최고 1억원 가량 차이가 나는 것이다. 유사한 문제를 안고 있는 서울 양천구 목동지구의 경우에도 목동에 속한 1~7단지와 신정동에 자리한 8~13단지는 같은 주택형의 평균 시세가 1억원 가까이 벌어진다. 또 SH공사가 2009년 하반기 서울 노원구 상계동과 경기 의정부시 장암동에 걸쳐 지은 ‘수락리버시티’아파트 역시 노원에 들어선 3~4단지가 의정부에 속한 1~2단지보다 10%가량 비싸다.

하남권역은 학군 문제로 인해 향후 집값이 저평가될 수 있다는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이남수 신한금융투자 부동산 연구위원은 “위례신도시는 지금도 권역별로 매매가는 물론 전셋값까지 차이가 벌어지고 있다”며 “집값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인 학군 문제가 표면화하면 가격 차는 더 벌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AD #삼성선물 #해외선물모투대회 #총상금 #2250만원 운영자 24/06/18 - -
AD LS증권 해외선물 수수료 $2.49 할인 이벤트 운영자 24/01/01 - -
1278075 강서구 화곡동에서 살기 vs 송도에서 살기 [6] 잠실(121.125) 16.07.26 287 0
1278074 위신선 담당공무원 피난갔다 ㅎㅎㅎ ㅇㅇ(223.33) 16.07.26 248 0
1278071 100억이면 서민이죠 ㅇㅇ(175.223) 16.07.26 66 1
1278070 바카선의 차별 [22] Rommel.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26 812 12
1278069 100억부터 서민이라더니 진짠가보다 ㅇㅇ(175.223) 16.07.26 98 1
1278068 재산 15억있는데 겜창이면 엠창인생이냐? ㅇㅇ(61.247) 16.07.26 81 0
1278066 자지 외모 말빨 딸리는데 돈과 학벌로 여자랑 결혼하면 [3] ㅇㅇ(14.39) 16.07.26 225 0
1278065 결혼 신중히 해야 하는 이유 ㅇㅇ(112.220) 16.07.26 188 0
1278064 그런생각없었는데 오늘 바카선 [4] (110.10) 16.07.26 174 1
1278063 신기록 수립 [16] A.Baby(223.62) 16.07.26 487 0
1278062 자지 외모 말빨로는 돈과 학벌이 커버되지만 [4] ㅇㅇ(14.39) 16.07.26 215 0
1278061 청담 토지 졸라 고민된다 [8] sdf(223.38) 16.07.26 332 0
1278060 땅, 건물 가진 사람이 없는 사람의 주인님이다. [2] Angewandte(211.192) 16.07.26 261 4
1278058 외벽으로 아파트 브랜드 맞추기 [6] ㅇㅇ(222.109) 16.07.26 393 0
1278056 나중에 건물 관리 같은거 하고싶은 애들은 봐라. [6] 더힐.(14.32) 16.07.26 697 2
1278055 인논은 송도 아파트 언급이 일절도 없네 [13] ㅇㅇ(39.7) 16.07.26 221 0
1278054 될놈같으면 이미 30전에 됩니다 [1] ㅇㅇ(175.223) 16.07.26 154 0
1278053 휴가 어디로들 가세요? [3] LowRid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26 134 0
1278052 남자는 곧츄가 전부가 아니다. [2] (223.33) 16.07.26 295 0
1278051 50,60대가 기회가 많았을 수 있겠지. 대한민국 천지개벽하는 시대였으니 [11] 자본잉여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26 838 26
1278050 남자가 갖추어야 할 조건 순위다. [6] ㅇㅇ(14.39) 16.07.26 373 3
1278049 강서구 화곡동 아시는분 [6] 잠실(121.125) 16.07.26 375 0
1278048 고양 향동지구 괜찮음? [2] 석개히어로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26 338 0
1278047 패키지 여행 비싼거 가면 kt2010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26 122 0
1278046 횽이 너희들과 다른이유는 [2] 주걸륜(175.208) 16.07.26 137 0
1278045 그냥 감정소모의 대상이 필요한거임 [5] ㄴr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26 498 13
1278044 꼰노님 남역이를 상류층으로 보지 않는 이유가 먼가요? [5] ㅇㅇ(14.39) 16.07.26 207 0
1278043 눈빛이 점점 깊이를 더해가고,이정재 눈빛을 닮아가는데 [1] ㅇㅇ(175.223) 16.07.26 183 0
1278041 위례 지금 이시점에서 먹을거리 [2] 황제(211.36) 16.07.26 454 0
1278040 다들 각자 자기 시츄에이션 합리화 하지만 [1] 검은머리미국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26 131 0
1278039 알파리움같은경우도 대학교 나왔지만서도 [13] ㅇㅇ(223.62) 16.07.26 251 2
1278038 [주념] MBC 스페셜 헬지옥 저성장시대 생존하기.jpg [13] 무적반수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26 1242 26
1278037 외국엔 뭐 수저가 없는 줄 아나 [1] ㅇㅇ(221.138) 16.07.26 91 1
1278035 그냥 다 겪어보지않았으면 짜부러지면 될문제 [4] Rommel.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26 240 7
1278034 난 다 갖춘듯한데 ㅇㅇ(175.223) 16.07.26 47 0
1278033 갭투자의 문제점은 kt2010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26 218 1
1278032 청담동 이 지역 향후 토지가격 예측 좀 해봐봐 [6] sdf(223.38) 16.07.26 296 0
1278031 부동산학 개론 강사 추천좀 해봐 [2] 오야(39.119) 16.07.26 238 0
1278030 세상에 안 중요한게 없음 [2] 검은머리미국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26 193 3
1278029 이민을 가더라도 [5] A.Baby(211.60) 16.07.26 183 0
1278028 근데 부갤에 송도 정도 아파트도 못사는 허언증 거지들이 90% 이상 [2] ㅇㅇ(39.7) 16.07.26 128 4
1278026 금은동수저 재산이 많고 적음을 떠나서 부모님이 교통정리 해주셨는지 [3] ㅇㅇ(175.223) 16.07.26 322 0
1278025 부갤출신 남역이하고 몇몇만 봐도 [3] ㅇㅇ(223.62) 16.07.26 148 0
1278024 비빔냉면 많이 먹더니 검은머리미국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26 113 0
1278022 그냥 외국처럼 하는게 맞는 부분 같습니다만ㅋㅋㅋ [12] 花老堂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26 448 6
1278021 나 이거 알아봐야 되는데 ㄴr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26 59 0
1278020 아직도 부모능력, 50대 10억 같은 글 싸지르는겨? [4] 더힐.(14.32) 16.07.26 221 0
1278019 대지 200평에 건물 올리면 [1] 89090(1.250) 16.07.26 147 0
1278018 남역이 미국 에모리 대학 나왔다 [2] 애널리스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26 230 0
1278017 5060들이 자식 없었으면 부자되었을거라고 타령하는데 ㅇㅇㅇ(218.53) 16.07.26 105 4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