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스압)우리에겐 언어가 필요하다-입이 트이는 페미니즘(이민경)외 1권앱에서 작성

ㅇㅇ(211.107) 2021.05.28 08:10:01
조회 20550 추천 159 댓글 240

우리에겐 언어가 필요하다-입이 트이는 페미니즘(이민경), 뤼스 이리가레(황주영)




1. 뜬금없는 소리지만 남자에게 고백을 받은 일이 있다. 받는 순간 여러 가지 생각이 들었는데, 개중 하나가

‘내가 저 사람보다 물리적으로 강해서 다행이다.’

였다. 뒤늦게 생각해보니 고백이나 대시를 받는 것은 대체로 기분 좋은 일일진대, 되려 안전에 위협을 느꼈다는 사실이 재미있었다.

하여 다른 사람에게 이 얘기를 할 때 그 아이러니함에 초점을 맞춰 과장되게 표현하곤 했다. “내가 고백씩이나 받고서도 정절(?)의 위협을 걱정해야 했다!”하는 식이었지.

대부분의 동성친구들은 “깔깔깔! 게이새끼! 내 옆에 오지마라!”내지 “엌ㅋㅋㅋㅋㅋㅋㅈ같았겠노ㅋㅋㅋㅋㅋ”같은 반응이었고 이는 내가 의도한 바였다.

하지만 이성친구에게 말했을 땐 대체로 ‘대충 이해는 간다’는 식의 반응이 많았고(“선배가 좀 그런 분위기가 있긴 해욯ㅎㅎㅎ”한 미친X을 제외한다면) 이는 명백하게 내가 예상치 못한 반응이었다.

이유를 물으니 ‘저 사람이 착한 사람인 걸 알아도 거절을 표현할 때 조금은 위축된다.’는 답이 돌아왔다. 남의 마음을 거절한다는 미안함(사실 본인의 권리지만)도 있겠지만 물리적 약자가 물리적 강자의 돌변을 통제할 수 없을 때 오는 불안함에 가까웠다.* 물리적 약자로서의 여성과 물리적 강자로서의 남성이 갖는 안전에 대한 감각이 다를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잠재적 범죄자 취급한다며 기분나빠하는(심지어 나에게 따지고 드는) 또래 친구들을 꽤 봤는데 그런 뜻은 아니었다. 거미가 익충인 걸 알면서도 묘하게 두려웠던 일, 지나가는 고등학생 대다수가 나에게 아무 관심 없는데 왠지 쫄렸던 내 초딩시절, 분명히 좋은 사람인 걸 알고 뭐라 하지도 않을 걸 알면서도 1년 선임앞에 위축되던 나 등에 가까웠지. 비합리적인 감정의 영역.

 

2. 그 무렵 강남역 살인사건으로 온 커뮤니티, 내 주변 젊은이들의 다수가 떠들썩했다. 기성세대와 공론장이 이들의 메시지를 담으려는 노력을 보이지 않았으므로-혹은 관성에 젖거나 특정세력 편향적으로 기술하거나- 되려 갈등이 격해졌던 걸로 기억한다. 포스트잇, 화환 메시지를 이용한 전쟁이나 유가족에 대한 막말, 시위나온 사람들에 대한 성희롱성 인신공격 등등.

내 친구들이 너는 어떻게 생각하냐 물었을 때

‘갈등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 인신공격 등을 배제하고 담론의 영역에서 합의하자.’, ‘조현병의 특징은 편집적 망상, 환각 등이다. 비단 여성이 아니더라도 피해자일 수 있었다.’/ ‘극단적인 표현을 거르고 나면 물리적 약자로서의 여성이 갖는 불안감에 대해 남성들도 생각해볼 여지가 있지 않겠나.’, ‘여성에게 안전한 밤길을 만들어 달라, 여자라서 죽었다는 메시지를 너무 희화화하지 않았으면 한다. 사회가 생각해야할 의제일 수도 있다.’

는 식으로 얘기했다가 양쪽에게 ‘남성 우위의 담론 영역에서 이 주제를 제대로 다뤄줄 것 같나? 너 같은 사람이, 대충 생각한 예쁜 말로 기존의 권력을 강화시키는데 기여하는 온건을 가장한 수구세력이다. 차라리 대놓고 혐오해라.’/ ‘X빨하지 마라. 남자도 밤길 무섭고 범죄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여자라서 죽었다는 말이 어디 사람이 할 말이냐?’ 하며 뚜들겨 맞았다. 비판과 갈등이 논의의 기능이긴 하겠으나 답답한 마음을 지울 수가 없었다. 서로에 대한 골이 그렇게 깊었나 싶어서.

 

3. 그러다 한국여성심리학회 학술대회 한다길래 가봤지. 우리가 흔히 보는 트위터발 페미와는 다른 느낌이었다. 주장은 온건하고, 들어줄만 했으며 실제로도 공부를 많이한 양반들이었지. 질문하면 대답도 잘해줬다.

심지어 트위터나 메갈 등 커뮤니티형 페미들을 비판하기도 했다. ‘뭔 얘기를 하는지 알겠는데 전략적으로 어리석다’는 취지였다.

미러링의 대안까지 제시했었는데 지금 쓰자니 명칭은 기억 안 난다. 내용이 대충 ‘쿨하게 인정하고 무력화시키기’에 가까웠다.

학문하는 사람의 고상한 비판을(공부 안하는 사람들에게 쉬이 ‘강단페미’라 멸시당하는)들으니 상당히 신선한 면이 있었다.*

쨌든 그때 뤼스 이리가레란 이름을 처음 들었고 마음에 들었다. 대충 ‘여성은 가부장제 하에서 스스로를 표현할 언어를 획득하지 못했고 존재 역시 그 자체가 아닌 남성의 대립항으로서 의미를 지녔다.’는 것이었다. 남성의 대립항으로서의 타자가 아닌 동등한 가치를 지니는 ‘주체로서의 타자’를 이야기하는 그녀의 이론이 제법 감동적이었다. 딱히 그렇게 생각해본 적 없었으니.

*다만 최근 윤지선 논문을 접하며 강단페미의 건전함에 회의감이 들긴 했다. 뭐, 여성주의 철학계와 여성주의 심리학계가 다른 것일수도 있겠다.

 
4. 씨발... 서론이 존나 길었다. 그 당시보다 남녀갈등이 훨씬 심해진 시대에(표출은 줄었으나 되려 배척은 더 심해졌다) 디씨에 대뜸 여성주의 책 읽었단 소리 썼다가 무슨 몰매를 맞을까 싶어 주둥이를 털 수밖에 없었다.

쨌든 저 3번의 이리가레라는 분의 입장이 마음에 들어 ‘우리에게는 언어가 필요하다.’는 책을 뽑아봤는데 목차보니 이게 그 전설의

viewimage.php?id=3fb8d122ecdc3f&no=24b0d769e1d32ca73dec8efa11d02831b210072811d995369f4ff09c9fd64d822fc81ea3ca1f8a6273e77e0826f88417b45cb4fd337df657a2aba1f0fc41272ce609b031fea7f854f1030b1ab37bdd76a3b1b6773f81

..... 군무새 책이었다.

남초 커뮤니티서 제법 유명했던 짤의 원전을 보니 마음이 절로 경건해져 얼른 정좌하고 비판적 사고 풀가동 하며 읽었다. 근데 시작부터 김 새드라. 서문에서 ‘이 글은 너 보라고 쓴 글 아니며 동의 안할 거면 읽지 마셈’이라 천명하는 책인데, 첫 장 타이틀이 ‘당신에게는 대답할 의무가 없다’인 책인데 비판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내가 타깃이 아님을 넘어 적극적으로 ‘읽기 멈춰!’하는 글에 진심을 담는 것도 웃기잖나. 그냥 저런 개인과 마주했을 때 논쟁을 하면 될 일이다. 하여 마음 편히 읽었다. 심지어 후반부에서

viewimage.php?id=3fb8d122ecdc3f&no=24b0d769e1d32ca73dec8efa11d02831b210072811d995369f4ff09c9fd64d822fc81ea3ca1f8a6273e77e0826f88417b45cb4fd337df100f6f5a5a1fc14272c6920c760350212a84b24721f1e3758d0457a0843d1b1

용케 읽었노?

viewimage.php?id=3fb8d122ecdc3f&no=24b0d769e1d32ca73dec8efa11d02831b210072811d995369f4ff09c9fd64d822fc81ea3ca1f8a6273e7136420f98710a096e29e021bf195f450a910764717dede1c681a297407146fdeeb38003299604a37e62b1a19344a3325da718a96

참고문헌 "0배"

모종의 유쾌함마저 느낌.

다만 글 전반에서 ‘여성에게 가해지는 차별은 남성이 완전하게 알 수 없다.’라는 메시지를 주는 것치곤 남성의 고민을 너무나 쉽게 재단하는 면이 있다. 당사자성을 이야기하고 싶다면 최소한 반대쪽을 ‘군무새’라 희화화하지는 말아야지.

더불어 가부장제가 진정으로 남성에게만 이익을 줬는지, 현 시점에서 가부장제가 주는 이득이 무엇인지, 권력으로 작용하고 있는지, 인신공격과 원천차단, 허수아비 때리기가 논증으로서 권할 만한 수단인지, 소수자와 약자를 배척하고 ‘도덕 버려’*를 지침으로 삼는 여성주의의 조류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너무 많은 현상을 성대결로 환원하고 있지는 않은지, 담론 지형에서 여성주의자들이 획득한 권력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는지 등의 생각이 들었긴 한데... 뭐.

엇. 쿨하지 못했다.

*워마드 행동강령 중 하나였다.

다만 마음에 들었던 입장 몇 가지가 있었다. ‘질문이 착하다고 대화에 응해야 하는가?’, ‘당신에게는 대답할 의무가 없다.’ 하는 대화의 거부권에 대한 이야기. 가끔씩 별 관심 없거나 사소한 문제에도 입장을 밝히라는 압박을 많이 받아왔는데 그냥 내가 피곤하거나 부담스러우면 안 해도 되는 거지 않나. 공직자도 아니고.

또 중립적이거나 예쁜 말로 상대방의 입장을 짓누르지 마라는 입장이었다. 사상에 붉은 물이 약간 든 나로서는 대충 공감할 수 있는 말이었다. 또한 온건한 입장을 좋아하고 공론과 합의를 중요시하는 내 성향이 누군가에겐 폭력으로 다가올 수 있겠구나 하는 반성도 했다.

‘여성에게 인정받으려 하지 말고 주변의 혐오발언을 저지하기’ 등도 꽤 마음에 들었다. 내가 본 남페미들은 하나 같이 이걸 못했다. 그런 인정욕구에 초연해지지 못해 많은 남페미들이 조롱당하고, 위선자 취급을 받고, 또 성범죄를 저지르지 않았나. 옳지 않다 느꼈으면 그저 행동하면 될것을, 구태여 전시씩이나 하려는 건 무얼 위함인가?

뤼스 이리가레 책도 읽었는데 그냥저냥 내 지적 허영을 만족시켜주는 좋은 책이었다. ‘여성은 그간 남성의 대립항으로서 존재 의미를 부여받았고(가부장제 하에서 여성은 여성이 아닌 어머니가 된다) 이제는 대립항으로서의 타자가 아닌, 주체성을 가진 타자로 살아야 한다.’가 큰 주제다.

다만 ‘여성성의 확립’이란 말을 했기 때문에 비판도 좀 받았다. 기존의 구도를 강화하려는 첩자 아니냐고. 물론 실제로 그런 주장이라기 보단, ‘어차피 남녀가 신체적인 차이와 특성의 차이가 있는 건 사실이니, 여기서 차별적인 시선을 제거하고 주체성을 담자.’하는 것에 가까웠다.

직관적인 예시론 탈코페미가 있겠다. 가부장제의 억압에서 탈출하는 것과 권력획득에만 골몰하다보니 되려 남성에 가깝게 되지 않나. 독립된 속성으로서의 여성성을 획득하지 못했기에 벌어진 일이다. 기존 사회가 남성성이 기본값이라면, 그 안에서의 평등과 권력획득은 결국 남성성을 획득하는 과정에 가까울 것이다.

하여 이리가레는 단순히 평등주의를 추구하진 않고 1. 여성의 존엄성을 인정하고 여성의 몸과 특성을 상업적으로 이용하지 마라. 여성 스스로가 원하는 방식으로 자신을 표현할 권리가 있다. 2. 여성에게는 여성의 정체성인 처녀성*과 모성**에 대한 권리가 있다 3. 여성에게는 스스로의 생명과 여성적 전통 및 종교를 수호할 권리가 있다. 4. 경제, 언어, 종교, 공적 결정 등에서 남성과 동등한 격으로 대우받아야 한다.

라 주장했다.

난 대충 동의한다.

*처녀성: 여성 정체성의 불가침성이나 온전성에 대한 은유로 가부장제 하에서 통용되는 의미와 다름
**모성: 역시 가부장제 하에서 강제되었던 모성이라기 보단 여성의 창조성에 대한 은유임







+

viewimage.php?id=3fb8d122ecdc3f&no=24b0d769e1d32ca73dec8efa11d02831b210072811d995369f4ff09c9fd64d822fc81ea3ca1f8a6273e77e0826f88417b45cb4fd337df302acfea6fbf717274d3d7cce6c3dd29da20869068325f8f87b6ecc5a173b0e5918a4be954bd1

마음에 들었다ㅋㅋㅋㅋㅋㅋ

- dc official App


출처: 독서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159

고정닉 33

62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공지 실시간베스트 갤러리 이용 안내 [1817/2] 운영자 21.11.18 5647632 432
239302
썸네일
[디갤] 여름빛 스냅모음
[30]
곰아저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0 765 38
23930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우동식히기 기계
[29]
Kanta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5 2854 18
239300
썸네일
[새갤] [J+A] 채상병母 편지에 여야 다른 반응.. 책임 떠미는 사단장-대대장
[23]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0 1084 9
239298
썸네일
[도갤] 최근 경복궁에서 청기와 대거 출토됨 ㄷㄷㄷ
[7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2968 62
239297
썸네일
[기갤] 만약 북한 오물풍선 맞으면 피해보상 어떻게 될까?.jpg
[8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0 2950 17
239296
썸네일
[야갤] 도넘은...쿠팡....ㅇㅂㅈ시작...jpg
[375]
메좆의야짤타임12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55 10112 151
239293
썸네일
[싱갤] 클래스의 여자아이에게 스티커 붙히는 만화
[84]
그로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45 20607 73
239292
썸네일
[카연] 옆자리 아싸녀가 인터넷방송 하는 엘프였던 만화-8
[36]
나미야724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40 4329 24
239290
썸네일
[새갤] 한동훈 “대통령실과 기 싸움 않겠다”.. 다음 주 출마 전망
[251]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5 5348 52
239289
썸네일
[주갤] 이혼 후 연금 도축 폭증..여자가 다 가져가.news
[28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0 7528 201
23928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외국인들이 놀란 한국의 기술.jpg
[169]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5 10143 87
239286
썸네일
[위갤] 혼자 떠나는 위스키여행 - 야마자키 증류소 투어
[28]
pianoma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0 2276 14
239285
썸네일
[미갤] 6월 14일 시황
[11]
우졍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5 2726 8
239284
썸네일
[이갤] 헬스장가는 남자들의 심리 세계.jpg
[212]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0 14993 150
239282
썸네일
[새갤] [단독] "대학병원 10곳 중 최소 4곳 집단 휴진"... 환자들 격앙
[296]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5 5801 45
23928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모닝지구촌 0614
[65]
모닝지구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0 5189 33
239278
썸네일
[F갤] [뮌헨 팬 필독] 파울라너의 역사를 알아보자
[40]
한걸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40 3648 43
239276
썸네일
[인갤] 넥스트 페스트 게임 15개 짧은 후기
[20]
멍냥핫도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0 4696 34
239274
썸네일
[교갤] 전역한 곳 한바퀴 돌기.
[120]
ㅇㅇ(14.33) 09:20 10653 64
239272
썸네일
[이갤] 노홍철의 군생활...jpg
[30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 15652 204
239270
썸네일
[싱갤] 고전고전 올리브영 알바 지원생
[198]
ㅇㅇ(175.200) 09:00 19410 142
239268
썸네일
[위갤] 라프로익8종 블라인드 리뷰
[44]
이탄들린모코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50 4194 37
239266
썸네일
[카연] 4인 던전공략 만화.manwha 上
[33]
머래낙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0 6222 60
239264
썸네일
[디갤] 또 브랜드 갈라치고 야랄났네ㅋㅋ '프로'는 안그런다ㅋㅋ
[43]
난꽃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30 10684 22
23926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남자가 부족한 나라
[623]
가상현실여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20 29118 244
239260
썸네일
[오갤] 벤자리 범가자미 후기(씹스압) - 2
[17]
금태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0 5298 21
239256
썸네일
[도갤] 흥선대원군은 과연 전통건축의 구세주인가?
[284]
BAB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50 9156 48
239254
썸네일
[이갤] UFC 챔피언이 패배한 정찬성을 기다려준 이유...JPG
[11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40 12088 81
239252
썸네일
[카연] 드래곤인가요? 1화
[17]
히가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5015 26
239250
썸네일
[싱갤] 이예다와 그를 따라간 청년들의 근황 (+프랑스 복지)
[52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0 25274 167
239248
썸네일
[이갤] 찐따들이 인정한 영화 속 각성씬 TOP 15..gif
[129]
이시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17132 50
239246
썸네일
[디갤] 붉은부리 찌르레기의 육추와 일몰
[23]
ㅇU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0 3802 16
239245
썸네일
[이갤] 꿀잠 잘 수 있는 간단한 방법...jpg
[634]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55 44420 96
23924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일본인이 분석한 "ㅋ"
[709]
운지노무스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45 39447 306
239241
썸네일
[야갤] 90년대 학생 ㅗㅜㅑ.jpg
[611]
딱정벌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5 73866 289
239239
썸네일
[이갤] 알고보면 살 찌는 음식 다섯가지
[263]
당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5 39009 111
239235
썸네일
[한갤] 애가 들어서는 유명한 한의원
[406]
한갤러(65.20) 01:06 28192 188
239233
썸네일
[L갤] 다저스 vs 텍사스 경기 직관 후기
[63]
카리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55 12145 38
239231
썸네일
[U갤] 정당방위가 궁금한 김동현
[347]
U갤러(149.102) 00:45 26119 187
239229
썸네일
[이갤] 사람들이 다이어트에 실패하는 이유
[369]
당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35 32061 134
239227
썸네일
[카연] 놀이터에서 눈나가 둘러싸이는.manhwa
[149]
어패류메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25 25677 250
239225
썸네일
[이갤] 100억 넘는 아파트 살면서 느낀점...jpg
[496]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15 46151 96
23922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직장인들이 공감된다고 난리났던 드라마
[343]
ㅇㅇ(1.239) 00:05 34598 457
239221
썸네일
[퓨갤] 나방신 신인 입단식 계약일화.jpg
[42]
ㅇㅇ(222.109) 06.13 12668 40
239219
썸네일
[배갤] 인도네시아 모험 se01 (1) - 일단 반둥으로
[31]
ㅇ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8457 20
239215
썸네일
[해갤] 박지성이 평가하는 이강인.....jpeg
[490]
해갤러(211.234) 06.13 38606 861
23921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늑대와 일곱마리 아기 염소
[238]
ㅇㅇ(175.196) 06.13 23517 179
239211
썸네일
[인갤] 6월 개발 일지 2
[65]
봄네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11494 37
239209
썸네일
[새갤] 2024영국 총선- 주요 이슈 업뎃&의석수 상황판: 6월 1주~2주
[63]
국민의힘끝장났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3 11415 44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