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금융위기 데자뷰

ㅇㅇ(59.15) 2016.02.11 17:26:22
조회 288 추천 0 댓글 0

[내일의전략] 금융위기 데자뷰머니투데이 | 김유경 기자 | 2016.02.11 17:02
<iframe src="http://display.ad.daum.net/imp?slotid=00872" width="250" height="250" border="0" frameborder="0" scrolling="no" marginheight="0" marginwidth="0" id="AMS_250exp" name="AMS_250exp" charset="euc-kr" async="" defer=""></iframe>

[머니투데이 김유경 기자] 설 연휴 이후 첫날 국내증시는 쇼크에 빠졌다. 그동안 글로벌 증시를 급락시켰던 악재들이 국내 증시에도 한꺼번에 덮치면서 코스피지수는 장중 3%이상 빠졌고 코스닥지수는 5% 가까이 폭락했다. 증권가는 금융위기를 떠올리고 있다.

그동안 국내증시는 중국 또는 국제유가에 일희일비했지만 설연휴 동안 글로벌 리스크는 미국과 유로존 등으로 확대된 양상이다. 투자심리는 꽁꽁 얼어붙었다.

코스피 지수는 11일 전거래일대비 56.25포인트(2.93%) 내린 1861.54로, 코스닥지수는 33.62포인트(4.93%) 내린 647.69로 장을 마쳤다.

외국인은 현선물 시장에서 동시 순매도에 나섰다. 특히 옵션만기를 맞아 외국인의 대량 선물매도가 하락 압력을 가하면서 코스피지수는 장중 1860선도 뚫렸다.

위험자산 회피 심리로 원/달러 환율은 서울 외환시장에서 5.1원(0.43%) 오른 1202.50원을 기록했다. 장초반 6원 넘게 내렸던 것을 감안하면 이날 환율 변동폭은 15원 이상 차이 났다.

설 연휴동안 글로벌증시를 급락시켰던 요인은 크게 두가지로 정리된다. 중국경제 성장 둔화에 따른 세계경제 성장세 둔화 우려와 공급 과잉 지속에 따른 국제유가 급락세의 재개가 첫번째다. 이는 그동안 글로벌 증시를 흔들었던 리스크다.

여기에 각국의 불안요인이 추가되며 글로벌 리스크가 확대됐다. 뉴욕 및 유로존 주식시장은 장기 국채금리 하락에 따른 금융주의 낙폭이 컸다. 일본은 마이너스 금리 정책에도 엔고의 직격탄을 맞으며 급락했다. 우리나라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따른 지정학적 우려가 커졌다.

특히 유로존 은행주의 급락은 과거 금융위기의 사전적 신호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는 게 증권가의 분석이다.

한요섭 KDB대우증권 투자전략팀장은 "부동산과 무관하게 나타난 은행주의 급락은 과거 금융위기의 사전적 신호 역할을 했었다"며 "설연휴 동안 유로존에서 나타난 은행주의 폭락은 우려스러운 신호로 읽힌다"고 말했다.

지난 8일(현지시간) 독일 최대 은행인 도이치뱅크는 2008년 이후 최대인 68억달러 규모의 순손실을 기록하며 조건부 후순위 전환사채(코코본드)의 이자를 지급하지 못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주가가 9.5% 급락했다.

아울러 BNP파리바와 ING산탄데르, 바클레이즈 등이 일제히 5% 넘게 빠졌고 이에 영향을 받은 유럽 증시는 지난 4일부터 9일까지 6% 넘게 하락했다. 미국 뉴욕 증시에서도 은행주들은 부진한 흐름을 보였다.

미국경기 침체 가능성 우려도 깊어졌다. 자닛 옐렌 미 연준의장은 10일 금융환경의 긴축 및 중국경제의 성장에 대한 불확실성, 신용위험에 대한 글로벌 재평가 등으로 인해 미국경제가 견조한 성장 경로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여기에 주가 하락세와 미 달러화 강세가 지속될 경우 미국의 경제활동과 고용시장에도 부담이 될 것임을 강조했다.

세계 각국이 내놓는 정책적인 효과도 기대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그동안 양적완화정책은 실물경제 효과를 이끌어내는데 실패했다. 일본이 마이너스 금리를 선언했지만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강화되면서 엔화는 강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이 3월 금리를 동결한다고 해도 긍정적인 효과는 반감 될 것이라는 게 증권 전문가의 전망이다.

한 팀장은 "글로벌 증시나 환율 등에서 나타나는 하루 변동폭은 그동안 보지 못했던 수준"이라며 "증시 하락세가 이어질 경우 추가 급락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으로 리스크 관리에 나서야 할 때"라고 말했다.

김유경 기자 yunew@mt.co.kr

부갤병신들아.........이제라도 정신 차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AD #삼성선물 #해외선물모투대회 #총상금 #2250만원 운영자 24/06/18 - -
AD LS증권 해외선물 수수료 $2.49 할인 이벤트 운영자 24/01/01 - -
1267476 송파위례와 학군공유 송파지역 전경 [16] 학군애정남(223.62) 16.07.15 975 6
1267473 그리고 한류스타 성매매혐의는 말이다. 논리실증주의(67.245) 16.07.15 114 0
1267472 송도가 강남을 뛰어넘을 수 있는 두가지 방법 [6] 0000(42.119) 16.07.15 225 0
1267469 중앙미디어네트워크 상암신사옥 10월 착공예정 아오마메(1.210) 16.07.15 264 8
1267468 대형마트도 동네마다 물가 다름 [1] ㅇㅇ(211.177) 16.07.15 146 0
1267466 석수 관악쪽 새 아파트 가격 별로 안올랐네 ㄹㅇ;; [3] ㅇㅇ(110.13) 16.07.15 297 0
1267465 상암 MBC 제3신사옥 착공! [13] 아오마메(1.210) 16.07.15 967 13
1267464 최근 sbs 스페셜중에 다이어트 종말이라고.. ㅂㅂ(221.141) 16.07.15 146 0
1267463 석수역쪽 괜찮다 [3] ㅇㅇ(39.7) 16.07.15 353 2
1267462 강남이 짱이라며 [2] 135(211.208) 16.07.15 283 0
1267461 다들 역전세난 준비들 하셔 [1] ㅇㅇ(119.196) 16.07.15 312 2
1267460 잠실 장미는 전세 잘나가는데? [21] ㅇㅇ(223.62) 16.07.15 763 13
1267459 삼성이 아무 이유없이 강북에 있던 금융본사를 강남으로 내렸겠냐.. [16] ㅇㅇ(222.236) 16.07.15 764 3
1267458 분당 신분당선 라인 개올랐는데 [1] ㅇㄱㅇㄱ(116.34) 16.07.15 224 0
1267455 동부이촌동이 물가가 비싸다는건 선입견임 [8] ㅇㅇ(59.5) 16.07.15 621 1
1267454 미군 한강이북 포기에는 무슨 뜻이 내포되어 있는거냐? [1] ㅇㅇ(14.35) 16.07.15 196 1
1267452 반자사태 결과가 어찌될지 궁금하네 실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15 154 0
1267451 도원삼성은 지금 들어가면 늦은건가요 [4] 고민남(1.53) 16.07.15 228 0
1267450 결국 미군도 한강이북지역 방어는 포기하고 내려가네.. ㅇㅇ(222.236) 16.07.15 207 2
1267449 일산,평촌,분당,용인 등에 대해 말해보자면 [4] ㅇㅇ(14.35) 16.07.15 484 0
1267448 강북 속의 강남 - 동부이촌동 [13] 135(211.208) 16.07.15 650 0
1267447 용산 얘기 그만해라 [3] 잠실씽크빅(202.128) 16.07.15 257 1
1267446 마천루 횽과 송빠 횽들과 송도에 대해서 토론하고 싶다 [31] ㅇㅇ(119.197) 16.07.15 350 1
1267445 [팩트] 똥강북 용산구 민도는 송도보다 낮다 ㅇㅇ(175.223) 16.07.15 81 1
1267444 썩다리 동네 매수하려면 그나마 대형평수가 낫나? [4] ㅇㅇ(223.62) 16.07.15 193 0
1267443 강남3구 쏠임현상 잣될거같다 [3] ㅇㅇ(223.62) 16.07.15 587 4
1267442 송도가 무서운 점 중의 하나는 국내최대 상권이 될 걸로 예정됐다는 점임 [12] Π마천루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15 648 8
1267441 성주 군민들 한푼이라도 더뜯어내려고 이더운날 [2] 김관진(223.62) 16.07.15 96 3
1267440 나 용산 사구 싶은데 어디사야됨? [4] ㅇㅇ(211.177) 16.07.15 263 0
1267439 용산은 집창촌 철거된지도 얼마안됐고 ㅇㅇ(175.223) 16.07.15 151 1
1267438 바카선과 용산 [5] A.Baby(223.62) 16.07.15 175 1
1267437 태왕사용자횽 송파비행소음관련 문의좀 [9] ㅇㅇ(14.39) 16.07.15 116 0
1267435 똥강북은 송도(221.149) 16.07.15 47 0
1267433 서초 등기치러 가요~~~ (223.62) 16.07.15 183 2
1267432 근데 용산 가보면 진짜 질떨어지기는 함 [2] ㅇㅇ(14.35) 16.07.15 221 2
1267430 경제활성화 하는 방법은 의외로 정말 단순하다 ㅇㅇ(211.241) 16.07.15 69 1
1267429 안전한 투자야 [2] ㅇㅅ(1.53) 16.07.15 123 0
1267428 용산역 광장 가보면 좀 질 떨어짐 135(211.208) 16.07.15 97 1
1267427 그나저나 너네 답십리쪽은 관심 없냐? [7] ㅇㅇ(14.35) 16.07.15 410 0
1267426 도원삼성은 매물이 진짜 씨가 말랐네.. [4] ㅇㅅ(1.53) 16.07.15 209 0
1267425 2억6천짜리 월세 평가좀 [2] dr(211.246) 16.07.15 93 0
1267424 아x팍 보니까 반포놈들 진짜 너무한거같다 ㅇㅇ(59.5) 16.07.15 194 3
1267423 올선 올훼 헬리오 위례쪽은 비행기소음 엄청나겠네. [5] ㅇㅇ(14.39) 16.07.15 868 0
1267422 용산은 입지만 좋으면 뭐해? [14] ㅇㅇ(175.223) 16.07.15 539 3
1267421 송도 > 용산 [2] ㅋㅋㅋ(31.194) 16.07.15 95 2
1267420 학창시절 통학을 너무 힘들게 해서 135(211.208) 16.07.15 47 0
1267419 대지지분도 없는데 이 지랄들이면 [2] ㅇㅇ(121.165) 16.07.15 251 1
1267418 판교 vs 송파구 [5] ㅇㅇㅇ(116.34) 16.07.15 226 0
1267417 용산이 한 50년 후에는 대한민국 탑 먹을게 확실해 보이는데 [1] ㅇㅇ(14.35) 16.07.15 192 0
1267416 오피스텔은 가격 떨어지나요? 아파트처럼 오르지않고? ㅎㅎ(223.62) 16.07.15 121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