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건설현장은 왜 청년 일자리의 무덤이 됐나?

ㅇㅇ(108.59) 2016.01.24 01:06:39
조회 582 추천 8 댓글 3

중소기업 말고도 청년들이 외면하는 또 하나의 일자리가 있습니다. 건설현장입니다. 힘들고 위험하고 거친, 그야말로 대표적인 3D 일자리죠. 우리나라뿐 아니라 다른 대부분 나라에서도 가진 것, 배운 것 없는 사람들이 찾는 마지막 노동 시장이 건설현장입니다.

힘들고 자칫 목숨을 잃을 수 있는 위험한 일이지만 8, 90년대 만해도 땀 흘려 열심히 일하면 가정을 꾸리고 자식들 교육 시킬 수 있는 그 정도 벌이가 되는 일자리였습니다. 그러나 요즘 건설현장에서 한국 사람 찾기는 쉽지 않습니다. 더욱이 젊은 한국인은 천연기념물 수준입니다.

힘들고 위험하기 때문만일까요? 미국이나 호주, 유럽엔 젊은 건설 기능인력들이 많은 걸 보면 단지 힘들고 위험해서 그런 건 아닐 것 같습니다. 땀 흘린 만큼 대가를 보상받지 못하니까 청년들이 오질 않는 거죠.

위험한 일, 힘든 일은 누구나 하기 싫어합니다. 그렇지만 누군가는 꼭 해야만 하는 일입니다. 내가 자동차 끌고 다닐 도로를 내가 직접 건설할 수는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내 자식들이 다닐 학교, 또 내가 살 집을 내가 직접 지을 수 없지만 학교와 도로, 집은 반드시 있어야 하잖습니까? 그럼 누군가는 나 대신 학교와 도로, 아파트를 건설해야 할 테고 나는 물론이고 누구나 하기 싫어하는 일이니만큼 그 일을 하는 사람에게 더 많은 대가를 지불해야 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합니다.

흔히 우리가 말하는 선진국들은 이런 누구나 꺼리는, 그렇지만 누군가는 반드시 해야 하는 힘들고 위험한 일을 하는 사람들에게 더 많은 땀의 대가를 지불하기로 사회적 합의를 본 것이고, 우리 사회는 그 대신 인건비가 싼 외국인 노동자들을 데려오는 것으로 사회적 합의를 봤습니다.

건설 기능 인력들의 노임은 1년에 두 번 발표되는 시중노임단가에 근거해 정해집니다. 목수의 하루 일당이 15만 2천 원입니다. 적지 않은 돈입니다. 그러나 이 시중노임 단가는 단지 참고용일 뿐입니다. 한번 생각해 보시죠. 만약 건설사 사장님 입장이라면 하루에 10만 원만 받아도 일하겠다는 중국, 필리핀, 베트남 노동자들이 지천인데, 15만 원 넘게 달라는 한국인이 있다면 쓰겠습니까?

뿐만 아니라 시중노임 단가는 경력이 30년 된 목수나 1년 된 목수나 똑같습니다. 그러니 건설현장의 노임은 오르려야 오를 수가 없는 구조가 돼버렸고, 그렇다 보니 청년들이 아무리 가진 것, 배운 것 없더라도 건설현장만큼은 찾지 않게 된 것입니다.

이 때문에 선진국 대부분은 노동문제와 이민문제를 연결해 정책을 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가 한국에서 기자로 일하는 것보다 공사판에서 등짐을 져도 좋으니 미국에서 살고 싶다고 미국 갈 수 있는 게 아니지 않습니까? 그건 미국 이민법이 허용하지를 않죠. 

영국 캠브리지 대학의 장하준 교수가 자주 예로 삼는 비유가 있습니다. 인도의 버스 기사와 스웨덴의 버스 기사 얘기. 버스 운전 실력으로만 놓고 보면 비포장도로에서 다른 차는 물론, 사람, 소까지 피해 운전해야 하는 인도의 버스 운전기사 실력이 월등히 나을 수 있을 겁니다. 그러나 임금으로 보면 스웨덴 버스 기사가 몇 배 높은 돈을 받습니다. 

스웨덴 버스회사 사장님 입장에서 봤을 땐 당연히 운전 실력이 뛰어난데도 낮은 임금을 줘도 되는 인도의 버스운전기사를 수입해 써야 할 겁니다. 그러나 그건 스웨덴 정부가 허용하질 않습니다. 자국의 하부 일자리 시장을 외국인과 직접 임금경쟁 시키는 나라는 선진국에선 찾아보기 힘듭니다.

그럼 선진국들 역시 건설현장은 마찬가지로 힘들고 위험한 일인데 어떻게 해서 자국의 청년들이 직업으로 택하게 만든 걸까요? 이 역시 중소기업의 문제와 마찬가지로 국가의 역할이 있느냐, 없느냐 문제였습니다.

미국의 경우를 한번 보겠습니다. 일단 미국 건설 근로자들의 임금 수준은 교사, 경찰관들과 비슷합니다. 힘들고 위험한 건 우리와 똑같지만, 열심히 땀 흘려 일하면 중산층 생활을 충분히 할 수 있는 소득입니다.

한국이나 미국이나 건설현장은 힘없는 노동자들이 모이는 곳이다 보니 임금이 부당하게 깎이기 쉽습니다. 대신 미국엔 Prevailing Wage 즉, 적정임금 제도라는 것이 있습니다.

z9(9)_99_20160121113009.jpg?type=w540

세금이 투입되는 공공 건설 사업의 경우 주 정부가 목수, 철근공, 미장공 등 각각의 건설 기능인력별로 시간당 임금을 설정해 놓고 이 임금을 건설사가 지급하는지까지도 주 정부가 감독하는 제도입니다. 만약 적정임금대로 지급하지 않을 경우 해당 건설사는 3년간 공공 건설 공사의 입찰 자격이 박탈됩니다.

z8(12)_99_20160121113009.jpg?type=w540

이 제도의 목적은 건설사가 공공건설에 참여할 때 인건비는 아예 손대지 못하게끔 못 박기 위해섭니다. 미국의 Prevailing Wage가 법제화된 것은 대공황 직후인 1931년입니다.

당시 실직한 수많은 화이트칼라 노동자들이 처자식을 먹여 살리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육체노동밖에 없었습니다. 미국 정부도 테네시 강을 개발하고 후버 댐을 건설하면서 쏟아져 나온 실직자들을 안심시켰습니다. 문제는 너무 많은 육체노동자가 쏟아져 나오다 보니 임금이 무한정 깎여나간 것입니다. 당연히 생활이 되지 않을 정도로 임금이 떨어졌고 가뜩이나 대공황으로 움츠러든 시민들은 더 불안해졌습니다.

1931년 데이비스와 베이컨 두 의원이 발의해 미국 연방정부가 채택한 것이 바로 Prevailing Wage, 적정임금제도입니다. 처자식 먹여 살리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넥타이 풀고 강바닥에서 등짐을 지기로 결심한 시민들에게 걱정하지 말고 테네시 강에서 열심히 땀 흘려 일하라, 그럼 건설사가 임금을 깎지 못하도록 정부가 보장하겠다. 이것이 바로 미국 정부가 국민들과 한 새로운 거래, 바로 ‘뉴딜’입니다.

강바닥 파헤쳐 토목사업 일으킨 것이 뉴딜이 아니고 열심히 일하면 정부가 생활임금을 보장해주겠다고 한 것이 뉴딜 사업의 근본 개념입니다. 이후 적정임금 제도는 건설사들의 지속적인 반대에 몇몇 주는 폐지했지만 여전히 32개 주에서 지속되면서 미국 건설노동자들의 일자리를 좋다고 할 순 없을지 몰라도 나쁘지 않은 일자리로 지켜주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지난 2011년 고용노동부가 미국식 적정임금 제도를 도입하려 시도한 적이
있습니다. 결과는 대형 건설사들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혀 법제화는 무산됐습니다. 대형 건설사들이 왜 반대했는지 굳이 설명할 필요가 있을까요?

한가지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취재 과정에서 서울 강서구 마곡지구의 공공 임대 아파트 단지 공사비 설계 내역서를 입수할 수 있었습니다. 발주처인 SH공사가 입찰에 참여하는 건설사들에게 콘크리트 등 재료비는 얼마 정도 들 것이고, 노무비는 얼마 정도 들 것이니 이를 고려해 입찰하라는 일종의 공사 원가 지침서 같은 것입니다.

이 내역서를 보면 한 예로 15톤 덤프트럭 기사의 한 시간 노임을 23,804원으로 책정해 놓고 있습니다. 보통 하루 9시간 일하니 하루 일당으로 치면 21만 4천 원 정도 됩니다. 그런데 실제 덤프트럭 기사에게 확인한 하루 일당은 10만 원 정도였습니다.

z7(10)_99_20160121113009.jpg?type=w540

이쯤 되면 건설사가 서울시에서 노무비 명목으로 받아간 돈이 전부 얼마고 실제 지급한 돈은 얼마나 되는지 그 차액이 궁금해집니다. 그렇지만 이런 공사비 세부 내역은 모두 건설사들의 영업비밀이란 이유로 비공개 사항입니다.

z6(11)_99_20160121113009.jpg?type=w540

4대강 사업 때도 세부적인 공사비 내역은 모두 공개가 거부됐습니다. 민간 건설사들이야 그럴 수 있다 치더라도 정부가, 그것도 세금이 들어간 공공사업을 공사비가 제대로 쓰였는지 국민에게 공개할 수 없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우리에게 미국처럼 강제성 있는 적정임금 제도가 있다면 건설사가 덤프트럭 기사 일당을 21만 원 넘게 주겠다고 받아가서 실제론 10만 원만 주는 일은 벌어지지 않을 것입니다. 아니, 최소한 국민의 세금이 건설사들에게 바가지 쓰는 일은 막을 수 있지 않을까요?

추천 비추천

8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AD LS증권 해외선물 수수료 $2.49 할인 이벤트 운영자 24/01/01 - -
AD [삼성선물]제로데이옵션 무료이벤트 운영자 24/06/03 - -
1237324 속상하다 시발 [1] ㅇㅇ(39.118) 16.06.09 134 1
1237321 국토부 마중물사업이라고 거나한 계획이있습니다.. ㅇㅇ(27.100) 16.06.09 165 0
1237320 대기업 정년이 65세라는게 사실?? [2] drake(223.62) 16.06.09 254 0
1237318 서울 및 광역시 스타벅스 매장수 류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6.09 136 1
1237317 강북개발이라는게 뭐 리모델링 하자는거 아닌가요? [9] ㅇㅇ(27.100) 16.06.09 275 1
1237316 지금 춘천,세종,대전,인천 아파트 사는건 자살행위냐?? [7] ㅋㅋㅋ(61.38) 16.06.09 440 0
1237315 근데 순경은 경찰 아님? ㄴㄴㄴㄴ(116.121) 16.06.09 74 0
1237313 제주2공항부지에 묘가 3천기는 있다는군요 ㅇㅇ(27.100) 16.06.09 131 0
1237310 중랑구에 대단지생기면 최소 6.5억이상부터 시작할껄? [6] ㅇㅇ(175.223) 16.06.09 346 2
1237309 *********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강남 모두 큰일났다. 비상(91.109) 16.06.09 334 13
1237308 송도의 아파트 값 상승을 방해하는건 다름아닌 인천시와 유정복이지 ㅇㅇ(119.197) 16.06.09 117 1
1237306 불법 월 500 vs 대기업 월300 [7] ㅇㅇ(175.223) 16.06.09 226 0
1237305 그럼 결론적으로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는 [10] 잠실누나(175.223) 16.06.09 534 3
1237304 양재천밑으로 4,5천만평 재개발재건축되면 [2] ㅇㅇ(27.100) 16.06.09 248 0
1237303 중랑구가 택지 구획만 제대로 되있다면 좋았을텐데 [3] ㄹㄹ(223.62) 16.06.09 212 0
1237302 첼리투스처럼 돈 더 낼 돈도 없는분들이 무슨 ㅇㅇ(27.100) 16.06.09 269 0
1237301 개포의 라이징과 금리인하 초과수익환수 리스크를 예측한 촉으로본 중대형 [2] ㅇㅇ(119.197) 16.06.09 247 1
1237300 개포3단지 평균분양가 4500에 분양한단다 [3] 로또(211.36) 16.06.09 368 4
1237298 경부선 지하화 되고 금천 존나 오른다 [1] ㅇㅇ(223.62) 16.06.09 175 0
1237295 그러고보니 동대문 두타같은데는 요즘 상인들은 있냐? [1] dd(175.194) 16.06.09 130 0
1237294 금천구가 유망하다 [10] (182.231) 16.06.09 656 3
1237293 솔베뉴 아팟이름 이었네 ㅇㅇ(211.36) 16.06.09 308 0
1237292 개래블 지금 p가 얼마나 됨?? ㅎㅎ(223.33) 16.06.09 80 0
1237291 부영 실거주는 별로임? ㅇㅇ(39.7) 16.06.09 54 0
1237290 송도는 중국 재벌들이 탐내는 곳이다!!! [1] ㅇㅇ(119.197) 16.06.09 149 2
1237288 형님들 대출/ 전세 등 조언 좀... 치킨내놔(58.87) 16.06.09 29 0
1237287 금리인하해서 기분조아 입갤했다. 중대형의 향방풀어주마 [7] 내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6.09 701 4
1237286 한은 전격 금리인하와 재건축이익환수제에 강남 최대 수혜지역을 알아보자 [3] ㅇㅇ(119.197) 16.06.09 359 1
1237285 재건축이익환수제 시행하면 떨어진다? [1] @@@@@@(112.186) 16.06.09 97 0
1237283 김연아 사는동네 [6] ㅇㅇ(122.34) 16.06.09 745 1
1237282 간단한업무 당일100이상 수익보장 소라(117.111) 16.06.09 31 0
1237281 어제 밀착카메라 임대아파트 차별보고나서 [11] ㅇㅇ(49.170) 16.06.09 1931 31
1237278 개포 보고만 있기 답답해서 가장 정확하게 얘기하마. [14] (5.254) 16.06.09 1208 28
1237277 맨날 아팟아팟 존나 재미없게 산다 부갤의 현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6.09 85 0
1237276 아오마메형 사보이시티에 맥도날드 들어온다는거 사실이야? 11맨(121.131) 16.06.09 57 0
1237275 직접평면비교 분당56평형=송도45평형 [19] 송도마천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6.09 522 3
1237274 재건축 이익환수제 겁낼 필요가 없는 이유 [6] ㅇㅇ(223.62) 16.06.09 766 16
1237273 묵히면 돈 될곳 아는데 [3] 부갤의 현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6.09 328 0
1237272 간단한업무 당일100이상 수익보장 소라(117.111) 16.06.09 29 0
1237270 포스코가 동계올림픽에 맞춰 송도~삼성동~강릉 철도 사업 [4] ㅇㅇ(175.223) 16.06.09 383 1
1237268 고덕 젊은층 백이면백 돈모아서 잠실 가고 싶다함 [4] ㅎㅎ(175.223) 16.06.09 330 4
1237262 5호선은 둘중 하나는 지선화 해야할듯 하다. [3] 꿈돌이(221.149) 16.06.09 377 5
1237258 송도 망했다더니 중국/홍콩에서 투자 한다네? [18] ㅇㅇ(175.223) 16.06.09 401 1
1237253 동북아 허브 송도의 국제적인 입지- G타워(175.223) 16.06.09 119 0
1237250 실제 분당 30평은 송도 20평, 분당40평대는 송도 30평수준의 면적임 [2] 송도마천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6.09 362 0
1237248 간단한업무 당일100이상 수익보장 소라(117.111) 16.06.09 35 0
1237247 테크노마트의 위엄 [2] 123(211.208) 16.06.09 297 1
1237245 미사는 좀 애~~~~~~매~~~~~~~~~하다. [2] 꿈돌이(221.149) 16.06.09 317 0
1237244 대한민국 No.1 국제 신항이 될 송도 골든하버 조감도 [2] ㅇㅇ(175.223) 16.06.09 379 4
1237241 점점 부동산양극화가 심해지는 듯 (116.34) 16.06.09 210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