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긴축의 재구성: 비둘기파적 편향이 만든 오판앱에서 작성

낭만증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5.16 13:25:01
조회 9004 추천 59 댓글 62

7fed8272b58769f651ee87e644847473fe0b31046f465403ab7a63bf361c81

2bafd522e2c039b666f1c6bb11f11a392984f2ac02ce32a8

이번 FED의 긴축 사이클은 유래없이 빠르게 진행됐다는게 일반적인 인식이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fa04883d2d3cabab3c6c403550c899be57dee86cb8ae886a5fce9076fb4c56e

Ferroni&Fisher의 연구에 따르면, 이번 긴축 사이클은 유래없이 빠르게 진행됐다는 일반적 인식을 뒷받침하면서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fa04883d2d3cabbb7c9c403550c899b09d5ef21cf7daca84b73c0534b569bf3

역사적인 준칙에 의거한 통화정책에 비해 75bp 낮은 수준이지만 이러한 사이클이 물가안정을 이끄는데 방해가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결론지었고, 실제로 그랬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째서 J. Powell은 인플레이션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지속적인 비판을 받아온걸까?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fa04883d2d3cab7b6c3c403550c899bd578f3eafd75402d7040447ffcea78dd

Orphanides의 연구에 따르면 '긴축 사이클'이라고 부를만한 정책금리 인상이 시작되기 이전 향후 인플레이션의 향방을 보여주는 인플레이션 스왑은 지속적으로 상승해왔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fa04883d2d3cab7b4c7c403550c899b83b8b1d50e98990ad47b91058daea7b3

하지만 FED는 "인플레이션은 일시적"이라며 정책 대응의 지연이 발생하게 됐고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fa04883d2d3cab4b6c4c403550c899b22ce774ee9432ba2ea32c8935dc02fb1

그 결과 '22년 Q4까지 실질금리는 큰 폭의 마이너스를 기록했으며 QE 역시 '22년 중반까지 진행됐음을 저자는 지적한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fa04883d2d3cab4b7c8c403550c899b437797db57d41c6019c2d72b943bab42

이러한 행태는 ECB에서도 나타났는데, 저자는 정책 대응 지연의 원인을 '포워드 가이던스(Forward Guidance, FG)' 체제의 결함에서부터 찾고 있다

본래대로라면 FG는 결과 기반이 아닌 예측 기반 FG로써 기능했어야 했음에도 결과 기반 FG를 채택함으로써 전망치에 기초한 준칙적 대응이 아닌 근시안적인 정책 체제를 채택하게 됐다는 것이다

이를 저자는 'FG 함정'이라고 불렀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fa04883d2d3cab5b5c5c403550c899b0263c6c598e5356209233703e4f08b63

한편 인플레이션이 일어난 원인으로 '20 Q1 이후 시작된 팬데믹과 '22 Q1 이후 전쟁에 의해 강화된 공급망 병목 현상을 꼽는 경우가 많은데

Beaudry, Lahiri&Carter의 연구에 따르면 (시장참여자가 제한적 합리성을 가질때의) 부정적 공급충격에 의한 최적 통화정책은 중앙은행이 근시안적인 경우에 비해 미래지향적인 경우 빠른 긴축 기조 전환에 따른 낮은 기대인플레이션 형성을 통해 '지연되지 않았을 경우에 비해' 빠른 긴축 사이클 종료가 가능하고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fa04883d2d3cab5b7c8c403550c899b0c44a10282e30e7533b15f3441b30425

시장참여자 기대가 합리적일수록 필요한 긴축 규모는 작아져 연착륙을 도모할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fa04883d2d3cab5b6c6c403550c899b89e0449cd9e5122367165f4389ebf9e1

최대고용 목표에 대한 중앙은행의 정책적 고려가 높아질수록 긴축 기조 전환이 늦어지고, 이에 따라 기대인플레이션 역시 높아짐을 보였다

해당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J. Powell의 결과 기반 FG(늦은 긴축 기조 전환), 고용에 대한 정책적 고려의 강화('21)가 FED의 정책실패를 불러왔으며 FED의 Hawkish한 위원들의 발언들이 이러한 실패를 완화했다는 점을 다시금 확인 시켜준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fa04883d2d3cabab6c6c403550c899b72c919e97f3cb206719b0993f1c5e5eb

그런데 Giovanni 외의 연구에 의하면 이번 인플레이션은 공급 충격만으로 설명될 수 없다

유럽의 인플레이션은 미국에 비해 공급 충격의 설명력이 높지만, 미국은 팬데믹에 의한 공급망 병목 현상 이후 '21년부터 확장적 재정정책에 의한 수요 충격이 나타나면서 인플레이션이 가속화된 현실을 설명해주기 때문이다

실제 데이터가 보여주듯이 공급망 병목 현상의 완화는 지속적으로 디플레이션 요인으로써 기여해왔고, 서비스 부문의 '끈적한' 인플레이션 기여는 현재 인플레이션이 목표치로 되돌아가기 위해선 수요 부문이 식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7cef8076fd9f69e864afd19528d527037e057d5cd7038f

이후 디스인플레이션은 예상보다 빠르게 진전됐는데, 이는 시장참여자의 기대를 FED가 커뮤니케이션(이를테면 연설)해오면서 꾸준하게 관리해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커뮤니케이션은 12월 FOMC에 의해 혼선에 빠졌다고 평가받는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fa04983d3decebbb3c1c4014e179a98a994ef3899ecd8980e305418a25ffb728a9c

Bloomberg에 따르면 FED 위원들의 60,000여 건의 연설을 토대로 연설이 Dovish한지, Hawkish한지 분석했을 때 12월 FOMC에서 보낸 피벗 시그널은 상당히 Dovish한 것으로 나타났고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fa04983d2d7cbb2b6c6c4014e179a98122889e447e2cb0ac48011fe4941934aa800

이에 따라 FED의 'Dovish Surprise'가 올해 인플레이션에 0.5%p만큼 추가로 기여했다고 결론짓고 있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fa04883d2d3c9b2b3c0c403550c899b3eb66d9d0b7369b903402edeace62c9f

사실, 중앙은행의 'Dovish Bias', 비둘기파적 편향은 J. Powell만의 문제가 아니다

Cukierman의 연구에 따르면 FED를 비롯한 각국 중앙은행들은 대침체 이후 지속적으로 리세션 회피 경향을 보여왔고, 이러한 선호가 부분적으로 정책 대응의 지연을 설명한다고 한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fa04883d2d3c9b0b5c9c403550c899b399289158482f5268a60bf36ab5c9a

하지만 비둘기파적 편견은 인플레이션을 목표치로 되돌리는데 있어서 가장 큰 장애물이다

Ari 외의 연구는 111개 인플레이션 사례를 통해 인플레이션에 대한 7가지 역사적 사실을 보여주는데, 인플레이션에 따른 물가충격을 극복하는데 있어 5년 이내 물가충격이 극복된건 전체 111개 사례 중 60%를 밑돌았으며

해결된 사례에서도 디스인플레이션은 3.5년이 소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물가충격이 1년 이내 안정화된 사례는 10% 정도였으며, 이는 '완벽한' 디스인플레이션 사례가 아니었다 이는 아시아 경제위기와 일본의 사례에 해당되기 때문이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fa04883d2d3c9b0b3c5c403550c899b539d2e421d44d1d776e8de4a2d1fa1

특히 한국의 외환위기나 신흥국이 겪었던 대침체는 금융안정에 위해를 가하거나(대침체) 수출이 크게 타격을 입는 등(한국 외환위기) 경착륙을 초래하기도 했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fa04883d2d3c9b1b3c2c403550c899b1cda169890a68705f2672002500f8e

해결되지 않은 사례(47건) 중 90%(42건)은 조기 축포, 그러니까 빠른 피벗에 의해 나타났다

이는 J. Powell이 말한 "인플레이션이 목표치에 다가가(는 것 같아보인다)는 그림이 유지되는" 큰 확신을 얻을 때 피벗하는게 '조기 축포'로 이어질수 있음을 시사한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fa04883d2d3c9b6b6c8c403550c899bf503f9c3d423a7a7deafa7cdbc5efe32

인플레이션을 성공적으로 목표치로 되돌린 사례에서 비춰진 중앙은행은 공통적인 특징을 나타냈는데, 바로 실질금리가 1% 수준에서 양의 값을 유지했다는 점, 그리고 준칙에 의거한 통화정책을 채택했다는 점이다

한편 통화정책과 함께 재정긴축은 통계적으로 미미하게 인플레이션 안정화를 설명했는데, 저자들은 이를 '70s P. Volcker의 사례와 같이 재정정책을 능가하는 수준의 통화정책을 채택한 사례와 혼잡한 재정정책, 이를테면 에너지 보조금과 같이 교역충격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요소에 의해 설명된다고 한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fa04883d2d3c9b6b5c3c403550c899b67f4ed5e4b942221a7b0233605eb7c67

다음으로 기대인플레이션의 고정은 인플레이션 안정화를 잘 설명한다 그러나 기대인플레이션이 안정돼있다고 해서 향후 물가충격이 나타났을 때 긴축 기조 전환이 없는 경우 이를 대체할 수준은 되지 못했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fa04883d2d3c9b6b3c0c403550c899bf5bb06d6c5e5d4a3f7c5dca79b9e12ab

그림 10에서 이어지는 통화량의 명시적인 감소 역시 인플레이션의 안정화를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연하자면 6월 이후 FOMC에서 FED의 정책수단을 금리 결정에서 통화량 조절로 전환하는게 아니냐는 논쟁이 발생할수 있다는 전망이 있었는데

2bafd522e2c039b666f787fc58c12a3afd1080a76d8a7ba4c0fdb2

이는 미국의 통화량의 감소가 더뎌지고 오히려 증가하는 이러한 현상에 대한 풀이로 해석된다 지켜봐야 할 문제 중 하나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fa04883d2d3c9b7b7c7c403550c899be083dbe8022d642c5578716503a93d6f

한편 최근 BOK와 BOJ를 비롯한 중앙은행들의 정책 태도를 지적하며 환율 약세를 지적하는 여론이 존재하는데, 환율 약세는 긴축적 통화정책에 의해 외환보유고를 급격하게 낭비하지 않고 해소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무역적자의 경우 공통적으로 겪는 현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fa04883d2d3c9b7b5c0c403550c899b483d6a2a70f05f893461ae4e1b0534

그렇다면 임금의 경우는 어떨까? 인플레이션을 해결하지 않은 사례에서 명목임금은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질임금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저자에 따르면 해당 데이터에서만 1973-2014년 데이터를 활용해 표본이 비교적 적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고 한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fa04883d2d3c9b7b2c6c403550c899b611afa9f2188f907f34b2727efad58f2

역사적으로 디스인플레이션을 통해 인플레이션을 해결한 사례에서 경제적인 퍼포먼스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을수 있다는 가설이 있다

하지만 실제로 인플레이션을 해결한 사례에 비춰볼때 이러한 고통은 해결했을 경우 '단기적'이었으며, 중기적으로는 인플레이션을 해결하지 못한 사례에서 더 큰 고통을 수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저자들은 이렇게 결론짓는다

"역사적 규칙성이 존재하는 한, 오늘날의 경제는 장기간 인플레이션에 빠질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일관되게 긴축적인 통화 및 재정정책'이 필요하며, 빠른 피벗을 피해야 한다 왜냐하면 인플레이션을 해결하는 것보다 해결하지 않는 비용이 더 크기 때문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이를 위해선, 비둘기파적 편향에서 벗어나야 한다


출처: 나스닥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59

고정닉 23

5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공지 실시간베스트 갤러리 이용 안내 [1732/2] 운영자 21.11.18 5417063 425
235969
썸네일
[싱갤] 안싱글벙글 마취 성폭행 불법 촬영 피해자 극단 선택
[13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30 15348 100
235967
썸네일
[미갤] 울프독에 대한 강형욱의 생각.jpg
[7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0 2613 42
235965
썸네일
[새갤] 오송 지하차도 참사 책임자 중형 선고. 법원 "무기력 느낀다"
[121]
서부간선도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0 3965 51
235963
썸네일
[대갤] 日, 마을공원에서 로켓런처 발견... 권총과 수류탄도 무더기로 나와
[123]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0 4266 73
235961
썸네일
[싱갤] 훌쩍훌쩍 일본에서 아이돌 쫓아내는 방법... jpg
[197]
케넨천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50 8505 92
235959
썸네일
[유갤] 유명 bj가 딸죽였다. 울분의 폭로 ( sbs 뉴스 )
[152]
국민신문go(218.148) 10:40 11637 100
235957
썸네일
[인갤] 디펜스 게임 킹덤러쉬 그림 그린것들 봐줄래?
[42]
buntzbuntz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0 3514 33
235955
썸네일
[디갤] 아침을 여는 대만영화
[30]
난꽃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0 4286 20
235953
썸네일
[새갤] 사실상 '혐의자 축소' 지시해 놓고‥드러나는 거짓말들
[290]
희망22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0 8300 110
235949
썸네일
[싱갤] 중대장 귀향 조치로 알수있는 12사단 사건 엔딩.
[682]
SBOHE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50 27530 709
235947
썸네일
[걸갤] 이진호유튜브-기자회견 오해와 진실 스크립트
[183]
JRM(1.242) 09:40 6424 157
235945
썸네일
[이갤] 일본 에도시대로 전생한 변호사..jpg
[14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0 11294 114
235943
썸네일
[카연] 운명, 그리고 내달리는 남자.manhwa
[8]
사자베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0 3901 10
23594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박평식이 10년만에 만점준 영화 탄생 ㄷㄷ
[23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 14303 22
235939
썸네일
[미갤] 현재 기업들의 과거 모습 ㄷㄷ.jpg
[8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0 15700 81
235937
썸네일
[일갤] 스압) 6박7일 후쿠오카 2일차 (나가사키)
[23]
미즈에나오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50 3942 15
23593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70년대 고등학생들
[309]
운지노무스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1 16564 154
235933
썸네일
[필갤] 우리동네
[27]
888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30 4425 25
235929
썸네일
[디갤] 오사카까지 가서 한다는게 사람 구경 (27장)
[30]
ㅇㅁㄹㅇ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0 6064 13
23592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알프스국 여행 후기
[4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0 5784 23
235925
썸네일
[카연] 먹어는 봤어도 알지는 못했던 음식 인문학 만화 #2. 맥주(3)
[28]
리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50 9878 50
235923
썸네일
[이갤] 호두과자 공장에서 못하는 것 없이 다 하는 15년차 직원.jpg
[12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40 15479 67
235921
썸네일
[야갤] 야붕아ㅜㅜ
[52]
ㅋㅋ(49.173) 07:30 10006 54
23591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한감동맹 후속작 떴다...
[313]
ㅇㅇ(61.85) 07:20 24061 155
235917
썸네일
[루갤] 2024. 05. 30. 서산 조행기!
[41]
LaquerThinn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10 4619 19
235915
썸네일
[코갤] 이번 훈련병 사망사건 보고 오버랩된 영화
[190]
GoldenTig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00 14777 83
235914
썸네일
[카연] 보육로봇
[283]
붕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55 15148 73
23591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건축예술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아시아 도시.jpg
[358]
성냥갑공화국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45 21171 150
235908
썸네일
[프갤] [스압] 브로큰 연대기 14화- 니체가 말했다.
[52]
조커스팅아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5 13552 111
235906
썸네일
[미갤] 개그맨 이수근의 기반을 만들어준 사람.jpg
[20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15 30650 272
235904
썸네일
[만갤] 요즘 만화 모른다고 패션씹덕 소리 듣는게 억울한 이유.jpg
[533]
만갤러(211.234) 01:05 33110 191
23590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미니어쳐 전문가
[58]
ㅇㅇ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55 18075 61
235900
썸네일
[카연] 미국주식에 투자하기 만화
[230]
우동닉ㅇㄱㄹ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45 30266 397
235898
썸네일
[삼갤] 유혹의 명철신이 말하는 삼성과 롯데 이야기...(스톡킹)
[156]
ㅇㅇ(175.201) 00:35 22209 312
235896
썸네일
[디갤] 100v로 본 일상,,,
[38]
디붕이(39.7) 00:25 16678 21
235894
썸네일
[싱갤] 군대 사고 불안해하는 맘카페.. 인터넷 반응
[626]
ㅇㅇ(1.225) 00:15 37137 468
235892
썸네일
[인갤] 겜메로 18시간만에 뱀서 만들기
[66]
매튜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05 16338 69
235890
썸네일
[나갤] 어제자 나는솔로사계 PD의 역대급 행보
[184]
나갤러(185.239) 05.31 34680 117
235886
썸네일
[이갤]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힘든 컬트영화 TOP 20..gif
[194]
이시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23929 47
23588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삼시세끼 평생 먹어도 문제없는 음식
[739]
ㅇㅇ(211.202) 05.31 44262 452
235882
썸네일
[카연] 모험가 용역 장씨 - 7
[34]
엠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9683 59
235880
썸네일
[디갤] 뉴비 디붕이 여행사진 몇 장 가져와봤어
[22]
ㅅ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8313 16
235878
썸네일
[이갤] 의외로 대한민국에서 성회롱으로 고소당할 수 있는 단어.jpg
[811]
인터네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37496 727
23587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60대 연애 프로그램
[218]
ㅇㅇ(211.209) 05.31 24090 106
235874
썸네일
[야갤] 라스) 걸그룹으로 데뷔했었다는 노안(?) 배우 '오연서'.jpg
[12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30013 78
235872
썸네일
[필갤] 5월 캔디드 photo dump.webp
[37]
원툴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7940 14
235870
썸네일
[바갤] 강동에 jyp 신사옥 건설예정 (조감도)
[295]
ㅇㅇ(121.142) 05.31 21925 99
23586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여동생을 위해 30년동안 직접 만든 놀이기구
[305]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45171 528
235864
썸네일
[번갤] 😃 갤럼들아 판별좀;; 이거 둘중에 누가 잘못한거임?
[213]
고아장터(220.117) 05.31 22088 3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