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세계 500大 기업, 中 0→37개 韓 9→4개

ㅇㅇ(211.241) 2015.12.04 13:10:32
조회 196 추천 0 댓글 0

<!--// 언론사 & 기재일 --> <!-- 기사 상단 요점 --> <!-- 기사본문 -->

['FT 글로벌 500대 기업' 한국, 10년만에 최저]

삼성전자·현대車·하이닉스·한전뿐 - SKT 등 안방 안주, 순위 못들어

中, 日 제치고 美 이어 2위 도약 - 천연가스공사·공상銀 톱10 랭크

"한국 기업들 조직 노화 못막으면 설 곳 없어"

2015120304135_0_99_20151204030709.jpg?type=w540

국내 최대 통신사인 SK텔레콤은 10년 전만 해도 세계 어디에 내놔도 뒤지지 않는 우량 대기업이었다. 2005년 SK텔레콤은 매출 10조원에 2조6000억원의 영업이익을 냈고, 시가총액은 160억달러로 전 세계 모든 기업을 통틀어 427위에 올랐다. 일본 소프트뱅크(시가총액 335위)에 비하면 시가총액은 약간 적었지만, 기업 재무 상태는 훨씬 양호했다. 같은 해 소프트뱅크는 매출 8370억엔(한화 8조1000억원)에 영업이익은 254억엔(2400억원) 적자를 냈다.

10년이 지난 지금, 두 회사의 처지는 크게 바뀌었다. SK텔레콤이 국내 시장에 안주하는 사이, 소프트뱅크는 미국 이동통신사 스프린트를 인수하고 중국 알리바바를 발굴하는 등 과감한 투자를 했다. 그 결과 SK텔레콤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1조8000억원으로 오히려 후퇴했다. 반면 소프트뱅크는 지난해 매출 8조6720억엔(한화 82조원), 이익 6684억엔(한화 6조3500억원)으로 눈부신 성장을 했다. 이런 경영 성과는 고스란히 주가에 반영돼 글로벌 기업 시가총액 순위에서 소프트뱅크는 128위까지 약진했지만 SK텔레콤은 500대 기업 밖으로 물러났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기업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매년 발표하는 '글로벌 500대 기업'은 전 세계 수많은 기업 중 최고 기업의 상징이다. 그런데 이 리스트에 이름을 올리는 한국 기업 숫자가 2001년 이래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 세계 기업을 상대로 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춘 기업 수가 점점 줄어들고 있는 것이다.

글로벌 500대 기업서 밀려나는 한국, 약진하는 미국·중국

'FT 글로벌 500'을 본지가 분석한 결과, 올해 이 리스트에 포함된 한국 기업은 삼성전자, 현대차, SK하이닉스, 한국전력 4개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4개를 기록했던 지난 2001년 이후 최저치다. FT 500에 포함된 한국 기업 수는 2006년과 2009년 9개로 고점을 찍은 뒤 감소 추세를 보여왔다. 'FT 글로벌 500'은 전 세계 시가총액 상위 500개 기업 순위를 집계한 것이다.

같은 기간 중국 기업의 역주(力走)와 미국의 재기(再起)가 두드러진다. 2007년 8개 기업을 해당 순위에 올리면서 랭킹에 나타난 중국은 올해 37개를 기록, 일본을 제치고 미국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특히 중국석유천연가스공사, 중국공상은행은 올해 2분기 시가총액 기준 각각 전 세계 6위, 7위에 올랐다. 2005년 500대 기업 중 절반가량을 차지했던 미국 기업들은 2011년 160개로 최저점을 찍은 뒤 올해는 209개를 기록했다.

2015120304135_1_99_20151204030709.jpg?type=w540

우리 기업들이 500대 글로벌 기업 순위에서 밀려나는 가장 큰 이유는 국내시장에 안주해 해외시장과 새로운 사업 분야 개척에 소홀했기 때문이다. 금융사들이 대표적이다. 국민은행은 2005년에만 해도 시가총액 198억달러로 전 세계 은행 중 56번째, 모든 기업을 통틀어 328번째로 큰 기업이었다. 이때 싱가포르 DBS은행은 시가총액 140억달러로 겨우 500대 기업에 턱걸이했다. 하지만 10년이 지난 지금 두 은행의 상황은 역전됐다. 국민은행의 시가총액은 30% 이상 감소한 반면, DBS은행은 2.6배 불어나며 303위로 약진했다. DBS는 자국의 작은 시장에 안주하지 않고 동남아 등지로 진출해 지난해 해외에서만 3조원 이상을 벌어들였다. 반면 국민은행이 해외에서 벌어들인 돈은 500억원도 안 됐다.

한국 기업 고령화 가속… 역동성도 떨어져

순위에 오르는 기업이 자주 바뀌는 미국 등과 달리 한국 기업이 새로 순위에 들어오는 경우도 적다. 국내 기업 중 지난 10년 동안 FT500에 포함된 추가로 포함된 기업은 SK하이닉스뿐이다. 반면 지난 10년 동안 FT500에 포함된 미국 기업들은 큰 폭으로 변했다. 특히 FT500 내 미국 기업 톱20은 전체의 40%가 바뀌었다.

애플, 구글, 버라이즌커뮤니케이션스, 오라클, 페이스북, 월트디즈니, 아마존닷컴, AT&T 등 8개 기업이 지난 10년간 FT500 내 미국 기업 톱20 자리를 하나씩 차지했다. 일본도 소프트뱅크, 통신업체 KDDI, 로봇업체 화낙, 유니클로의 지주회사인 패스트리테일링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 8개가 10년 동안 상위 20개 기업에 편입됐다.

독일의 경우 자국 시가총액 기준 10위권이었던 제약사 바이엘이 2위, 15위권이었던 폴크스바겐이 1위에 등극했고, 생활산업용품 기업 헨켈 등 5개 기업이 새로 랭킹에 포함됐다.

우리 기업 생태계의 역동성이 떨어지고 있다는 증거는 기업의 나이에서도 드러난다. LG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주식시장에 상장된 기업들의 평균연령은 2005년 32.9세에서 올해 37.8세로 높아졌다.

LG경제연구원 강승훈 책임연구원은 “젊은 혁신 기업들이 새로운 사업 모델로 세계시장을 흔들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 기업들이 조직의 노화를 막지 못해 혁신과 변화의 의지를 잃게 된다면 더 이상 설 곳이 없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AD 삼성선물의 제로데이, 다른데랑 뭐가 달라? 운영자 24/06/18 - -
AD LS증권 해외선물 수수료 $2.49 할인 이벤트 운영자 24/01/01 - -
공지 부동산 갤러리 이용 안내 [310] 운영자 05.05.27 454153 916
7260848 일하는거 일주일에 한번 다른지점으로 확정됨 엣지누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9 6 0
7260847 요즘 한국여자 트렌드 123번뇌왕2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8 8 0
7260846 “차곡차곡 돈 모으는 시대 지났다” 은행 적금의 몰락…‘한 방’ 노리는 ㅇㅇ(211.36) 09:27 19 0
7260845 무주택혜택이 이렇게 좋은 나라인데 부갤러(175.119) 09:27 8 0
7260844 업계종사자들의 숨은 꿀정보 ㅇㅇㅇㅇ(121.154) 09:26 6 0
7260843 복지부가 젊은 전공의들 뒷통수나 때리고 ㅇㅇ(121.138) 09:26 10 0
7260842 집 두채면 임신해도 혜택 못 받네 [1] 프로건전투자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6 13 0
7260841 달러도 폭락하고 주식도 폭락할건데 [1] 부갤러(39.7) 09:25 14 0
7260840 이 사람 말이 구구절절 다 맞음 [1] 부갤러(175.119) 09:24 28 0
7260839 집값은 올라 내려가는 매물에는 원래 관심이 없어 [1] ㅇㅇ(117.111) 09:24 17 1
7260838 8억이상 돈을 주고 왜 조센 아파트를 삼?? [2] 부갤러(126.237) 09:23 33 1
7260837 달러자산이 거의 없는 무주택 폭락이가 최악입니다 ㅇㅇ(118.235) 09:23 13 0
7260836 울나라 천연가스는 나오는구나 부갤러(211.238) 09:21 24 2
7260835 우리 영꾸리선생님들의 유니크한 사고방식 ㅇㅇ(49.166) 09:21 16 1
7260834 한국판 AV 본인 작품 리뷰하는 여배우.jpg ㅇㅇ(116.32) 09:20 18 0
7260833 이태원 참사 원인은 ‘대통령실 용산 이전’에 있었다 [1] 부갤러(106.101) 09:20 28 0
7260832 부동산 폭락이 어니라 임금폭락이 가다리고 있어요 ㅇㅇ(118.235) 09:19 28 1
7260831 오늘도 견딥니다...... [1] 해쏴리(211.234) 09:19 36 0
7260830 안락사합법화 기본소득 언제 시행되냐 [1] 부갤러(39.117) 09:17 19 0
7260829 석유 나오면 거의 TK세금으로 들어감 비약적인 발전 할듯 ㅇㅇ(211.235) 09:17 27 0
7260828 돈 찍어내서 집값 오른다는 멍청이들 [4] ㅇㅇ(221.154) 09:16 60 2
7260827 이태원참사때 존나웃긴점. ㅇㅇ(218.54) 09:16 16 0
7260826 전세 4억인데 시벌 5.5 달란다. [4] ㅇㅇ(223.62) 09:16 38 0
7260825 ** 미국이 불법이민자 내쫒고 + 미국 대학졸업자만 뽑아가면 [1] ㅇㅇ(1.233) 09:15 27 1
7260824 세계도시순위 종합해서 알려주셈 ㅇㅇ ㅇㅇ(218.54) 09:15 14 0
7260823 병역필하고 세금도 철저히 다낸 중상층이었는데 ㅇㅇ(118.235) 09:14 20 1
7260822 미국도 한국도 부동산으로 탐욕부리다 쳐망함 [1] 부갤러(59.12) 09:13 26 0
7260821 광장 극동아파트 1,2차 통합재건축 사업성 분석 카기(39.125) 09:12 21 0
7260820 중상층 세금이 80%라 망해가는 것 ㅇㅇ(118.235) 09:10 34 0
7260818 한국 좌파들이 원하는건 미군철수하고 나라 망하는거다 부갤러(59.12) 09:10 17 0
7260817 중공에 포섭된 한국 좌파들이 윤석열 바보만든건 부갤러(59.12) 09:08 20 0
7260816 누가 나라를 망쳤는지도 판단못하는 능지의 국민이면 가난하게 살아야해 부갤러(112.153) 09:07 44 0
7260815 세계도시순위 종합해서 알려주셈 ㅇㅇ [1] ㅇㅇ(218.54) 09:07 23 0
7260813 `해외 탈출` 한국 부자들, 세계 4번째로 많다 [30] ㅇㅇ(158.255) 09:07 203 13
7260814 라도 윤규근 총경은 살자시킨 구하라 언니 살려내라!! ㅇㅇ(223.62) 09:07 23 0
7260811 지금 국제 정세상 집을 살때가 아님 부갤러(59.12) 09:06 27 0
7260810 절라디언 홍어 버러지 새끼들 ㅋ 홍어극혐(58.29) 09:06 19 0
7260809 서울 주거용 부동산 사는 건 나름 괜찮은 차선임 ㅇㅇ(118.235) 09:06 30 0
7260808 저출산대비 외국인 수입은 이미 시작되었다 퐁퐁락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5 30 1
7260807 헬리오시티 학령인구 67% 증가…재건축·대단지 학교 신설 갈등 ㅇㅇ(211.36) 09:05 29 0
7260806 네이버에 시발 허위매물 왜케 많음? 부갤러(220.118) 09:05 25 0
7260804 ** 여러분들도 오피의제왕 <- 이사람이 하는식으로 ㅇㅇ(1.233) 09:04 31 0
7260802 러브버그 [2] 부갤러(59.17) 09:03 41 0
7260801 거시경제 전문가가 볼때 지금 집값이 문제가 아님 부갤러(59.12) 09:03 26 0
7260800 사실상 미국의 달러살포는 끝난거나 진배없다 부갤러(59.12) 09:02 38 0
7260799 영끌이들 5억 3프로 10년이면 갚으면 되잖아? [2] ㅇㅇ(223.62) 09:01 52 4
7260798 미국 보복 관세를 이따구로 무력화 시키냐 [2] 야스이 센타치(212.102) 09:01 42 0
7260796 부동산이 오르는 근본적인 이유 알려줌 [1] ㅇㅇ하하하아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59 49 0
7260795 달러패권을 지키기 위해서 한미일동맹이 필요한거고 [1] 부갤러(59.12) 08:59 27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