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퍼옴] 지리산행기(1950년대)

바쿠스1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1.08.09 19:03:52
조회 758 추천 0 댓글 7

 


50년 전의 지리산 산행기 


2년전인 55년에 지리산 초등을 하고 이제 두번째 지리산을 가기위해 만반의 준비를 한다.


쌀 여섯되, 미싯가루 두되,군용텐트, 시트겸 판쵸, 군용침낭, 김치독, 간장, 된장, 고추장, 버무린독, 마니라로프 20m, 카메라, 쌍안경, 삽, 톱, 야전도끼, 야전곡괭이, 간식, 부식, 세면구, 보온주, 석유알코올 한되씩, 알콜깡통, 항고 등등.. 산더미 같은 장비를 쌓아놓고 보니 륙색으로는 엄두가 나지않아서 자갈치 시장에서 급히 군용 샌드백을 구입했다.


샌드백 한쪽 포켓에 항고가 두개쯤 들어갈 수 있는 크기로 양쪽을 붙이고 그보다 작은 포켓을가운데 붙였다.


넣을것이 많아서 위에도 세개의 포켓을 달고나니 아주 근사하다. 이 륙색을 만든다음 너무도 좋아서 자다가도 깨어서 만져보고 얼마나 쓰다듬었는지 모른다. 


1957년 6월 23일


06시 철마는 움직이기 시작했다. 열차가 삼랑진을 지날 무렵에 오직 나만 믿고 동행한 Y군과L군의 얼굴을 쳐다보니과연 길을 찾을 수 있을까 걱정이 앞선다.


마산을 지나 터널을 지날때마다 석탄가루가 얼굴에 달라붙고 더워서 질식할 뻔 했다.


12시 40분,부산을 출발해서 6시간40분만에 진주에 도착했다. 진주역에는 같이 산행할 Y군의 친구 K가 마중나와 있었다.


지리산을 잘 안다는 이 친구를 보니 천군마마를 얻은 기분이다.


팥죽같은 땀을 흘리며 역에서 2키로거리인 시외버스 정류소에 오니 하루에 한번 다니는 덕산가는 버스가 이미 떠나고 없다.


어차피 진주에서 중산라까지 걷기로 작정하고 나왔으니 하는 수없다.


물어 물어 산청방향으로 가다가 쉬고 가다가 쉬고 하면서 행군을 계속했다.


진주에서 "원지"까지가 50리라 하지만 65kg 정도의 짐이 너무 부담스러워 "명석"에 도착하니촌보도 움직일 수 가 없어 어느 과수원 귀퉁이에 텐트를 치고 첫 밤을 보냈다. 


 6월 24일


"명석"지서 순경이 운이 좋으면 고령토 트럭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 줄터이니 기다려 보란다.


9시경 요행히 먼지 펄펄나는 트럭을 얻어 탓는데 한참을 가니(12키로 정도) 내리라 한다.


 "시천(덕산)"을 향해 또다시 걷는다.


입은 옷이 소금에 절어 뻣뻣해질 때까지 걸었다.


긴 여름해가 어둠에 깔릴 때까지 걸어온 덕분에8시경에 덕산장터에 닿아서 강둑에 텐트를 치고 고단한 몸을 뉘였다. 


6월 25일


덕산에서 "곡점"까지 12키로라고 한다.시어서 못 먹게 된 김치 독 1개를 미련 없이 버리고 나니 한결 짐이 가볍다.


덕산을 출벌한지4시간만에 곡점에 도착해서 중산리까지 갈려 했는데 날씨가 너무 더워 더 이상 걷기가 힘이들어오늘은 일찌감치 곡점에서 텐트를 친다.


곡점 마껄리도가의 냄새에 이끌려 네 명이 두 말을먹고 잠이 들었다.  


6월 26일


오늘 부터는 좀 힘차게 걸을려고 마음을 먹고 중산리를 향하는데 폭우가 쏟아지기 시작한다.


빗물이 륙색안으로 들어가서 꿀렁거려 더 이상 전진을 못하고 "동당리"마을 재실에 대피해서아무리 기다려도 비가 그칠 기미가 없어 이 곳에서 하루밤 잘 수 밖에 없다.


시간이 많아서간식으로 콩을 볶아 먹기도 했다.


콩을 먹으며 계속 물을 마셔대던 L군이 저녁에 결국 설사를 만나 고생을 하는 모습이 안쓰럽다. 


6월 27일


비는 계속해서 내린다.

더 이상 시간을 허비할 수 없어 빗속을걸어 "하중산리"에 닿으니 계곡의 물살이 엄청나서칡넝쿨로 얽어만든 통나무다리를 건널때는 눈이 뱅뱅 돌릴지경이다.


"하중산리"의 돌아가지 않는물레방아간에서 잠시 비를 피한 후 다시 빗속의 황토길을걸어서 "중중산리"에 오르니 점심때가훨씬 지난 두시 10분 이었다.


 쏟아지는 비때문에 밥을 지을수 없어 미싯가루로 허기만 면하고 급한 경사 길을 올라서 드디어지리산 천왕봉 초입인 "상중산리에 도착했다.


땅이 질퍽거려 텐트칠 자리가 없어 "홍순표"씨라는집에 민박을 했는데 얼마나 방에 불을 많이 땟는지 이틀동안 비에젖은 옷이며 장비가 밤새 바짝말랐다.  


6월 28일


오늘도 비는 안그친다.

중산리 언덕에서 보니 계곡에 집채만한 돌들이 굴러 내려오고 있다.

마을에서 논이 있는곳으로가서 개울을 건너야 하는데 근 두시간을 헤메었는 데도 논길을 찾을 수 가없다.


지리산을 잘 안다는 진주의 k군에께 의논을 하니 사실은 자기도 지리산이 오늘 처음이란다.

그러면 왜 잘 안다고 했냐고 힐책을 하니 안그러면 동행시켜주지 않을 것 같애서 거짓말을했단다.

기가 막힌다.

할 수 없어 홍순표씨 집에 다시 가서 그를 데리고 와서 길을 안내 받긴했는데 불어난 물때문에 도저히 계곡을 건널 수가 없다.


어쩔 수 없이 계곡의 물이 빠지는 것을기다리는 수 밖에 도리가 없다.

빗줄기는 차츰 약해지며 오후가 되니 그치긴 해도 계곡물은좀처럼 줄어들지 않는다.


순두류 삼거리지점의 언덕을 깎아 젖어서 납덩이 같은 텐트를 치고 시끄러운 물소리와함께 또하룻밤을 중산리에서 보낸다.(지금의 매표소 맞은편 언덕) 


6월 29일 [도강작전]


물소리 때문인지 도강 걱정 때문인지 잠이 안온다.

지리산의 아침은 우중에도 밝아왔다.

도강준비를 하는데 다른 방법이 없다.


마닐라 로프를 활용하기 위해 5미터 전방에 있는 바위까지나무다리를 만들기로 햇다.


허벅지만한 나무 세개를 야전도끼로 찍어서 엮어 일단 간이 다리를 만들었다.

거기서 부터는 짐없이 힘껏 다음 바위로 도약하고 또 도약하고 그래서 첫번째 대원이 넘어갈 수 있었다.


무거운 로프를 강 저쪽으로 던져 나무에서 나무로 연결한 뒤 륙색은 먼저 보내고 대원들은 뛰어건너 겨우 도강에 성공했다.


3시간 20분이 걸리는 대 역사였다.


여기서 우측소로를 따르면순두류가 나오고 왼쪽으로 가야 칼바위가 나온다는 이야기를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었기 때문에왼쪽길로 접어드니 민가 두채가 나타난다 물소리가 얼마나 장황했던지 그토록 고함을 지르고했는데도전혀 듣지 못했다 한다.


칼바위에 도착하니 3시30분경. 시계에 물이 들어갔는지 잘 보이지 않는다.


첫번째 개울 두째개울을 건너고 우측으로 가라는 신신당부를 받았지만 우측에는 길이 없고 왼쪽에 길이 있어륙색을 벗어 놓고 정찰에 나섰어나 100미터도 못 가서 길이 없어진다.되돌아와 우측으로 길을찾았으나 도저히 나갈 길이 없다.


일제 군용도로 잡목을 베면서 70미터 정도 전진을하니 희미한나무꾼 길이 나온다.


알고보니 두번째 개울 건너 다시 그 개울 상류를 건너 우측으로 한바퀴도니까 길이 연결이 된다.


길을 찾고나니 안심도 되고 피로가 겹쳐 칼바위 캠프에서 텐트를친다.  


6월 30일


언제 비가 왔느냐는 듯이 강렬한 태양이 아침부터 극성을 부린다.


엿새 동안의 노독과 도강 작전에 너무 지쳐서 오늘 하루는 여기서 푹쉬기로 대원들이 의견일치를한다.


산행로를 확인하기도 하고 물이 줄어든 개울을 건너 다래밭에서 새파란 다래를 서너되나 따 오기도 했다.


더위를 식히려 차가운 물속에 들기도 하며 한가한 하루를 보내고 내일을 위해항고밥을 일찍 해먹었다. 


어제 실수로 알콜 한되를 쏟아 버렸기에 내일 아침 연료용으로 화력좋아 보이는 솔방울을 따서쌀자루에 담아두고 잠자리에 든다.


새벽녁에 L군이 떠드는 소리에 잠이 깨어 무슨 일이냐고 물어보니 쥐가 발바닥을 갉아 먹었다고 한다.


무슨 그런일이 하면서 내 발바닥을 쓰다 듬어니 우둘투둘하다.


기역자 전등으로 비춰보니 쥐의 특유한 두 이빨자국이 선명하다.


 다시 잠을청하는데 바스거리는 소리에 전등을 비추니 엄지 손가락 만한 새앙쥐가 잠든 Y군의 배를 타고넘어 달아나는 놈을 워커로 일격을 가해 잡는데 성공한다. 


7월 1일


하루를 쉬었음 에도 새앙쥐 사건으로 잠을 설쳐 컨디션이 개운치가  않다.


그래도 육중한 륙색을 메엇다.사람길 인지 짐승길 인지 분간이 어렵지만 간혹 길에 떨어진담배꽁초로 길을 확인하곤 한다.


가파른 길을 헤매면서 올라가니 바위가 앞을 막는다.


바위를 탈수 없어 빽하여 길을 찾으니 국사봉으로 오르는 길 같은 것이 보인다.


게속 타고 오르니이 길이야 말로 망바위로 오르는 코스였다.


망바위에 올라 성냥갑 같은 중산리를 내려다 보면서여기까지 온 것만도 다행이란 생각이 든다.


앞에 보이는 바위가 문창대라고 들었기 때문에 오늘은 문창대를 지나 법계사 까지는 가야한다.확확 쏟는 지열을 감당하면서 문창대에 닿으니 평길이 나와 살만하다.


평길이 끝나고 자갈돌길이나올 때는 죽었구나 했는데 바위 사이에서 쏟아지는 석간수로 위기를 모면한다. (지금의 로타리 산장 부근)


은은히 들리는 종소리에 법계사가 가까웠음을 느끼고 급하게 법계사로향했다.


혹시 법계사가 아닌건 아닐까 걱정을 하면서...... 무거운 짐과 더위에 지쳐 기다시피 하여오르니 정자같은 가옥이 나타난다.


큰 돌위에 석탑이 보여서\'옳거니!절집이 맞다고 확신하고급경사를 급히 오르니 웬 부인이 반겨 맞는다.


 부산에서 왔다고 인사를 청하니 자기는 법계사를지키는 손보살이라고 한다.


절 위로 보이는 산봉을 바로 오르고 싶어 얼마나 걸리느냐고 물어니 4키로라고 하면서 저봉우리는 일출이 장관이기 때문에 여기서 자고 내일 새벽에 오르라고 붙잡는다.


해는 한 발이 남았지만혹서에 지친 몸이라 거부할 생각도 없이 머물기로 했다.


텐트를 치고 나니 산삼이라면서 재배한 인삼을 한 뿌리씩 준다.


여덟가지의 약초로 직접 빚은 팔선주라는 술도 반주전자나 주어서 멋모르고 마시고 저녁도 굶은채 술에 취해 잠이 들었다.  


7월 2일


고맙게도 손보살이 깨워주어서 눈을 뜨니 새벽 세시였다.일출 보기가 힘드니 어떻게 하든지 일출을 보고 오라고 당부를 하는 손보살의 배웅을 받으며출발햇다.


기역자 군용 후랫쉬를 비추며 한참을 오르니 날이 밝아오면서 앞에 보이는 산봉이잡힐듯 하면서 접근하기가 점점 너무나 힘이 든다.


바위가 쫙 갈라진 채 입을 벌리고 있는 곳에 닿았다.이정도 오르면 개선장군들 이라고 생각하고이 곳을 "개선문"이라고 명명했다.


집채만한 큰 바위가 길을 막아 네사람이 륙색을 벗어놓고 길을찾아 나섰다.


겨우겨우 바위뒤쪽으로 나 있는 짐승길을 찾아서 오르는데 정말 힘이든다.


산딸기가수 없이 널 부러져 있어도 따 먹을 겨를도 없이 진행한다. 풀을 베고 나무를 찍어내고 나아가니20미터 정도의 암벽이 또 길을 막는다.


마닐라 로프와 기술을 총동원 햇지만 도저히 오를 수없어 나무를 베어가면서 왼쪽 능선으로 붙었다.


이제 길이 좀 나타날까 했는데 다시 움푹패인 암장 하나가 길을 막는다.


산봉은 잡힐듯 가까워있고 급한 마음에 바위를 오르려고 몇번 시도를 하나 이끼 때문에 불가능 하여 1시간을 허비 한다음 하는 수 없이 우측 계곡으로 들어가 흘러내린 바위를타고 산봉으로 직등을시도한다.


넝쿨이발을 매섭게 감아쥐지만 단도로 짤라가며 길을만들어서 올라갔다.

법계사에서 지고온 물독이무색할 정도로 바위틈으로 물이 흐르는 곳도 있다.


 좌로 우로 비껴가면서 낙석지대를 오르니 마음은  산봉에 있고 몸은 한없이 지친다.이제부터 길은거의 기어서 오른다. 


기어서 기어서 오봉 밑에 오르니 감로수가 철철 넘친다 .


마지막으로 목을추기고 20미터 정도 남은 산봉을 향해 오르는 도중에"김순용"영감이 산봉 밑에 다지다가 둔캠프장의 언저리에 삽과 곡괭이가 널려져 있다.


이제 앞으로 10미터!... 감격스런 산봉이 눈 앞에 있다.륙색을 풀어 던지고 가벼운 몸으로 뛰다시피 산봉에 올랐다.


여기가 천왕봉! 이 감격, 이 환희,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두번째의 감격이다.


목이 터져라 만세를 부르고 야호도 웨쳤다.


안개가 심해서 일출을 못 보는 것이 안타깝기짝이없다.


이제 더 갈데도 없다.


어떻게 해서 여기에 왔는가.그 아쉬움 때문에 도무지 하산 할 수 가없어 우리는 천왕봉에 또 캠프를 채렸다.


 [ 출처 : 산행일지 ( http://blog.empas.com/hs0362/ ) ] * 위 글은 [우리들의 산] 지에 실린 <성산>님의 산행기입니다.*  ♡ 오래된 사진은 대부분 산 선배이시며 개척자이신 구례 연하반 회원님들의 사진입니다.몇일전 가입을 하였고 그분들의 노력으로 지리산이 보존되고 오늘이 있음을 감사드립니다. ♡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29761 여름에 설악산 이 코스 어려운건가요? [4] 숭구리당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1.30 338 0
29760 mbc 특별생방송 '바보나눔 축제'의 바보캠프에 남성참가자분 모십니다. [1] mbcpr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1.30 125 0
29759 남자 다운점퍼 구입 질문좀요. [16] 질문(222.235) 11.11.30 474 0
29758 딸쟁이님은 뭐하는 분이신가요? [7] 이틴구보소(203.252) 11.11.30 444 0
29757 근데 일본영화 "산" ,, 아직 자막도 없고 dvd도 없고 그런거임? [2] ㅂㅂㅂ(112.171) 11.11.30 188 0
29755 등갤분들은 등산만 하시나요? [15] 660.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1.30 446 0
29754 등산장갑 이거 괜찮아 보이냐?? [5] OO딸쟁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1.30 549 0
29753 횽들아 성삼재휴게소갈때말이야 [3] 쎼롄디피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1.30 197 0
29752 내가 주말에 구입하고 싶은 아이템 [11] OO딸쟁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1.30 483 0
29751 스톰브레이크 8시간 비바람에서의 운행실험 [3] ㅇㄹ(175.124) 11.11.30 378 0
29750 등갤에 바랍니다. [장문] [38] 아웃도어(222.234) 11.11.30 717 0
29748 가장 이상하다고 생각한운동 [5] 다랑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1.30 291 0
29747 동계 바지 추천 [1] 니오타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1.30 386 0
29746 솔직히 말해 낚시야 말로 진짜 사치스러운 스포츠다. [3] OO딸쟁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1.30 321 0
29745 ABC 유랑기 9일차 [7] 나무가위(121.152) 11.11.30 449 0
29744 마하 서브제로 ?? 칠웨이브 ? 그게 가성비 甲임? 마하헿(121.129) 11.11.30 226 0
29743 1인용 코펠 추천 바람 [4] 양념반(121.182) 11.11.30 747 0
29742 등산에 비해 낚시는 너무 재미가 없는거 같다. [7] OO딸쟁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1.30 342 0
29741 2011 마지막 약속-지리산-초보-배낭 추천 부탁^^ [3] 조용한사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1.30 226 0
29740 제주도 하니까 확 뽐뿌오네요 [12] indiabir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1.30 258 0
29739 제주 성산 일출포인트+오조리에서 본 일출봉 (유) [6] QSS1201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1.30 292 0
29738 [추위에 떠는 가난한 office worker들을 위한 item] [20] S.야이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1.30 568 0
29737 사무실 앞 풍경이 자랑 [20] ㄱㅅㄹ(121.167) 11.11.30 546 0
29736 스톰부레이끼는 다른건 몰라도 방수는 갑인듯 [3] ㅇㄹ(175.124) 11.11.30 300 0
29735 제주도 현지인이 인정하는 최고의 오름 [18] S.야이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1.30 682 0
29734 [출석부]2011년 11월 30일 수요일 [8] 낚시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1.30 211 0
29732 [뻘글] 유토가 보내준 사진으로 바탕화면 [10] 남근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1.30 465 0
29731 노스페이스라는 영화를 보니깐 존나게 부끄러워진다. [12] OO딸쟁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1.30 728 0
29730 버너랑 코펠사서 북한산에서 라면 끓여 먹고 싶다. [3] OO딸쟁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1.30 467 0
29728 오늘 비맞으면서 북한산 다녀왔따. [3] OO딸쟁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1.30 368 0
29727 85L이상 대형 배낭 추천 부탁드립니다. [9] 니오(112.186) 11.11.30 1418 0
29726 그냥 뉴비 생각엔, 등산갤도 공지가 하나 있으면 좋게썽 [2] Temp(211.187) 11.11.30 142 0
29724 오랫만에 다시 보는 겨울 치악산 + 잡글 [4] 한별사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1.29 239 0
29722 파워실드 긴바지 12만인데 질러야되나요 [2] 파워실드(121.158) 11.11.29 294 0
29721 [산행을기다리는글] 내가 겨울산을 기다리는 까닭은.......... [14] 낚시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1.29 359 0
29720 [산행기] 북한산 불광동-탕춘대-비봉-사모바위-구기동 [10] 낚시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1.29 414 0
29719 등산 완전 뉴비인데 이번주에 관악산가려고 하는데 코스 질문좀 [6] 뉴비(175.121) 11.11.29 178 0
29717 등산 뉴비인데, 겨울산행하려면 장비 많이 필요하나요? [20] noob(203.170) 11.11.29 522 0
29716 삼성역전 ~~!!!!! 3대 1 ~~~~~~~~~~~~~(냉무) [4] asd(112.171) 11.11.29 91 1
29715 등산용 선글라스 추천해주세요~ [5] 입이방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1.29 290 0
29714 형님들! 지리산 코스 좀 문의드립니다!! [9] 이런이런22(222.233) 11.11.29 196 0
29713 잘 부탁드립니다~~~ [4] 660.3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1.29 103 0
29709 뉴비들 궁금하면 코오롱등산학교 가봐라 피가되고 살이된다 [2] asd(112.171) 11.11.29 400 0
29708 헤스티아 살지 아디다스벌키살지 고민.. [1] 12(180.70) 11.11.29 640 1
29707 오늘 장터목에서 본 공감 가는 글귀 [3] 국기봉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1.29 310 0
29706 몽벨이 독일건가?? [5] 국기봉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1.29 612 1
29705 뒈질거같다 [15] 국기봉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1.29 372 0
29704 마산 무학산 야영 [16] 욜라올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1.29 622 0
29703 뉴비들이 점령한 등갤에 한마디 해줄께 [19] 나까마(125.143) 11.11.29 616 0
29702 유니클로 소프트쉘 괜찮은듯 방금 배송왔는데 [1] 늙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1.29 491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