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이게 87점 맞은사람 면접 후기란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5.22 21:23:31
조회 1168 추천 2 댓글 14

#교정직 면접후기

🌕 오전조

🌕 면접 총평/분위기 : 면접관 두 분 모두, 제가 질문을 못 알아듣고 동문서답해도 인상을 안 쓰시고, 중간에 말 끊지도 않으시는 등 친절하셨습니다. 면접은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분위기 속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에어컨을 가동해서 실내가 시원하다고 했으나, 막상 가보니 본인 기준으로 그닥 시원하지 않았음.

면접관들 목소리가 잘 안 들린다고 해서 걱정했으나, 면접하는 내내 잘 들림.

남자 면접관 2명. 본인 기준 왼쪽 면접관은 40대 초반 정도로 보이고, 오른쪽 면접관은 50대 정도로 보임. 왼쪽 면접관은 농담도 하시고 잘 웃어주심. 오른쪽 면접관은 무덤덤하심. 왼쪽 면접관을 면1, 오른쪽 면접관을 면2라 함.

글로 쓴 것과는 다르게 실제로 말할 때는 버벅거리고, 주술관계도 안 맞게 말하기도 함.

어느 정도 기억왜곡이 있을 수 있음.

입장 후 ~

[5분 : ]

—————

ㅇ5분 발표를 시작하겠습니다. 먼저 제시문 요약을 해보겠습니다. 제시문은 ~~한 내용입니다. 저는 상피제의 ~~부분에서 청렴성을 유추하였고, 상피제 제도들의 궁극적인 목적은 공정이기 때문에, 공정성이라는 공직가치를 유추하였습니다.

첫 번째, 청렴성은 국민신뢰의 기반으로, 사회재통합과 국가경쟁력 제고에 큰 영향을 끼치므로 중요한 공직가치입니다. 청렴성은 어떠한 사적이익이나 청탁에 유혹되지 않는 것입니다. 청렴성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노력으로는 내부정보를 이용해 사적이익을 탐하지 않는 것입니다. 이를 어긴 대표적인 사례가 올해 LH의 부동산 투기 사건입니다. 수용자의 교정교화를 위해서는 교도관이 먼저 모범을 보여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청렴성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수용자들이 교정교화에 대해 받아들이기 힘들 것입니다. 다음은 관련 사례입니다.

조선시대에 맹사성은 당대 최고 벼슬인 우의정까지 올라갔음에도, 재물을 함부로 탐하지 않아 집이 가난했습니다. 이 때문에 많은 관리들과 백성들의 귀감이 되었습니다.

순천교도소는 직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공직사회의 부정부패를 척결하고 공정한 사회를 조성하기 위한 청렴실천 결의대회를 가졌습니다.

반면 안 좋은 사례도 있었습니다. 올해 대전교도소 전 간부가 내부정보를 이용해 대전교도소 이전 예정지에 아내 명의로 부동산 투기했다는 의혹이 있었습니다.

두 번째, 공정성은 모든 업무는 신중히 검토하고 행정절차에 따라 공정하게 처리하는 것입니다. 교도관은 ‘형의 집행 및 수용자의 처우에 관한 법률’에 따라 업무를 수행합니다. 이때 명심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법불아귀, 법은 귀한 자에게 아첨하지 않고, 승불요곡, 먹줄은 굽은 것을 따라 휘지 않는다, 한비자가 법의 형평성, 공정성을 강조하며 한 말입니다(이때 오른쪽 면접관분이 종이에 뭐를 적으심). 교정교화를 위해 교도관은 모범을 보여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공정성이 필요합니다. 공정하지 못하면 수용자들이 교정교화에 대해 받아들이기 힘듭니다. 또한 제가 알기로는, 수용자들은 불공정한 대우를 받는 것을 싫어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음은 관련 사례입니다.

인천교통공사는 ‘2020년 공정채용 블라인드 채용 우수사례 경진대회’ 행정안전부장관상을 수상하였습니다. 학벌이나 스펙 중심의 서류전형에서, 직무기술서를 기반으로 한 직무능력만으로 지원자를 평가해 직무능력 중심의 선발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채용 전 과정을 외부 전문기관에 위탁하여 채용비리를 사전에 예방하였습니다. 정부가 지방공기업 블라인드 채용제도 도입을 권고하기 1년 전인 2016년부터 블라인드 채용을 도입해 적용하였고, 그 이후로 채용비리 0건을 달성하였습니다.

제가 교도관이 된다면, 위에 언급한 청렴성과 공정성을 지키는 교도관이 되겠습니다.

-—————

면2: 왜 공무원한테 청렴성이 중요할까요?

나: 청렴성은 국민신뢰의 기반으로, 사회재통합과 국가경쟁력 제고에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입니다. 또한 공무원은 국민의 세금으로 월급을 받고, 공무원 조직 역시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공무원은 모범을 보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면1: 현대판 상피제를 시행했을 때, 문제점과 불만 사항이 발생할 수 있어요. 그래서 반대 하는 사람들이 존재할 수 있어요. 이 사람들을 어떻게 설득할 수 있을까요?

나: (관련 사례로 숙명여고 사건을 설명. 질문을 잘못 이해하고 동문서답함)

면1: 아 그게 아니라, (질문을 다시 해주심)

나: 아 죄송합니다. 아무래도 우리나라 현실에서 교육의 최종 목적은 대학 입시고, 대학 입시에는 공정성이 중요하므로 어느 정도 불편해도 이해해달라고 할 것 같습니다.(정확히 뭐라 말했는지 기억이 잘 안 나네요)

면1: 또 설득할 방법이 있을까요?

나: (뭐라 말했는지 정확히 기억이 안남. 더 좋은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서 현대판 상피제가 필요하다, 이런 식으로 말했던 것 같네요)

면1: 현대판 상피제와 관련한 불편 사항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나: (교사인 부모가 근무하는 학교에 자녀가 학생으로 있는 경우, ‘자녀의 학년, 부모인 교사의 담당 학년을 서로 다르게 한다’는 식으로 답함)

면1: 아까 청렴성 관련 사례 중에서 언급된 교도소가 어디였죠? 춘천이었나요, 순천이었나요?

나: 순천교도소입니다.

면1: 청렴성 관련 사례로 순천교도소에서 청렴실천 결의대회를 했다고 했는데, 순천교도소만 했을까요, 아니면 다른 교도소들도 전부 했을까요?(웃으며)

나: 다른 교도소들도 전부 했을 것 같습니다.

면2: 지원자가 보기에, 현재 교정행정에서 어떤 점이 불공정할 수 있다고 생각하나요?(면접 후반에 질문하심)

나: 재력과 권력이 있는 수용자에게 특혜가 주어지는 경우가 있다는 점입니다. 이 특혜로는 가석방 등이 있습니다.

면2: 맞다. 이런 경우가 종종 있다. 어제 뉴스에서 발표되었듯이, 그 분의 가석방이 확정되었다.(이름을 언급하셨으나, 혹시 몰라서 그 분이라 썼습니다. 누구인지 다 아실 겁니다)

[직무형 : 희망 부처/업무 & 노력 경험]

—————

□ 1. 근무하고 싶은 부처

보안과, 직업훈련과, 사회복귀과

2. 담당하고 싶은 직무(정책)

1)취업, 창업 지원 프로그램

2)가족관계 회복 프로그램

3. 평소 준비한 노력과 경험

1)관련 영상 시청

드라마 ‘슬기로운 감빵생활’, 예능 ‘착하게 살자’, ‘유퀴즈 온 더 블록’ 교도관 출연 부분, 영화 ‘그린 마일’, ‘하모니’, 다큐, 현직자 인터뷰, 유투브 교도소 24시 채널 구독

2)필기시험 준비 때부터 운동을 하며 체중 감량. 이후에도 꾸준한 운동을 통해 체중 유지, 체력관리

3)월간 교정 구독, 교정작품 쇼핑몰 보라미몰 방문. 교정본부 홈페이지 방문

4)교정학개론 공부

4. 관심있는 정책

1)취업조건부 가석방, 소망의 집, 희망센터

—————

면1: 보니까 관련 영상으로 드라마, 영화 등을 많이 보셨네요. 드라마나 영화에서 교도관들은 뇌물 받고 편의를 봐주는 등 부정적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있는데요. 그래서 인식이 안 좋은 경우가 있어요. 교도관 인식을 개선할 방법에 대해 생각해본 것이 있나요?

나: 제가 교도소24시에서 ‘드라마, 영화에서 교도관들에 대해 부정적으로 묘사하는 장면들에 대해 팩트체크하는 영상’을 본 적이 있습니다. 이렇게 팩트체크하는 영상을 만들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면1: 다른 개선할 방법이 있나요?

나: 경찰관, 소방관들의 경우를 보니, 몸짱 경찰관과 소방관들이 바디프로필 사진을 찍고, 그 사진들로 달력을 만드는 것을 보았습니다. 교도관들도 마찬가지로 몸짱 교도관들이 바디 프로필 사진을 찍고, 그 사진들로 달력을 만들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교도관들이 수용자 관리를 위해 이렇게 자기관리에 노력을 기울인다는 점을 국민들에게 알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면1: 또 개선할 방법은 있을까요?

나: (‘잠시 생각할 시간을 주시겠습니까’라고 말한 후) 드라마나 영화에서 교도관들을 부정적으로 묘사하는 경우가 많은데, 연출하는 감독들에게 이렇게 부정적으로 묘사하지 말아달라고 부탁할 것 같습니다. 아무리 영화라도 너무 현실과 다르고, 너무 지나친 점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기사를 통해서 ‘이런 점은 현실과 다르다’고 국민들에게 알리면 좋을 것 같습니다.(집에 가면서 다시 생각해보니, 공직가치 중 투명성이랑 연관시켜 말할걸 그랬네요)

면1: 가고 싶은 부서에 보안과, 직업훈련과, 사회복귀과을 적었는데 보안과는 왜 적은 건가요?

나: 보안과에서 근무를 하면, 수용자와 밀접 접촉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수용자와 접촉하면서 수용자의 성격, 특징, 가족상태, 개인 상황 등을 파악하고, 이 점들을 직업훈련과, 사회복귀과에 근무하면서 활용하고 싶기 때문입니다.

면1: 직업훈련 부분에 대한 내용을 많이 적었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나: 아무래도 수용자가 출소 후 사회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경제력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면2: 노력한 경험 중에서 힘들었던 부분은 무엇이며, 그 힘든 것을 어떻게 극복했나요?

나: 체중감량이 제일 힘들었습니다. 특히 가장 힘들었던 점은 식단관리였습니다. 일주일에 한번 정도는 제가 먹고 싶은 만큼 마음껏 먹고, 다음에 운동할 때 평상시보다 더 많이 운동했습니다.

면1: 필기 시험을 준비하면서 왜 체중감량을 했나요?

나: 필기 후 체력시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면1: 본인의 장점은 무엇이며, 이 장점이 교도관 업무에 어떻게 도움이 될 거 같나요?

나 : 저의 장점은 끈기, 참을성, 인내심입니다. 교도관은 교대근무를 하고, 야간근무를 하기 때문에 체력적으로 힘든 점이 있는데, 이것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면1: 수용자의 인권과 관련하여, 수용자가 할 수 있는 구제수단은 무엇이 있나요?

나: 사법적 구제수단으로는 민사소송, 형사소송 등이 있습니다. 비사법적 구제수단으로는 소장님 면담, 청원 등이 있습니다.


면1: 보니까 두 개의 경우를 모두 적었는데, 어떻게 대처하겠다는 건가요?(제가 애매하게 적어서 질문하신 것 같습니다)

나: 먼저 자살, 자해 시도 우려 정도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대처하겠습니다.

면1: 자살, 자해 시도 우려 정도에 대해서 어떻게 판단할거죠?

나: 1~2주 정도 관찰하면서 수용자의 자살, 자해 시도 우려 증상을 상세히 기록하겠습니다.

면1: 법에 따르면 독거수용과 혼거수용 중 어떤 수용 방식이 원칙인가요?

나: 독거수용이 원칙으로 알고 있습니다.

면1: 혼거수용을 할 수 있는 경우에 대해 말해보세요.

나: 독거실 부족 등 시설여건이 충분하지 아니 한 경우, 수용자의 생명 또는 신체의 보호, 정서적 안정을 위한 필요한 경우, 마지막으로 수형자의 교화 또는 사회복귀를 위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면1: 전자영상장비 계호를 할 수 있는 경우는 무엇일까요?

나: ‘형의 집행 및 수용자의 처우에 관한 법률’ 94조에 따르면, 자살 및 자해 시도의 우려가 있을 때 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면1: 그거 외에 더 자세한 기준도 있지 않나요?

나: (잠깐 생각) 제가 거기까지는 알아보지 못했습니다. 죄송합니다. 숙지하겠습니다.

추천 비추천

2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AD 지방직9급 합격예측 사전예약 네이버페이 증정 운영자 24/05/31 - -
1227647 합격하면 2차병원 간호사애들 만날수있냐 교갤러(106.101) 06.18 62 0
1227644 최합은 69임 [3] 교갤러(211.211) 06.18 127 5
1227643 국어50점은 내가 생각해봐도 심각하네 보갤러(115.40) 06.18 56 2
1227642 최합 66이랜다 [2] 교갤러(116.45) 06.18 134 2
1227641 ㅅㅂ 국어 뭐냐 [2] 교갤러(223.62) 06.18 112 0
1227640 최합은 66 [1] 교갤러(211.36) 06.18 77 2
1227639 같이 고생했는데 안좋은 소식 전해서 미안하다..... [5] 교갤러(211.57) 06.18 480 17
1227638 청경 14호봉 월급인증한다 [10] ㅇㅇ(118.235) 06.18 288 0
1227637 합격하고나서 간호사는 만나지마라 [17] 교갤러(106.101) 06.18 375 7
1227636 초과근무시간 어떻게 계산하는 지 아는 사람 잇음? [5] ㅇㅇ(1.247) 06.18 87 0
1227635 남친 사귀고싶어요 [1] 교갤러(211.36) 06.18 119 0
1227634 법령집 없이 합격한 사람있냐? [9] ㅇㅇ(210.123) 06.18 160 0
1227633 영어85점인데 솔직히 1월부터 12월까지 영어로 정확히 모름... [2] ㅇㅇ(211.59) 06.18 124 0
1227632 38세인데 준비해도되나요 [27] 교갤러(118.235) 06.18 1496 52
1227631 특채는 그만 뽑아도 됨 [1] 교갤러(106.101) 06.18 101 4
1227630 난 너무이쁜 여자보단 이런 수수한여자가 좋더라 [7] ㅇㅇ(106.102) 06.18 255 1
1227629 어린이 보호구역 황색불 네비 시속 39로 지나갓는데 살려주냐??? [7] 교갤러(125.129) 06.18 87 0
1227627 그냥 이 빡대가리들이 공부법 운운하는게 좆역겨움 [4] ㅇㅇ(211.36) 06.18 144 3
1227625 교정직 히키 멸치도 할수있냐? [1] ㅇㅇ(118.235) 06.18 92 1
1227624 유도 4단인데 공채준비하는게 이상함??? [6] 교갤러(211.235) 06.18 110 0
1227622 33살 경비하는데 이런일이 있나 싶다.jpg [2] ㅇㅇ(175.212) 06.18 192 0
1227621 현직들 있냐 금속보호대 채우는 스타일 어떻게 되냐 [1] ㅇㅇ(211.234) 06.18 78 0
1227619 공무원이 추락하면 꿀을 바르기 마련 ㅇㅇ(118.128) 06.18 83 0
1227617 “차라리 배달라이더가 낫다”… 철밥통 공무원의 ‘추락’ [5] ㅇㅇ(118.235) 06.18 271 5
1227616 전직깡패 유튜브인데 교도관 개무시하네 ㅋㅋ [2] ㅇㅇ(211.235) 06.18 273 0
1227615 4-4차들은 160등 이하부터는 걍 비연고지 확정이야 [7] 교갤러(118.235) 06.18 167 2
1227613 연고지 질문있습니다 ㅇㅇ(1.221) 06.18 61 0
1227612 연수원은 보통 몇 월에 가나요? [2] ㅇㅇ(118.235) 06.18 111 0
1227611 4조 2교대 << 진짜 개꿀 패턴임 [14] 교갤러(223.39) 06.18 297 1
1227610 무도특채들 대부분 경력 짱짱한 사람 뽑더라 [6] ㅇㅇ(112.152) 06.18 138 0
1227609 여기 66있냐? [3] 교갤러(2.58) 06.18 146 3
1227608 교정학 힘주진 마세요 [2] 교갤러(218.239) 06.18 177 1
1227607 4-4차는 어디까지 희망회로 욕심 내는거?? [13] 교갤러(125.134) 06.18 194 0
1227606 crpt 특채는 단일종목 4단이상 유단자여야되네ㅋㅋ [1] 교갤러(211.234) 06.18 117 0
1227605 4-4 5 성적 합침? [2] 교갤러(118.235) 06.18 101 1
1227604 면접끝나고 일용직체험중 [1] ㅇㅇ(118.235) 06.18 93 0
1227603 마지막 정답수정해서 66->67인데 운 ㅁㅌㅊ? [14] 교갤러(39.7) 06.18 205 1
1227602 교까들아 공부해라 ㅇㅇ(118.235) 06.18 36 0
1227601 와 최합이 만약 66이면 마킹실수로 68된거 신의한수인데 [7] ㅇㅇ(118.235) 06.18 178 0
1227600 내년 교린이 레인보우 악력기 뭐사야하냐? [3] ㅇㅇ(210.123) 06.18 70 0
1227599 악력 67 63... 3대480치는데 crpt가능? [1] 교갤러(211.234) 06.18 64 0
1227598 갑자기 미흡병 스멀스멀 올라오노 ㅇㅇ(58.29) 06.18 142 1
1227596 배명은 언제함?? [1] 교갤러(211.235) 06.18 91 0
1227595 7.4-7.8 사이 서류제출 가능성 없겠지? [4] 교갤러(218.239) 06.18 130 0
1227594 최합 68까지나 올라가냐????? [1] 교갤러(103.50) 06.18 93 0
1227593 교정학이 공부하기는 제일 쉬운데 [5] ㅇㅇ(118.128) 06.18 164 3
1227592 298기 승자들과 패자들 목록 [2] 교갤러(118.235) 06.18 156 1
1227591 공부만 잘했어도 보호직하는건데 [2] ㅇㅇ(118.235) 06.18 144 2
1227590 전직 깡패 유튜브보는데 CRPT들 가오 엄청 잡네 [5] ㅇㅇ(211.235) 06.18 282 2
1227589 20 중반 여잔데 7급 9급 [18] 교갤러(106.101) 06.18 294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