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WITH 블록체인] 블록체인 게임에서 NFT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7.07 10:12:01
조회 90 추천 1 댓글 1
<<최근 메타버스와 가상화폐의 부각으로 블록체인 게임 시장의 가능성에 기대감이 커지면서 많은 게임사들이 블록체인 게임 시장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하지만 워낙 생소하고 어려운 분야이기 때문에 어떻게 접근해야할지 막막하죠. 이에 게임동아에서는 [WITH 블록체인] 기획을 통해 블록체인 게임에 대한 시장 현황과 미래를 조명해보고 각종 문제점들을 해결할 방법이 있는지, 마지막으로 이 시장이 정말 기대할 만한 신천지가 될 것인지 집중 조명해보려 합니다>>

NFT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Non-Fungible Token)을 뜻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말한다. 저마다 고유성과 희소성을 가진 NFT는 디지털 파일을 복제 및 위조가 불가능한 암호를 통해 증명서 형태로 만들 수 있어 새로운 ‘디지털 자산’으로 주목받고 있다.

NFT의 개념과 구조는 기술적으로는 복잡하지만, 몇 가지 요소를 알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NFT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 기술인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토큰을 발행하는데, 이 토큰에는 소유권 기록과 거래 이력 정보가 담겨 있다. 한마디로 누가 이 NFT를 만들었고, 원본은 어디에 있으며, 누구의 손을 거쳐 내게 왔는지 모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NFT



이 NFT를 발행하는 것을 ‘민팅’(Minting)이라고 부른다. NFT ‘민팅’을 발행하면 구매자가 비용을 지불하며 참여하고, NFT 발행자는 구매자의 블록체인 지갑을 연결하여 NFT를 전송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렇게 소유한 NFT는 구매자의 의도에 따라 자유롭게 판매할 수 있으며, 거래 역시 암호화폐를 통해 진행된다.

이를 부동산 거래와 비교해 보면 건물(원본 데이터)의 소유자가 등기권리증(NFT)을 발행하고, 이를 낙찰받은 구매자가 등기권리증을 통해 해당 건물이 나의 소유라는 것을 인증하는 것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한가지 유의해야 할 것은 NFT는 소유권만을 가질 뿐 저작권과는 무관하다는 것이다. NFT는 일종의 소유권 인증서일 뿐 저작권 자체는 원본 소유자에게 있다. 건물의 등기권리증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건물을 지은 건축방식에 대한 저작권까지 주어지지 않는다는 것과 일맥상통한다.

여기에 블록체인을 통해 암호화 작업을 거치는 NFT 자체는 훼손되거나 변질될 수 없지만, 원본 데이터는 해킹 및 위조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NFT를 통해 완벽하게 해킹이나 복제를 차단할 수 있다는 것은 엄밀히 말해 틀린 주장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독특한 속성을 가진 NFT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무한대에 가까운 디지털 파일 중 공식 인증을 받은 단 한 개의 파일을 소유할 수 있다는 매력 덕에 디지털로 사람들의 욕망을 표현하는 NFT의 존재는 대중의 소유욕과 자랑하고 싶은 욕심을 동시에 충족시켜 주는 매개체가 되고 있다.


Everydays the First 5000 Days



삼성증권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연간 NFT 거래 규모는 약 130억 달러(한화 약 15조 4,0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2020년과 비교해 무려 200배 증가한 수치다. 실제로 NFT로 만들어져 판매된 예술작품인 ‘처음 5천일, 매일’(Everydays: the First 5000 Days)의 경우 낙찰가가 무려 6,940만 달러(한화 약 780억 원)에 달해 미술품 경매 역사상 세 번째로 높은 금액을 기록하기도 했다.

여기에 그림, 음악, 영상, 사진 등의 디지털 파일부터 실제 제품과 연동된 NFT 상품이 지속해서 등장하는 등 NFT 시장과 거래의 규모는 날로 커지는 중이다.

그렇다면 이 NFT는 과연 블록체인 게임에서 어떻게 구현되는 것일까? 블록체인 게임에 처음 NFT를 도입한 ‘크립토 키티’의 모습을 보면 게임 속 NFT의 형태를 대략 파악할 수 있다.


크립토키티



'크립토 키티'는 암호화폐인 이더리움을 활용한 가상 고양이 육성 게임으로, 게임 콘텐츠 측면만 보면 동종 장르의 게임과 비교해 낮은 수준의 퀄리티를 가진 작품이었다. 하지만 교배를 통해 탄생하는 고양이가 모두 NFT화 되어 등장하고, 이를 자유롭게 판매할 수 있다는 것이 기존 게임과 달랐다.

이 게임은 처음 만들어진 고양이를 0세대로 분류하고, 0세대 고양이 끼리 교배하면 1세대 고양이가 등장한다. 1세대끼리 교배하면 2세대 고양이가 등장하고, 같은 세대끼리만 교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새로운 고양이를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이를 블록체인 거래소를 통해 자유롭게 사고팔 수 있었다.

이러한 시스템은 2017년 암호화폐의 급격한 가격상승에 힘입어 게임의 가치가 높이는 결과로 이어졌고, 2017년 6월에는 독특한 외형을 지닌 ‘제네시스 고양이’ 한 마리의 거래 가격이 1억 원을 넘을 정도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기도 했다.

'크립토 키티'의 사례를 보듯 블록체인 게임 NFT의 핵심은 게임 내 아이템마다 고유의 특성을 부여한다는 것이다. NFT 과정을 거쳐 발행된 아이템은 외형이 같더라도 저마다 고유의 값이 달라 다른 아이템으로 대체할 수 없으며, 이용자의 블록체인 지갑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를 판매할 수 있는 권한을 이용자가 지니게 된다. 심지어 게임이 종료돼도 NFT 아이템은 남게 될 정도로 별개의 아이템으로 취급된다.


1억 원에 판매된 제네시스 고양이



이는 게임사에도 큰 이점으로 다가온다. 게임사는 아이템을 NFT화 하여 발행함으로써 아이템 복제를 막을 수 있고, 아이템을 거래할 수 있는 암호화 마켓을 별도로 운영하여 거래 수수료로 수익을 발생시킬 수 있다. 특히, 아이템 원본의 저작권은 게임사에 있기 때문에 NFT 아이템이 거래되면 될수록 수수료가 지속해서 발생한다는 이점도 있다.

여기에 NFT는 ‘가상 디지털 자산’의 역할을 할 수 있어 수많은 게임사가 구상하고 있는 ‘메타버스’와도 연계되어 엄청난 가능성을 지닌 새로운 분야로도 평가받는 중이다.

이에 거대 게임사들 상당수가 NFT 기능을 도입한 블록체인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으며, NFT 화된 아이템을 거래할 수 있는 자체 마켓을 설계하고, 이를 외부 거래소에 연동시키는 등 새로운 생태계 조성에 열을 올리고 있다.

하지만 이 NFT가 게임 시장의 미래를 바꿀 완벽한 기능인 것은 아니다. 우선 NFT가 도입된 게임은 이 NFT를 중심으로 시스템을 완전히 새롭게 개편해야 한다. NFT로 발행된 게임 아이템은 희소성과 가치를 갖추고 있어야 이용자들의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 즉 NFT 아이템에 상당한 매력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NFT



만약 NFT로 발행된 아이템이 특별한 이득이 없고, 플레이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면 이를 구매할 필요성이 떨어지게 되고, 이는 곧 NFT의 가치하락으로 이어진다. NFT 게임의 핵심 요소라 할 수 있는 게임플레이의 재미를 더하는 ‘수익성’과 특별한 아이템을 소유하고 있다는 ‘차별화’를 주지 못하는 셈이다.

특히, 게임 대부분이 ‘부분 유료화’(Free to Play)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국내 게임 시장에서 NFT를 중심으로 게임 시스템을 새롭게 개편하고, 이 가치를 지속할 수 있는 생태계를 구축하기란 매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는 NFT의 고질적인 문제점과도 연관되는 부분이다. 실제로 상당수의 많은 NFT 상품은 그 자체로는 가치가 전무 하다. 마치 물감과 캔버스로만 만들어지지만 누가 그렸고, 어떤 의미를 담고 있으며, 어떤 역사적인 가치를 가졌느냐에 따라 가격이 천차만별로 달라지는 그림과 같이 NFT도 원하는 이들이 많으면 가치가 높아지지만, 별다른 매력이 없다면 데이터 쪼가리로 전락하고 만다.

일례로 트위터의 창업자 잭 도시가 처음으로 올렸던 트윗을 기반으로 제작한 NFT의 경우 2021년 무려 290만 달러(한화 약 36억 원)라는 엄청난 금액에 낙찰됐지만, 1년 만에 그 가치가 1만 달러(약 840만 원)로 폭락했다. 이 NFT를 원하는 이가 크게 줄었기 때문이다.

NFT가 아무 가치도 없지만, 원하는 사람이 많아야 가격이 유지되는 암호화폐와 크게 다를 것이 없고, 시장 자체에 거품이 끼어 있다는 비난이 나오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이러한 현상을 막기 위해서는 NFT를 가진 이들로만 구성된 커뮤니티를 활성화하고, NFT의 사용처를 늘리는 등의 방식을 통해 가치를 지속해서 유지할 수 있는 열린 생태계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 이에 개발사들 역시 게임 내 NFT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방식을 시도하는 중이다.


메이플 유니버스



넥슨이 개발하고 있는 블록체인 플랫폼 ‘메이플 유니버스’가 그 대표적인 예다. 넥슨의 강대현 COO(사업 총괄)가 ‘2022 NDC’에서 공개한 ‘메이플 유니버스’는 ‘메이플N’, ‘메이플 N 모바일’, ‘프로젝트 MOD N’ 그리고 ‘메이플 SDK’ 등 게임과 NFT 제작 툴이 결합한 독특한 형태로 운영된다.

‘메이플 유니버스’의 게임인 ‘메이플N’, ‘메이플 N 모바일’을 플레이하며 획득할 수 있는 NFT는 다른 게임에서도 서로 공유되고, 블록체인 게임 제작 샌드박스 플랫폼인 ‘프로젝트 MOD N’과 메이플 SDK’를 통해 이용자가 확보한 NFT로 게임을 만들거나 별도의 앱을 제작할 수도 있다.

아울러 게임플레이만으로, 모든 아이템을 구할 수 있는 경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별도의 ‘캐시샵’(유료 콘텐츠)이 존재하지 않으며, NFT를 구매하고 판매할 때 발생하는 수수료 역시 이용자들의 기여도에 따라 분배된다. 이 분배에는 개발사인 넥슨도 포함되며, 이를 통해 넥슨이 게임 설계자에 머무는 것이 아닌 생태계에 직접 참여하는 효과를 주게 된다. 이용자에게 수수료를 분배하는 방식을 통해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셈이다.

여기에 강대현 COO는 ‘메이플 유니버스’는 단순 메이플 IP(지식 재산권)에 그치지 않고, 넥슨의 유명 게임의 참여까지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넥슨이 보유한 거대한 게임 IP를 하나의 생태계로 편입시키고, NFT화 된 아이템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처를 늘려 NFT의 가치를 지속해서 유지하겠다는 계획이다.


씰M



플레이위드의 역시 색다른 방식의 블록체인 NFT 게임 시스템을 선택했다. 지난 5월 26일 발매된 ‘씰M’은 대부분 시스템이 기존 게임의 틀을 따라갔지만, ‘꾀돌이’로 불리는 NFT 상품이 추가된 블록체인 게임으로 출시됐다.

이 ‘꾀돌이’ NFT는 특별한 능력치를 부여하기보다 이를 구매한 이용자에게 추가적인 혜택을 주는 일종의 ‘멤버십’ 효과가 적용되며, 추후 출시될 ‘씰 유니버스’에도 공유된다. 이와 함께 플레이위드는 자사의 게임 IP와 NFT를 기반으로 음악, 영화 웹툰 등으로 영역을 확장할 예정이며, 블록체인과 메타버스 IP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로드맵을 밝히기도 했다.


미르4 캐릭터 NFT



여기에 위메이드 역시 '미르4 글로벌'에서 번 재화로 '미르M'을 즐기는 경제 구조를 구상하고 있으며, '인피니티 마켓' 등을 선보인 게임체인의 경우 마켓 내 서비스 중인 다양한 블록체인 게임들과의 협업을 통해 생태계와 세계관을 확장하는 등 NFT 게임 생태계를 위한 다양한 방안이 시도되고 있다.

이처럼 게임 속 NFT는 게임사들의 다양한 시도를 통해 새로운 변화를 예고하는 중이다. 비록 암호화폐 가격 변동이 게임 경제에도 영향을 미치는 불확실성과 정부의 NFT 게임 규제 정책의 완화 등 넘어야 할 산이 많지만, 아직 초기 단계인 만큼 성장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하며, ‘메타버스’와 연계된 새로운 사업 모델이 자리를 잡는다면 폭발적인 성장을 거둘 가능성도 충분히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다.

과연 블록체인 게임의 NFT가 앞으로 어떤 모습으로 등장해 이용자들에게 새로운 즐거움을 줄지 앞으로의 모습이 궁금해진다.

사용자 중심의 게임 저널 - 게임동아 (game.donga.com)



▶ [WITH 블록체인] 블록체인 게임에서의 ‘P2E’▶ [WITH 블록체인] 블록체인 게임이란?▶ [WITH 블록체인] 블록체인 게임이 왜 주목받는가?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3452 한국 선출 시 하는 ‘서머너즈 워: 크로니클’ 해외 팬덤 궁금증 증폭 [1]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6 135 1
3451 조승래 의원 "윤석열 대통령, 게임 공약은 표심용 쇼였나?" [2]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6 138 2
3450 XD, 액션 RPG '토치라이트: 인피니트' 10월 출시 발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6 100 1
3449 위메이드 '위믹스', 이더리움 기반 탈중앙화 거래소 유니스왑에 유동성 공급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6 65 1
3448 넷마블 '세븐나이츠 레볼루션', "수동 조작도 재미있는 게임" [15]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6 2257 2
3447 ‘대항해시대 오리진’, 사전 선단명 생성 및 서버 선점 시작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6 71 1
3446 조이시티, 다날 메타버스 플랫폼 '제프 월드' 사업 협력 MOU 체결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6 57 1
3445 '우마무스메', '키타산 블랙' 업데이트로 구글 매출 1위 등극 [25]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6 3022 8
3444 그램퍼스, '마이리틀셰프' 5주년 기념, 김준수(XIA) 프로듀싱 BGM 공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6 55 1
3443 그라비티, 라그나로크 20주년 기념 첫 타이틀 '더 로스트 메모리즈' 8월 출시 예정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6 74 1
3442 메타버스 ZEP과 함께할 공식 서포터즈 모집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6 55 1
3441 컴투스, 신작 MMORPG '서머너즈 워: 크로니클' 8월 2일 온라인 쇼케이스 개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6 56 1
3440 인터체인 NFT 플랫폼 하바, NFT 얼라이언스 '그리드(GRID)' 참여 발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6 71 1
3439 NHN 플레이아트, 신작 리듬 게임 '컴파스 라이브 아레나' 일본 인기 1위 달성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5 57 1
3438 [리뷰] 호러 본연의 재미로 돌아온 '신 하야리가미3' [8]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5 2383 4
3437 피온4, ‘2022 eK리그 챔피언십 시즌1’ 광동 프릭스 우승 차지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5 54 1
3436 ‘마영전’ 댄싱사이더 컴퍼니 컬래버 진행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5 85 1
3435 ”스토브리그 전 이적이 가능하다?“ LCK, 프렌차이즈 신규 제도 발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5 56 1
3434 넷마블 '세븐나이츠 레볼루션', 'BIG 페스티벌' 피날레 방송 성료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5 69 1
3433 카카오게임즈 '우마무스메', 드디어 '키타산 블랙' 출격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5 84 1
3432 ‘세븐나이츠’ 한국 대표 IP 만들기, 넷마블의 체계적인 성장 전략 [26]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5 1906 1
3431 엔미디어플랫폼, ‘광동제약’과 제휴 프로모션 실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5 49 1
3430 넷마블, 세븐나이츠 레볼루션 수집과 MMO의 재미 전한다 [3]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179 1
3429 [프리뷰] 영웅으로 변신하라! '세븐나이츠 레볼루션'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115 1
3428 크래프톤 '뉴스테이트 모바일', 팀데스매치 신규 맵 '전시장' 등 업데이트 공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100 0
3427 반다이남코 엔터, 'SD건담 배틀 얼라이언스' 체험판 배포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91 0
3426 [한주의게임소식] 일본 뒤흔든 '블루아카'와 '롤프엠' 열풍의 중국 [1]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125 0
3425 뭐가 터질지 모른다! 다양한 장르 시도하는 블록체인 게임 업계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96 0
3424 '엑소스 히어로즈’, 블루 페이트코어 선택 확률업 이벤트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99 0
3423 ‘코노스바 모바일’ 신규 캐릭터 ‘코멧코’ 추가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145 0
3422 모아이게임즈, ‘트라하 글로벌’ 아시아 지역 CBT 실시 한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76 0
3421 넷마블 '세븐나이츠2', PvP 특화 영웅 '쌍창의 사냥꾼 칼 헤론' 업데이트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77 0
3420 '폴가이즈'에 거대 괴수 고질라 깜찍한 모습으로 등장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104 0
3419 K-콘텐츠 수출액 70% ‘게임’ 외면받은 문체부 대통령 업무보고 [81]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4169 32
3418 ‘2022 신한은행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 막 올린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63 0
3417 '2022 롤드컵', 9월 29일 미국 & 멕시코서 개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81 0
3416 마비노기, '까르보불닭볶음면’ 컬래버 제품 선보인다 [12]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2321 4
3415 ‘건쉽배틀: 토탈워페어’, ‘그 건쉽 알고싶다’ 3화 영상 공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71 0
3414 한빛소프트 '오디션', 특별 아바타 의상과 편의성 업데이트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2 72 0
3413 페루자 코퍼레이션, 브레드해머와 블록체인 사업 협업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1 76 0
3412 MMORPG 못지 않게 치열하다. 인기 장르 등극한 방치형RPG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1 159 0
3411 그라비티, '라그나로크' 20주년 오프라인 행사 500명 초대 및 디자인 공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1 125 0
3410 컴투스 대작 '서머너즈 워: 크로니클', 소환사 성우들 보니 기대감 '업'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1 91 0
3409 모바일 퍼즐RPG '앨리스 픽션', 27일 전 세계 동시 서비스 확정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1 96 0
3408 MS, 신작 인터랙티브 게임 ‘애즈 더스크 폴즈' 출시 [4]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1 1964 2
3407 ‘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 예티 추적 작전 실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1 76 0
3406 조이시티의 자회사 로드비웹툰 ‘대공님의 애완 수인’ 중국 진출 계약 체결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1 94 0
3405 유니티, 모바일 마케팅 기업 '아이언소스' 합병 계약 체결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1 84 0
3404 넷마블, '세븐나이츠 레볼루션' 스페셜 방송 23일 진행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1 103 0
3403 에픽게임즈, '게임 제작을 위한 '시작해요 언리얼' 사전 등록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21 99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