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GAME2024] 배틀그라운드가 버티고, 신작은 작고 빠르게. 체질 개선 나선 크래프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2.06 14:49:55
조회 147 추천 0 댓글 0
2023년에 많은 게임사들이 경기 침체로 고전하는 가운데, 크래프톤은 넥슨과 더불어 가장 성공적인 한해를 보냈다.


크래프톤



2022년 1조8540억원의 매출과 7516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던 크래프톤은 2023년에도 1조9105억원의 매출과 7680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두면서, 실적이 소폭 상승했다. 역성장이 대부분이었던 다른 게임사들이 부러워할만한 성과다. 특히, 4분기는 매출 5346억, 영업이익 1643억을 기록하면서 증권가 예상치를 훨씬 웃돌았다.

이 같은 성과는 배틀그라운드 모바일과 PUBG 배틀그라운드라는 든든한 매출원이 해외에서 꾸준한 수익을 올려주고 있기 때문이다. 크래프톤은 해외 매출 비중이 무려 93.6%에 달한다.


크래프톤 2023년 실적



특히, 갑작스런 서비스 중단으로 크래프톤에 위기감을 안겨줬다가 극적으로 다시 서비스가 재개된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인도의 선전이 인상적이다.

크래프톤이 인도 지역 e스포츠에 대대적인 투자를 진행하는 등 공격적인 마케팅을 진행한 덕분인지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인도’의 MAU(월간 활성 사용자 수)가 서비스 중단 시점 대비 19% 증가하면서 인도 국민 게임으로 자리잡았다. 크래프톤 지역별 매출을 살펴보면 ‘배틀그라운드 모바일’이 인도에서 퇴출됐던 2022년 4분기에는 아시아 지역 매출 비중이 전체의 67%까지 하락했지만, 인도 서비스가 재개된 이후 84%까지 회복하면서 전체 매출을 견인 중이다. e스포츠까지 확산되면서 게임을 넘어 젊은 층들이 소통하는 문화 플랫폼으로 자리잡고 있다는 점은 장기 흥행을 기대하게 만든다.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인도



다만, 지난해 말 중국에서 새로운 규제 관련 초안이 발표되면서, 크래프톤 주가가 크게 휘청인 것은 ‘배틀그라운드’ IP 의존도가 높은 크래프톤의 약점을 보여준 사건이다. 스트라이킹 디스턴스 스튜디오의 ‘칼리스토 프로토콜’, 언노운월즈의 ‘문브레이커’ 등 새로운 시도가 없었던 것은 아니었으나, 크래프톤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되기에는 모자랐다.

다른 게임사 역시 코로나로 역대급 매출을 찍던 시절과 비교하면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한 상태이지만, 공모가 대비 절반 이하에서 장기간 머무르고 있는 크래프톤의 주가는 ‘배틀그라운드’ 의존도가 높은 크래프톤의 수익 구조에 대한 불안감을 얘기해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공모가 대비 절반 이하에서 머무르고 있는 주가



배틀그라운드 IP의 엄청난 수익 때문에 가려져 있지만, 지난 2021년 진행한 큰 폭의 연봉 인상과 개발 스튜디오 증가로 많이 늘어난 인건비는 잠재적인 폭탄이 될 가능성이 있다. 2020년에는 직원수 1171명에 연간급여총액이 328억 원 수준이었으나, 현재는 직원수 1761명에 연간급여총액이 1376억 원으로 인건비가 2020년 대비 4배 이상 상승했다. 이것도 직원 수 1770명, 1인 평균 급여액이 1억900만원이었던 2022년과 비교해서 많이 줄인 수치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크래프톤의 전략은 빅앤리틀이다. 펍지 스튜디오가 차기 대형 프로젝트로 준비 중인 ‘프로젝트 블랙버짓’, 언노운월즈의 ‘서브노티카2’, 이번에 신설된 크래프톤 몬트리올 스튜디오의 ‘눈물을 마시는 새’ 등의 대형 프로젝트를 장기적으로 준비하고, 그 사이에 시장 트렌드를 빠르게 반영한 다수의 소규모 프로젝트를 선보이는 전략이다.


크래프톤의 빅앤리틀 전략



크래프톤은 이를 위해 퍼블리싱 강화를 선언했으며, 신작 개발을 희망하는 자사 구성원 누구나 팀을 꾸려 도전할 수 있는 ‘ 더 크리에이티브’ 제도도 신설했다. 기획안이 통과되면 약 1년 동안 소프트런칭까지 지원해주고, 이용자에게서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내면, 크래프톤 퍼블리싱을 맡아 정식 출시하게 되는 제도다. 독립 법인은 채용, 개발, 운영의 자율권이 주어지며, 빠른 의사결정을 위해 소규모로 운영된다. 최근 스팀얼리액세스로 발매된 플라이웨이게임즈의 ‘트리니티 서바이버즈’는 크래프톤의 바뀐 전략을 보여주는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더 크리에이티브 제도를 통해 출시된 트리니티 서바이버즈



올해 크래프톤 라인업은 지난해 지스타에서 선보인 던전크롤러 장르 ‘다크앤다커 모바일’과 K심즈라는 별명을 얻은 ‘인조이’, 익스트랙션 슈터 장르의 ‘프로젝트 블랙 버짓’ 등이 주력이 되고, 나머지는 ‘더 크리에이티브’ 제도를 통해 발굴된 소규모 프로젝트들이 이를 뒷받침하는 형태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 중 ‘인조이’와 ‘프로젝트 블랫 버짓’은 아직 올해 출시를 확정할 수 없는 상황이지만, 상반기 출시 예정인 ‘다크앤다커 모바일’은 지스타에서 상당한 완성도를 선보여, 올해 크래프톤 핵심 타이틀이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올해 주력 작품이 될 다크앤다커 모바일



물론, ‘다크앤다커’ 관련으로 아이언메이스와 넥슨이 프로젝트 도용 소송을 진행 중이기 때문에, 엄청난 비난이 쏟아지고 있긴 하다. 하지만, 원작이 해외 이용자가 46만명을 넘길 정도로 인지도가 높고, 원작의 게임성을 모바일로 완벽히 구현한 만큼, 성공 가능성이 높은 것도 사실이다. 엄청난 비난이 쏟아질 것을 알고 있지만, 그것을 감수하고 선택할 만큼 매력적인 IP였다는 얘기다.

그리고, 현재 소송이 진행 중이긴 하나 ‘다크앤다커 모바일’은 원작의 이름만 사용하고, 게임 리소스는 블루홀스튜디오에서 자체 개발했기 때문에, 소송 결과가 큰 문제가 안될 가능성이 높다. 소송 결과와 상관없이 ‘다크앤다커’ 상표권 자체는 아이언메이스 소유이기 때문이다.

소송에서 이기면 금상첨화이고, 만약 소송에서 진다고 하더라도, 크래프톤이 ‘다크앤다커’ 상표권을 쓰는 것은 문제가 안될 확률이 높으며, 그 경우에는 크래프톤의 ‘다크앤다커 모바일’이 유일한 ‘다크앤다커’ 게임이 된다. 최악의 경우 ‘다크앤다커’ 이름을 아예 못 쓰게 된다고 하더라도, 이미 ‘다크앤다커’ 팬들에게 충분한 인지도를 쌓아뒀기 때문에, 다른 이름으로 출시하면 그만이다. 상당히 얄밉지만, 크래프톤 입장에서는 잃을 것이 없는 전략적인 선택이다.

다만, 사업적으로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하더라도, 기업 이미지 측면에서는 분명히 대미지가 있는 상황이다. 게다가 ‘더 크리에이티브’ 제도를 통해 발굴되는 게임들 역시 개발 기간이 짧기 때문에 완전한 신작보다는 기존 인기 게임을 벤치마킹하는 형태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 역시 기업 이미지 측면에서 부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과거 ‘배틀그라운드’가 처음 나왔을 때처럼 시장에 충격을 줄만한 창의적인 게임이 하나 터져주길 기대해야 하는 상황이다.


12개로 늘어난 독립 스튜디오



지난 2021년에 엄청난 공모가로 화려하게 코스닥에 데뷔한 이래 ‘배틀그라운드’ IP 의존에 대한 지적이 꾸준히 나오고 있지만, ‘배틀그라운드’ IP가 예상을 뛰어넘는 생명력을 보여주고 있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올해 역시 중국 규제 같은 대형 폭탄이 터지지 않는 한 ‘배틀그라운드’가 든든하게 매출을 견인해줄 테니, 그 시간 동안 새로운 도전을 하면 된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AI도 적극적으로 R&D하고 있고, 제페토와 손을 잡고 메타버스 플랫폼 ‘오버데어’도 준비하고 있는 등 미래를 위한 신사업도 차근차근 준비하고 있고, ‘더 크리에이티브’ 제도를 통해 시장 트렌드를 반영하는 탄력적인 개발 조직 구조도 갖췄다.


제페토와 손잡고 만드는 메타버스 플랫폼 오버데어



그동안 ‘뉴스테이트 모바일’, ‘칼리스토 프로토콜’ 등 대형 게임들을 준비하는데 많은 시간을 쓰면서 무거운 움직임을 보였지만, 올해부터는 다른 게임사에 비해 풍족한 상황을 적극적으로 이용해서 더욱 더 과감한 도전을 시도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사용자 중심의 게임 저널 - 게임동아 (game.donga.com)



▶ [GAME2024] 스마일게이트, '로스트아크 모바일'과 로그라이크 신작으로 '승부수'▶ 작고 빠르게. 크래프톤의 변화를 알리는 게임 ‘트리니티 서바이버즈’▶ [GAME2024] NHN, 2024년 신작 게임 11종 개발 중.. 일본과 웹보드 시장 '주목'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탈모 걱정 없어 보이는 머리숱 금수저 스타는? 운영자 25/07/14 - -
10274 '에픽세븐' 팝업 카페 ‘미라클 메이드 킹덤’ 오픈.. 환영해주는 미소녀 메이드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14 92 0
10273 게임피아, '영웅전설 여의 궤적' 스위치 버전 예약 판매 진행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14 94 0
10272 테스트 마친 '킹덤 : 왕가의 피' 오는 3월 5일 출격 [3]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14 737 0
10271 'XPLA'-'오아시스(OASYS)', 일본 시장에 대작 웹3 게임 선보인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14 81 0
10270 에픽세븐, 카카오톡과 라인에 두 번째 공식 이모티콘 ‘오늘도 에하! 에픽세븐콘’ 출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14 84 0
10269 [동영상] 24년 2월 3주차 신작 게임 소식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13 108 0
10268 [동영상] PC방 시장의 폭풍 '팰월드' [1]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13 173 0
10267 게임사들 대세로 등극한 '서브컬처'에 힘준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13 158 0
10266 “설 지나도 아쉬워 말라” 발렌타인 세일과 이벤트도 ‘가득’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13 103 0
10265 [겜덕연구소] 웬만한 덕력으론 알 수 없다! 사라져간 2000년대 B급 미소녀 게임들! [34]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13 7386 28
10264 [GAME2024] 그라비티, 체질 개선의 성과를 보여줄 때.. 신작 무더기 출시 예고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13 95 0
10263 “메타버스 아바타, 영상 제작...” 코그(KOG), 지역 사회 아동을 위한 창의 프로그램 진행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13 86 0
10262 [동아게임백과사전] 베껴도 재밌으면 그만? 논란에도 잘 나가는 게임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13 105 0
10261 게임베리 스튜디오, 방치형 RPG 신작 '다크 클랜' 인기 1위 기록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13 198 0
10260 넷마블, 'RF 온라인' 웹소설 '배드 본 블러드' 웹툰으로 만난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13 85 0
10259 서브컬처 행사 일러스타 페스, 수집형 RPG ‘에버소울’이 출격한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13 79 0
10258 월탱, '듄: 파트2' 콜라보 진행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13 87 0
10257 그라비티, '라그나로크' 5종에서 달콤한 발렌타인데이 시즌 이벤트 실시 [3]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13 393 0
10256 위메이드, '나이트 크로우' 솔로 던전 '시험의 탑' 등 예고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09 176 0
10255 위메이드 게임과 블록체인 강화로 2024년 도약 예고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09 201 0
10254 크래프톤, 2023년 역대 최대 매출 1조 9,106억 원 달성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08 234 0
10253 [한주의게임소식] 2주 연속 PC방 시장 상승한 문제작 '팰월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08 195 0
10252 ‘미르4, 미르M, 나이트 크로우’... 위메이드 풍성한 설 이벤트 연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08 187 0
10251 구정 다음 주에 열리는 제3회 '일러스타 페스', 서브컬처 마니아들 '시선 집중'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08 182 0
10250 나찰에 이정, 샤오, 메디아까지? 세나 키우기에 뉴페이스 온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08 190 0
10249 넥슨 2023년 매출 3조 9,300억 달성.. "역대 최다 매출 기록 달성"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08 215 0
10248 “게임으로 풍성한 명절 보내자”, 게임업계 설 이벤트 총출동!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08 196 0
10247 유니티, 2024년 모바일 게임 비즈니스 성장 트렌드 공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08 187 0
10246 더현대 서울에 넷마블 팝업 등장! 상품만 12종?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08 177 0
10245 엑스엘게임즈 ‘달빛조각사: 다크게이머’를 원스토어에서도 즐길 수 있다고?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08 185 0
10244 ‘엘든 링’ 모바일이 나온다고?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08 206 0
10243 [동영상] '드래곤볼 스파킹! 제로' 지구가 걱정되는 손오공 vs 베지터 영상 공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08 164 0
10242 디즈니, 에픽게임즈에 2조 원 투자... “거대한 디즈니 유니버스 만들겠다” [59]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08 13443 20
10241 [동영상] 영상 하나는 끝내주는 역대급 게임 트레일러는?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08 177 0
10240 엔씨소프트, '리니지' 모바일 3종과 '블소', '아미토이' 설날 이벤트 진행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08 183 0
10239 카카오게임즈 3년 연속 연간 매출 1조 돌파. 글로벌 진출과 장르 다양화 힘쓴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08 158 0
10238 CFK 식스타 게이트: 스타트레일, '포코톤' 콜라보 DLC팩 스위치판 출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08 137 0
10237 컴투스 신작 'BTS 쿠킹온: 타이니탄 레스토랑' SNS 채널 오픈, 글로벌 공략 '시동'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08 156 0
10236 그라비티, '라그나로크 온라인'과 SEGA '소닉 더 헤지혹' 콜라보레이션 진행 [7]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08 529 0
10235 [동영상] 이정재와 핑클이 게임 광고에? 이색적인 모습의 연예인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07 144 0
10234 [동영상] 철권 8에서 최고 비겁한 기술 TOP3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07 239 0
10233 하이브IM, 액션스퀘어에 전략적 투자하고 '던전스토커즈' 퍼블리싱 계약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07 139 0
10232 [리뷰] 새로운 주인공과 함께 하는 ‘이의있음!’ 역전재판456 오도로키 셀렉션 [6]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07 3904 8
10231 [리뷰] "전신 성형으로 돌아온 전설의 명작" 페르소나3 리로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07 164 0
10230 [리뷰] 방치형 RPG ‘999위 용사’, 익숙하고 안정적인 만큼 새로움도 부족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07 155 0
10229 그라비티, 라그나로크 IP 게임 6종에 풍성한 설 이벤트 연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07 132 0
10228 넷마블, 4분기 영업이익 177억 원...24년 상반기 '나혼렙' 등 출격 [1]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07 180 0
10227 웹젠, 23년 영업이익 499억 원...24년 게임사업 다각화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07 134 0
10226 스마일게이트, 비주얼 노벨 ‘러브인 로그인’으로 스팀 넥스트 페스트에 첫 로그인!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07 140 0
10225 마이.게임즈, 모바일 게임 ‘러쉬 로얄’ 홍보모델로 허성태, 고규필 발탁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07 119 0
뉴스 ‘이효리♥’ 이상순 12년 기다림 끝에…‘좋은 소식’ 전했다 디시트렌드 07.17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