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수리철학에 관해 알아보자 고대~근대 편

부조리인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6.17 09:50:01
조회 13776 추천 129 댓글 219


7cea817eb0806df03cee98a518d60403fce2e9066b961100da56


과학을 함에 수학은 앰창 존나 많이 쓰인다(짤은 슈뢰딩거 방정식을 유도하는 과정의 일부)

비단 자연과학뿐인가 폰 노이만의 게임이론이 사회학에 미친 영향은 어디서 부터 말해야 할지 감조차 잡을 수가 없다

여기서 끝이 아니다 철학에서조차 수학이 너무 많이 쓰여 이젠 철학과 수학을 구분할 수 없는 지경에 왔다


"근데 이게 어떻게 가능하지?"

이게 우리의 물음이다


우리가 처음 수학을 배웠을 때를 떠올려보자

"이건 덧셈이란 거에요~"란 슨상님의 말에

"덧셈이 어떻게 가능할 수 있습니까?"라 묻는 다면

그냥 수학자들이 그렇게 정했다, 고까우면 니가 수학자 하든가 라는 답이 돌아온다

사실 틀린 말이 아니다(8살 아이에게 페아노 공리계의 인식론적 정당성을 설명할 수는 없지 않은가)


무튼

수학은 여기서 시작한다 증명 없이 텅 비어 공허하게 참인 명제인 공리를 상상하는 것 부터


이 공리에서 순수하게 연역적으로 뻗어나가는 게 수학이다

이제 슬슬 이상한 점이 보이는가?


마치 소설가가 허구의 인물을 지어내어 이야기를 만드는 것처럼

수학자들도 허구의 개념과 기호들을 도입해 설정딸을 치는 것과 별반 달라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이 설정딸이 이뤄낸 것들을 보면

설정딸이 아닌 설정섹스(질싸포함)라 부르는 게 더 정확해 보인다


도대체 우리는 어떻게 설정섹스를 할 수 있단 말인가! 나는 그냥 섹스조차 하지 못했는데!!!
















viewimage.php?id=2fa8de21e9d7&no=24b0d769e1d32ca73fe980fa11d028315d554368bac55d95d5bf54b6a5842c099bd2072543212975c814fa29cf1fb4e0b56169f1569100a0810e51e05950fe6f443c

철학계의 호감고닉

보추를 사랑하는 플라톤톤정해병이다


플라톤도 위와 같은 질문을 했는데

그의 저서 메논에서 이에 관한 사유를 들여다 볼 수 있다



여기선 소크라테스에게 기하학을 가르침 받는 노예 소년의 이야기가 나온다



viewimage.php?id=2fa8de21e9d7&no=24b0d769e1d32ca73fe980fa11d028315d554368bac55d95d5bf54b6a5842c099bd2072543216f2999169c29c61ebdeebca35a39f99a2389f8ba1ca596

한 변을 2피트로 하는 정사각형의 넓이의 두배가 되게하는 정사각형을 작도하라


소크라테스는 이 문제를 소년에게 천천히 설명해준다


그리고 소년은 "어떤 정사각형의 넒이의 두배가 되는 정사각형은 원래 정사각형의 대각선의 길이와 한 변의 길이가 같다"

즉 피타고라스정리의 일부분을 스스로 알아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주목해야할 점은 이제 소년은 이 증명을 아는 것 만으로도

한 변의 길이가 얼마든 그 정사각형 넓이의 두 배가 되는 정사각형을 작도 할 수 있다는 것


"두 정사각형에 관해 한 정사각형이 다른 정사각형의 두 배인가?"라는 질문을 수치 관계 하지 않고 "측정없이" 답할 수 있게 됨


플라톤이 말하고자 하는 지점은 바로 이건데

소년은 분명 위 수학적 개념의 예화 중 하나를 관찰 했을 뿐인데 볼 수도 없고 만질 수도 없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어떻게 알았다는 거냐 바로 이것


현대의 일반인들은 "그냥 원리를 이해한 거 잖아" 라고 말하겠지만

플라톤은 그 원리라는 걸 어떻게 알았냐 바로 이 지점을 말하는 거라는 걸 알아야한다

(그 당시에는 인지심리학 같은 게 없었다는 것 또한 알아두자)


우리 앞에 어떤 물체 있다면 우린 우리 앞에 그 물체가 있다는 걸 어떻게 알지?

감각기관 즉 눈을 통해 확인한다


하지만 이 원리라는 건? 도대체 어떤 감각기관을 통해서 확인 되는 거지?

만약 감각기관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는 물리적 실체가 아니라면, 우리는 어떻게 이를 아는 거지?


여기서 등장하는 것이 그 유명한 플라톤의 이데아론이다

"시공간에 관계없이 불변하며 절대적이고 보편적인 세계의 본질로서 존재하는 천상의 세계가 있고 이를 이데아라고 하자"라는 게 이데아론의 첫 시작인데 여기서 더 나아가

우리 개개인의 절대적 본질로서 이데아 또한 존재하며 우리 또한 본래 이데아의 존재였기에 이데아에 관한 지식이 흐릿하게나마 남아있고

우리는 이를 이성으로서 명료화 시킬 수 있다 이게 철학이 해야 할 일 이다


이게 플라톤이 생각하는 세계였음 그리고 수학의 존재가 바로 이 이데아의 지식이었다는 거지


소년이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알 수 있었던 이유 또한 알 수 있는데

노예라 하지만 소년 또한 본래 이데아의 존재였고 이 흐릿한 이데아의 지식이 피타고라스가 보여준 사례를 통해 상기된 것 뿐 이라고 하면 모든 것이 맞아떨어진다


바로 이게 플라톤의 수리철학이올시다!


이에 의하면 수학은 허구적인 설정딸이 아니라 진짜로 존재하는 것들

그것도 존나 개쩔게 존재하는 것들에 관한 지식이다


따라서 우리가 수학을 연구한다는 건 마치 고고학자처럼 이성을 통해 이데아의 지식을 발굴하는 것과 같은 것이라 할 수 있겠고

수학을 통해 과학을 할 수 있는 이유는 설명할 필요도 없이 자명하게 된다


그리고 이를 현대에선 "수학적 플라톤주의" 또는 "수학적 실재론"이라고 부른다










viewimage.php?id=2fa8de21e9d7&no=24b0d769e1d32ca73fe980fa11d028315d554368bac55d95d5bf54b6a5842c099bd2072543216f2999169c29c61ebdeebca60d38ab9671ddfbba0ca992c4

플라톤 사후 약 1900년 후 미친 올라운더 천재 한 명이 인식론의 시대를 열고, 철학의 주체를 주관으로 돌리면서

"절대적 진리"라는 존재에 의구심이 제기된다


이 글을 보고있는 싱붕이들이라면 통속의 뇌가 뭔지 다 알것이다

"우리가 감각하는 건 전기자극에 의존하는데 그건 외부에 의해 조작되기 너무 쉬운 것 아닌가 그렇담 물질세계에 관한 지식을 우리가 어떻게 확신할 수 있는가?"

이 논의의 시초가 데카르트다 (방법론적 회의를 여기서 설명하진 않겠다)

물론 데카르트는 부정한 건 감각 말고도 수학적 진리마저 부정했다 "사실 1+1=523인데 어떤 초월적 존재가 우리의 의식을 조작해서 1+1=2라고 알게했다면?"

이런 발상이다


사실 데카르트를 깊게 논하지 않아도 이 글을 읽는데 무리는 없다



무튼 이렇게 플라톤이 깊게 뿌리박아둔 "진리와 진리가 아닌 것"이라는 이원론적 세계관에 금이 가기 시작한다

(이후 플라톤의 민심은 니체의 이게 다 플라톤 때문이다 시전 후 완전히 운지했다)










viewimage.php?id=2fa8de21e9d7&no=24b0d769e1d32ca73fe980fa11d028315d554368bac55d95d5bf54b6a5842c099bd2072543216f2999169c29c61ebdeebcaa0d63ab9f768ea8ba0ca992c4


이 남자는 임마누엘 칸트 근현대철학의 GOAT라고 보면 된다


거대한 게임체인저의 등장으로 수리철학은 꽤나 큰 변화를 겪게 되는데

우선 그의 대표 저서인 "순수이성비판"의 내용을 조금 알아야한다


순수이성비판에서 칸트는 지식에는 몇가지 속성이 있다고 한다




종합 그리고 분석


종합적 참-참임을 알기위해 경험을 필요로하는 지식

"노무현은 살아있다") 노짱이 살았는지 죽었는지는 직접 확인해야 알 수 있다


viewimage.php?id=2fa8de21e9d7&no=24b0d769e1d32ca73fe980fa11d028315d554368bac55d95d5bf54b6a5842c099bd2072543212975c814fa29cf1fb4e0b56169f1569151a08d5e50e40703fe75544a



분석적 참-참임을 알기위해 경험을 필요로하지 않는 지식

"씨발갑은 박원순이다") 박원순한테 가서 "당신이 씨발갑입니까?"라 묻지 않아도 위 명제는 참이다


viewimage.php?id=2fa8de21e9d7&no=24b0d769e1d32ca73fe980fa11d028315d554368bac55d95d5bf54b6a5842c099bd2072543212975c814fa29cf1fb4e0b56169f1569158a4800b06e15507fe7560dc




후험 그리고 선험


후험- 인간이 경험을 통해 안 지식들은 대부분 상대적인 특징을 지니는데 이러한 지식을 이르는 말이다

"김대중은 개새끼다") 이 명제는 받아들이는 주체의 주관에 의해 참일 수도 거짓일 수도 있다


viewimage.php?id=2fa8de21e9d7&no=24b0d769e1d32ca73fe980fa11d028315d554368bac55d95d5bf54b6a5842c099bd2072543212975c814fa29cf1fb4e0b56169f1569158a4d95853e55603fe75b6b5




선험- 이건 주관의 상관없이 절대적으로 참인 명제로

"5차 이상의 다항방정식은 근의공식을 구할 수 없다" 이건 어떤 주체가 받아들이든 참일 수 밖에 없다




여기서 칸트의 수학에 관한 의견이 등장하는데

수학적 지식은 선험적이며 동시에 종합적이다라 주장한다

즉 주관에 진리값이 영향받지 아니하며 경험에 의해 진리값을 판단할 수 있는 명제


즉 어느 주관에서나 참 거짓이 똑같다는 거다


선험이란 속성에 관해 말해보자면

일단 선험성이란 건 다음 두 성질이 성립해야한다

보편성-명제의 진리값이 명제의 논리적 구조에 의존

필연성-명제의 반대가 불가능함


수학은 그 구조상 이 두 성질이 모두 성립한다

(필연이란 양상논리의 의미에서 필연인데 설명하자면 너무 많이 복잡하니 그냥 넘어가자....)


그리고 종합에 관해서도 설명하자면

종합의 반대 분석적이란 건 A는B이다에서 B가 그 정의에서 A를 포함하는 경우로

"모든 총각은 남자이다"이런 걸 의미하는 것


근데 수학은 이 분석적인 특징을 만족하지 못하니 종합적이란 것

7+5=12에서 12라는 개념이 7과5로 정의되는 게 아니기 때문

(이에 관해선 많은 반론이 있다)


수학이 선험적종합이란 바로 이런 걸 말하는 것이다


그래서 칸트는 이 난해한 정의로 뭘 말하고 싶은 건가 하면


"수학 그거다 우리의 직관을 어렵게 풀어 쓴 거다 물론 신의 선물인 직관을 훌륭하게 사용하는 툴인 건 맞는데 플라톤톤정 똥게이 새끼 말 처럼 존나 개쩌는 이데아의 유물이라 세계의 본질을 이해하고 그딴 거 없다 그니까 근들갑 ㄴㄴ"

내가 칸트를 게임체인저라고 소개한 이유 중 하나가 바로 이것이다


자 이후 수리철학은 칸트의 주장을 비판하고 옹호하며 발전아닌 발전을 해나간다



그리고 시간은 흘러 20세기

이 당시는 수학기초론에 관한 논의가 꽤나 활발했다

덕에 미적지근했던 수리철학 떡밥에도 다시 불이 붙었는데





viewimage.php?id=2fa8de21e9d7&no=24b0d769e1d32ca73fe980fa11d028315d554368bac55d95d5bf54b6a5802c096ac878f4fb9e82d40e04f451ed413ef34845ca91fe46be753fa77930b0e6

이 당시 수리 철학에는 크게 3개의 조류가 있었다


"수학은 논리학으로 환원 가능하다"라는 입장의 논리주의

"수학은 그 자체로 참도 거짓도 아니다 그냥 기호놀이다"라는 입장의 구성주의

"수학의 정당성은 직관일 뿐이다, 형식적인 엄밀이나 논리적 참 같은 게 아니다"라는 입장의 직관주의


이들은 반 플라톤주의라는 공통적 입장을 가졌지만

"수학의 대상은 무엇인가?"

"수학의 지식을 어떡게 얻을 수 있는가?"

"수학의 본성은 무엇인가?"

하는 질문에는 다른 답변을 내놓으며 첨예하게 대립하게 된다














근대편 부터 내용이 너무 길어지기도 하고 수학적으로 사전 지식이 꽤 필요해서 2부작으로 쪼개겠음

다음편 부터는 논리 기호들이 존나 등장할 예정




출처: 싱글벙글 세계촌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129

고정닉 32

29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241288
썸네일
[카연] 빗자루 정비 마녀 이자벨
[79]
곧두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16389 190
24128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한국 최고가로 추정되는 미술작품
[396]
신전로제떡볶이매운맛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43584 87
241284
썸네일
[부갤] 바겐세일 재팬. 일본 사장님, '모스크'까지 만들었는데...
[166]
나스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19859 80
241282
썸네일
[이갤] 서장훈이 골프 안 치는 이유.jpg
[440]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40397 440
241280
썸네일
[다갤] 뭘 먹어도 혈당이 오르지 않는 방법.jpg
[421]
다갤러(185.89) 06.21 43440 101
24127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존잘남의 메이드카페 방문기.jpg
[481]
러뽕아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51258 207
241277
썸네일
[기음] 연돈 볼카츠 '튀김도시락' 후기.jpg
[598]
dd(182.213) 06.21 44621 269
241275
썸네일
[부갤] 해상운임료떡상 ??? 후티 반군, 홍해 그리스 화물선 공격 동영상 공개
[147]
나스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17030 72
241274
썸네일
[이갤] 일본의 가장 큰 사회적 문제점...jpg
[551]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44750 274
241273
썸네일
[자갤] 야간 고속도로에서 2차 사고났는데 억울하게 가해자가 됨
[306]
ㅇㅇ(91.207) 06.21 23122 130
241270
썸네일
[디갤] 태국
[66]
북극여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8487 25
24126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한국에서 탈출하고 싶다면 어느 나라로 가는게 좋을까?
[1925]
Chalesmart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54312 934
241267
썸네일
[주갤] 카드론 잔액, '마의 40조원' 돌파했다..."상환부담 가중
[443]
ㅇㅇ(216.238) 06.21 28129 215
241266
썸네일
[카연] ㅇㅎ,엘든링)미켈라와 여기사.MANHWA
[315]
정체불명의작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26195 234
24126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41만원 줬다는 머리 염색.jpg
[509]
ㅇㅇ(211.36) 06.21 60362 498
241263
썸네일
[기음] 바가지 논란 '광장시장' 떡볶이... 저울에 달아봤다
[304]
ㅇㅇ(185.114) 06.21 30594 132
241262
썸네일
[야갤] 뷰티풀너드...지금 욕먹는 이유 ㄹㅇ...jpg
[521]
Adida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61273 856
241261
썸네일
[이갤] 라식 라섹하면 안구건조증 때문에 괴로운 이유...jpg
[811]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34371 178
241259
썸네일
[싱갤] 최태원이 장인을 6공이라 부르는 이유
[351]
OO(121.145) 06.21 27818 297
241258
썸네일
[유갤] 여친한테 쿠팡으로 생수 주문하지 말라했는데...
[756]
ㅇㅇ(45.84) 06.21 54832 266
241255
썸네일
[기갤] 팬들이 금수저 패션 모델을 싫어하는 이유.jpg
[310]
긷갤러(194.99) 06.21 38011 213
241254
썸네일
[해갤] 변호사가 소름 끼쳤다는 톱스타와 내연 관계라는 여자와의 상담.jpg
[230]
해갤러(86.105) 06.21 35621 289
241253
썸네일
[A갤] 해피일본뉴스 141
[97]
더Inform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10667 53
24125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ㅈ소고양이(좋았쓰!!) 만화모음13.manwha
[210]
까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30863 251
241250
썸네일
[U갤] 스트릭랜드: 꿈이였던 부자가 되는건 이뤘는데 아쉬운 이유
[16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19583 236
241249
썸네일
[야갤] 일본 이중가격제 확산
[580]
ㅇㅇ(106.101) 06.21 28995 149
241247
썸네일
[이갤] '한국, 좋은 시절 끝났다.' ...반한 감정에 빠진 태국
[841]
노인복지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39071 542
241246
썸네일
[싱갤] 오싹오싹 중1 미성년자 제자 가정파탄낸 소아성애자 과외선생
[612]
InsideOu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50368 418
241245
썸네일
[야갤] "그냥 욕한번 하고 끝내지", 끼어든 트럭 따라갔더니.jpg
[25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25696 164
241243
썸네일
[전갤] "韓서 살고파"..러시아 청년들,수개월 째 인천공항서 노숙..jpg
[1222]
몽쉘통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34675 208
241241
썸네일
[1갤] 권선미 기자가 취재한 뒷이야기.jpg
[450]
을붕이(218.54) 06.21 25640 566
241239
썸네일
[주갤] 일본도 페미 심각하게 바라보고 있네 관련 만화도 있음 ㅋㅋㅋㅋㅋ
[461]
주갤러(59.23) 06.21 34817 326
24123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일론머스크 뉴럴링크 근황
[270]
하무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37196 251
241237
썸네일
[기갤] 아직도 이런 시어머니가 있군요.jpg
[171]
긷갤러(37.120) 06.21 24892 25
241235
썸네일
[해갤] 서울대병원 무기한 휴진 중단
[459]
ㅇㅇ(118.235) 06.21 27219 176
24123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디스크는 근육으로 버티는게 아닌 이유
[387]
ㅇㅇ(121.145) 06.21 60312 339
241233
썸네일
[야갤] '폭행당한 소방관. 원통해...1인 시위'.jpg
[355]
야갤러(211.234) 06.21 15717 254
241231
썸네일
[대갤] 황당) 차도에서 테니스 연습하는 미친 남성... 일본의 놀라운 민도
[163]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18339 133
241230
썸네일
[이갤] 히밥도 간신히 성공한 햄버거 챌린지.jpg
[44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41525 114
24122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실시간 러시아에 가장 핫한 사건 모음집.jpg
[115]
러뽕아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27359 69
241227
썸네일
[야갤] 얼차려 훈련병 사망 중대장 등 2명 구속
[830]
ㅇㅇ(112.163) 06.21 31535 526
241226
썸네일
[만갤] 현재 런 쳤다는 루리웹 관리자 근황
[618]
만갤러(81.17) 06.21 43418 549
241223
썸네일
[싱갤] 속보] 인도에서 술마시다 34명 사망 100여명 부상
[264]
ㅁㅇ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32328 121
241222
썸네일
[이갤] 제주도에 있다는 커피 오마카세...jpg
[437]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27921 75
241221
썸네일
[야갤] 어제자) 충격적인 광주 북구 유명 고기 맛집의 음식 재활용..jpg
[377]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24679 281
24121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주유소 흡연남
[59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34583 336
241218
썸네일
[야갤] 돌연 바람방향 바뀌더니, '통제불능' 미국 초비상.jpg
[12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22841 37
241217
썸네일
[이갤] 18년만에 성동일이랑 다시 만난 여진구.jpg
[7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21344 31
241215
썸네일
[초갤] 경북대 사대부초 레전드노ㅋㅋ
[164]
금쪽이(211.46) 06.21 25844 155
241214
썸네일
[이갤] 훈련병 사망 중대장 영장심사...'완전군장' 지시 부인
[982]
고맙슘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28678 34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