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부동산시장 한파- 팔짱 낀 매수자 VS 발동동 매도자

ㅇㅇ(103.10) 2016.01.28 22:04:45
조회 771 추천 3 댓글 1

이데일리|2016.01.27 05:31
갈아타기 수요자 매물 내놨지만 매수자 없어 '속앓이'
집 안 팔려 잔금 마련 차 마이너스 통장도 이용

- 상반기 입주 앞둔 서울·수도권 아파트 입주자 '고통의 나날'
- 매수자는 느긋.."집값 더 떨어질 때까지 기다려보자"
- 매매 거래 줄면서 전셋값 상승 우려도

PS16012700109g_99_20160127081104.jpg?type=w540
△서울·수도권 주택 매매시장 위축으로 기존 집이 팔리지 않으면서 새 아파트로 입주하지 못해 속앓이를 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서울 강남구 삼성동 트레이드타워에서 바라본 송파구 잠실 일대 아파트 밀집 지역.[사진=이데일리DB]
[이데일리 박태진 기자] 서울 마포구에 사는 직장인 전모(45)씨는 3년 전 분양받은 아파트 입주가 임박해오자 마음이 다급해졌다. 전세 놓은 보유 주택을 팔고 잔금을 치를 계획이지만 두 달째 매수자가 나타나지 않고 있어서다. 전씨는 “집을 보고 간 사람은 몇명 있는데, 아직까지 사겠다는 연락이 없다”며 “다음달 말까지 입주아파트의 잔금을 치러야 하는데 걱정”이라고 말했다. 

한 달 전 집을 판 주부 김모(서울 노원구 월계동)씨도 요즘 홍역을 치르고 있다. 이달 말까지 잔금을 치르기로 한 매수자가 갑자기 날짜를 조정해 달라고 연락해 왔기 때문이다. 살고 있는 집이 팔리지 않고 있다는 게 이유다. 김씨는 “잔금이 들어오지 않으면 우리도 이사갈 집에 잔금을 치를 수 없게 된다”며 “집을 담보로 추가 대출을 받으려해도 당장 다음달부터 대출 심사가 까다로워진다고 하니 어떻게 자금을 마련할 지 큰 일”이라고 말했다. 

서울·수도권 주택 매매시장이 얼어붙으면서 ‘갈아타기’ 수요자들이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 내달부터 주택담보대출 심사가 까다로워지고 조만간 기준금리도 오를 것이란 소식에 매수세가 위축되면서 집이 팔리지 않고 있어서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계절적 비수기인데다 금리 인상 가능성과 대출 여건 악화 등에 따른 ‘거래 절벽’이 예상보다 일찍 시작된 것 같다”며 “매매 거래 위축은 전셋값 상승을 더 부추길 수 있다”고 우려했다.

◇입주 앞둔 아파트 계약자…“살던 집이 안팔려요” 

실제로 서울지역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이달 들어 큰 폭으로 줄고 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해 3월부터 10월까지 평균 1만 건 이상이던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 건수는 11월 9916건, 12월 8226건으로 준 데 이어 이달 들어선 현재까지 4492건에 불과하다. 

거래가 줄자 아파트값 상승세도 한풀 꺾이고 있다. 부동산114 자료를 보면 서울·수도권 아파트값은 작년 7월 전월보다 0.75% 올랐으나 같은해 11월 0.26%, 12월 0.1%로 상승폭이 둔화되더니 이달 현재는 보합세(0.0%)를 나타내고 있다. 마포구 공덕동 L공인중개사사무소 관계자는 “지난해 말까지만해도 싼 매물이 나오면 곧장 팔렸는데, 요즘엔 사겠다는 문의 전화가 뚝 끊겼다”며 “간혹 집을 보러 와도 계약하겠다는 사람은 없다”고 전했다. 

거래 절벽의 최대 피해자는 전씨나 김씨처럼 새 집으로 옮겨갈 계획이었던 실수요자다. 살고 있는 집이 팔리지 않아 이사갈 집에 잔금을 치르지 못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 것이다.

올해 상반기 입주 예정인 아파트 계약자들도 고민이 이만저만 아니다. 오는 3월부터 위례신도시에 들어선 아파트에 입주할 예정인정모(여·53)씨는 “지금 살고 있는 분당신도시 전용 134㎡짜리 아파트를 한달 전에 매물로 내놨는데도 아직까지 ‘입질’이 전혀 없다”며 “만약 아파트가 팔리지 않으면 울며겨자 먹기로 전세를 놓는 것도 고려 중”이라고 말했다.

PS16012700110g_99_20160127081104.jpg?type=w540
◇매수 심리 위축…전셋값 상승 ‘도미노’ 우려 

매도 희망자들과 달리 매수자들은 상대적으로 팔짱을 끼고 지켜보는 분위기다.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와 금리 인상 가능성, 주택 공급 과잉 우려 등 이른바 ‘3대 악재’로 향후 집값이 더 약세를 보일 것으로 판단해 관망세를 취하고 있는 것이다. 부동산전문 리서치업체인 리얼투데이가 최근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주택 구입 의사가 있는 서울·수도권 성인 중 절반은 주택 매입 시기를 2018년 이후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고 매수자들이 마냥 느긋할 수만도 없는 상황이다. 당장 오른 전셋값을 마련할 방법을 고민해야 하거나 월세로 전환하는 데 따른 주거비 부담 증가를 걱정해야 할 판이다. 특히 자금 여유가 있는 수요층이 집 사기를 꺼리면서 전셋집도 줄어드는 악순환이 발생하고 있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 팀장은 “주택 수요자들이 새 집을 사야 기존 주택의 임대 수요가 생겨난다”며 “하지만 매매 대신 전세로 눌러 앉으면 임대 물량이 줄어 결국 전월세시장 전체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설명했다. 

당장 다음달 시행하는 주택담보대출 심사 강화가 매매시장 위축을 불러와 전셋값을 더 끌어올릴 것이라는 지적도 많다. 정부는 주택담보대출 심사 때 이자만 상환하던 기존 방식에서 원금도 함께 상환하고, 소득을 따져 향후 상환 능력도 점검할 계획이다. 

하지만 대출 규제에 대한 불확실성이 해소되면 봄 이사철을 맞아 매매시장이 살아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김은진 부동산114 리서치팀장은 “대출 규제가 시행된 지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시장에서 내성이 형성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통상 설 이후부터 매매 거래가 늘기 때문에 내달 중순이 향후 시장 분위기를 가늠하는 중요한 시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추천 비추천

3

고정닉 0

2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AD LS증권 해외선물 수수료 $2.49 할인 이벤트 운영자 24/01/01 - -
AD [삼성선물]제로데이옵션 무료이벤트 운영자 24/06/03 - -
1241244 앞에 빨간옷 대박이네 ㅇㅇ(175.223) 16.06.14 259 0
1241243 얘들아 페라리타는법 갈켜줌 투자왕(49.165) 16.06.14 93 0
1241242 형들경기도 저렴하고 투자가치있고 귀농하기좋은곳 어디없어? [7] 11(14.52) 16.06.14 293 0
1241240 그럼 롯데타워는 짓다 마는거임? [2] ㅇㅇ(211.202) 16.06.14 306 3
1241239 대학로 주변 극혐 아니냐 [3] ㅂㅈㄷㄱ(210.103) 16.06.14 284 0
1241238 이번 롯데 검찰 수사가 잠실에 영향 많이 끼칠까?? [2] ㅎㅎ(222.237) 16.06.14 226 1
1241237 유부남한테 먹버당한년이 이런 찌라시 유포함.txt [13] 콜로세움비디오(223.62) 16.06.14 4193 17
1241236 근데 왜 서현상권이 수내를 이기게된거냐? [8] ㅇㅇㅇㅇ(211.36) 16.06.14 306 0
1241235 주변에 땅사서 수십배 오른사람들 몇 있는데 [3] 11(14.52) 16.06.14 290 0
1241234 서울은 국가 위상이나 경제 수준에 비해서 [2] ㅂㅈㄷㄱ(218.38) 16.06.14 186 2
1241233 주택 연금 칼만 안들었지 강도네 니팬티 보여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6.14 368 0
1241232 여기 부동산갤이냐 부자갤이냐 11(14.52) 16.06.14 143 0
1241231 한강변 재건축 : 래미안첼리투스 > 청담자이 >> 대림 아리팍>잠실닭장 [1] ㅇㅇ(211.202) 16.06.14 551 6
1241230 그래서 상가 투자는 고수 영역이라는거임 11(116.37) 16.06.14 163 0
1241228 문정동 요새 재건축 매수 난리잖아 [3] ㅁㅁ(49.165) 16.06.14 413 2
1241227 여기 월 천이상 버는 사람 있냐? [6] 알칠(110.13) 16.06.14 299 0
1241226 걍 평당 1억가는건 당연한 수순 아닌가 ㅋㅋㅋ(49.168) 16.06.14 101 2
1241225 근데 아줌마들 잘생긴 남자 존나 좋아함 ㅁㅁ(49.167) 16.06.14 433 1
1241224 위암같은소리하네 병신ㅋㅋ 경기도 커피매출 1위 지역 [2] ㅇㅇㅇㅇ(211.36) 16.06.14 220 1
1241223 울산쪽이랑 평택이 다른게 직종에 따른 차이지요 ㅇㅇ(27.100) 16.06.14 140 0
1241222 홍콩 집값 오를때랑 비슷하네 ㅇㅇ(211.202) 16.06.14 342 6
1241221 난 동탄 분당 중에 어디가 먼저 망ㅎ알지 존나 궁금하다 ㅋㅋㅋㅋㅋㅋ [2] ㅋㅋㅋ(49.168) 16.06.14 329 0
1241220 세금 두둘겨맞음 [1] 알칠(110.13) 16.06.14 163 1
1241219 광교 상권 현황 ㅇㅇㅇㅇ(211.36) 16.06.14 466 0
1241218 광교 20평 상가 월세 500ㄷㄷ [3] 알칠(110.13) 16.06.14 403 1
1241217 경기북부는 곧 수도권 총량제에서 풀어수도 있습니다 [1] ㅇㅇ(27.100) 16.06.14 149 0
1241216 브렉시트 되면 달러 오르냐 내리냐 [1] 알칠(110.13) 16.06.14 172 0
1241215 전매량이 4배 늘었다는건 물린다는거지요 ㅇㅇ(27.100) 16.06.14 106 1
1241214 국민연금 대체투자 수익률이 12%입니다 ㅇㅇ(27.100) 16.06.14 113 0
1241212 난 대학이 공릉동에 있어서 강북 자주 가봤었는데 [7] ㅋㅋㅋㅋ(49.168) 16.06.14 401 5
1241211 여기서 부동산이나 주식 추천하는 사람들 [2] St.Baby(211.60) 16.06.14 174 9
1241210 근데 통일되면 존나 웃긴그림 나오것다 ㅋㅋㅋ [2] ㅋㅋㅋ(49.168) 16.06.14 338 1
1241209 파주하면 생각나는거 하나.... [1] ㅇㅇ(115.139) 16.06.14 149 0
1241208 금융시장 돌아 가는게 올해 미국 금리인상 물 건너 갔네요 ㅋㅋ 11(116.37) 16.06.14 130 1
1241206 파주 아파트 썩다리 평당 400짜리 투자라고 외치는 사람 ㅋㅋㅋㅋ aa(116.37) 16.06.14 78 1
1241203 주택난을 해결하는 방법 ㅇㅇ(112.220) 16.06.14 82 0
1241202 꼰노 지가 파주 산다고 지 입으로 처 말해 놓고 ㅋㅋ aa(116.37) 16.06.14 78 2
1241201 서울 동남부에 등기치세요 마지막이라고요 [5] 오늘도시마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6.14 1046 15
1241200 횽이 금리인하하자마자 아팟보다 상가 재건축 채권형펀드라해따 ㅇㅇ(14.39) 16.06.14 101 0
1241199 다들 먹고 살만하죠? ㅇㅇ(119.196) 16.06.14 46 0
1241198 죽기전에 등기칠 곳이 있습니다 [4] 재규xf(175.223) 16.06.14 489 5
1241196 지금 유동성 상황에서 파운드가 왠 말입니까 ㅇㅇ(27.100) 16.06.14 70 0
1241195 선대인 집 샀을거같은뎨 알칠(110.13) 16.06.14 126 1
1241194 통일삘이 오면 부갤 펀드하나 만들자 ㅇㅇ(112.220) 16.06.14 86 1
1241193 2015년 폭락이들 빅쇼트 썰 풀면서 ㅋㅋㅋㅋ 11(116.37) 16.06.14 144 3
1241192 한가지만 잘하면 된다 [2] St.Baby(211.60) 16.06.14 197 8
1241191 안양 덕천마을 래미안 지금이라도 살만한가 알칠(110.13) 16.06.14 310 0
1241190 파운드 지금 들어가는거 어떻냐? ㅅㅅ(39.7) 16.06.14 41 0
1241189 폭락이들 월세 지옥으로 이끈 하드캐리 3인방 꼭 기억들 해라 11(116.37) 16.06.14 173 3
1241188 꼰노 부동산 이야기는 가볍게 씹으면 되는 이유.fact [2] aa(116.37) 16.06.14 276 1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