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건설현장은 왜 청년 일자리의 무덤이 됐나?

ㅇㅇ(108.59) 2016.01.24 01:06:39
조회 584 추천 8 댓글 3

중소기업 말고도 청년들이 외면하는 또 하나의 일자리가 있습니다. 건설현장입니다. 힘들고 위험하고 거친, 그야말로 대표적인 3D 일자리죠. 우리나라뿐 아니라 다른 대부분 나라에서도 가진 것, 배운 것 없는 사람들이 찾는 마지막 노동 시장이 건설현장입니다.

힘들고 자칫 목숨을 잃을 수 있는 위험한 일이지만 8, 90년대 만해도 땀 흘려 열심히 일하면 가정을 꾸리고 자식들 교육 시킬 수 있는 그 정도 벌이가 되는 일자리였습니다. 그러나 요즘 건설현장에서 한국 사람 찾기는 쉽지 않습니다. 더욱이 젊은 한국인은 천연기념물 수준입니다.

힘들고 위험하기 때문만일까요? 미국이나 호주, 유럽엔 젊은 건설 기능인력들이 많은 걸 보면 단지 힘들고 위험해서 그런 건 아닐 것 같습니다. 땀 흘린 만큼 대가를 보상받지 못하니까 청년들이 오질 않는 거죠.

위험한 일, 힘든 일은 누구나 하기 싫어합니다. 그렇지만 누군가는 꼭 해야만 하는 일입니다. 내가 자동차 끌고 다닐 도로를 내가 직접 건설할 수는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내 자식들이 다닐 학교, 또 내가 살 집을 내가 직접 지을 수 없지만 학교와 도로, 집은 반드시 있어야 하잖습니까? 그럼 누군가는 나 대신 학교와 도로, 아파트를 건설해야 할 테고 나는 물론이고 누구나 하기 싫어하는 일이니만큼 그 일을 하는 사람에게 더 많은 대가를 지불해야 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합니다.

흔히 우리가 말하는 선진국들은 이런 누구나 꺼리는, 그렇지만 누군가는 반드시 해야 하는 힘들고 위험한 일을 하는 사람들에게 더 많은 땀의 대가를 지불하기로 사회적 합의를 본 것이고, 우리 사회는 그 대신 인건비가 싼 외국인 노동자들을 데려오는 것으로 사회적 합의를 봤습니다.

건설 기능 인력들의 노임은 1년에 두 번 발표되는 시중노임단가에 근거해 정해집니다. 목수의 하루 일당이 15만 2천 원입니다. 적지 않은 돈입니다. 그러나 이 시중노임 단가는 단지 참고용일 뿐입니다. 한번 생각해 보시죠. 만약 건설사 사장님 입장이라면 하루에 10만 원만 받아도 일하겠다는 중국, 필리핀, 베트남 노동자들이 지천인데, 15만 원 넘게 달라는 한국인이 있다면 쓰겠습니까?

뿐만 아니라 시중노임 단가는 경력이 30년 된 목수나 1년 된 목수나 똑같습니다. 그러니 건설현장의 노임은 오르려야 오를 수가 없는 구조가 돼버렸고, 그렇다 보니 청년들이 아무리 가진 것, 배운 것 없더라도 건설현장만큼은 찾지 않게 된 것입니다.

이 때문에 선진국 대부분은 노동문제와 이민문제를 연결해 정책을 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가 한국에서 기자로 일하는 것보다 공사판에서 등짐을 져도 좋으니 미국에서 살고 싶다고 미국 갈 수 있는 게 아니지 않습니까? 그건 미국 이민법이 허용하지를 않죠. 

영국 캠브리지 대학의 장하준 교수가 자주 예로 삼는 비유가 있습니다. 인도의 버스 기사와 스웨덴의 버스 기사 얘기. 버스 운전 실력으로만 놓고 보면 비포장도로에서 다른 차는 물론, 사람, 소까지 피해 운전해야 하는 인도의 버스 운전기사 실력이 월등히 나을 수 있을 겁니다. 그러나 임금으로 보면 스웨덴 버스 기사가 몇 배 높은 돈을 받습니다. 

스웨덴 버스회사 사장님 입장에서 봤을 땐 당연히 운전 실력이 뛰어난데도 낮은 임금을 줘도 되는 인도의 버스운전기사를 수입해 써야 할 겁니다. 그러나 그건 스웨덴 정부가 허용하질 않습니다. 자국의 하부 일자리 시장을 외국인과 직접 임금경쟁 시키는 나라는 선진국에선 찾아보기 힘듭니다.

그럼 선진국들 역시 건설현장은 마찬가지로 힘들고 위험한 일인데 어떻게 해서 자국의 청년들이 직업으로 택하게 만든 걸까요? 이 역시 중소기업의 문제와 마찬가지로 국가의 역할이 있느냐, 없느냐 문제였습니다.

미국의 경우를 한번 보겠습니다. 일단 미국 건설 근로자들의 임금 수준은 교사, 경찰관들과 비슷합니다. 힘들고 위험한 건 우리와 똑같지만, 열심히 땀 흘려 일하면 중산층 생활을 충분히 할 수 있는 소득입니다.

한국이나 미국이나 건설현장은 힘없는 노동자들이 모이는 곳이다 보니 임금이 부당하게 깎이기 쉽습니다. 대신 미국엔 Prevailing Wage 즉, 적정임금 제도라는 것이 있습니다.

z9(9)_99_20160121113009.jpg?type=w540

세금이 투입되는 공공 건설 사업의 경우 주 정부가 목수, 철근공, 미장공 등 각각의 건설 기능인력별로 시간당 임금을 설정해 놓고 이 임금을 건설사가 지급하는지까지도 주 정부가 감독하는 제도입니다. 만약 적정임금대로 지급하지 않을 경우 해당 건설사는 3년간 공공 건설 공사의 입찰 자격이 박탈됩니다.

z8(12)_99_20160121113009.jpg?type=w540

이 제도의 목적은 건설사가 공공건설에 참여할 때 인건비는 아예 손대지 못하게끔 못 박기 위해섭니다. 미국의 Prevailing Wage가 법제화된 것은 대공황 직후인 1931년입니다.

당시 실직한 수많은 화이트칼라 노동자들이 처자식을 먹여 살리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육체노동밖에 없었습니다. 미국 정부도 테네시 강을 개발하고 후버 댐을 건설하면서 쏟아져 나온 실직자들을 안심시켰습니다. 문제는 너무 많은 육체노동자가 쏟아져 나오다 보니 임금이 무한정 깎여나간 것입니다. 당연히 생활이 되지 않을 정도로 임금이 떨어졌고 가뜩이나 대공황으로 움츠러든 시민들은 더 불안해졌습니다.

1931년 데이비스와 베이컨 두 의원이 발의해 미국 연방정부가 채택한 것이 바로 Prevailing Wage, 적정임금제도입니다. 처자식 먹여 살리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넥타이 풀고 강바닥에서 등짐을 지기로 결심한 시민들에게 걱정하지 말고 테네시 강에서 열심히 땀 흘려 일하라, 그럼 건설사가 임금을 깎지 못하도록 정부가 보장하겠다. 이것이 바로 미국 정부가 국민들과 한 새로운 거래, 바로 ‘뉴딜’입니다.

강바닥 파헤쳐 토목사업 일으킨 것이 뉴딜이 아니고 열심히 일하면 정부가 생활임금을 보장해주겠다고 한 것이 뉴딜 사업의 근본 개념입니다. 이후 적정임금 제도는 건설사들의 지속적인 반대에 몇몇 주는 폐지했지만 여전히 32개 주에서 지속되면서 미국 건설노동자들의 일자리를 좋다고 할 순 없을지 몰라도 나쁘지 않은 일자리로 지켜주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지난 2011년 고용노동부가 미국식 적정임금 제도를 도입하려 시도한 적이
있습니다. 결과는 대형 건설사들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혀 법제화는 무산됐습니다. 대형 건설사들이 왜 반대했는지 굳이 설명할 필요가 있을까요?

한가지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취재 과정에서 서울 강서구 마곡지구의 공공 임대 아파트 단지 공사비 설계 내역서를 입수할 수 있었습니다. 발주처인 SH공사가 입찰에 참여하는 건설사들에게 콘크리트 등 재료비는 얼마 정도 들 것이고, 노무비는 얼마 정도 들 것이니 이를 고려해 입찰하라는 일종의 공사 원가 지침서 같은 것입니다.

이 내역서를 보면 한 예로 15톤 덤프트럭 기사의 한 시간 노임을 23,804원으로 책정해 놓고 있습니다. 보통 하루 9시간 일하니 하루 일당으로 치면 21만 4천 원 정도 됩니다. 그런데 실제 덤프트럭 기사에게 확인한 하루 일당은 10만 원 정도였습니다.

z7(10)_99_20160121113009.jpg?type=w540

이쯤 되면 건설사가 서울시에서 노무비 명목으로 받아간 돈이 전부 얼마고 실제 지급한 돈은 얼마나 되는지 그 차액이 궁금해집니다. 그렇지만 이런 공사비 세부 내역은 모두 건설사들의 영업비밀이란 이유로 비공개 사항입니다.

z6(11)_99_20160121113009.jpg?type=w540

4대강 사업 때도 세부적인 공사비 내역은 모두 공개가 거부됐습니다. 민간 건설사들이야 그럴 수 있다 치더라도 정부가, 그것도 세금이 들어간 공공사업을 공사비가 제대로 쓰였는지 국민에게 공개할 수 없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우리에게 미국처럼 강제성 있는 적정임금 제도가 있다면 건설사가 덤프트럭 기사 일당을 21만 원 넘게 주겠다고 받아가서 실제론 10만 원만 주는 일은 벌어지지 않을 것입니다. 아니, 최소한 국민의 세금이 건설사들에게 바가지 쓰는 일은 막을 수 있지 않을까요?

추천 비추천

8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AD 삼성선물의 제로데이, 다른데랑 뭐가 달라? 운영자 24/06/18 - -
AD LS증권 해외선물 수수료 $2.49 할인 이벤트 운영자 24/01/01 - -
1257913 부갤에 직장생활의 주류는 없네 어쩌네 하시는 분이 계신데욬ㅋㅋㅋ 花老堂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04 283 1
1257910 서울집값 싸다 (포르투갈 썩다리 32평 8.5억) [3] Angewandte(58.142) 16.07.04 1158 0
1257908 마크 주커버그가 대단한건... [6] Angewandte(58.142) 16.07.04 484 6
1257907 나이먹을수록 왤케 무섭지 삶이란게 [1] (223.62) 16.07.04 226 1
1257905 분당에서 10년이상 살고있는 강남출신 3가지 부류.txt [17] Angewandte(58.142) 16.07.04 1401 28
1257903 풀뿌리민주주의가 원래 빨갱이들감투 채울려고 만든거지요 ㅇㅇ(27.100) 16.07.04 71 1
1257902 2018년 수서에 고속도로 연결 호재 [5] 갓수서(218.39) 16.07.04 557 0
1257899 향과 조망 그리고 구조, 우선순위는 ? (트리마제) [6] ㅇㅇ(114.199) 16.07.04 1004 0
1257898 틀린그림찾기 찾아봐라 [1] 135(223.62) 16.07.04 174 0
1257894 그 정치인은 앞뒤가 전혀 다른 가식적이고 권력욕이 강한 싸이코같음.. [5] 완전가식(35.0) 16.07.04 233 0
1257892 곧 졸업하는 좆대딩인데 청담동 집사고싶다 [10] ㅁㄴㅇㄹ(203.254) 16.07.04 410 0
1257889 일본 개헌은 징병 포함인거 같다. 미국이 몸사리면 일본과 연맹시 만주압박 [4] ㅁㄴㅇㄹ(61.109) 16.07.04 187 0
1257888 간단한업무 당일100이상 수익보장 드리머(125.135) 16.07.04 49 0
1257887 평촌의 인프라 [9] 브리핑게이(218.39) 16.07.04 804 9
1257885 경매친구들 카페 매니저 사기 횡령 기사 ㅇㅇ(175.211) 16.07.04 678 2
1257884 내집 8억인데 ㅍㅌㅊ냐 [1] ㅅㅅ(27.35) 16.07.04 226 0
1257883 재산 정리 해준다 [13] ㅇㅇ(211.108) 16.07.04 1823 17
1257880 성남에서 이재명같은 놈들이 날뛰는것도 ㅂㅂ(221.141) 16.07.04 149 1
1257876 삼성에서 이사람 재산도 궁굼 [2] ㅇㅇ(175.210) 16.07.04 280 0
1257874 친구 아부지가 육군 투스타이시라든데 [3] ㅇㅇ(24.114) 16.07.04 352 0
1257872 그러고보니 삼성 최지성 연봉이 ㅇㅇ(175.210) 16.07.04 185 0
1257871 나이사십 아직도 유연하다 ㅇㅇ(211.173) 16.07.04 102 0
1257870 사회적으로 1급공무원이면 어느정도 위치? [2] ㅇㅇ(24.114) 16.07.04 272 0
1257864 이학수 재산 이건희도 몰랐다고 하죠 [4] ㅇㅇ(223.62) 16.07.04 9107 5
1257863 공인중개사가 본인매물 수수료받으면 [1] ㅇㅇ(220.122) 16.07.04 354 0
1257861 부모님 소유 집에 세들어 살때도 월세를 드려야 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2] ㅂㅈㄷ(39.124) 16.07.04 234 0
1257860 건축 전공한 게이 있냐? [1] ㅇㅇ(114.199) 16.07.04 166 0
1257859 청담자이 21평 10억..36평 19억4천.. 실거래 이거 거품이다 [3] 11(175.196) 16.07.04 439 0
1257858 스타벅스는 커피만 쳐팔아서 시총 100조를 넘보네.. [3] qq(221.141) 16.07.04 308 1
1257856 월급세후370정도되는데 [1] 부루마블(117.111) 16.07.04 302 0
1257853 오늘 개통한 강남순환고속도로 타보고 왔다. 타보니 정말-------- [3] ㅇㅇ(194.150) 16.07.04 561 0
1257850 삼성얘기나와서.. [2] 부루마블(117.111) 16.07.04 336 0
1257849 썩다리 거주 인증 [3] 태왕사용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04 403 0
1257848 갭어쩌구 하니 생각난게 행복은 점이 아니라 선 ㄴr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04 128 0
1257844 투자시, 본인이 확신이 안서고 머리속으로 그려지는게 없다면 [1] 인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03 256 1
1257843 고정닉 팠습니다 [2] 29.8센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03 200 0
1257842 아크로비스타 갈 때마다 오싹한건 나만 그런거냐? [1] ㅇㅇ(223.33) 16.07.03 356 0
1257841 자꾸 강북, 경기도 뜨라는 새끼는 뭐하는 새끼? [2] ㅇㅇ(121.136) 16.07.03 153 2
1257840 서초동 주상복합 등기치려 합니다 [2] ㄴㅇㄹ(211.212) 16.07.03 220 0
1257839 힐러리도 '통상 빗장' 공약..거세지는 美 보호무역 광풍 ㅇㅇ(1.233) 16.07.03 102 0
1257836 그동안 거쳐간 자전거.. [13] 쌈딱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03 461 0
1257834 이거 주식 어떰? ㅇㅇ(1.229) 16.07.03 153 0
1257832 월 천만원 임대수익 [4] 늘보(1.227) 16.07.03 508 0
1257831 니들 잘생각해봐 한은이 이번 금리인하 두번하면 ㅇㅇ(1.233) 16.07.03 196 0
1257830 올해 초에 강남,서초,용산, 알짜 수익형 잡은 애들은 [1] ㅇㅇ(1.233) 16.07.03 306 2
1257829 청담자이 36평 실거래 19억 4천만원 ㄷㄷㄷ [16] 11(175.196) 16.07.03 675 4
1257827 강남,서초, 용산제외하고 수도권, 강북, 지방은 빨리 정리해라 [4] ㅇㅇ(1.233) 16.07.03 343 4
1257825 최근 일년간 자전거를 4000 km 정도 타고 있는데.. [18] 쌈딱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03 385 0
1257824 광교 한번 상가쪽 돌아보면 답이 나옴 [2] ㅎㅎ(202.30) 16.07.03 435 0
1257821 송도충들은 분당충, 잠신병자들 보다 더한놈들이다. [7] Sarb03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7.03 265 1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