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포춘지 "미국의 성장률 7년내 저출산 중국을 역전한다"

ㅇㅇ(115.138) 2024.06.03 17:30:02
조회 35124 추천 179 댓글 231

7cea8171b68561f539ec96fd43986a370ceefef57fd9734335b2f3bea0

[ 2023년 중국 60세 이상 인구 약 3억 ]


중국 출산율 급락으로 빠르게 늙어가는 인구구조가 중국 성장율 최대 걸림돌이라고 지적되었다.



중국 인구 전문가인 리 푸샨은

현재 중국의 고령화 속도라면 미국이 7년후인 2031년부터는 중국보다 더 빠르고 높은 성장을 할 것이라 말했다.



중국의 65세 이상 인구는 1998년 고작 7%에 불과했지만 2023년 현재 15.4% 로 폭증해 고령화사회를 진작에 달성했고 초고령화사회 기준인 20% 를 목전에 두고 있으며 2023년 작년 한해에만 2,800만명이 은퇴했다.



“인류 역사상 지구에 존재했던 그 어떤 국가도 고령화율이 15% 이상을 달성한 이후 12년 연속으로 경제 성장률 4% 이상을 달성한 전례가 없다. "





" 세계적으로 고소득으로 분류되는 OECD 선진국들의 평균 성장률은 1.8% 이다. ".

비록 미국이 IT, 제약, 금융등 세계의 첨단 및 고부가가치 산업을 독점하고 젊은 인구구조를 유지해, 세계 최대 경제대국으로 군림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선진국의 특성상 성장률로 보면 중국보다 낮은게 현실이다. “



2023년 중국은 5.2% 성장한 반면 미국은 2.5% 에 불과했다.

유럽 주요국인 독일의 마이너스 0.3% 나, 영국의 0.1%, 프랑스의 0.7% 에 비해 양호하나

중국에 비해선 성숙경제화된 선진국인만큼 여전히 모자라다.





7cea8171b68561f539ec96fd42986a374dee837703bdd899b066b9d369


[ 60세 이상 인구 비중이 일본을 추월하고 세계에서 가장 늙은 국가가 되는 중국 ]


그러나 2030년대 들어선 게임의 판이 뒤집어진다고 중국 인구학자인 리 푸샨은 말한다.

현재 3억에 달하는 60세 이상의 중국 인구는 2032년 4억명으로 증가할 예정이며 2048년에는 5억명으로 불어난다.


그리고 단순 은퇴자수로만 보면 지금으로부터 10년후인 2034년경 기존의 3억명에 3억명이 더 증가해 은퇴 인구가 약 6억에 달할 예정이다.





7cea8171b68561f539ec96fd45986a370164560c3e9f272c7f75adab0e


[ 미국, 독일, 영국, 프랑스, 일본 1인당 GDP 변화 ]


이는 한때 세계를 주름잡았던 독일과 일본의 경제성장률이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며 바닥을 모르고 0% 대로 추락해 한때 소득으로 미국을 능가했던 독일과 일본의 1인당 GDP가 독일은 미국의 58%, 일본은 미국의 38% 로 전락한것과 동일한 패턴이다.


"이런 역사적 선례로 보았을때, IMF가 추정한것과 마찬가지로 중국의 성장율은 2026-2028년경에는 3%대 그리고 2031년부터는 미국 성장율보다 낮아지게 된다. “ 고 리 푸샨은 관측했다.





7cea8171b68561f539ec96fd44986a37a7a15b1f1ca96e202b100d1e17

[ 미국 vs 중국 성장률 ]


미국 국회예산처에 따르면 미국은 높은 출산율, 끊임 없이 수급되는 고학력 이민자들, 세계에서 가장 빠른 성장률과 잠재력을 보이는 인공지능 산업을 주도하면서 얻는 생산성 증가등으로 인해 중국보다 성장률 하락이 훨씬 원만하리라 전망된다.


2024년 미국의 성장률은 2.7% 를 찍으며 선진국중 제일 빠른 성장을 구가하며 2030년대 초반에 가도 큰 차이 없는 1.9-2.0% 수준이라고 한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중국은 선진국 진입조차 힘들어질 예정이다.





7cea8171b68561f539ec96fd47986a3797b497319ad6c2ab52e5b88532


2023년을 기점으로해서 중국인들의 5,568달러 ( 연 소득 763만원 ) 에 불과한 중국의 가처분 소득은 이전만큼 빠르게 성장하지 않을 것이고, 선진국으로 진입하기 위해선 가처분 소득이 최소 19,000 ~ 22,000달러 이상 ( 연 소득 3,017만원 ) 이 되야 하는데 세계 성장률 평균 내지 그 이하로 떨어지고 있기 때문.


더해, 각종 무역장벽으로 인해 중국의 무역흑자가 점진적이지만 줄어들고 있으며 저금리와 디플레이션 압박으로 인해 위안화 약세가 고착화되면서 중국의 선진국 진입은 시간이 지날수록 힘들어진다는것이 통론이다.





7cea8171b68561f539ec98bf06d604031062025a95273a5379

[ 갈수록 벌어지는 미국과 중국간 1인당 GDP 격차 ]


" 여기에 중국이 출산율 제고 및 가처분소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현재 중국의 경제 및 정치구조를 근본적으로 엎어야 되는데 이는 공산당의 권력을 놓으라는 소리기에 사실상 불가능하다. "


" 현재 중국은 덩샤오핑이 1978년 개혁개방을 외치던 그 시절보다도 변화와 개혁에 회피적인 성향을 나타내겨 있기에 급격한 개혁이 일어나길 기대하긴 어려우며, 변화가 일어나기엔 최소 수십년 내지 그 이상이 걸릴것이다. 하지만 현 중국 초고령화 추세로는 너무 늦고말것이다. "





[ GDP 대비 38% 에 불과한 중국의 민간 내수 소비 비중 ]


중국의 이런 고령화 속도로 보았을때 중국은 세계 최대의 요양시설이 될 것이라고 인구학자들은 지적한다. 이와 동시에 " 중국의 둔화되는 성장률, 부동산 버블 위기, 높은 청년 실업률, 첨단산업들에 대한 미국 제재들은 일본이 겪었던 잃어버린 30년의 전조다. " 라고 연구자들은 얘기한다.


" 일관성이 없고 무책임한 경제 정책, 과도한 중국 공산당의 민간 경제 개입, 경제 개혁 공약 불이행은 중국이 주요국 중 가장 낮은 민간 내수 비중을 가지게 만들었고 이는 급격한 성장률 둔화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





[ 현재진행형인 중국 부동산 위기 ]


중국 경제의 근본 문제는 공산당이 중국 경제를 옥죄는 그 통제를 전혀 놓아줄 생각을 하지 않는다는 것에 있다. 결국 소비를 촉진시키기 위한 민간 경제의 자율성 확대란 선택은 정치적인 이유로 하지 못했기에


결국 다시 부동산 버블을 키우는 유동성 확대 및 자국 내수가 소비해주지 못하는 과잉 생산된 잉여 공산품들을 타국에 원가 이하로 덤핑하고 있는 셈이다.





중국 경제를 돌리기 위해 최후의 수단을 동원하고 있으나 미국 유럽에 무역장벽이 세워지는 등 역효과만 낳고 있으며

멈춰도 파멸인건 매한가지라 폭주기관차처럼 달리고 있는 중


대다수의 경제학자들은 중국 지도부에게 민간 경제가 알아서 크게 끔 통제를 풀고, 소비를 확대시켜 달라고 했으나


이것의 의미는 중국 공산당이 중국을 통치하는 자산인 공공의 영역 침해. 다른말로 중국 공산당의 멸망을 의미하고

이는 중국이란 국가에겐 좋은 선택이라도 중국 공산당은 결코 수용할수 없는 선택지다.




7cea8170bd8361f73bea98bf06d604037ef1a8d2462fac6a0a



포춘지 3줄 요약 :


1. 중국의 저출산 고령화 수준은 심각해서 2024년 노인 인구 3억, 2031년 초고령화 국가에 진입할 예정이며 2032년 노인 인구 4억, 2034년 은퇴 연령 (남성 60세 여성 55세) 인구가 6억에 도달해 2035년 연금 고갈한다고 관측 중인데 중국 사회와 경제를 지탱해오던 인구 대거 이탈하나 이를 대체할 규모의 신생아는 저출산으로 태어나지 않았기 때문.


2. 중국 IT 산업은 틱톡 제외하곤 세계시장에서 미국과 경쟁하는데 성공적이지 못하고 미래산업인 인공지능 산업 혁신까지 밀려 경제학자들은 중국의 급속한 고령화와 첨단산업 독식 실패로 인해 1인당 GDP 1만불대에 머무르는 선진국에 진입 실패후 중진국에 정체되는 중진국 함정에 빠지는 중.


3. 결국 개도국임에도 성장률이 2030년대초 미국에게 역전당하는데, 이 근본원인이 서구에게 아편전쟁 복수를 위해 고성장의 수단으로 택한 산아제한을 통한 저축자본 모으기에서 시작된 초고령화에서 비롯되어 파멸적인 무제한 덤핑이나 전쟁까지 고려하는등 외부의 강대국이 아닌 자국의 선택으로 중국문명의 쇠락을 갖고 오는 소설보다 소설같은 현실이 전개되고 있음.




출처: 싱글벙글 지구촌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179

고정닉 23

1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공지 실시간베스트 갤러리 이용 안내 [1835/2] 운영자 21.11.18 5907577 439
24314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상대방의 인생을 바꾼 도발
[123]
싱벙갤완장에게사과드립니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55 21659 71
243147
썸네일
[기갤] 훈련병 사망 사건 여파, 바뀌는 군대 훈련 시스템.jpg
[66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45 17425 191
243145
썸네일
[주갤] 르노 코리아 유튜브 공식계정 민심 근황
[352]
ㅇㅇ(121.88) 01:35 24023 484
24314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유일하게 남은 히틀러 벙커 마지막 사진
[154]
ㅇㅇ(118.223) 01:25 29651 78
243140
썸네일
[이갤] AV 여배우.. 한국 사랑 ..jpg
[242]
3dd(121.183) 01:06 29623 245
243137
썸네일
[기갤] 머리 위에 맥주 9잔…유로 대회에 뜬 균형잡기 달인.jpg
[6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55 11987 33
243135
썸네일
[군갤] 육군 ㅇㅇ사단 사령부 정문, 초병 없고 근무자 수면중
[661]
grimoir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45 26177 240
24313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강호동 도발한 이수근
[12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25 31748 205
243129
썸네일
[성갤] 김환진 성우님 인생 캐릭터 연기
[81]
성갤러(221.149) 00:15 10599 56
243127
썸네일
[자갤] 실베갔던 맥라렌 타는 06년생 금수저 고등학생의 정체..
[707]
ㅇㅇ(211.234) 00:05 30772 272
243125
썸네일
[야갤] 여성가족부 최근 정치권또움직였다
[515]
ㅇㅇ(121.65) 06.28 21669 524
243123
썸네일
[드갤] 강남 : 드래곤볼은 Z까지만 인정한다
[247]
ㅇㅇ(185.80) 06.28 17752 123
243121
썸네일
[기갤] 바퀴 달린 아파트…100년 된 건물 통째로 이사.jpg
[12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8 17874 78
243119
썸네일
[야갤] 러시아 여자 : 러시아 여자가 피해야하는 한국 남자
[571]
ㅇㅇ(58.29) 06.28 27435 276
243117
썸네일
[싱갤] 훌쩍훌쩍 성형으로 셀프 와꾸박살낸 헐리웃 여배우..jpg
[239]
ㅇㅇ(122.42) 06.28 33996 169
243115
썸네일
[키갤] 윤석민한테 조언을 구한 안우진
[97]
내손을잡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8 16256 313
243114
썸네일
[판갤] 동탄 경찰서 새 입장문 떳냐 !!!!
[595]
시베리아다람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8 26594 699
243113
썸네일
[기갤] 모델 한혜진 별장에 침입한 중년들이 한 말
[355]
긷갤러(154.47) 06.28 25677 289
243109
썸네일
[유갤] 김희선 차에 있던 말린 과일 10개 먹고 지릴뻔한 류승수
[224]
ㅇㅇ(45.84) 06.28 23579 61
243107
썸네일
[인갤] 바닐라웨이소속원의 슈팅게임
[44]
더블알발음은아르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8 10012 32
243105
썸네일
[싱갤] 훌쩍훌쩍 지역차별..
[396]
ㅇㅇ(106.101) 06.28 22026 58
243103
썸네일
[기갤] 밧줄로 ATM기 통째로 훔친 강도들.. 걸린 시간 2분.jpg
[7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8 16356 51
243100
썸네일
[카연] 해골전령이야기 5화.manhwa
[48]
kain_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8 8983 105
243098
썸네일
[이갤] 공화춘+간짬뽕 섞어먹어본 박명수 반응
[354]
슈붕이(172.98) 06.28 30534 273
243096
썸네일
[이갤] 원조 학벌주의인 나라 영국...jpg
[464]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8 25181 169
24309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장범준이 그린 만화
[157]
ㅇㅇ(112.133) 06.28 21570 36
243092
썸네일
[디갤] [상반기결산] 사진첩열고 보이는거 일단 6장
[15]
ㅃㄹ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8 6723 26
243090
썸네일
[프갤] [스압] 브로큰 연대기 19화- Obsolete MULE
[40]
조커스팅아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8 9464 87
243086
썸네일
[의갤] 대장암 발병률을 높인다는 음식
[573]
당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8 34784 107
243084
썸네일
[U갤] 타격가들은 일진, 그래플러들은 찐따라는 유튜버
[494]
U갤러(106.101) 06.28 26657 158
243082
썸네일
[싱갤] 복싱 레슨 수업료별 차이점 ㅋㅋ
[182]
ㅇㅇ(211.193) 06.28 30817 163
243080
썸네일
[헬갤] 교통사고 당한 김계란이 제일 아쉬워하는 것
[184]
헬갤러(149.36) 06.28 34260 73
243078
썸네일
[야갤] 뉴진스팬한테 폭격당하고 소신발언하는 유튜버
[413]
야갤러(211.234) 06.28 40691 833
243076
썸네일
[루갤] 플라이 다녀옴
[40]
휘릭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8 8045 22
243074
썸네일
[기갤] 학교가 폭삭 무너지면, 학교 안 가도 되는 걸까?.jpg
[15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8 23319 76
24307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젓가락으로 학교 외벽 무너뜨린 썰
[306]
운지노무스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8 40645 241
243070
썸네일
[위갤] 직접 진을 증류해서 라모스진피즈를 만들어보자
[65]
Sin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8 9203 67
243068
썸네일
[이갤] 한 병에 29만원짜리 맥주 리뷰한 맛상무.jpg
[311]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8 29004 104
243064
썸네일
[기갤] "친구와 여행 후 손절 당했어요".jpg
[46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8 37381 245
243063
썸네일
[자갤] 르노 코리아의 오로라 프로젝트
[573]
ㅇㅇ(106.243) 06.28 27518 748
24306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스위스 시계산업을 통째로 삼키려는 프랑스.JPG
[357]
ㅇㅇ(115.137) 06.28 27113 146
243060
썸네일
[이갤] '중국 간첩설' 필리핀 시장, 결국 중국인 맞았나...
[354]
ㅇㅇ(185.206) 06.28 20165 320
243058
썸네일
[알갤] 이희진 결혼식 사회봤다더니 박성광 똑똑하네
[28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8 31115 172
243057
썸네일
[중갤] 배그 뉴진스 콜라보 사건 찐찐막.jpg
[792]
간간히한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8 36182 323
243055
썸네일
[1갤] 뿌중이한테 모든 죄 뒤집어씌우기로 결정한 나거한 언론
[229]
을붕이(220.76) 06.28 18376 361
243054
썸네일
[싱갤] 존경존경 18살에 입대한 참전용사 할아버지
[183]
운지노무스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8 16483 183
243051
썸네일
[부갤] 일본 지열별 최저임금 다르게 한 결과
[539]
ㅇㅇ(149.34) 06.28 31383 308
243049
썸네일
[이갤] 똥트남에서 화장실 불법촬영 확산
[291]
배그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8 28075 156
243048
썸네일
[야갤] 임신한 여자연예인에게 결투신청을 받은 남자 유튜버
[1127]
엄마팰코리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8 43580 58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