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산부인과는 정말 포괄수가제 때문에 망한걸까? 알아봤음

의갤러(118.235) 2024.04.01 10:00:02
조회 12613 추천 134 댓글 263

요새 민수햄 욕이 네이버 댓글 점령했던데

대부분 내용이 포괄수가제로 산부인과 망쳐놓고 무슨 낯으로 나오냐 이거더라고?

나도 예전부터 궁금했던거라 진짜 포괄수가제가 산부인과 망한 원인인지 찾아보기로함.


일단 포괄수가제가 뭔지부터 설명해보면...

viewimage.php?id=20b8d42fe6d334af7dacc3b0&no=24b0d769e1d32ca73ce982fa11d02831d33053808284030ab34aa303bbab5c7570d9cc4294cdb396c1219748afdf24977720c1e6cbe7096fe06ed1d91d7068044f7d3d9199ec62f9

기존의 수가제도는 행위별 수가제인데, 말 그대로 행위 하나하나에 수가를 부여하는 방식임. 검사는 검사대로, 처방은 처방대로 하나하나 다 가산함.

행위별 수가제의 문제는 의료의 질과는 무관하게 말 그대로 행위수에만 보상을 부여하기 때문에 과잉진료의 가능성이 있음.


포괄 수가제는 '제왕절개'라는 하나의 종목에 대해 동일한 수가를 지급하는 방식임. 검사를 몇번을 더 하건 상관없이 일정한 금액을 지급받음.

이렇게 되면 의사는 과잉진료를 할 유인이 사라지게 되고, 환자는 더 적은 돈을 내도 동일한 서비스를 받게된다는게 포괄수가제의 도입 배경임.

물론 반대로 과소 진료를 할 가능성, 의료의 질이 저하될 가능성도 있지 않을까? 

'의료의 질'이라는 것에 대해서는 합의된 바가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재입원률'이라는 수치를 통해 간접적으로 정량화를 함.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42d4ea7fd2ac9a114c2d1971e9e8e4565d2a1fa6cd123fcc46453b01b33a1e80ec417168b7a8b30cb28e8fe


이 연구는 지금까지 나온 논문 죄다 때려박은 메타연구인데, 재원일수 (Length of Stay)는 유의미하게 줄어든 반면 재입원율 (Readmission)은 증가하지 않았다고 함.

사실 Confidence Interval이 (0.62-1.01)로 아슬아슬하게 1에 걸쳐있어서 그렇지 감소했다고 표현해도 무방함 ㅇㅇ

논문 1, 논문 2 물론 한국에만 한정한 연구도 크게 사정이 다르지는 않다. 되려 외래 방문 수가 떨어졌다는 결과도 나옴.


아니 근데 갑자기 가격을 딱 고정해놓으면 뭐먹고 살라고 이러는거냐?

사실 인식과는 다르게 2013년 포괄수가제 정책에서는 행위별 수가제 하에서의 평균적인 진료비에서 18% 높은 수가를 책정해뒀음.

정부 입장에서는 사실 의료비 절감보다는 보장성 확대에 주축을 두고 편 정책이기 때문임.


그렇다면 포괄수가제를 반대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1. 의료의 질이 크게 떨어지는 것은 물론, 조기 퇴원을 강요하는 병원이 늘면서 환자들의 불만도 많아질 것

2. 고객이 내는 비용이 동일하기 때문에 상급 종합병원으로의 쏠림현상이 일어날것이다.

3. 동시 수술에 대해 동일한 수가를 제공하기 때문에 동시수술을 할 인센티브가 없다.

4. 신 의료 기술을 도입해도 수가가 동일하기 때문에 의료기술을 도입할 인센티브가 없다.


상급종합병원 산부인과에서 포괄수가제 적용 이후 진료형태의 변화

1. 위 연구에 따르면 퇴원 후 50일내 환자 1인당 외래 방문 수/재입원 수를 조사해봤을때 유의미하게 증가하지 않거나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음.

조기퇴원, 의료의 질에 문제가 있었다면 퇴원 후 문제가 생겨 재방문하는 케이스가 증가했었어야겠지?

2. 또한 기존에 포괄 수가제를 진행하던 병원 또한 수술 건수가 감소했고, 상급 종합병원도 비슷한 비율로 감소하였음.

이는 수술 건수 자체가 전체적으로 줄어들었음은 물론이고, 상급 종합병원으로의 쏠림 현상도 예상하던것과는 다르다는것 보여줌.

3. 이건 제법 타당한 주장이고, 실제로 2015년부터 동시수술에 대한 별도 수가가 인정되도록 개정됨. 마취과 전문의 초빙료 또한 신설되었음.

4. 이것 또한 적절한 인센티브를 통해 해결 가능함. 미국을 예시로 들면, 신 의료기술이 효과가 있고 경제성이 있다고 예상되는 경우, 50%에 달하는 '별도 보상'을 2~3년의 짧은 기간동안 보장해줌. 그 동안 보상을 받기 위해 병원들이 신의료기술을 도입하면 나머지 병원도 경쟁을 따라가기 위해 기술을 도입한다는 발상임.


아무튼 포괄수가제가 의료계 주장과는 다르게 일장일단이 있다는 것은 차치하고 산부인과가 망한 원인이 포괄수가제 때문인지 찾아보기로 함.

7ced8674b3856ae87eb1d19528d527030cadbe2cc138d6

먼저, 산부인과 전문의 배출은 포괄수가제 적용 시점인 2013년 이전에도 꾸준히 감소하고 있었음.

출산율 감소에 의한 기대수익 감소, 피안성으로 대표되는 비급여 시장 확대는 기존에도 존재한 문제이기 때문임.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42d4ea7fd2ac9a114c2d1971e9e8e4565d2a1fa6cd023fdc46457b51b33457312e0d0c1e9ee59daadbf8520


포괄수가제 전후의 개/폐업 비율 통계임.

어! 포괄수가제 적용한 2013년에 피크찍었네! 싶을 수도 있지만 사실 전년도보다 폐업한 의원의 절대적인 수는 적음.

오히려 전문의 배출 감소에 의한 개업 감소가 직접적인 원인이고, 이후로는 개/폐업 비율이 오히려 줄어드는 추세를 보여줌.

그리고 전체적인 개/폐업 비율도 볼 필요가 있음. 산과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폐업 비율도 2013때 피크를 찍었음. 아마 리먼사태 영향이 아닐까 추측해봄.


74e9897eb6ed69e864afd19528d52703efae0414ff05


ac5939a70001b942813e33669735c1bcc2a977c21c773585f0dabed5e42e074dc2d2542d4ea7fd2ac9a114c2d1971e9e8e4565d2a1fa6cd723fdc86451b51b330d9c30b2c1360b16fcc3a0439d15

이건 산부인과 전문의 배출 건수임. 애초에 포괄수가제 시행 전부터 파멸적인 하락을 시작하고 있었다는 뜻임.

또 2013년도에 전공의를 시작했다고 해도 2017년에면 전문의가 되어있을텐데, 전문의 배출은 오히려 늘어남.

물론 산부인과 전문의 배출 건수와 산부인과 장래성에 얼마나 관련이 있냐? 하면 사실 그렇게 관련이 없을 수도 있긴 함. 전공의들이 전공 선택할 때 시장 상황을 잘 모를수도 있긴 하니까. 참고만 하라고 올려둠.

이건 별개의 이야기인데, 여성 산부인과 전문의 수는 비슷하거나 늘어나는데 남성 산부인과 전문의만 급속도로 퇴출된다는게 재밌는 통계임.

야간 분만같은 일은 보통 육아 등등의 문제로 남성 전문의가 담당했는데, 분만 건수 감소랑도 관계가 있지 않을까? 싶음


https://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75876

 


또 포괄수가제 이후로 돈 안되는 자연분만 안하고 제왕절개만 한다!라는 말이 있음

근데 포괄수가제 탓이라고만 보기는 힘든것이.. 제왕절개 비율의 증가는 전세계적인 트렌드임.

그 이유는 산통을 참기 힘들어서, 계획출산이 늘어서, 노산 비율이 늘어서 등등 다양하지만 단순 포괄수가제 영향은 아니라는거임.

7fed8173b5816af33ee983e14687706ec17984d0a4d4547ae6b4465434f6fcc0

그리고 우리나라는 포괄수가제 전에도 원래 제왕절개 비율이 높았음..


산부인과가 망하던건 포괄수가제 이전에도 있던 현상이고, 포괄수가제 이후로 가속됐다는 근거는 미비함. 

출산율 감소는 이전에도 있던 문제이고 피안성정으로 대표되는 비급여과, 영상의학과 등으로 대표되는 워라밸과의 등장으로 더 폭망한거임.



출처: 의대증원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134

고정닉 18

79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공지 실시간베스트 갤러리 이용 안내 [1831/2] 운영자 21.11.18 5877288 438
24267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중학교로 돌아간 조직 생활 하는 형님...jpg
[42]
빠요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15 12066 56
242668
썸네일
[판갤] 대한민국 경찰이 뭘 그렇게 잘못했냐...jpg
[157]
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5 6440 131
242667
썸네일
[일갤] 가루이자와 리조트 후기
[17]
카니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0 784 8
242666
썸네일
[기갤] 친구 뺨 '퍽퍽' 때려 놓고…"우리 아빠 장학사야" 뻔뻔한 중학생
[175]
긷갤러(169.150) 11:55 3620 38
242664
썸네일
[대갤] 일본 유명 女유튜버, 남성을 달군 팬으로 지지는 등 고문하다 체포
[124]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50 6989 58
242663
썸네일
[카연] 라미아에 대한 편견.manhwa
[60]
위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5 5667 153
242662
썸네일
[싱갤] 한국남자 필수세팅) 갤럭시 음성녹음 핫키 등록방법.jpg
[327]
한국에서 살아남기(112.160) 11:40 17747 288
242660
썸네일
[야갤] 블라) "파혼위기...봐줄수있어?".jpg
[23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35 8311 97
242659
썸네일
[기음] 편의점 통오이 김밥이랑 평냉육수 리뷰.jpg
[127]
dd(182.213) 11:30 6402 69
242656
썸네일
[야갤] [단독] '경계선 지능' 첫 실태 조사…초등생 4.6%.jpg
[31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0 7964 63
24265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경쟁 업체의 한 지붕 두가족 생활
[99]
흰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5 6935 86
242654
썸네일
[이갤] 난리난 광주 쇼핑몰 반대시위..jpg
[584]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0 11349 210
242652
썸네일
[기갤] 미리보기로 매출 월 3천만원 나올 것 같은 스토리 짠 기안84
[96]
긷갤러(146.70) 11:05 9993 48
242651
썸네일
[야갤] 오늘부터 세브란스 무기한 휴진…jpg
[25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0 8812 85
242648
썸네일
[디갤] Q2 모노크롬 한달차 후기. 50장꽉
[27]
용접왕씨부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50 1978 15
24264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은혜갚은 여우.manga
[134]
가상현실여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45 8158 55
242646
썸네일
[미갤] 1950년대 대한민국 사진.jpg
[107]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40 7926 49
242644
썸네일
[중갤] 임현택 의협 회장 ㅈㄴ 웃기네 ㅋㅋㅋ
[219]
정치서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5 10081 125
24264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모닝지구촌 0627
[67]
모닝지구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0 7286 46
242642
썸네일
[주갤] 화성동탄경찰서 진짜 심각한데?
[984]
주갤러(27.124) 10:25 28593 941
242640
썸네일
[야갤] 배그 항복, 환불+보상 결정ㅋㅋㅋㅋ
[878]
ㅇㅇ(117.111) 10:20 25065 578
242639
썸네일
[카연] 살문 (殺門) 火와 木 1화, 2화 [살인마의 관상]
[18]
늙은웹툰지망생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5 2571 14
242638
썸네일
[농갤] 한남 기자도 허웅한테 화나심
[269]
ㅇㅇ(89.31) 10:10 15550 122
242636
썸네일
[판갤] 동탄 화장실 사건 방송 간단요약...txt
[1144]
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5 27171 691
242635
썸네일
[야갤] [단독] 대통령실, 유재은에게 직접 전화‥대통령실 기록 회수 주도 정황
[13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0 7360 71
242632
썸네일
[일갤] (스압) 1~6월에 일본 가서 찍은 일철 사진들
[25]
잡주린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40 2329 14
242630
썸네일
[이갤] 강아지가 매일 욕조에 들어가있는 이유.jpg
[199]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30 15291 125
242628
썸네일
[싱갤] 형수와 결혼해 왕이된 남자
[20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0 12847 70
242626
썸네일
[야갤] 100여명 자리 뜨려는 순간.. 광주 폭주족 사고.jpg
[20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10 13263 104
242624
썸네일
[향갤] 칼 라거펠트 비하인드 스토리
[66]
안태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00 5712 46
242622
썸네일
[미갤] 당근마켓에서 연예인 베개 사는 배우 김민석.jpg
[96]
밑갤러(169.150) 08:50 16195 36
242620
썸네일
[위갤] 버팔로트레이스 팝업스토어 후기
[43]
옥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40 6317 27
24261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45년 시계장인이 디스하는 롤렉스
[33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30 29968 189
242616
썸네일
[부갤] '탄광의 카나리아' 백만장자들이 한국을 떠나고 있다
[487]
ㅇㅇ(152.44) 08:20 19131 150
242614
썸네일
[기갤] 수증기 통로 열린다, 다가오는 '폭우의 시간'.jpg
[9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0 12825 25
242610
썸네일
[디갤] [상반기결산] 파나의 품격
[19]
니콘3세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50 3130 19
242608
썸네일
[우갤] (후기) 다카라즈카기념의 직관을 다녀오며
[1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40 5197 36
242606
썸네일
[이갤] 변해버린 여자친구와 한결같이 지켜준 남자친구.jpg
[215]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30 26691 168
242604
썸네일
[중갤] 대항해시대온라인이 너에게 안맞는 이유
[185]
메가커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20 24903 126
24260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손 아카데미 최고 아웃풋
[227]
ㅇㅇ(218.235) 07:10 16842 169
242600
썸네일
[유갤] 정성호가 뽀뽀뽀에서 짤린 이유
[126]
ㅇㅇ(211.234) 07:00 16986 180
242598
썸네일
[이갤] 일본인이 처음 들었을 때 웃겼던 한국어 단어
[335]
슈붕이(104.223) 01:55 39901 73
242596
썸네일
[이갤] F로 시작해서 -CK로 끝나는 단어.jpg
[160]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45 34856 272
242594
썸네일
[이갤] AV배우씹덕 초여름 원정 (2)
[10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5 24513 70
242592
썸네일
[싱갤] 인서울대생이 정리했다는 틀리기 쉬운 맞춤법.jpp
[450]
ㅇㅇ(1.225) 01:25 40882 47
242588
썸네일
[야갤] 대충격 일본 예능 아이브 폭격중. 일본 중딩들 눈물바다.
[361]
나스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5 36791 172
242586
썸네일
[디갤] 뉴비) 후쿠오카 zfc
[45]
디붕이(118.235) 00:55 12664 30
242584
썸네일
[리갤] (기습숭배)T1에게 선택받은 밴드 글렌체크를 ARABOZA
[148]
ㅇㅇ(121.171) 00:45 21805 181
242582
썸네일
[이갤] 희귀병 아내를 버리고 집 나간 남편.jpg
[513]
감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35 35168 484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