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어떤 직업끼리 결혼 가장 많이 하나? 교사는 교사. 의사는 약사.모바일에서 작성

ㅇㅇ(211.36) 2016.01.31 12:07:10
조회 257 추천 2 댓글 0

어떤 직업끼리 결혼 가장 많이 하나? 교사는 교사. 의사는 약사.  
  
  
  
[Why?] 교사는 교사, 의사는 약사와 잘 맺어지더라


< language= src="http://img-media.hanmail.net/_ams/media2/03I05_new.js" type=text/>
  


# 어떤 직업끼리 결혼 많이 하나
‘WHY?’는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기혼 남녀들의 직업을 분석해, 과연 어느 직업끼리 결혼을 많이 하고 있는지 결혼부부간 직업 매칭도를 따져보았다. 또 양가 집안의 재산 규모와 결혼이 상관 관계가 있는지도 조사했다. 이번 조사는 ㈜좋은만남선우의 협조를 받아 이 회사를 통해 결혼한 부부 4208쌍, 8416명의 남녀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결혼정보회사에 가입한 회원들을 전체 모집단으로 두고, 결혼에서의 직업 궁합을 알아보았다.

# 이런 배우자를 원해요



신모(30·여)씨는 의사 신랑감을 찾고 있다.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현재 종합병원 레지던트 3년차 과정인 신씨는 의사 남편이 아니면 힘들고 고달픈 여의사 생활을 이해해주지 못할 거라고 생각한다. 신씨는 “연봉 역시 보통의 직장인들보다 내가 2배 가량 많은데 어느 정도 수입이 비슷한 의사 남편이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 교사-女교사 41.8%… 전문직은 전문직 배우자와
서울 A고등학교 박모(37) 교사는 배우자로 교사를 원했고, 바람대로 여교사와 결혼했다. 임씨는 “교사란 직업이 방학 때 집에서 쉬면서 함께 아이도 키울 수 있다고 생각했다”며 “하지만 실제로 교사 아내와 살아보니 방학에도 서로 보충수업과 각종 연수, 자율학습 감독 방학때 시간이 많은 것만은 아니었다”고 말했다. 부인 김모(36)씨는 “같은 직업을 가지고 살다 보면 서로 마음도 잘 통할 거라고 생각했다”며 “하지만 학생들에게 시달려 매일같이 서로 녹초가 되어 귀가하는 경우가 많아 서로 기대고 싶은 마음만 커지는 것 같다”고 말했다.


결혼정보회사 ㈜좋은만남선우를 통해 2001년에서 2007년 사이 결혼한 부부 4208쌍을 조사해본 결과, 남성 전체 가운데 남자 교사와 여교사의 결혼 비중이 가장 높았다.

직업을 총 12개 직군(관리직, 전문직, 고급일반직, 공무원, 교사, 대·공기업사무직, 대·공기업기술직, 중소기업사무직, 중소기업기술직, 영업직, 일반직, 무직)으로 나눠 이들 직업간 결혼 비율을 따졌을 때, ‘남교사-여교사’ 비중이 41.8%, ‘대·공기업기술직-여교사’ 37.0%, ‘관리직-여교사’ 36.1% 순으로 나타났다. 전문직이나 공무원 남성들의 경우, ‘전문직-전문직’ ‘공무원-공무원’처럼 같은 직종의 배우자를 원하기 때문에 여교사와 결혼하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한국결혼문화연구소 안강용 팀장은 “서로를 잘 이해하고, 쉽게 공감대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같은 직업, 특히 교사와 교사, 전문직과 전문직, 공무원과 공무원 간의 만남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말했다.


# 기술직 여성 3명중 2명은 사무직 남성 만나

반면 여성 전체를 놓고 볼 때, 기술직 여성이 사무직 남성을 찾는 비중이 가장 높게 집계됐다. 대·공기업기술직 여성들은 3명 중 2명(66.6%) 꼴로 사무직 남성과 결혼했으며, 전문직 남성과의 결혼은 12.5% 수준이었다. 하지만 기술직 여성이 동종 직업, 즉 기술직 남성과 결혼하는 비율은 현저히 낮았다. 대·공기업기술직 여성이 대·공기업기술직 남성을 만나 결혼하는 비율은 8.3%였으며, 중소기업기술직 남성과의 결혼은 4.2%에 불과해 같은 직업간 결혼을 꺼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문직 여성의 경우, 전문직 남성과 결혼하는 비율이 확연히 높았다. 전문직 여성들은 10명 중 6명 꼴(61.2%)로 전문직 남성을 만나 결혼을 했고, 대·공기업사무직 남성과 결혼한 전문직 여성은 8.5% 밖에 되지 않았다. 이외 중소기업사무직(4.7%), 고급일반직(3.9%), 교육직(3.1%), 대·공기업기술직(3.1%), 관리직(3.1%) 남성과의 결혼은 낮은 비율을 보였다. 전문직이 아닌 평범한 직업의 여성들은 사무직 남성과 결혼을 하고, 전문직 여성은 전문직 남성만을 찾는다는 뜻이다.
# 교수-女강사, 의사-女약사 결혼빈도 높아

그렇다면 전문직 간 만남에서는 세부적으로 어떤 직업 간 결혼이 가장 많을까? 총 146명의 전문직 여성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문의(13.7%), 일반의(11.6%), 한의사(7.5%), 금융직(4.1%), 박사급 연구원(4.1%) 남성 순으로 결혼한 것으로 집계됐다. 여성 전문직 중에서도 ‘대학교수(남)-대학강사(여)’ ‘전문의-약사’ ‘일반의사-약사’ ‘일반의-치과의사’ ‘일반의-일반의’의 결혼 빈도가 가장 높아 이들간 직업 궁합이 가장 잘 맞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전문직 안에서도 서로 비슷한 직업의 사람들끼리 만나 결혼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는 얘기다.

같은 의사 직업을 가진 배우자를 만나 2005년 결혼한 군의관 안모(34)씨는 지금까지 부인의 직업에 대해 대만족하며 살고 있다. 그는 “같은 계통의 사람을 만나 결혼해 보니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공통점이 있어 편하게 생활할 수 있다”며 “의학 지식 등 공통의 관심사를 교류하고 서로의 부족한 면을 채워줄 수 있어 좋다”고 말했다. 부인 임모(32)씨 역시 남편 직업에 대해 만족했다. 임씨는 “전문직종에 계신 분들이 대체적으로 프라이드도 강하고 고집 센 사람이 많아 배우자로 적합하지 않다는 선입견이 있었다”면서 “하지만 같은 계통의 사람을 만나 살아보니 직업적으로 통하는 부분도 많고, 실제 서로의 생활에서 공감대 또한 쉽게 형성돼 결혼 참 잘 했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하지만 특정 직업을 정해 놓고 이성을 만나는 일은 여러모로 어려운 일이다. 일반적으로 결혼정보회사를 통한 만남일지라도 특정 직업을 가진 이와의 미팅은 운이 좋아야 평균 5회에 1번 꼴로 마음에 드는 사람을 만날 수 있다. 또, 비용 역시 2배 이상 비싸다. 일반 소개 비용이 5회 주선에 100만원인데 반해 전문직 미팅은 최소 220만원으로 책정돼 있다.

사람 됨됨이를 제대로 살피지 않고 특정 직업을 고집하다 보면 낭패를 볼 가능성도 크다. 작년 가을 서울의 한 개인병원 원장인 김모(39)씨를 만나 3달 만에 초고속 결혼식을 올린 박모(31·여)씨는 올해 초 이혼서류에 도장을 찍었다. 의사면 평생 편하게 살 수 있다는 생각만으로 성격이나 나이 등 기타 다른 조건은 따지지 않았다. 대학 졸업 후 그간 근무했던 대기업 직장도 그만두고 결혼 준비에만 신경 썼다. 하지만 신혼 여행을 다녀온 후부터 바로 이혼을 결심했고, 끝내 4개월 만에 이혼을 강행했다.

박씨는 “의사면 무조건 괜찮다는 주변 사람들의 말과 고생하며 살기 싫은 마음으로 서둘러 결혼했다”면서 “신혼 여행 때부터 하나에서 열까지 서로 맞는 부분이 하나도 없었고, 내가 어리석었다는 생각이 들었을 때는 벌써 늦었다는 것을 알았다”고 말했다. 조건에만 매달려 배우자를 선택한 결혼 생활은 만족보단 실망이 많다는 게 박씨의 결론이었다.
# 가족재산 2억~4억원대 많아… 배우자도 비슷한 수준으로

직업과 함께 배우자 선택에서 가장 민감하게 고려되는 부분은 상대방 가족의 재산 규모다. 결혼정보회사 역시 신상 정보를 기록할 때 이 부분에 특히 신경 쓴다. 올해 초 미혼 남녀 6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 설문조사에서도 남녀 똑같이 배우자의‘경제력’(남 32.0%, 여 33.4%)을 결혼 조건 1위로 꼽았다.

이에 결혼 당시 가족 재산을 밝힌 기혼자 759쌍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대부분이 가족 재산이 서로 비슷한 사람들끼리 결혼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가족 재산이 ‘2억~4억원’이었던 151쌍의 경우, 여성 역시 ‘2억~4억원’이 26.5%로 가장 높았고, ‘1억~2억원’ 17.2%, ‘4억~6억원’ 15.9%였다. 남성 가족 재산이 ‘4억~6억원’이었던 부부 역시 여성 쪽 재산은 ‘4억~6억원’ 29.0%, ‘2억~4억원’ 22.5%, ‘6억~8억원’ 12.3% 순이었다.

지난해 12월 결혼한 대기업기술직 직장인 김모(33)씨는 “부모님과 내 재산이 5억원 정도인데 아내 집안 역시 그 정도 수준인 것으로 알고 결혼했다”며 “결혼할 때 비슷한 수준의 사람끼리 만나 비슷한 수입으로 비슷하게 살아가는 게 가장 공평하고, 서로 불편함도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어떤 직업끼리 결혼 가장 많이 하나? 교사는 교사. 의사는 약사.  
  
  
  
[Why?] 교사는 교사, 의사는 약사와 잘 맺어지더라


< language= src="http://img-media.hanmail.net/_ams/media2/03I05_new.js" type=text/>
  


# 어떤 직업끼리 결혼 많이 하나
‘WHY?’는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기혼 남녀들의 직업을 분석해, 과연 어느 직업끼리 결혼을 많이 하고 있는지 결혼부부간 직업 매칭도를 따져보았다. 또 양가 집안의 재산 규모와 결혼이 상관 관계가 있는지도 조사했다. 이번 조사는 ㈜좋은만남선우의 협조를 받아 이 회사를 통해 결혼한 부부 4208쌍, 8416명의 남녀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결혼정보회사에 가입한 회원들을 전체 모집단으로 두고, 결혼에서의 직업 궁합을 알아보았다.

# 이런 배우자를 원해요



신모(30·여)씨는 의사 신랑감을 찾고 있다.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현재 종합병원 레지던트 3년차 과정인 신씨는 의사 남편이 아니면 힘들고 고달픈 여의사 생활을 이해해주지 못할 거라고 생각한다. 신씨는 “연봉 역시 보통의 직장인들보다 내가 2배 가량 많은데 어느 정도 수입이 비슷한 의사 남편이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 교사-女교사 41.8%… 전문직은 전문직 배우자와
서울 A고등학교 박모(37) 교사는 배우자로 교사를 원했고, 바람대로 여교사와 결혼했다. 임씨는 “교사란 직업이 방학 때 집에서 쉬면서 함께 아이도 키울 수 있다고 생각했다”며 “하지만 실제로 교사 아내와 살아보니 방학에도 서로 보충수업과 각종 연수, 자율학습 감독 방학때 시간이 많은 것만은 아니었다”고 말했다. 부인 김모(36)씨는 “같은 직업을 가지고 살다 보면 서로 마음도 잘 통할 거라고 생각했다”며 “하지만 학생들에게 시달려 매일같이 서로 녹초가 되어 귀가하는 경우가 많아 서로 기대고 싶은 마음만 커지는 것 같다”고 말했다.


결혼정보회사 ㈜좋은만남선우를 통해 2001년에서 2007년 사이 결혼한 부부 4208쌍을 조사해본 결과, 남성 전체 가운데 남자 교사와 여교사의 결혼 비중이 가장 높았다.

직업을 총 12개 직군(관리직, 전문직, 고급일반직, 공무원, 교사, 대·공기업사무직, 대·공기업기술직, 중소기업사무직, 중소기업기술직, 영업직, 일반직, 무직)으로 나눠 이들 직업간 결혼 비율을 따졌을 때, ‘남교사-여교사’ 비중이 41.8%, ‘대·공기업기술직-여교사’ 37.0%, ‘관리직-여교사’ 36.1% 순으로 나타났다. 전문직이나 공무원 남성들의 경우, ‘전문직-전문직’ ‘공무원-공무원’처럼 같은 직종의 배우자를 원하기 때문에 여교사와 결혼하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한국결혼문화연구소 안강용 팀장은 “서로를 잘 이해하고, 쉽게 공감대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같은 직업, 특히 교사와 교사, 전문직과 전문직, 공무원과 공무원 간의 만남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말했다.


# 기술직 여성 3명중 2명은 사무직 남성 만나

반면 여성 전체를 놓고 볼 때, 기술직 여성이 사무직 남성을 찾는 비중이 가장 높게 집계됐다. 대·공기업기술직 여성들은 3명 중 2명(66.6%) 꼴로 사무직 남성과 결혼했으며, 전문직 남성과의 결혼은 12.5% 수준이었다. 하지만 기술직 여성이 동종 직업, 즉 기술직 남성과 결혼하는 비율은 현저히 낮았다. 대·공기업기술직 여성이 대·공기업기술직 남성을 만나 결혼하는 비율은 8.3%였으며, 중소기업기술직 남성과의 결혼은 4.2%에 불과해 같은 직업간 결혼을 꺼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문직 여성의 경우, 전문직 남성과 결혼하는 비율이 확연히 높았다. 전문직 여성들은 10명 중 6명 꼴(61.2%)로 전문직 남성을 만나 결혼을 했고, 대·공기업사무직 남성과 결혼한 전문직 여성은 8.5% 밖에 되지 않았다. 이외 중소기업사무직(4.7%), 고급일반직(3.9%), 교육직(3.1%), 대·공기업기술직(3.1%), 관리직(3.1%) 남성과의 결혼은 낮은 비율을 보였다. 전문직이 아닌 평범한 직업의 여성들은 사무직 남성과 결혼을 하고, 전문직 여성은 전문직 남성만을 찾는다는 뜻이다.
# 교수-女강사, 의사-女약사 결혼빈도 높아

그렇다면 전문직 간 만남에서는 세부적으로 어떤 직업 간 결혼이 가장 많을까? 총 146명의 전문직 여성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문의(13.7%), 일반의(11.6%), 한의사(7.5%), 금융직(4.1%), 박사급 연구원(4.1%) 남성 순으로 결혼한 것으로 집계됐다. 여성 전문직 중에서도 ‘대학교수(남)-대학강사(여)’ ‘전문의-약사’ ‘일반의사-약사’ ‘일반의-치과의사’ ‘일반의-일반의’의 결혼 빈도가 가장 높아 이들간 직업 궁합이 가장 잘 맞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전문직 안에서도 서로 비슷한 직업의 사람들끼리 만나 결혼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는 얘기다.

같은 의사 직업을 가진 배우자를 만나 2005년 결혼한 군의관 안모(34)씨는 지금까지 부인의 직업에 대해 대만족하며 살고 있다. 그는 “같은 계통의 사람을 만나 결혼해 보니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공통점이 있어 편하게 생활할 수 있다”며 “의학 지식 등 공통의 관심사를 교류하고 서로의 부족한 면을 채워줄 수 있어 좋다”고 말했다. 부인 임모(32)씨 역시 남편 직업에 대해 만족했다. 임씨는 “전문직종에 계신 분들이 대체적으로 프라이드도 강하고 고집 센 사람이 많아 배우자로 적합하지 않다는 선입견이 있었다”면서 “하지만 같은 계통의 사람을 만나 살아보니 직업적으로 통하는 부분도 많고, 실제 서로의 생활에서 공감대 또한 쉽게 형성돼 결혼 참 잘 했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하지만 특정 직업을 정해 놓고 이성을 만나는 일은 여러모로 어려운 일이다. 일반적으로 결혼정보회사를 통한 만남일지라도 특정 직업을 가진 이와의 미팅은 운이 좋아야 평균 5회에 1번 꼴로 마음에 드는 사람을 만날 수 있다. 또, 비용 역시 2배 이상 비싸다. 일반 소개 비용이 5회 주선에 100만원인데 반해 전문직 미팅은 최소 220만원으로 책정돼 있다.

사람 됨됨이를 제대로 살피지 않고 특정 직업을 고집하다 보면 낭패를 볼 가능성도 크다. 작년 가을 서울의 한 개인병원 원장인 김모(39)씨를 만나 3달 만에 초고속 결혼식을 올린 박모(31·여)씨는 올해 초 이혼서류에 도장을 찍었다. 의사면 평생 편하게 살 수 있다는 생각만으로 성격이나 나이 등 기타 다른 조건은 따지지 않았다. 대학 졸업 후 그간 근무했던 대기업 직장도 그만두고 결혼 준비에만 신경 썼다. 하지만 신혼 여행을 다녀온 후부터 바로 이혼을 결심했고, 끝내 4개월 만에 이혼을 강행했다.

박씨는 “의사면 무조건 괜찮다는 주변 사람들의 말과 고생하며 살기 싫은 마음으로 서둘러 결혼했다”면서 “신혼 여행 때부터 하나에서 열까지 서로 맞는 부분이 하나도 없었고, 내가 어리석었다는 생각이 들었을 때는 벌써 늦었다는 것을 알았다”고 말했다. 조건에만 매달려 배우자를 선택한 결혼 생활은 만족보단 실망이 많다는 게 박씨의 결론이었다.
# 가족재산 2억~4억원대 많아… 배우자도 비슷한 수준으로

직업과 함께 배우자 선택에서 가장 민감하게 고려되는 부분은 상대방 가족의 재산 규모다. 결혼정보회사 역시 신상 정보를 기록할 때 이 부분에 특히 신경 쓴다. 올해 초 미혼 남녀 6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 설문조사에서도 남녀 똑같이 배우자의‘경제력’(남 32.0%, 여 33.4%)을 결혼 조건 1위로 꼽았다.

이에 결혼 당시 가족 재산을 밝힌 기혼자 759쌍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대부분이 가족 재산이 서로 비슷한 사람들끼리 결혼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가족 재산이 ‘2억~4억원’이었던 151쌍의 경우, 여성 역시 ‘2억~4억원’이 26.5%로 가장 높았고, ‘1억~2억원’ 17.2%, ‘4억~6억원’ 15.9%였다. 남성 가족 재산이 ‘4억~6억원’이었던 부부 역시 여성 쪽 재산은 ‘4억~6억원’ 29.0%, ‘2억~4억원’ 22.5%, ‘6억~8억원’ 12.3% 순이었다.

지난해 12월 결혼한 대기업기술직 직장인 김모(33)씨는 “부모님과 내 재산이 5억원 정도인데 아내 집안 역시 그 정도 수준인 것으로 알고 결혼했다”며 “결혼할 때 비슷한 수준의 사람끼리 만나 비슷한 수입으로 비슷하게 살아가는 게 가장 공평하고, 서로 불편함도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추천 비추천

2

고정닉 0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AD 삼성선물의 제로데이, 다른데랑 뭐가 달라? 운영자 24/06/18 - -
AD LS증권 해외선물 수수료 $2.49 할인 이벤트 운영자 24/01/01 - -
1263106 예전 08년도처럼 역전세난이 4년정도는 휩쓸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3] ㄷㄷㄷ(59.10) 16.07.10 254 2
1263105 스타시티 리버뷰 [2] ㄴㄴㄴ(116.121) 16.07.10 410 2
1263104 삼성도 소프트웨어서 망가는지는거 보니깐.. [1] qq(221.141) 16.07.10 160 2
1263103 위례 부영 53평..이제 11억 부르네 [3] ㅂㅇ(110.70) 16.07.10 548 7
1263102 송도 뜨려면 몇년걸릴까? [6] ㄴㄴㄴ(116.121) 16.07.10 209 0
1263101 아재들 상도 래미안 3차 매수 어떨까요? [2] ㅇㅇ(110.70) 16.07.10 218 1
1263100 먹는 파이가 작아서 학습지브로커나 하는 새끼들이 ㅇㅇ(110.70) 16.07.10 98 0
1263099 헬리오>>엘리트파 [9] ㅇㅇㅇ(110.70) 16.07.10 836 19
1263098 요즘 개포 분위기 주춤하는데 개포가 좆되면 과천이 1순위로좆된다 [3] ㅇㅇ(39.7) 16.07.10 318 3
1263097 헬리오 피 존나 붙었지 ㅋㅋㅋ ㅇㅇ(223.62) 16.07.10 227 3
1263096 이젠 송파 헬리오시티 까들 슬슬 생기네 [6] ㅇㄴㅁ(110.70) 16.07.10 532 4
1263095 트라팰리스 뷰 [2] ㄴㄴ(116.121) 16.07.10 608 0
1263094 헬리오시티 무섭네요 [9] 돌다리헌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10 943 1
1263093 요즘 지방 부자들 관악구 아파트 투자 하러 많이 오더라.. [16] ㅇㅇ(51.255) 16.07.10 707 5
1263092 서초3동은 이제 서울고로 배정받는다던데 [2] ㅇㅇ(39.7) 16.07.10 253 0
1263091 부갤 성님들 이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 돌다리헌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10 114 0
1263089 니들 잠원동에 서초고 이전하는건 알고 갤질하는거? [12] ㅇㅇ(39.7) 16.07.10 621 0
1263088 간단한업무 당일100이상 수익보장 드리머(125.135) 16.07.10 36 0
1263087 개리 파크리오 살다가 광진트펠로 이사했네 [4] ㅇㅇ(39.7) 16.07.10 504 1
1263086 부갤이 씹허언증 관종인 증거 [8] 90년생아재7급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10 229 5
1263083 돈 있으면 사내에 소문내지 마라고? [7] 빛쟁이(58.148) 16.07.10 407 3
1263081 한국같이 빈부격차 없는 나라 드물다 [3] ㅇㅇ(223.62) 16.07.10 250 6
1263080 경화누나 누나 그리워요 보듬어주세요 [1] Rommel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10 91 0
1263079 솔직히 이제 마세라티도 한물 갔지 [2] ㅇㅇ(223.62) 16.07.10 232 0
1263076 대단지 아파트도 층간소음 없애고 [2] ☆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10 162 0
1263075 수서 신동아 질문 좀 [5] ㅇㅇ(175.223) 16.07.10 416 1
1263073 요즘 왜인지 자사고 앞을 자주 지나다니는데 ㅋㅋ(182.224) 16.07.10 79 0
1263072 세월이 흘러도 부자수가 증가하는게 아니라 똑같다 [1] ㅇㅇ(223.62) 16.07.10 92 0
1263071 영어공부 겸 겸사겸사로 ☆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10 62 0
1263069 우리나라가 그래도 흑수저 탈출 세계1위 국가임 [2] ㄴㄴㄴ(116.121) 16.07.10 337 0
1263068 우리나라는 부동산 아니면 부자 못 되요 [4] 기밈(121.141) 16.07.10 296 6
1263067 공무원 7급 이하는 사실 잘사는 사람이 입사하게되면 [2] ☆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10 193 0
1263064 광진트라팰리스 어떰? [6] ㄴㄴㄴ(116.121) 16.07.10 946 2
1263063 디씨는 고닉으로 해야 관리가능 [4] ☆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10 100 0
1263062 간단한업무 당일100이상 수익보장 드리머(125.135) 16.07.10 24 0
1263060 브록레스너도 캐나다 살더라 ☆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10 59 0
1263057 아직도 헝그리정신 씨부리는 씹틀딱새끼있네 ㅋㅋ ㅁㄴㅇ(118.32) 16.07.10 51 0
1263056 둔촌주공의 동일수급권은 [33] A.Baby(223.62) 16.07.10 616 5
1263054 28살쯤 집사면 .. [6] 라랄라루룰(124.51) 16.07.10 298 2
1263051 개포 아파트는 2020 인프라는 1980 [2] ㅇㅇ(223.62) 16.07.10 181 2
1263050 우리나라의 큰 문제는 헝그리정신이 없어졌다는거에요 [4] ㅇㅇ(118.37) 16.07.10 127 2
1263049 진정한 위너 [2] A.Baby(223.62) 16.07.10 318 3
1263048 재밌는사진 [4] FF(218.90) 16.07.10 287 3
1263045 헬리오는 지하철 접근성이 그렇다쳐도 둔촌주공 입주랑 9호선개통이 겹치면 [11] 잠실누나(61.101) 16.07.10 469 1
1263043 둔촌 주공은 1만세대 넘지않냐? [5] ㅇㅇ(183.101) 16.07.10 275 2
1263042 TATE Modern Museum [3] FF(218.90) 16.07.10 133 3
1263041 학력고사 사법고시 부활 필요! [10] 분당구도시(211.246) 16.07.10 549 31
1263039 여긴 아직도 송파구 가지고 싸우네 ㅋㅋ ㅇㄴㅇ(153.209) 16.07.10 97 4
1263037 개 ㅂㅅ들아 요즘진짜 누가외고자사고가냐ㅋㅋㅋ [3] 기만미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10 177 0
1263036 원숭이 대선나가면 좋겠다 ㅇㅇ(210.121) 16.07.10 75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