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어떤 직업끼리 결혼 가장 많이 하나? 교사는 교사. 의사는 약사.모바일에서 작성

ㅇㅇ(211.36) 2016.01.31 12:07:10
조회 260 추천 2 댓글 0

어떤 직업끼리 결혼 가장 많이 하나? 교사는 교사. 의사는 약사.  
  
  
  
[Why?] 교사는 교사, 의사는 약사와 잘 맺어지더라


< language= src="http://img-media.hanmail.net/_ams/media2/03I05_new.js" type=text/>
  


# 어떤 직업끼리 결혼 많이 하나
‘WHY?’는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기혼 남녀들의 직업을 분석해, 과연 어느 직업끼리 결혼을 많이 하고 있는지 결혼부부간 직업 매칭도를 따져보았다. 또 양가 집안의 재산 규모와 결혼이 상관 관계가 있는지도 조사했다. 이번 조사는 ㈜좋은만남선우의 협조를 받아 이 회사를 통해 결혼한 부부 4208쌍, 8416명의 남녀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결혼정보회사에 가입한 회원들을 전체 모집단으로 두고, 결혼에서의 직업 궁합을 알아보았다.

# 이런 배우자를 원해요



신모(30·여)씨는 의사 신랑감을 찾고 있다.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현재 종합병원 레지던트 3년차 과정인 신씨는 의사 남편이 아니면 힘들고 고달픈 여의사 생활을 이해해주지 못할 거라고 생각한다. 신씨는 “연봉 역시 보통의 직장인들보다 내가 2배 가량 많은데 어느 정도 수입이 비슷한 의사 남편이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 교사-女교사 41.8%… 전문직은 전문직 배우자와
서울 A고등학교 박모(37) 교사는 배우자로 교사를 원했고, 바람대로 여교사와 결혼했다. 임씨는 “교사란 직업이 방학 때 집에서 쉬면서 함께 아이도 키울 수 있다고 생각했다”며 “하지만 실제로 교사 아내와 살아보니 방학에도 서로 보충수업과 각종 연수, 자율학습 감독 방학때 시간이 많은 것만은 아니었다”고 말했다. 부인 김모(36)씨는 “같은 직업을 가지고 살다 보면 서로 마음도 잘 통할 거라고 생각했다”며 “하지만 학생들에게 시달려 매일같이 서로 녹초가 되어 귀가하는 경우가 많아 서로 기대고 싶은 마음만 커지는 것 같다”고 말했다.


결혼정보회사 ㈜좋은만남선우를 통해 2001년에서 2007년 사이 결혼한 부부 4208쌍을 조사해본 결과, 남성 전체 가운데 남자 교사와 여교사의 결혼 비중이 가장 높았다.

직업을 총 12개 직군(관리직, 전문직, 고급일반직, 공무원, 교사, 대·공기업사무직, 대·공기업기술직, 중소기업사무직, 중소기업기술직, 영업직, 일반직, 무직)으로 나눠 이들 직업간 결혼 비율을 따졌을 때, ‘남교사-여교사’ 비중이 41.8%, ‘대·공기업기술직-여교사’ 37.0%, ‘관리직-여교사’ 36.1% 순으로 나타났다. 전문직이나 공무원 남성들의 경우, ‘전문직-전문직’ ‘공무원-공무원’처럼 같은 직종의 배우자를 원하기 때문에 여교사와 결혼하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한국결혼문화연구소 안강용 팀장은 “서로를 잘 이해하고, 쉽게 공감대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같은 직업, 특히 교사와 교사, 전문직과 전문직, 공무원과 공무원 간의 만남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말했다.


# 기술직 여성 3명중 2명은 사무직 남성 만나

반면 여성 전체를 놓고 볼 때, 기술직 여성이 사무직 남성을 찾는 비중이 가장 높게 집계됐다. 대·공기업기술직 여성들은 3명 중 2명(66.6%) 꼴로 사무직 남성과 결혼했으며, 전문직 남성과의 결혼은 12.5% 수준이었다. 하지만 기술직 여성이 동종 직업, 즉 기술직 남성과 결혼하는 비율은 현저히 낮았다. 대·공기업기술직 여성이 대·공기업기술직 남성을 만나 결혼하는 비율은 8.3%였으며, 중소기업기술직 남성과의 결혼은 4.2%에 불과해 같은 직업간 결혼을 꺼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문직 여성의 경우, 전문직 남성과 결혼하는 비율이 확연히 높았다. 전문직 여성들은 10명 중 6명 꼴(61.2%)로 전문직 남성을 만나 결혼을 했고, 대·공기업사무직 남성과 결혼한 전문직 여성은 8.5% 밖에 되지 않았다. 이외 중소기업사무직(4.7%), 고급일반직(3.9%), 교육직(3.1%), 대·공기업기술직(3.1%), 관리직(3.1%) 남성과의 결혼은 낮은 비율을 보였다. 전문직이 아닌 평범한 직업의 여성들은 사무직 남성과 결혼을 하고, 전문직 여성은 전문직 남성만을 찾는다는 뜻이다.
# 교수-女강사, 의사-女약사 결혼빈도 높아

그렇다면 전문직 간 만남에서는 세부적으로 어떤 직업 간 결혼이 가장 많을까? 총 146명의 전문직 여성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문의(13.7%), 일반의(11.6%), 한의사(7.5%), 금융직(4.1%), 박사급 연구원(4.1%) 남성 순으로 결혼한 것으로 집계됐다. 여성 전문직 중에서도 ‘대학교수(남)-대학강사(여)’ ‘전문의-약사’ ‘일반의사-약사’ ‘일반의-치과의사’ ‘일반의-일반의’의 결혼 빈도가 가장 높아 이들간 직업 궁합이 가장 잘 맞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전문직 안에서도 서로 비슷한 직업의 사람들끼리 만나 결혼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는 얘기다.

같은 의사 직업을 가진 배우자를 만나 2005년 결혼한 군의관 안모(34)씨는 지금까지 부인의 직업에 대해 대만족하며 살고 있다. 그는 “같은 계통의 사람을 만나 결혼해 보니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공통점이 있어 편하게 생활할 수 있다”며 “의학 지식 등 공통의 관심사를 교류하고 서로의 부족한 면을 채워줄 수 있어 좋다”고 말했다. 부인 임모(32)씨 역시 남편 직업에 대해 만족했다. 임씨는 “전문직종에 계신 분들이 대체적으로 프라이드도 강하고 고집 센 사람이 많아 배우자로 적합하지 않다는 선입견이 있었다”면서 “하지만 같은 계통의 사람을 만나 살아보니 직업적으로 통하는 부분도 많고, 실제 서로의 생활에서 공감대 또한 쉽게 형성돼 결혼 참 잘 했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하지만 특정 직업을 정해 놓고 이성을 만나는 일은 여러모로 어려운 일이다. 일반적으로 결혼정보회사를 통한 만남일지라도 특정 직업을 가진 이와의 미팅은 운이 좋아야 평균 5회에 1번 꼴로 마음에 드는 사람을 만날 수 있다. 또, 비용 역시 2배 이상 비싸다. 일반 소개 비용이 5회 주선에 100만원인데 반해 전문직 미팅은 최소 220만원으로 책정돼 있다.

사람 됨됨이를 제대로 살피지 않고 특정 직업을 고집하다 보면 낭패를 볼 가능성도 크다. 작년 가을 서울의 한 개인병원 원장인 김모(39)씨를 만나 3달 만에 초고속 결혼식을 올린 박모(31·여)씨는 올해 초 이혼서류에 도장을 찍었다. 의사면 평생 편하게 살 수 있다는 생각만으로 성격이나 나이 등 기타 다른 조건은 따지지 않았다. 대학 졸업 후 그간 근무했던 대기업 직장도 그만두고 결혼 준비에만 신경 썼다. 하지만 신혼 여행을 다녀온 후부터 바로 이혼을 결심했고, 끝내 4개월 만에 이혼을 강행했다.

박씨는 “의사면 무조건 괜찮다는 주변 사람들의 말과 고생하며 살기 싫은 마음으로 서둘러 결혼했다”면서 “신혼 여행 때부터 하나에서 열까지 서로 맞는 부분이 하나도 없었고, 내가 어리석었다는 생각이 들었을 때는 벌써 늦었다는 것을 알았다”고 말했다. 조건에만 매달려 배우자를 선택한 결혼 생활은 만족보단 실망이 많다는 게 박씨의 결론이었다.
# 가족재산 2억~4억원대 많아… 배우자도 비슷한 수준으로

직업과 함께 배우자 선택에서 가장 민감하게 고려되는 부분은 상대방 가족의 재산 규모다. 결혼정보회사 역시 신상 정보를 기록할 때 이 부분에 특히 신경 쓴다. 올해 초 미혼 남녀 6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 설문조사에서도 남녀 똑같이 배우자의‘경제력’(남 32.0%, 여 33.4%)을 결혼 조건 1위로 꼽았다.

이에 결혼 당시 가족 재산을 밝힌 기혼자 759쌍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대부분이 가족 재산이 서로 비슷한 사람들끼리 결혼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가족 재산이 ‘2억~4억원’이었던 151쌍의 경우, 여성 역시 ‘2억~4억원’이 26.5%로 가장 높았고, ‘1억~2억원’ 17.2%, ‘4억~6억원’ 15.9%였다. 남성 가족 재산이 ‘4억~6억원’이었던 부부 역시 여성 쪽 재산은 ‘4억~6억원’ 29.0%, ‘2억~4억원’ 22.5%, ‘6억~8억원’ 12.3% 순이었다.

지난해 12월 결혼한 대기업기술직 직장인 김모(33)씨는 “부모님과 내 재산이 5억원 정도인데 아내 집안 역시 그 정도 수준인 것으로 알고 결혼했다”며 “결혼할 때 비슷한 수준의 사람끼리 만나 비슷한 수입으로 비슷하게 살아가는 게 가장 공평하고, 서로 불편함도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어떤 직업끼리 결혼 가장 많이 하나? 교사는 교사. 의사는 약사.  
  
  
  
[Why?] 교사는 교사, 의사는 약사와 잘 맺어지더라


< language= src="http://img-media.hanmail.net/_ams/media2/03I05_new.js" type=text/>
  


# 어떤 직업끼리 결혼 많이 하나
‘WHY?’는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기혼 남녀들의 직업을 분석해, 과연 어느 직업끼리 결혼을 많이 하고 있는지 결혼부부간 직업 매칭도를 따져보았다. 또 양가 집안의 재산 규모와 결혼이 상관 관계가 있는지도 조사했다. 이번 조사는 ㈜좋은만남선우의 협조를 받아 이 회사를 통해 결혼한 부부 4208쌍, 8416명의 남녀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결혼정보회사에 가입한 회원들을 전체 모집단으로 두고, 결혼에서의 직업 궁합을 알아보았다.

# 이런 배우자를 원해요



신모(30·여)씨는 의사 신랑감을 찾고 있다.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현재 종합병원 레지던트 3년차 과정인 신씨는 의사 남편이 아니면 힘들고 고달픈 여의사 생활을 이해해주지 못할 거라고 생각한다. 신씨는 “연봉 역시 보통의 직장인들보다 내가 2배 가량 많은데 어느 정도 수입이 비슷한 의사 남편이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 교사-女교사 41.8%… 전문직은 전문직 배우자와
서울 A고등학교 박모(37) 교사는 배우자로 교사를 원했고, 바람대로 여교사와 결혼했다. 임씨는 “교사란 직업이 방학 때 집에서 쉬면서 함께 아이도 키울 수 있다고 생각했다”며 “하지만 실제로 교사 아내와 살아보니 방학에도 서로 보충수업과 각종 연수, 자율학습 감독 방학때 시간이 많은 것만은 아니었다”고 말했다. 부인 김모(36)씨는 “같은 직업을 가지고 살다 보면 서로 마음도 잘 통할 거라고 생각했다”며 “하지만 학생들에게 시달려 매일같이 서로 녹초가 되어 귀가하는 경우가 많아 서로 기대고 싶은 마음만 커지는 것 같다”고 말했다.


결혼정보회사 ㈜좋은만남선우를 통해 2001년에서 2007년 사이 결혼한 부부 4208쌍을 조사해본 결과, 남성 전체 가운데 남자 교사와 여교사의 결혼 비중이 가장 높았다.

직업을 총 12개 직군(관리직, 전문직, 고급일반직, 공무원, 교사, 대·공기업사무직, 대·공기업기술직, 중소기업사무직, 중소기업기술직, 영업직, 일반직, 무직)으로 나눠 이들 직업간 결혼 비율을 따졌을 때, ‘남교사-여교사’ 비중이 41.8%, ‘대·공기업기술직-여교사’ 37.0%, ‘관리직-여교사’ 36.1% 순으로 나타났다. 전문직이나 공무원 남성들의 경우, ‘전문직-전문직’ ‘공무원-공무원’처럼 같은 직종의 배우자를 원하기 때문에 여교사와 결혼하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한국결혼문화연구소 안강용 팀장은 “서로를 잘 이해하고, 쉽게 공감대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같은 직업, 특히 교사와 교사, 전문직과 전문직, 공무원과 공무원 간의 만남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말했다.


# 기술직 여성 3명중 2명은 사무직 남성 만나

반면 여성 전체를 놓고 볼 때, 기술직 여성이 사무직 남성을 찾는 비중이 가장 높게 집계됐다. 대·공기업기술직 여성들은 3명 중 2명(66.6%) 꼴로 사무직 남성과 결혼했으며, 전문직 남성과의 결혼은 12.5% 수준이었다. 하지만 기술직 여성이 동종 직업, 즉 기술직 남성과 결혼하는 비율은 현저히 낮았다. 대·공기업기술직 여성이 대·공기업기술직 남성을 만나 결혼하는 비율은 8.3%였으며, 중소기업기술직 남성과의 결혼은 4.2%에 불과해 같은 직업간 결혼을 꺼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문직 여성의 경우, 전문직 남성과 결혼하는 비율이 확연히 높았다. 전문직 여성들은 10명 중 6명 꼴(61.2%)로 전문직 남성을 만나 결혼을 했고, 대·공기업사무직 남성과 결혼한 전문직 여성은 8.5% 밖에 되지 않았다. 이외 중소기업사무직(4.7%), 고급일반직(3.9%), 교육직(3.1%), 대·공기업기술직(3.1%), 관리직(3.1%) 남성과의 결혼은 낮은 비율을 보였다. 전문직이 아닌 평범한 직업의 여성들은 사무직 남성과 결혼을 하고, 전문직 여성은 전문직 남성만을 찾는다는 뜻이다.
# 교수-女강사, 의사-女약사 결혼빈도 높아

그렇다면 전문직 간 만남에서는 세부적으로 어떤 직업 간 결혼이 가장 많을까? 총 146명의 전문직 여성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문의(13.7%), 일반의(11.6%), 한의사(7.5%), 금융직(4.1%), 박사급 연구원(4.1%) 남성 순으로 결혼한 것으로 집계됐다. 여성 전문직 중에서도 ‘대학교수(남)-대학강사(여)’ ‘전문의-약사’ ‘일반의사-약사’ ‘일반의-치과의사’ ‘일반의-일반의’의 결혼 빈도가 가장 높아 이들간 직업 궁합이 가장 잘 맞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전문직 안에서도 서로 비슷한 직업의 사람들끼리 만나 결혼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는 얘기다.

같은 의사 직업을 가진 배우자를 만나 2005년 결혼한 군의관 안모(34)씨는 지금까지 부인의 직업에 대해 대만족하며 살고 있다. 그는 “같은 계통의 사람을 만나 결혼해 보니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공통점이 있어 편하게 생활할 수 있다”며 “의학 지식 등 공통의 관심사를 교류하고 서로의 부족한 면을 채워줄 수 있어 좋다”고 말했다. 부인 임모(32)씨 역시 남편 직업에 대해 만족했다. 임씨는 “전문직종에 계신 분들이 대체적으로 프라이드도 강하고 고집 센 사람이 많아 배우자로 적합하지 않다는 선입견이 있었다”면서 “하지만 같은 계통의 사람을 만나 살아보니 직업적으로 통하는 부분도 많고, 실제 서로의 생활에서 공감대 또한 쉽게 형성돼 결혼 참 잘 했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하지만 특정 직업을 정해 놓고 이성을 만나는 일은 여러모로 어려운 일이다. 일반적으로 결혼정보회사를 통한 만남일지라도 특정 직업을 가진 이와의 미팅은 운이 좋아야 평균 5회에 1번 꼴로 마음에 드는 사람을 만날 수 있다. 또, 비용 역시 2배 이상 비싸다. 일반 소개 비용이 5회 주선에 100만원인데 반해 전문직 미팅은 최소 220만원으로 책정돼 있다.

사람 됨됨이를 제대로 살피지 않고 특정 직업을 고집하다 보면 낭패를 볼 가능성도 크다. 작년 가을 서울의 한 개인병원 원장인 김모(39)씨를 만나 3달 만에 초고속 결혼식을 올린 박모(31·여)씨는 올해 초 이혼서류에 도장을 찍었다. 의사면 평생 편하게 살 수 있다는 생각만으로 성격이나 나이 등 기타 다른 조건은 따지지 않았다. 대학 졸업 후 그간 근무했던 대기업 직장도 그만두고 결혼 준비에만 신경 썼다. 하지만 신혼 여행을 다녀온 후부터 바로 이혼을 결심했고, 끝내 4개월 만에 이혼을 강행했다.

박씨는 “의사면 무조건 괜찮다는 주변 사람들의 말과 고생하며 살기 싫은 마음으로 서둘러 결혼했다”면서 “신혼 여행 때부터 하나에서 열까지 서로 맞는 부분이 하나도 없었고, 내가 어리석었다는 생각이 들었을 때는 벌써 늦었다는 것을 알았다”고 말했다. 조건에만 매달려 배우자를 선택한 결혼 생활은 만족보단 실망이 많다는 게 박씨의 결론이었다.
# 가족재산 2억~4억원대 많아… 배우자도 비슷한 수준으로

직업과 함께 배우자 선택에서 가장 민감하게 고려되는 부분은 상대방 가족의 재산 규모다. 결혼정보회사 역시 신상 정보를 기록할 때 이 부분에 특히 신경 쓴다. 올해 초 미혼 남녀 6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 설문조사에서도 남녀 똑같이 배우자의‘경제력’(남 32.0%, 여 33.4%)을 결혼 조건 1위로 꼽았다.

이에 결혼 당시 가족 재산을 밝힌 기혼자 759쌍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대부분이 가족 재산이 서로 비슷한 사람들끼리 결혼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가족 재산이 ‘2억~4억원’이었던 151쌍의 경우, 여성 역시 ‘2억~4억원’이 26.5%로 가장 높았고, ‘1억~2억원’ 17.2%, ‘4억~6억원’ 15.9%였다. 남성 가족 재산이 ‘4억~6억원’이었던 부부 역시 여성 쪽 재산은 ‘4억~6억원’ 29.0%, ‘2억~4억원’ 22.5%, ‘6억~8억원’ 12.3% 순이었다.

지난해 12월 결혼한 대기업기술직 직장인 김모(33)씨는 “부모님과 내 재산이 5억원 정도인데 아내 집안 역시 그 정도 수준인 것으로 알고 결혼했다”며 “결혼할 때 비슷한 수준의 사람끼리 만나 비슷한 수입으로 비슷하게 살아가는 게 가장 공평하고, 서로 불편함도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추천 비추천

2

고정닉 0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AD 삼성선물의 제로데이, 다른데랑 뭐가 달라? 운영자 24/06/18 - -
AD LS증권 해외선물 수수료 $2.49 할인 이벤트 운영자 24/01/01 - -
1263766 시간있으면 강남 기준 반경 30키로에 어떤 동네가 들어오나 봐라. [2] 도뉴(125.131) 16.07.11 335 2
1263765 일산은 앞으로 상암 나대는거 요인하겠다. 부갤이 너무 죽었네 ㅇㅇ(223.62) 16.07.11 144 0
1263763 연봉 차이나면 친구사이 깨지냐? [7] ㅇㅇ(61.247) 16.07.11 274 1
1263762 개돼지 발언 교묘하게 윗대가리들 돌려친거 같은데 ㅇㅇ(175.253) 16.07.11 86 0
1263761 솔직히 말해라 부갤 허언증 버러지들아 [4] ㅇㅇ(223.33) 16.07.11 151 2
1263760 렉슬부터 역삼라인이 힘이 많이 빠진듯 [7] 잠실누나(58.29) 16.07.11 562 1
1263759 부갤과 타 갤과의 비교 [2] ㅇㅇ(223.33) 16.07.11 172 0
1263757 ㅇㅇ로조주식샀다 [3] 부루마블(211.36) 16.07.11 140 0
1263756 리쌍세입자 전직업과 친구 [8] 똥포(110.70) 16.07.11 676 6
1263755 부갤놈들 추천주는 진입장벽이 하늘이네 [1] 부랄탁(118.41) 16.07.11 135 0
1263754 대구나 광주같은 도시가 망해야 정신차리겟지? ㅁㅁ(221.141) 16.07.11 70 2
1263753 부갤서 개돼지들만 보세요 재규xf(211.246) 16.07.11 105 2
1263752 리쌍 사건 새입자가 졸라 똑똑한 거 아니냐? 존경한다 [7] ㅇㅇ(175.223) 16.07.11 430 4
1263751 삼성핸펀 써보면 ☆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11 83 0
1263750 삼성은 차라리 [1] ☆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11 120 0
1263749 여기 틀딱 냄새 많이 나네 [1] ㅇㅇ(175.115) 16.07.11 120 1
1263748 젊어서 고생은 사서도 한다 ☆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11 84 0
1263747 부촌 알려준다 ㅇㅇ(14.52) 16.07.11 158 0
1263746 혹시라도 해서하는 말이지만 ☆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11 89 0
1263744 제일 아파트 부동산 순위 [2] ㅇㅇ(14.52) 16.07.11 285 0
1263743 김광진 얘는 리쌍 세입자한텐 왜 간 거냐? [5] ㅂㅈㄷㄱ(210.103) 16.07.11 634 0
1263741 한화 돈 존나많은거 같더라 ☆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11 164 0
1263740 *****강남3구 1년간 부동산 최고 수익률 순위****** [3] ㅇㅇ(223.62) 16.07.11 451 4
1263739 민중은 개돼지 맞음 [2] ㅇㅇ(61.247) 16.07.11 152 1
1263738 거지새끼들 ㅇㅇ(223.62) 16.07.11 94 0
1263737 부갤 정신병자 허언 또라이 새끼들 ㅋㅋㅋ [1] ㅇㅇㅇ(223.62) 16.07.11 83 0
1263736 부갤 저번에 점 봐준다고 하니 수준 다 나오너만 ㅇㅇ(223.62) 16.07.11 60 1
1263735 풋 거지새끼가 머 아래에 500억 자산가와 선본다고? ㅇㅇ(223.62) 16.07.11 83 1
1263733 어제 오랜만에 겅무원 동기 만났는데 실감 나느라 [3] ㅇㅇ(223.62) 16.07.11 317 6
1263732 최저임금 1만원과 개돼지 사업자의 몰락 [4] 재규xf(211.246) 16.07.11 376 2
1263731 보증금 낮고 두달 선불로 받는 사람은 뭐죠 ㅁㄴㅇ(119.194) 16.07.11 59 0
1263726 일본도 보면 절라 후진국이야 [1] 성진(124.49) 16.07.11 277 5
1263717 와 근데 오늘 백인남녀 커플을 보았는데 ㅋㅋ(182.224) 16.07.11 289 1
1263713 요즘 인터넷에서 뭘 자꾸 혐오해대는건 성숙한 의식을 ㅋㅋ(182.224) 16.07.11 103 0
1263705 머니투데이 여자애 귀엽지 않냐 [2] `12(211.208) 16.07.11 621 0
1263704 명박옹은 수능영어를 토플처럼 4개영역을 다 평가하려는 Neat를 꿈꾸셨지 [8] toliv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11 239 0
1263703 사드 배치 잘 된 거 아닌가 [1] toliv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11 254 4
1263702 나무야 너 아무도 신경 안쓴다 [1] ㅇㅇ(110.70) 16.07.11 90 0
1263695 롯데월드 레지던스 분양이나 기다려야지... [2] 도뉴(125.131) 16.07.11 458 0
1263694 부모중하나가 국회의원이고 나머지한명은 대형로펌변호사정도면 금수저? [2] (223.38) 16.07.11 216 1
1263693 한비자 마키아밸리 붓다 예수 ㅗㅗㅗ(110.70) 16.07.11 84 1
1263690 근데 장미는 왜 빠는거냐? [18] ㅋㅋㅋㅋ(203.130) 16.07.11 591 4
1263687 하대천대멸시괄시우롱조롱 ㅇㅇ(27.100) 16.07.11 64 0
1263686 동작구랑 용산 영등포는 재개발 아니될수가업음 [10] ㅇㅇ(27.117) 16.07.11 1018 15
1263683 임대섞이면 뭐가 문제냐면 [1] ㅇㅇ(39.7) 16.07.11 409 19
1263682 세계 각국의 애국보수들.......jpg [1] ㅇㅇ(207.244) 16.07.11 243 3
1263680 지도 딱 봐도 견적 안나옵니까 [6] ㅇㅇ(27.117) 16.07.11 1099 4
1263679 부갤 말고 오프에서도 나 비웃고 저주하는 새끼들 많다 [2] ㄴr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11 202 2
1263675 나 이거 울면서 봤는데 [1] ㄴr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11 184 0
1263673 전세로 이사가려 하는데 법좀 아시는분?? ㅇㅇ(27.117) 16.07.11 72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