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남궁훈 카카오 센터장, "2022년은 팬의 시대. 한국이 전 세계 시장 주도할 수 있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1.03 15:47:26
조회 64 추천 1 댓글 0
카카오게임즈 대표를 사임하고, 카카오 미래 이니셔티브 센터장으로 선임된 남궁훈 센터장이 2022년을 앞두고 페이스북에 새해를 전망하는 글을 남겨 주목을 받고 있다.

남궁훈 센터장은 "IT업계는 20여 년간의 엄청난 이용자의 확산 속에서 성장해 왔지만, 더 이상 성장할 수 없는 수준까지 올라왔다. 이제는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애정을 가진 팬들이 시장을 주도하게 될 것"이라며, "이용자 확산 중심의 시장에서 팬 중심의 시장으로 서비스의 핵심이 변화하면 가장 큰 변화는 콘텐츠가 될 것으로 보인다. 그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콘텐츠를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러한 산업 환경에 따라 이용자 확산의 시대에는 우리가 미국에 뒤처졌었지만, 팬의 시대에는 우리가 우위를 차지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생각한다"며, "팬의 물결은 전 세계적으로 이는 큰 물결이며, 그 물결 속에서 대한민국 IT산업이 또 한 번 도약할 기회를 맞이하고 있음을 2022년 새해를 맞이하며 체감하는 바이다"라고 덧붙였다.


남궁훈 센터장 페이스북



다음은 페이스북 전문

2022년 Fan의 시대를 맞이하며
  1. User 20년

지난 1990년대 후반부터 20여 년간 우리의 고정 공간들은 PC와 인터넷을 통해서 연결되고, 모든 이동하는 개인들이 스마트폰과 모바일을 통해 연결되었다.

인터넷망에 연결된 모든 이들을 이용자라는 관점으로 바라보면 우리 IT 산업은 그 <20여 년간의 엄청난 User의 확산 속에서 성장해 왔다.>

2018년경 나는 매우 혼란스럽고 두려웠다. 지난 20여 년간 파도처럼 밀려오던 엄청난 User의 증가가(대중화) 더 이상 성장할 수 없는 수준까지 올라왔다는 것이 느껴졌기 때문이다.

이 대중화가 멈춘다는 것은 큰 충격과 두려움이지만 3년이 지난 지금 생각하면 매우 중요한 한 가지를 간과했었던 것 같다.
  1. 미래는 Fan

대중화가 어느 정도 성숙기에 접어들 무렵 디지털 콘텐츠 세상에서는 Fan들이 등장하기 시작한다.

이들의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애정은 해당 브랜드와 본인을 동일시하며, 이들이 지출하는 소비는 시간이 지날수록 거대해진다.

게임업계에서는 이들을 '고래'라고 부르지만 큰 맥락에서 보면 이들은 Super fan으로 칭하는 것이 적절해 보인다.

그러한 Fan의 등장과 그들을 만족시켜주는 Super Creator들의 등장이 현시점에서 가장 유의미하게 봐야 할 특징이라고 생각한다.
  1. Fan 시대의 콘텐츠

3.1 대세는 이용자 플랫폼에서 콘텐츠 플랫폼으로

User 중심의 시장에서 Fan 중심의 시장으로 서비스의 핵심이 변화하면 가장 큰 변화는 콘텐츠가 될 것으로 보인다.

User의 시대에서는 User와 다른 User를 연결하는 커뮤니케이션과 커뮤니티 서비스가 핵심이 되지만, Fan의 시대에서는 팬심을 근간으로 하는 콘텐츠와 커머스가 핵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디지털 콘텐츠는 UCC 개념으로 무한 생산이 가능해지면서 B2C2C 기반의 콘텐츠 사업이 크게 확장될 것으로 보인다.

3.2 콘텐츠의 융합

디지털 콘텐츠 중심의 게임 산업과 사람 콘텐츠 중심의 엔터 산업은 서로 다른 영역이었다. 게임은 가상 세계의 대표 콘텐츠였고, 엔터는 현실 세계의 대표 콘텐츠였다.

하지만 메타버스라는 키워드가 버츄얼 휴먼과 함께 등장하면서 게임과 엔터 영역의 구분이 모호해졌다.

이들은 서로의 강점을 흡수하고, 성장하며, 재편될 것으로 보인다.

3.3 메타버스

팬심으로 최근의 변화들이 다 설명되지는 않지만 팬심을 기반으로 생각하면 현재 일어나는 많은 변화에 대한 이해가 쉬워진다.

메타버스도 super creator와 super fan의 관점에서 바라보면 어렵지 않은 인문학적 정의일 뿐이다.

팬들의 심정을 이해해야만 현재 일어나는 수많은 변화를 이해할 수 있다. 그들이 느끼는 가치는 현실적 가치가 아니라 "희소성"에 더욱 방점을 찍는다.

3.4 ARPPU

팬들에겐 똑같은 농구화 기능의 가성비가 아닌 나만 가진 마이클 조던이 신었던 그 농구화의 "감성비"가 핵심이다.

그 감성비는 가성비 플러스가 아니라 팬의 숫자와 경쟁에 비례하기 때문에 실제 효용 가치 대비 수십만 수백만 수천만 배에 이른다.

그렇게 시작한 "감성비"는 거래 가치가 생기며 투자 자산이 되고, 다시 또 다른 수준의 "가성비"로 둔갑한다.

ARPPU는 PU와 함께 게임업계에서 많이 쓰이는 매출 관련 지표이다. Average revenue per paying user, 즉 쉽게 말해 객단가이다.

User가 아닌 Fan 관점으로 시선을 바꾸면 ARPPU는 게임뿐 아니라 모든 디지털 콘텐츠 영역과 커머스 영역에도 똑같이 펼쳐나가야 할 중요한 사업전략이다.

User 시대의 핵심 전략이 PU 였다면, Fan시대의 핵심 전략은 ARPPU가 되어야 한다.

3.5 AI와 웹3

한때 모든 IT 회사들의 핵심 키워드였던 AI 기술 또한 Fan의 시대를 맞이하면서 해빙기를 겪게 될 것으로 보인다.

AI는 디지털 휴먼에 생명을 불어넣을 것이고, 앞으로 더욱 크게 일어날 UCC의 바람으로 AI는 또 다른 하나의 콘텐츠 제공자로 존재하게 될 것이다.

웹3 또한 본 개념 속에서 Creator 들을 지원하고 Fan들을 만족시키는 수단으로 성장할 것으로 본다.

큰 틀에서 보면 가상 세계 콘텐츠와 현실 세계 콘텐츠가 서로 융합되는 것을 촉진시켜줄 촉매제로 AI와 웹3의 기술이 접목될 것으로 보인다.
  1. Fan 시대의 대한민국

이 시대를 우리가 주목해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전 세계 시장을 대한민국이 주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상 세계의 핵심 콘텐츠인 게임과 현실 세계의 핵심 콘텐츠인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대한민국이 세계 최고 수준의 성과를 내고 있다.

AI, 블록체인, 메타버스의 변화에도 우리나라 기업들은 선도적으로 기민하게 대응하고 있다.

이러한 산업 환경에 따라 User의 시대에는 우리가 미국에 뒤처졌었지만, Fan의 시대에는 우리가 우위를 차지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생각한다.

Fan의 물결은 전 세계적으로 이는 큰 물결이며, 그 물결 속에서 대한민국 IT산업이 또 한 번 도약할 기회를 맞이하고 있음을 2022년 새해를 맞이하며 체감하는 바이다.

사용자 중심의 게임 저널 - 게임동아 (game.donga.com)



▶ 남궁훈, 카카오게임즈 대표직 사임. 미래 이니셔티브 센터장 역할에 집중▶ 글로벌 역량 강화. 카카오게임즈 경영 체제 개편▶ 선제공격 나선 오딘과 제2의 나라... 반격을 위한 엔씨의 시계가 빨라진다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1743 플레이댑, 메타버스 부동산 '클레이시티'에 전략적 투자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5 37 0
1742 [리뷰] 발열 걱정 덮으면 끝! PS5 추가 SSD를 위한 PNY 'XLR8 PS5 SSD 히트싱크'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5 60 0
1741 [리뷰] SNK 정신 차렸나, 격투 게이머들 '킹오브파이터즈 XV' '잘 뽑혔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5 96 0
1740 [가이드] ‘트라하 인피니티’의 재미를 더해주는 ‘극세사 TIP’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5 56 0
1739 "세계 최고의 모바일 e스포츠를 꿈꾼다" '2020 WCK 개막 미디어데이' 개최 [1]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5 734 2
1738 라인게임즈, 라인 넥스트와 NFT 게임 선보인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5 66 0
1737 쿡앱스 '테일드 데몬 슬레이어', 애플에 이어 구글에서도 인기 순위 1위 달성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5 37 0
1736 그라비티, 2021년 연매출 4,140억 원.. 올해 NFT와 P2E 게임 출시 예고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5 39 0
1735 펄어비스 2021년 매출 4038억, 영업이익 430억. 신작 준비 순조롭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5 54 0
1734 네시삼십삼분, 글로벌 히트작 '복싱스타'에 라이벌 모드와 초월등급 업데이트 [9]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5 1372 3
1733 컴투스홀딩스 방치형 무협 RPG, '무림백수' 글로벌 런칭 [5]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5 1358 2
1732 올림플래닛·한국토지신탁, 메타버스 공간 플랫폼 기술 협력 MOU 체결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5 29 0
1731 PS5와 더 강해졌다! '호라이즌 포비든 웨스트'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4 117 0
1730 세원이앤씨, '드래곤라자' IP 신작과 NFT 게임 등 라인업 5종 공개 [1]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4 78 0
1729 파판14 팬을 위한 최고의 축제 ‘디지털 팬페스티벌 2022 서울’ 성료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4 46 0
1728 [LCK] 단독 1위 굳힌 T1과 점입가경 중위권 싸움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4 58 0
1727 연초부터 매운 맛 게임들의 공습. 어려운 게임에 환호하는 게이머들 [14]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4 1679 0
1726 넥슨의 2022년 첫 신작 커츠펠 "상상 이상의 액션을 경험하라" [24]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4 1481 2
1725 쿠키런 킹덤의 만든 도약! 데브시스터즈 2021년 매출 3693억으로 역대 최대 실적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4 70 0
1724 넷마블문화재단, 게임아카데미 6기 전시회 연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4 38 0
1723 크래프톤, ‘배틀그라운드 스매쉬 컵 시즌6’ Gen.G 우승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4 30 0
1722 엔씨(NC), 신작 5개 영상으로 공개··· '글로벌, 장르 다변화' 노린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4 92 0
1721 아이언소스, 앱 애널리틱스 베타 버전 정식 서비스 시작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4 31 0
1720 위메이드, 위믹스 앞세워 GDC 2022 참가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4 38 0
1719 미 출시된 네오지오 게임 '블록 파라다이스', 일옥에서 6천만 원에 팔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4 57 0
1718 스마일게이트의 버추얼 아티스트 한유아, YG케이플러스와 전속계약 [33]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4 3989 13
1717 넥슨, ‘프로젝트 D’ 온라인 쇼케이스 ‘D-DAY’ 개최 [15]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4 1818 0
1716 파판14 최정해 PD “2024년 팬페스티벌은 역대급 규모로 만나길” [30]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2 1715 3
1715 [리뷰] 육성과 성장을 위한 종합 버라이어티 '트라하 인피니티' [1]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1 90 0
1714 [한주의게임소식] 설 연휴 영향 이어진 게임 시장 [2]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1 1914 0
1713 썸에이지, 글로벌 야심작 '크로우즈' 오는 21일부터 오픈 베타 시작 [1]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1 97 0
1712 MS의 공격적인 행보에 기죽은 소니 팬들. 독점작이 분위기 전환시킬까 [2]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1 105 0
1711 넷마블, 'A3: 스틸얼라이브' 요새전에 수호자 시스템 추가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1 46 0
1710 하이퍼커넥트, 메타버스 기반 '슬라이드 싱글타운'에 신규 아바타 11종 추가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1 108 0
1709 '트라이앵글 스트래티지', SRPG에 추억 있는 당신에게 '딱' [13]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1 1628 6
1708 웹젠, '뮤오리진3' 비공개 테스트 돌입 [2]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1 56 0
1707 한빛소프트, '클럽오디션' 독일 등 유럽 7개국 출시 [1]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1 55 0
1706 조이시티, ‘건쉽배틀: 크립토 컨플릭트’ 브랜드 페이지 오픈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1 1114 0
1705 라인게임즈, 엑소스 히어로즈에 신규 페이트코어 공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1 45 0
1704 카카오게임즈-넵튠, 메타버스 게임사 '해긴'에 400억원 투자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1 62 0
1703 애드엑스, 기업용 채팅 솔루션 '톡플러스' 6개월만에 이용자 100만명 돌파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1 40 0
1702 크래프톤, ‘스매시 레전드’ 개발사 5민랩 238억 원에 인수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1 48 0
1701 넷마블 '제2의 나라', 에피소드 업데이트와 222 소환 쿠폰 이벤트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1 44 0
1700 컴투스, 지난해 연매출 5560억 원으로 '역대 최대'..올해 블록체인 대폭 강화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1 33 0
1699 컴투스홀딩스, 지난해 연간 매출 1,450억원, 영업이익 445억 원 기록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1 41 0
1698 컴투스홀딩스, 600억 원 규모 전환사채 발행.. '블록체인 신사업 강화' 강수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1 40 0
1697 한국닌텐도, '파이어 엠블렘 무쌍' 등 신작과 주요 업데이트 공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0 138 1
1696 메타의 주가 폭락. 메타버스는 아직 먼 미래 이야기인가? [47]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0 2557 5
1695 크래프톤, 2021년 매출 1조8863억 달성. NFT, 메타버스 신사업 추진 본격화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0 67 0
1694 전준우, 홍창기, 이의리 선수 넷마블, '넷마블 프로야구 2022' 공식 모델로 활약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0 34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