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한국전에서 귀환한 미군 참전용사들의 후일담

투하체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6.25 19:05:01
조회 22830 추천 309 댓글 186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980fa11d02831e6e7be0ee814d24c60dd3fb981d5ba2a62b13f75c195616f8b8e2e03709dad0b4ff8402e627aca60abcd8a35b887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980fa11d02831e6e7be0ee814d24c60dd3fb981d5ba2a62b13f75c1950c068b8a2d067d96aa0f926464e4001a1c63745ead7b7e



William Dewey Freeman


(1928년 10월 3일 – 2022년 5월 27일)


전쟁이 끝나고 알게 된 것인데, 내가 속했던 중대 인원 중 1951년 횡성 학살에서 생존한 사람은 나 포함 고작 7명이었다.


내가 생존한 이유는 나도 모른다.


수도 없이 내 자신에게 물었다. ‘다른 사람들은 죽고 나는 어떻게 살았는가?’ 신의 도움 외에는 결론을 내지 못했다.


당시 조지아의 내 고향사람들은 교회에서 나를 위해 무척 기도했다고 한다.


난 신이 그 기도들에 응답했다고 생각한다.



귀국해서 한 어르신이 그랬다. "자네는 날 모르지만 난 자네를 잘 알아. 자네가 한국에서 포로가 되었다는 말을 듣고, 우리는 일요일 아침과 저녁, 화요일 밤에 모두 모여 자네를 위해 기도 했었거든."


http://www.koreanwar-educator.org/memoirs/freeman_william_d/index.htm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980fa11d02831e6e7be0ee814d24c60dd3fb981d5ba2a62b13f75c195616f8b8e2e03709dad0b4ff81d72337cc93ff6c98a35b887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980fa11d02831e6e7be0ee814d24c60dd3fb981d5ba2a62b13f75c195616f8b8e2e03709dad0b4ff841286576cb6ca7c88a35b887



Dale Alfred Erickson


(1931년 1월 7일 – 2022년 11월 26일)


캠프 펜들톤에 도착하자 질병검사 후에 재입대를 할 거냐는 질문을 받았고 난 전쟁에서 충분히 군대를 경험했다고 생각했다.


더 이상 폭력과 연관되고 싶지 않았다. 임시중대에서 기차표를 줬다. 1951년 12월 13일 미 해병대에서 제대 했고, 그때 난 스무 살이었다.


기차역에는 아무도 없었고 택시를 타고 집으로 갔다. 집에 도착했지만 아무도 없었고 아무런 축하도 없었다. 내 형제를 비롯해서 친구들은 전쟁 이야기에 아무런 관심이 없었다.


마치 지난해에 여름캠프를 갔다온 기분이었다. 난 내 기억의 짐을 내려놓고 싶었으나 아무도 관심 없었다.



더 큰 문제가 생겼다. 일주일 넘게 잠을 잘 수가 없었다. 신경이 예민했고 작은 소리에도 깜짝깜짝 놀랐다. 한밤중에 갑자기 심장 마비처럼 심장이 쿵쾅거리고 한국에서 전투하는 꿈을 꾼다.


여러 직장을 전전했다. 1952년 난 미네소타-듀러스 대학에 등록해서 1년을 다녔다. 대학에 다닐 때 군 경력에 대해 아무한테도 말 안했다.


다른 학생들과 섞이기 힘들었다. 그들과 다르다는 생각이 들었다. 난 밝지 못했다.



http://www.koreanwar-educator.org/memoirs/erickson_dale/index.htm








20b8dd19f2db34aa67bedba629d5252bc0b7f64ccae1c49a0ca8070758ea1dac56e78668741f701c8ceae398d8f27145d169d43146f701b8


7ceb8871b38560f43dea98bf06d60403a0880ef5c25b24bb1d



David Morris Williams


(1932년 11월 17일 생)



귀국명령을 받을 즈음 난 소대 전령을 하고 있었고 아마도 철의 삼각주 근처였을 것으로 기억한다. 전선의 마지막 밤은 정말로 신경이 예민했다.


내가 처음 왔을 때 있었던 병사는 이제 몇 명 되지 않았다.


난 전우들에게 행운을 빌며, 1951년 9월 초 한국을 떠났다. 계급은 상병. 샌프랜시스코(Golden Gate Bridge)의 금문교를 봤을 때 난 정말 감회에 젖었다.


정말 집이구나 싶었다. 부모님과 형제자매들이 항구에 나와 나를 반겼다.


어머니는 나를 보시고는 살짝 놀라셨다. 참전 기간동안 난 키가 5cm 넘게 더 자랐고 체중도 30파운드가 더 늘었다. 떠나기 전보다 조용한 사람이 되었고, 전쟁 이야기는 하지 않았다. 누가 물어도 정확히 말해주지 않았다.


한국전 경험은 날 정말 고착시켰고, 참전 이전에 비해 난 좀 더 거칠어졌다.


한국전을 통해서 자기확신도 생겼지만, 남들을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갖게 되었다.



http://www.koreanwar-educator.org/memoirs/williams_dave/index.htm






20b8dd19f6c639a862bacf8a46851b6a3446a292637ab4d0ff448f5d9160e42e3e9e9c5996


7ceb8871b38560f43aeb98bf06d604031941368d7a44e182d2



Eldon L. "Ike" Stanley


(1930년 9월 6일 – 2017년 9월 6일)



한국이 날 변화시켰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러나 완전히는 아니다.


PTSD가 나도 모르는 사이에 찾아오곤 했다. 꽤 오래 갔다.


난 텍사스 언저리로 가서 살기 시작했다. 나무도 없고 아무 것도 없는 곳이다.


한국을 잊기 위해 일부러 그런 곳에 자리 잡았고, 근처 모든 나무를 잘라 불태워버렸다. 민간인으로 돌아오는 건 어렵지 않았으나, 미국으로 돌아왔을 때 난 이미 훈련된 킬러였다.


한 직장에 오래 머무를 수 없었고 한 군데서 3-40년 일하는 사람이 될 수 없었다. 내가 인생에서 최고로 오래 일한 곳은 9년이다.


운송회사에서도 일했고 아서 머래이 스타일 (현대무용)의 스튜디오에서 무용교사도 1년 반 동안 했다. 거기서 여자를 하나 만났는데 당시 가톨릭 사회에서는 개신교와 결혼하는걸 멀리했었다.


1953년 경에 반지와 모든 걸 준비해 청혼했으나 그녀는 반지를 돌려주며 거절했다. 이후 그 일을 그만 두고 6개월간 은둔했다.


그 어떤 직업도 정착이 안 됐다. 오클라호마 시티의 댄스 스튜디오로 갔다. 거기서 로리타 로빈슨을 만나 결혼했고 장인을 위해 4년간 일했다.


그 다음 정유회사에서 5년 동안 일했고, 이후 트럭회사에서 4년간 일했다.


http://www.koreanwar-educator.org/memoirs/stanley_ike/index.htm








20b8dd19f6cb3ca86fb2e9bd17c32b31ae10e057daaab5bf396b3f5104d2f12ab48229


05bcc229e9d6759577bb9b860fd52a3c710d81fd751b443eeb7743667267e723c0237518ad1f416517d1902032cd1b44de



Harold John Sydnam Jr.


(1927년 7월 28일 – 2017년 3월 30일)


민간인이 되었을 때 특별한 문제는 없었지만, 한 동안 배에 수류탄과 대검을 놓지 않으니 잠이 안 왔다.


내 왼쪽 귀는 청력을 상실했었고, 1년이 지나고서야 부분적으로 돌아왔다.


난 대학으로 돌아가 탄광 엔지니어링을 더 배우려고 했다.


그러다 알래스카의 좋은 일자리를 얻었다. 패시픽 노던 항공 알래스카 지사였다.


나의 해병대 총 근무기간은 4년 10개월 3일이었다. 알래스카에서 아내를 만나 1953년 결혼했다.


1959년 항공사에서 퇴사하고 알래스카에서 주립경찰이 되었다. 주방위군으로도 참여해서 1979년에 중령 계급으로 알래스카 주방위군 부 작전관이 되었다.


1983년에 은퇴해 캐나다에 정착했다.


http://www.koreanwar-educator.org/memoirs/sydnam_harold/index.htm







7ceb8871b38560f43bee98bf06d60403f98db9bef512e47048


a65614aa1f06b3679234254929997674caceee5894f61e500b4c49da0b76b5



Carl Edward Bowers


(1932년 10월 13일~2008년 10월 2일)


1951년 5월 일본에서 미국으로 도착한 한국전 참전병 3,759명, 테네시 출신 75명 중 내가 있었다. 시애틀에 도착했는데 세 번째 한국전 참전병 combat rotation의 시기로 분주했다.


난 1952년 3월 29일 육군에서 명예롭게 제대했다. 마지막으로 있던 곳은 노스캐롤라이나 포트 브래그 육군병원이었다.


제대하고 90일 후 난 다시 공군에 재입대했다. 로리다 탬파의 맥딜 공군기지로 전입을 가서 외과 의무병으로 근무했다. KC-130과 KC-135 통신병도 했다.


그때 아니타 에슬린을 만나 53년 7월에 결혼했다. 공군에서 2년을 근무하고 복부의 부상 부위가 좋지 않아 더 이상 근무할 수가 없었다.



난 현재 한국전 전상 100% 장애인 판정인 상태다.



아들 셋을 낳았고 둘째인 마이클은 이라크에 세 번이나 참전했다. 아내는 2002년 1월 1일 세상을 떠났다.


올해 2007년에 난 심장마비 두 번을 겪었고, 9월에 다시 폐 수술을 받기로 예정되어 있다.


글을 쓰는 것은 쉽지 않았다. 한국에서 겪었던 것들은 내가 잊고 싶었고 그것이 떠오르면 어떨 때 정말 나를 괴롭힌다.


그러나 나는 사람들에게 한국전쟁이 어떤 것인지 말하고 싶었다.


전장을 정말로 경험하지 못한 사람들은 전투가 어떤 것인지 결코 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


http://www.koreanwar-educator.org/memoirs/bowers_carl/index.htm










20b8dd19e7dd30a77cabe9e547ee7164750f2c410a2c2d69da95689c43ff81f81c4e6b6e


7ceb8871b38560f43beb98bf06d604033be35944bf6be8067e


7ceb8871b38560f43be898bf06d60403b11757fda9644fa21b



Richard Cornelius Bohart


(1928년 9월 4일 생)



항구에 안기가 잔뜩 낀 아침에 도착했는데 아무런 행사도 없었고 크게 "WELCOME HOME!"이란 플랭카드가 보였다.


배에서 내리니 커피와 도넛이 제공되었다. 미국 땅을 다시 밟는 기분은 정말 감격스러웠다.


너무 감정이 차올라 목이 막힌다. 그 감흥은 3일간이나 계속 되었다.


전화로 가족들에게 난 아무 문제없다고 알렸다.



나는 샌디에고 신병 보충대에서 대기하다 1951년 12월 7일 정식으로 제대했다. 제대하기 전 한국에서 얻은 부상을 치료하고 신병들을 훈련시키는 교관을 했다.


캔자스 대학교에서 파트타임으로 일하며 남은 학업을 끝내고 1954년 1월 졸업했다.



재입대는 꿈꾸지 않았다. 난 전쟁과 죽음을 더 이상 원하지 않았다. 학생들은 한국전을 잘못 알고 있었다. 전쟁은 길어졌지만 별로 관심도 없었다. 그들의 일상에 전쟁은 없었다.


제대 후 해병대 경험은 나를 보다 모범적인 시민으로 만들었다. 약간의 문제는 있었으나 사회생활에는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밤마다 악몽이 찾아와 한국은 결코 날 떠나지 않았다. 전투가 어제의 일처럼 막 불타오른다. 술 정말 많이 마셨다.


이후 화학회사에 들어가 중남미 여러 곳을 돌아다녔다. 거기서 화학회사의 거대한 시설 총괄 매니어 일까지 했고 4년 전에 은퇴했다.


재혼한 아내와는 올해 결혼 36주년을 맞았고 두 아들과 딸을 낳았다. 그 이전의 결혼에서는 아이가 없었다.



한국전 이후 나 자신은 힘들었다.


한국에서의 전투와 죽음을 떠올리는 것도 힘들었고 밤에 찾아오는 악몽도 싫었지만, 낮에도 어떤 냄새나 소리에 민감하게 반응했다. 예를 들어 비가 내리는 숲을 걷다가 갑자기 잊었다고 생각한 기억들이 돌아오곤 했다.


그런 이유로 이번 인터뷰는 어려웠다. 어떤 질문으로 인해 갑자기 기억이 되살아났다. 잠자리에 들면 악몽으로 인해 편두통이 늘어나기도 했다.



지금도 과거 전투에 대한 기억은 어제의 일처럼 생생하다.


아내는 내가 인터뷰 도중 과거의 기억에 더 민감해졌다는 걸 알았다. 나와 연관된 해병 전우들에 대한 기억으로 인해 눈에서 눈물이 흐른다.


정말 내 기억을 되살릴 다양한 질문을 받았고 난 성심성의것 답변했다. 가장 컸던 것은 PTSD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http://​ http://www.koreanwar-educator.org/memoirs/bohart_richard/index.htm








7ceb8871b38560f53be798bf06d60403794ab2ab42c9632775

7ceb8871b38560f538ee98bf06d60403b2d143c4052975d9da







출처: 군사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309

고정닉 66

5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23932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개떡락한 NC 주식 근황.jpg
[53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51469 443
239320
썸네일
[남갤] 전남친 찾아와 때리고 성폭행…영상도 있는데 '불구속'
[343]
띤갤러(103.216) 06.14 22445 59
239318
썸네일
[대갤] 日, 스시녀 2명이 17세 여고생 살해 혐의로 체포... SNS가 발단
[288]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21527 182
23931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수도가 3개인 나라가 있다?
[159]
수저세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23329 116
239316
썸네일
[야갤] "무한리필 사주는게 사람 무시하는건가요?".jpg
[40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33636 235
239314
썸네일
[피갤] ■오피셜] 피프티 5인조 9월 컴백
[157]
blue_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16568 222
239313
썸네일
[밀갤] 밀양 피해자에 "네가 먼저 꼬리쳤지"…담당 경찰도 신상 털렸다
[307]
밀갤러(146.70) 06.14 21752 193
239312
썸네일
[새갤] [단독]이재명 재판, '이화영 유죄' 재판부 배당..민주, 기피신청 검토
[243]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12654 158
23931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ㅈㄴ 불쌍한 포켓몬.jpg
[222]
파바라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29223 146
239308
썸네일
[야갤] 동해 석유 시추를 반드시막아야하는 이유.blind
[518]
야갤러(89.187) 06.14 32467 418
239306
썸네일
[배갤] 현재 욕쳐먹고있는 배그 뉴진스 콜라보 근황
[304]
배갤러(104.254) 06.14 39207 167
23930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자기의지로 4번 월북한 일본인
[198]
일리아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22330 175
239304
썸네일
[이갤] 개구리소년 사건당시 피해자가족을 범인으로 지목한 심리학자...jpg
[198]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22515 184
239302
썸네일
[디갤] 여름빛 스냅모음
[41]
곰아저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4582 55
23930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우동식히기 기계
[114]
Kanta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23218 152
239300
썸네일
[새갤] [J+A] 채상병母 편지에 여야 다른 반응.. 책임 떠미는 사단장-대대장
[130]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9990 54
239298
썸네일
[도갤] 최근 경복궁에서 청기와 대거 출토됨 ㄷㄷㄷ
[32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20756 229
239297
썸네일
[기갤] 만약 북한 오물풍선 맞으면 피해보상 어떻게 될까?.jpg
[21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19169 79
239296
썸네일
[야갤] 도넘은...쿠팡....ㅇㅂㅈ시작...jpg
[906]
메좆의야짤타임12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45892 515
239293
썸네일
[싱갤] 클래스의 여자아이에게 스티커 붙히는 만화
[128]
그로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31336 132
239292
썸네일
[카연] 옆자리 아싸녀가 인터넷방송 하는 엘프였던 만화-8
[60]
나미야724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16203 37
239290
썸네일
[새갤] 한동훈 “대통령실과 기 싸움 않겠다”.. 다음 주 출마 전망
[505]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16690 101
239289
썸네일
[주갤] 이혼 후 연금 도축 폭증..여자가 다 가져가.news
[54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24899 544
23928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외국인들이 놀란 한국의 기술.jpg
[327]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30937 241
239286
썸네일
[위갤] 혼자 떠나는 위스키여행 - 야마자키 증류소 투어
[34]
pianoma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6529 19
239285
썸네일
[미갤] 6월 14일 시황
[16]
우졍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7398 16
239284
썸네일
[이갤] 헬스장가는 남자들의 심리 세계.jpg
[459]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43753 334
239282
썸네일
[새갤] [단독] "대학병원 10곳 중 최소 4곳 집단 휴진"... 환자들 격앙
[440]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13210 69
23928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모닝지구촌 0614
[83]
모닝지구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10296 59
239278
썸네일
[F갤] [뮌헨 팬 필독] 파울라너의 역사를 알아보자
[65]
한걸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7326 59
239276
썸네일
[인갤] 넥스트 페스트 게임 15개 짧은 후기
[28]
멍냥핫도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8957 46
239274
썸네일
[교갤] 전역한 곳 한바퀴 돌기.
[146]
ㅇㅇ(14.33) 06.14 19696 102
239272
썸네일
[이갤] 노홍철의 군생활...jpg
[43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31125 435
239270
썸네일
[싱갤] 고전고전 올리브영 알바 지원생
[319]
ㅇㅇ(175.200) 06.14 35917 272
239268
썸네일
[위갤] 라프로익8종 블라인드 리뷰
[46]
이탄들린모코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7275 38
239266
썸네일
[카연] 4인 던전공략 만화.manwha 上
[42]
머래낙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10051 67
23926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남자가 부족한 나라
[834]
가상현실여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50435 457
239260
썸네일
[오갤] 벤자리 범가자미 후기(씹스압) - 2
[23]
금태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8906 27
239256
썸네일
[도갤] 흥선대원군은 과연 전통건축의 구세주인가?
[304]
BAB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13931 58
239254
썸네일
[이갤] UFC 챔피언이 패배한 정찬성을 기다려준 이유...JPG
[16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19297 128
239252
썸네일
[카연] 드래곤인가요? 1화
[23]
히가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7644 32
239250
썸네일
[싱갤] 이예다와 그를 따라간 청년들의 근황 (+프랑스 복지)
[58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32524 216
239248
썸네일
[이갤] 찐따들이 인정한 영화 속 각성씬 TOP 15..gif
[169]
이시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26938 68
239246
썸네일
[디갤] 붉은부리 찌르레기의 육추와 일몰
[25]
ㅇU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5045 17
239245
썸네일
[이갤] 꿀잠 잘 수 있는 간단한 방법...jpg
[688]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59444 126
23924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일본인이 분석한 "ㅋ"
[820]
운지노무스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52587 412
239241
썸네일
[야갤] 90년대 학생 ㅗㅜㅑ.jpg
[679]
딱정벌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101955 335
239239
썸네일
[이갤] 알고보면 살 찌는 음식 다섯가지
[343]
당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51170 135
239235
썸네일
[한갤] 애가 들어서는 유명한 한의원
[456]
한갤러(65.20) 06.14 35109 234
239233
썸네일
[L갤] 다저스 vs 텍사스 경기 직관 후기
[73]
카리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14396 4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