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파 크라이 6, 장점은 유비소프트 단점도 유비소프트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10.13 19:39:17
조회 1478 추천 1 댓글 7
🔼 '파 크라이 6' 대기 화면 (사진: 게임메카 촬영)

[게임메카=이재오 기자] 유비소프트 게임은 장단이 명확하다. 뛰어난 그래픽과 영상미, 정확한 고증에 바탕을 둔 세계관 묘사와 인상적인 인물 및 악당들은 유비소프트 게임의 고유한 장점이다. 하지만 후반부로 갈수록 동력을 잃는 용두사미식 스토리나, 넓기만 하고 밀도 없이 수집 요소만 즐비한 오픈월드는 좀처럼 나아지지 않는 유비소프트의 단점이다.

파 크라이 6에도 이 장단점은 그대로 구현돼 있다. 시리즈의 특징을 잃지 않으면서 흔히 보았던 유비식 오픈월드가 접목되다 보니 장점도 단점도 유비소프트의 전통을 그대로 가져왔다. 기본적으로 파 크라이 특유의 매력은 잘 녹아들어 있어 시리즈에 애착이 있는 팬이라면 재밌게 즐길 수 있다. 하지만 파 크라이 시리즈에 대한 애착이 없고 최근 계속된 유비식 오픈월드에 질린 유저라면 이 게임은 절대 매력적으로 다가오지 않을 것이다.

🔼 '파 크라이 6' 공식 트레일러 (영상출처: 유비소프트 공식 유튜브)

반드시 만나야 했던 게릴라와 파 크라이

위에서 말했듯 파 크라이 6는 시리즈가 자랑하는 특징들이 게임에 아주 잘 스며들어 있다. 본작의 주인공 '다니 로하스'는 자유를 찾아 독재국가인 야라를 떠나려 했으나, 조연들의 희생을 통해 난데없이 게릴라 반군인 리베르타드에 흘러 들어가게 되고 자의 반, 타의 반으로 야라 정권 타도를 위해 활동하게 된다. 외딴 오지에 떨어진 주인공이 제목대로 외부와 단절된 상황속에서 생존하는 내용이 그대로 담겨 있는 셈이다.

매력적인 악당도 마찬가지다. 이번 작품의 빌런인 '안톤 카스티요'는 화려한 필모그래피를 자랑하는 배우의 열연에 힘입어 무척이나 현실적이면서도 카리스마 있는 독재자의 풍모를 보여준다. 이제 막 청소년기를 맞이한 아들의 권력 승계와 교육을 위해 눈앞에서 혁명군을 비롯 평범한 시민들을 총과 칼로 죽이는데, 이는 곧 공포와 억압으로 점철된 그의 정치관과도 연결된다. 특히 지병으로 인해 언제 죽을지 모르는 상황에 놓여있다는 설정 덕분인지, 타인을 비롯해 자신의 죽음 앞에서도 냉정하고 초연한 모습을 보여주며 플레이어 몸에 전율을 일으킨다.

🔼 파 크라이를 대표하는 ㄷ고 하나의 악역이 등장했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 게릴라라는 요소는 파 크라이와 꼭 만나야만 했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약물이라는 요소 또한 그 어느 때보다 자연스럽게 세계관에 녹아 있다. 게임 속 가상의 국가인 야라의 주 수입원은 암의 진행을 늦출 수 있다고 알려진 '비비로'라는 식물이다. 이 식물을 재배하는 과정에서 독가스를 살포해 그로 인해 수많은 사람들이 죽게 됐는데, 이로 인해 반군이 결성됐고, 주인공 또한 이 인력 차출을 피해 도망치던 중에 반군에 가담하게 된다. 주인공에게 비비로 주요 차출 대상인 고아라는 설정을 적용해 반군 합류에 당위성을 부여한 점이 특히 인상 깊다.

게릴라라는 테마에 맞게 이번 작품은 중남미, 그중에서도 쿠바에서 많은 모티브를 가져온 티가 난다. 빨강과 파랑 위주로 구성된 마을과 차량 색깔부터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라틴음악, 주민들의 생활상과 동식물의 식생까지 모두 중남미의 그것과 닮았다. 다만, 재밌는 부분은 공산주의를 옹호하지 않으려는 제작진의 의지도 곳곳에 투영돼 있다는 점이다. 독재자 안톤 카스티요는 어디까지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인물이며, 혁명군 리더인 클라라 또한 혁명 이후의 민주 정부를 구상하고 있다. 그래서일까? 작중 등장하는 게릴라군을 상징하는 색깔은 쿠바 공산당을 상징하는 붉은색이 아니라 푸른색이며, 반대로 정부군이 붉은색을 하고 있다.

🔼 이번 작품에 등장하는 약물은 '비비로'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 주인공 다니 로하스의 성별은 언제나 그렇듯 남과 여 모두 선택이 가능하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탱크도 터뜨리는 유도 폭죽 발사기

전투는 전작들의 좋은 점만 골라 잘 조합한 뒤 새로운 시스템 몇 개를 추가해 참신함을 추구했다. 일단 시리즈 내내 등장했던 차량, 공중, 연쇄, 투검 제압이 복귀됐다. 제압 모션도 지루하다는 평가를 받았던 전작에 비해 훨씬 간결하고 호쾌하게 바뀌어서 말 그대로 플레이의 다양성과 속도감이 모두 크게 상승했다. 무엇보다 5편에선 스킬을 업그레이드해야지만 사용 가능했던 윙슈트나 각종 제압기가 풀림에 따라 3편이나 4편에서 고수들이 사용하던 속도감 넘치는 플레이가 가능해진 점이 아주 매력적으로 다가온다.

더불어 스킬과 레벨링 시스템이 사라진 대신, 무기 등급 및 업그레이드가 더욱 강화됐다. 전작은 레벨이 낮으면 무슨 수를 써도 적의 보호구를 뚫을 수 없었으나, 레벨이 없어지면서 다소 강한 적이라도 헤드샷이나 연발 공격으로 적을 제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무기 등급 및 업그레이드 시스템은 어쌔신 크리드 오리진 및 발할라와 마찬가지로 어떤 지역을 공략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정표 역할을 하기도 한다. 지역을 돌아다니고 퀘스트를 깨며 강한 무기를 얻으면 더 강한 적들이 있는 지역도 점령할 수 있게 되는 식이다. 자유도를 해치지 않는 선에서 레벨 디자인을 영리하게 구사했다고 이해할 수 있다.

🔼 일단 무기는 전작의 장점은 뽑고 단점은 없애는 식으로 바뀌었는데 (사진: 게임메카 촬영)

🔼 하수구 밸브를 이용해 만든 게릴라들의 스코프가 인간적이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 비행기랑 (사진: 게임메카 촬영)

🔼 탱크에 (사진: 게임메카 촬영)

🔼 말도 추가됐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가장 훌륭한 부분은 사용가능한 무기가 매우 다양해졌다는 점이다. 기본적인 총기도 정말 많이 등장하는 와중에 게릴라군 만의 무기 '레솔베르'가 추가되면서 전투의 재미가 한층 배가됐다. 특히 레솔베르 무기의 경우 벽을 관통해서 적을 맞출 수 있는 무기부터, 바이크 엔진을 사용한 개틀링 기관총, 폭죽 다발을 발사하는 폭죽 발사기 등 개성 넘치는 것들이 많다. 심지어 모든 무기들은 소음기 장착이나 폭발 탄약 같은 기본적인 업그레이드 외에도 폭죽 유도기능 추가처럼 극적인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여기에 또 한층 전투의 재미와 능동성을 더해주는 녀석이 추가됐으니, 바로 수프레모 가방이다. 수프레모 가방은 오버워치의 궁극기처럼 활용할 수 있는 무기로, 유도 로켓을 발사하는 가방부터, EMP로 탱크나 보안장치를 박살 낼 수 있는 가방까지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몇몇 가방은 2단 점프나 벽 투시 등 다양한 보조 기능을 제공해 주기도 하며, 게임 진행 중 실시간으로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 입맛에 맞는 전투를 펼칠 수 있게 도와준다.

이 밖에도 사라진 동료 시스템을 대신해 전투에 소소하지만 적잖은 도움을 주는 아미고 시스템 또한 전투 자체의 재미를 늘려주는 부분이다.

🔼 소소하다고 표현하긴 했으나 (사진: 게임메카 촬영)

🔼 이 귀여움은 전혀 소소하지 않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 참고로 파 크라이 3 외전에 등장했던 총과 장비도 특전으로 구입할 수 있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발목을 잡는 건 뻔한 기시감

파 크라이 6는 분명 전작에 비해서 분명 발전한 게임성을 자랑한다. 하지만, 결국엔 유비식 오픈월드의 한계를 뛰어넘지는 못하고 있다. 파 크라이 시리즈를 경험해보지 못한 사람이 이번 작품을 냉정하고 강하게 비판한다면, 어쌔신 크리드 발할라를 근현대 배경의 FPS로 변환한 수준 그 이상 이하도 아니라고 할 법하다.

하나하나 톺아보자면 탑을 올라가서 맵과 주변을 밝히는 게 없을 뿐, 결국 어떤 거점이나 미션을 해결하기 위해선 고지대로 올라가 적들을 스캔하고 마킹해야 한다. 더불어 원버튼으로 적을 암살하는 부분과 이 암살을 잘만 활용하면 어지간한 거점은 순식간에 점령할 수 있다는 점 또한 어쌔신 크리드 시리즈와 같다. 강한 적과는 박진감 넘치는 일기토를 반드시 치러야 했던 어쌔신 크리드 발할라와 비교하면 파 크라이 6의 전투는 오히려 지나치게 간결하고 심심하게 다가온다.

🔼 결국 높은 곳에 올라가서 (사진: 게임메카 촬영)

🔼 적진을 스캔한 다음 (사진: 게임메카 촬영)

🔼 미션을 진행해야 한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 이 친구는 너무 자주 보여서 탈이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게릴라의 혁명 전술인 ‘포코 이론’을 본떠 만들었다는 게임 내 거점 점령 시스템도 사실상 유비소프트 특유의 하우징을 변형한 것에 불과하다. 오히려 각 지역의 유지를 도와주고 게릴라로 포섭한 뒤 정부군을 고립시킨다는 게임의 큰 줄기야말로 지역 사회와 유대감을 쌓아서 자연스럽게 게릴라군의 영향력을 넓힌다는 ‘포코 이론’에 더욱 잘 부합한다. 이렇게 게임을 진행하는 족족 기시감이 느껴지고 이 부분이 시종일관 게임의 평가를 깎아 먹는다.

이런 기시감은 분명 좋게 작용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파 크라이 시리즈의 특징들을 잘 변주한 것들도 기시감을 잘 활용한 예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읊었던 다른 유비소프트 오픈 월드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구성과 요소는 누가 뭐래도 안 좋은 의미의 데자뷔다. 오죽했으면, 미니 게임에 불과한 투계가 이 게임에서 가장 참신한 부분이라는 농담이 통용될 정도다.

🔼 닭싸움의 완성도는 생각보다 굉장했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 거짓말 안하고 게임 내에서 가장 새롭게 다가온 부분이었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더불어 게임의 마감도 고르지 못하다. 우선 게임 진행을 방해하는 버그가 상당히 많다. 제한 시간 내에 NPC를 따라가 특정 구역을 탈출해야 하는데 그 NPC가 우왕좌왕한다던가, 탱크가 투명해져서 보이질 않는 등 치명적인 버그가 산재해있다. 한국어 번역도 엉망이다. 오역도 많으며, 스페인어를 번역하지 않고 음차하는 등 스토리 이해를 방해하는 부분들이 너무 많다. 이마저도 유비소프트 게임에서 자주 볼 수 있던 오류라는 것이 소름 돋을 지경이다.

🔼 말을 탔는데 말이 없어졌어요 (사진: 게임메카 촬영)

🔼 탱크와 NPC 모두 길을 못찾고 대치 중인 상황 (사진: 게임메카 촬영)

유적유, 유비소프트의 적은 유비소프트

위에서 말했듯이 파 크라이 6는 시쳇말로 '유비가 유비한 게임'이라고 정리할 수 있다. 사람에 따라선 2시간에 걸친 초반 튜토리얼 구간만 해도 스토리를 제외한 게임의 모든 요소를 파악할 수 있을 만큼 유비소프트의 작법이 그대로 투영돼 있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적어도 파 크라이 시리즈 특유의 재미는 놓치지 않고 잘 소화했다는 것이며, 전작들에서 비판받은 요소는 과감하게 포기하거나 더 좋게 발전시킨 부분도 칭찬할 만하다. 하지만, 그게 이 게임을 필구해야 할 이유가 되기엔 아무래도 아쉬움이 남는다. 어쩌면 유비소프트의 적은 유비소프트가 아닐까?

🔼 유비소프트의 적은 유비소프트였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Copyright © GameMeca All rights reserved.]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4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4750 크래프톤 3분기 매출 5,000억 돌파, 전년 比 42% ↑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1 617 0
4749 엔씨소프트 보유 현금 2.2조, 적극 M&A 나선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1 502 0
4748 롤 공식 설정과 다른 ‘아케인’ 이야기, 정사로 편입된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1 830 0
4747 강제적 셧다운제 폐지법, 국회 본회의 통과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1 820 0
4746 관객과 평단 모두 호평 일색, 롤 애니 '아케인' 연일 화제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1 470 0
4745 청소년도 예외 없다, 지스타 입장 방역수칙 최종안 발표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1 1156 0
4744 자체 코인도 준비 중, 엔씨 NFT 게임 내년 공개한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1 2489 0
4743 사막화 된 도쿄에서 악마와 싸워라, 진 여신전생 5 출시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1 576 0
4742 엔씨소프트 리니지W, 일 평균 매출 120억 원 기록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1 259 0
4741 [오늘의 스팀] 사전 플레이 D-1, 배필 2042 장전 완료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1 657 0
4740 액션스퀘어 기대작 앤빌, 12월 2일 앞서 해보기로 출시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1 402 0
4739 블소2 부진에 리니지도 하락, 엔씨 3분기 영업익 56% 감소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1 454 0
4738 선데이토즈 3분기 매출 278억, 전년 동기 대비 4.9%↑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1 178 0
4737 드디어 D-day, 배그: 뉴 스테이트 11일 오후 1시 전격 출시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1 290 0
4736 8명 모두가 우승 후보, SWC 2021 미리보기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1 123 0
4735 쿠팡 공식 광고에 '펌프' 표절 미니게임기가 등장했다 [10]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1 1915 3
4734 엘든 링 사전 체험기, 전투는 다크 소울인데 세계가 야숨 [53]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1 6886 13
4733 스카이림, LE나 SE에서 AE로 갈아타는 게 맞을까?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0 1117 0
4732 [포토] 메이플스토리 캐릭터가 스타필드 하남에 '떴다' [1]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0 671 0
4731 [순위분석] 롤 잡고 1위 기록한 디아블로 2의 고민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0 1795 0
4730 롤 IP 신작 리듬 러너게임 '마법공학 아수라장' 17일 출시 [18]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0 2534 2
4729 펄어비스, 도깨비에 NFT 등 블록체인 적용 검토 중 [1]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0 3413 0
4728 게임빌, 겜프야 신버전 포함 블록체인 게임 다수 선보인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0 642 0
4727 게임 실적 감소했지만 투자 성과, 게임빌 3분기 매출 34% ↑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0 339 0
4726 검은사막 하향 안정세, 펄어비스 3분기 매출 18.5% ↓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0 544 0
4725 NFT·플레이 투 언 게임이 대세라던데, 대체 무슨 얘기죠? [3]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10 1977 2
4724 '디아블로 이모탈' 비공개 테스트, 한국에선 25일 시작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9 919 0
4723 새 애니메이션 엔진 도입, 풋볼 매니저 2022 정식 출시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9 192 0
4722 [겜ㅊㅊ] 엘든 링 영접 준비하자, 손 풀기용 소울라이크 6선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9 1653 0
4721 기대작 데모 체험장, 스팀 넥스트 페스트 내년 2월 열린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9 172 0
4720 넥슨, 3분기 韓 매출 20% 줄고中 매출 45% 늘었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9 346 0
4719 아케인, 오징어게임 꺾고 넷플릭스 TV쇼 부문 전 세계 1위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9 943 0
4718 블루 아카이브, ‘덕력’ 넘치는 학원 도시로 떠나보자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9 6875 0
4717 게스의 부활? 매스 이펙트 차기작 티저 이미지 공개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9 339 0
4716 [오늘의 스팀] 레이싱과 스포츠시뮬 최강자, 스팀 차트 장악 [3]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9 2232 1
4715 덕력 폭발 '블루 아카이브' 한국 포함 237개국 정식 출시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9 2435 0
4714 블러드본 느낌, 네오위즈 ‘P의 거짓’ 플레이 영상 공개 [30]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9 1820 3
4713 수수료 4%p 인하, 구글의 외부결제 허용은 생색내기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8 290 0
4712 우승자 예측의 시간, SWC 2021 챔피언은 누구?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8 116 0
4711 스타일리쉬해지는 '배그 모바일', 아디다스와 콜라보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8 174 0
4710 철권 7 한일 국가대항전 2차전, 이번에도 한국 승리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8 2614 0
4709 디플레이션 시달리는 아마존 '뉴 월드', 해결책 발표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8 554 0
4708 시연 기기 70대, 시프트업 신작 '니케' 지스타서 체험 가능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8 334 1
4707 [오늘의 스팀] 동접 상위권, 오징어게임 패러디 '크랩 게임' [6]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8 1505 2
4706 롤 애니 ‘아케인’, 사실상 처음부터 다시 쓰는 유니버스 [51]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8 7929 4
4705 [노8리뷰] 슈퍼로봇대전 30, 로봇! 로봇! 더 많은 로봇! [19]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8 3252 16
4704 롤 아케인 제작자 ˝롤 대표하는 스토리텔링 되길 바란다˝ [1]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7 3061 1
4703 네이버, 12월부터 공식 게임 카페 혜택·지원 없앤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7 341 0
4702 우울함 대신 유쾌함 보여준 담원 기아의 롤드컵 준우승 소감 [16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7 15459 38
4701 LCK 신화 스톱, 2021 롤드컵 우승은 중국 'EDG' [1]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07 2077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