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기자수첩] 코로나19 4차 확산 위기, 오프라인 게임쇼 괜찮나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04.26 19:03:00
조회 294 추천 0 댓글 0
2019 플레이엑스포 현장 (사진출처: 플레이엑스포 공식 홈페이지)

[게임메카=김미희 기자] 작년 한 해 국내외 게임쇼는 코로나19라는 큰 장애물에 맞닥뜨렸다. 다수의 게임쇼가 취소됐으며, 일부는 온라인으로 전환했다. 해를 넘긴 지금도 코로나19는 여전히 국내외 주요 게임 전시회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미국을 대표하는 E3와 GDC(게임 개발자 컨퍼런스)는 전면 온라인 개최를 결정했다. 일본을 대표하는 도쿄게임쇼 역시 작년에 이어 올해도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작년에 온라인으로 열렸던 유럽 대표 게임쇼 게임스컴은 올해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개최를 병행하며, 중국을 대표하는 차이나조이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오프라인으로 열린다.

이에 더해 국내 주요 게임쇼 개최 계획도 발표되고 있다. 최근에는 플레이엑스포와 부산인디커넥트페스티벌(이하 BIC)이 행사 방식을 결정했다. 작년에 플레이엑스포는 개최를 취소했고, BIC는 100% 온라인으로 진행했다. 그런 두 게임쇼가 올해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행사를 병행한다.

먼저 경기도가 주최하는 플레이엑스포는 5월 10일부터 14일까지는 게임사를 대상으로 한 수출상담회가, 7월 15일부터 18일까지는 일반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 B2C 전시회가 열린다. 특히 7월에 열리는 B2C 전시회의 경우 예년과 같이 출품작을 시연할 수 있는 오프라인 체험부스가 마련된다. 플레이엑스포 사무국 관계자는 “게임업계의 오프라인 마케팅 일정, 코로나19 백신 접종, 플레이엑스포 주요 방문층인 중•고등학생 학사 일정을 전반적으로 고려해 행사 시기를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BIC는 9월 9일부터 11일까지 진행되며, 오프라인 행사는 부산 e스포츠 경기장에서 진행된다. 부산인디커넥트페스티벌 서태건 조직위원장은 지난 22일 진행된 온라인 사업설명회를 통해 “올해는 작년에 참가한 개발자 피드백을 반영해 온라인과 오프라인 행사의 연결점, 비대면과 대면 행사 사이 균형을 찾도록 하겠다”라며 여건이 된다면 오프라인에서도 행사를 진행하겠다고 전했다.

BIC 주최 측은 올해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할 계획이라 밝혔으며, 오프라인 행사는 부산 e스포츠 경기장에서 열린다 (사진출처: BIC 온라인 사업설명회 갈무리)

마음에 걸리는 것은 최근 신규 확진자 추세다. 4월 기준으로 작년과 올해 국내 코로나19 확산 현황을 비교하면 확진자 수는 지금이 훨씬 높다. 작년 4월 1일부터 30일까지 국내 발생 기준 신규 확진자 수는 가장 많았던 때가 4월 1일의 101명이며 2일부터 두 자릿수로 감소하여 4월 10일부터 30일까지는 30명 내외였다. 그런데 올해의 경우 4월 1일부터 25일까지 400명 밑으로 내려온 적이 없고, 4월 22일부터 24일까지 국내 신규 확진자 수가 700명 이상을 기록했다. 4차 확산 위기가 고조되고 있다는 평가도 심심찮게 들려오고 있다.

그렇다면 작년과 올해 플레이엑스포와 BIC의 행사 개최/취소 계획 발표 시기를 비교해 보자. 플레이엑스포가 작년에 개최 취소를 발표한 시점은 3월 18일이며, 당시 국내 기준 신규 일일 확진자 수는 18일에 93명, 19일에 152명이었다. 이어서 BIC의 경우 작년 4월 23일에 온라인 행사 개최를 발표했고, 작년 4월 20일부터 30일까지 신규 확진자 수는 15명을 넘기지 않았다.

그런데 올해의 경우 플레이엑스포가 오프라인 병행 개최를 발표한 4월 14일 기준 국내 확진자 수는 700명을 넘겼고, BIC 온라인 사업설명회가 열린 4월 22일 역시 700명 이상이었다. 작년과 올해를 비교하면, 작년의 경우 두 게임쇼 모두 현재보다 확진자 수가 확연히 적음에도 감염 확산 우려를 고려해 오프라인 개최를 포기했으나 확산 추세가 훨씬 더 높은 지금 시점에 오프라인 병행을 결정한 것이다.

물론 작년과 올해 상황은 단순 수치로만 비교할 수 없다. 올해는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진행되고 있으며, 26일 홍남기 국무총리 직무대행은 대국민담화를 통해 9,900만 명의 백신 물량을 확보해 집단면역 달성 시기를 앞당길 기반을 마련했다고 전했다. 다만 백신 접종을 동시다발적으로 진행하는 것은 어렵고, 집단면역이 상반기 중 달성되리라는 보장도 없다. 물론 조기에 집단면역이 완성되어 감염 위험이 줄어든다면 좋겠으나, 게임사 입장에서 아직은 불확실한 집단면역 및 코로나19 상황 종료를 기대하며 오프라인 출전을 결정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국내 게임사 다수에서도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했고, 지금도 예방을 위해 재택근무를 이어가는 중이라는 현실을 감안하면 오프라인 개최는 시기상조가 아닌가 싶은 우려가 든다.

특히 게임업계가 오프라인 게임쇼에 참여할 경우 통상적으로 2~3개월에 달하는 준비 기간이 필요하다. 현장에 설치할 부스 디자인부터 출품작을 시연할 기기 대여, 게임에 따라 시연 버전을 별도로 제작할 필요도 있다. 아울러 현장 시연을 맡을 스태프도 확보해야 하고, 시연 일정 및 관련 계획도 마련해야 한다. 플레이엑스포의 경우 지금부터 준비에 들어가야 내실 있는 현장 전시가 가능하며, BIC의 경우 6월부터 본격적인 채비에 나서야 한다. 행사 개최까지는 아직 기간이 남아 있으나, 오프라인 전시에 주최측과 게임사 모두 서둘러 움직여야 하는 이유는 앞서 이야기한 물리적인 준비 기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즉, 상황을 보고 오프라인 개최를 취소할 경우 이러한 준비 인력 및 예산 낭비로 이어질 우려가 크다. 더불어 온라인 게임쇼의 전체적인 완성도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실제로 작년 지스타는 행사 개최를 약 2개월 앞둔 9월 7일이 되어서야 오프라인을 취소하고 모든 행사를 온라인으로 진행하기로 했다. 그 결과 지스타 온라인 행사는 준비 부족으로 지적받았고, 좀 더 일찍 온라인 중심으로 준비했다면 좀 더 내실 있는 게임쇼가 되었으리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지스타조직위원회 강신철 조직위원장 역시 작년 11월 19일 벡스코에서 진행된 기자간담회를 통해 “오프라인 개최에 대한 욕심을 좀 오래 가졌다. 더 빨리 온라인에 집중하자고 결정했다면 조금 수월하게 준비했을 텐데, 오프라인 개최를 지속적으로 요청한 부분이 있어서 온라인에 집중하는 시간이 짧았다”라고 밝힌 바 있다.

현재 국내 상황을 종합하자면 게임쇼 오프라인 병행 개최 발표는 일말의 불안이 남는다. 물론 주최측 입장에서 오프라인 개최 필요성을 느끼는 부분에는 공감한다. 그러나 게임쇼 완성도를 위해 불확실성이 있는 오프라인 행사 진행 여부에 대한 결단을 최대한 빨리 내리고, 더 충분한 준비 기간을 확보해 내실 있게 하는 것이 훗날을 위한 더 발전적인 선택일 수 있다.

[Copyright © GameMeca All rights reserved.]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3040 라쳇 & 클랭크 신작 “스파이더맨 개발 노하우 담았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2 512 0
3039 라쳇&클랭크 리프트 어파트 'PS5 성능 제대로 살렸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2 382 0
3038 스칼렛 스트링스, 코드베인과는 모든 면에서 다르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2 760 0
3037 니어 첫 모바일게임, 니어 리인카네이션 사전예약 시작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2 705 0
3036 [순위분석] 바하 빌리지 인기는 누님 키만큼 높았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2 1188 0
3035 국내 출시 초읽기, 퍼니싱 그레이 레이븐 사전예약 시작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2 403 0
3034 보물 발굴, 트릭스터M 트레저 스팟에 대해 알아보자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2 227 0
3033 PC용 하이엔드와 독립형, 바이브 신형 VR 2종 공개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2 1086 0
3032 중국 공백 한국서 메웠다, 넥슨 1분기 매출 7% 상승 [1]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2 586 0
3031 동북공정 차단, 게임위에 역사 전문가 추가하는 법안 나왔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2 136 0
3030 배틀필드 6, 6월 정보 공개 시작하고 연말에 출시한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2 259 0
3029 월드 오브 워쉽에 고질라와 킹콩 함장이 나온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2 169 0
3028 넷플릭스 인기 드라마 스위트홈, 모바일게임 나온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2 458 0
3027 쿠킹덤 흥행, 데브시스터즈 월급 400% 인센티브 지급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2 842 1
3026 리니지 2 각성 서버, 신규 클래스 데스나이트 26일 등장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2 417 0
3025 스컬이 견인, 네오위즈 1분기 매출 전년비 8% 상승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2 210 0
3024 C9 일격에도 조 1위 수성, 담원 기아 MSI 럼블 스테이지 진출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2 501 0
3023 '연매출 3,000억 전망' 서머너즈 워 크로니클 연말 출시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2 347 0
3022 오버워치2에서 PVP 어떻게 바뀌나, 5월 21일 방송 [17]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2 1486 4
3021 메타버스 게임? 펄어비스 '도깨비' 올해 베일 벗는다 [2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2 3417 10
3020 [노8리뷰] 가상화폐 채굴 시뮬레이터, 화성 가즈아~!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1 2042 0
3019 탁월한 회피·돌진, 스매시 레전드 신규 캐릭터 '스노우' 추가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1 187 0
3018 킹스레이드 시즌 1 마지막 이야기, 25일 공개된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1 322 0
3017 '큰 누나의 힘' 바하 발리지 전세계 출하량 300만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1 314 0
3016 중세판 하우스 플리퍼? 성 리모델링 시뮬레이터 나온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1 224 0
3015 '썸썸 편의점' 편수희 엔딩 테마곡 음원으로 나왔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1 289 0
3014 몬헌과 바이오하자드 활약, 캡콤 연간 영업익 51.6% 상승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1 552 0
3013 아트토이로 재해석된 '롤' 챔피언 굿즈 나온다 [3]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1 2822 0
3012 中 게임 양대산맥 텐센트와 넷이즈, 5월에 신작 발표 나란히 [12]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1 1576 1
3011 [90년대 게임광고] 텐가이, 오락실서 이 무녀 모르면 간첩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0 706 0
3010 레전드 오브 키퍼의 던전 관리자씨를 따라가봤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0 270 0
3009 최후의 소녀를 살려라, 보이드 테라리움 11일 예약 개시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0 306 0
3008 블레스 언리쉬드, 파이널 테스트 사전 다운로드 시작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0 176 0
3007 카카오게임즈, 2021년 채용 연계형 인턴 사원 모집 시작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0 523 0
3006 역주행 주자 브레이브걸스가 엔씨 유니버스에 온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0 2473 0
3005 원신에 드디어 스킨 나오나, 바바라와 진 스킨 유출 [1]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0 10773 1
3004 문호준 대 김대겸, 카러플 이벤트 대회 결과는?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0 754 0
3003 “가장 좋아하는 대목” 일론 머스크 SNL 와리오 분장 화제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0 4821 0
3002 주사위 굴리는 VR 보드게임 '데메오' 화제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0 1102 0
3001 20대와 여성 비중 높아, 트릭스터M과 블소2 유저층 넓어졌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0 286 0
3000 TL 앞세운 엔씨표 콘솔게임, 기존 MMORPG와 다를 것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0 480 0
2999 한일전 역전승, 담원 기아 MSI 3전 전승으로 C조 1위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0 1338 0
2998 1분기 리니지M 불매운동에, 엔씨 ˝트래픽 영향 없었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0 207 0
2997 모바일 약화, 엔씨 1분기 영업익 전년 동기대비 77% 감소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0 290 0
2996 일본 대전게임의 전설, 우메하라 다이고 코로나19 확진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09 473 0
2995 멈추지 않는 스위치 열풍, 닌텐도 연간 영업이익 81.8% 증가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08 703 0
2994 닐 드럭만, 라오어 영화화 취소 이유는 ‘과도한 액션’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08 692 0
2993 배경은 요코하마, 저지 아이스 후속작 '로스트 저지먼트' 발표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08 727 0
2992 [세계기행] 로보토미 코퍼레이션, 미친 기업들의 도시 [2]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07 4054 19
2991 최초의 용기사, 에픽세븐 신규 5성 기사 영웅 '셰나' 등장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07 254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