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북한산성, 왕의 길을 가다.

1866(116.47) 2011.06.21 12:02:26
조회 491 추천 0 댓글 2


간만에 북한산에 갔습니다.
오래전 북한산성에 행차한 숙종의 흔적을 따라가 봤습니다.

=================

지금으로부터 정확히 300년전인 1711년 숙종37년에

숙종은 오랜 논의 끝에 북한산성 축성을 결정하고

어제시 한수를 썼다.

 

경연에 임하여 접한 계획 심사숙고 끝에 나온 것,

우리 백성들과 이를 지키려니 더없이 기쁘구나.

옛날에 온조의 도읍지가 이곳에 건립되웠고,

오늘날엔 행궁이 이곳에 세워지네.

그 아름다운 진나라 효산의 험준함에 비할 만하고,

높기는 자못 촉도의 위태로움 같네.

우뚝 솟은 높은 성채와 새 성가퀴 웅장하니,

해동 제일가는 산성 과연 뉘라 쌓을고.

 

임진왜란을 격은지 얼마 안되어 조선역사 최대의 치욕인 병자호란(1636년)을 격고 청과 군신관계를 맺었다.

오랑캐 나라인 청을 인정하지 않았으나 성곽을 쌓을 수 없다는 강화조약때문에

국가방어대책을 강구하지 못하고 오랜기간 강대국 청의 눈치를 살피던 차에

 왜구의 침입을 이유로 북한산성축성을 결정하게 되었다.

 

외적의 침입에 대비하고 백성을 지킬 수 있는 천혜의 요새를 쌓게 된 기쁨을 숙종은 시속에 드러내고 있다.

 

그 해에 6개월간에 걸쳐 북한산성을 쌓고

 다음해인 임진년(1712년), 임진왜란이 있은지 120년 되는 해에

숙종은 북한산성을 방문한다.

 

그 방문기록을 6수의 시로 남겼는데,

나는 그 시를 따라 길을 나섰다.

 

*******

 

난리에 대비한 계획이 깊어 새 성에 거동코자

새벽에 남문을 나서니 북과 나팔 소리 울린다.

날랜 기병 수천이 나뉘어 행차를 따르는데,

바람 훈훈하고 해는 기니 마침 여름이로다.

 

1712년 4월 10일, 숙종은 북한산성을 직접 보고 보완책을 강구하고자 여러 신하들과 도성을 나섰다.

 

숙종실록에, \'임금이 북한 산성에 행행(行幸)하였다.

아침 일찍 떠나 서교(西郊)를 경유하여 북한산성에 이르렀다\' 하여

숭례문을 나서서 의주대로인 무악재, 홍제원, 현재의 불광동을 지나서 대서문으로 들어섰다.

 

141C29424DFEFF6C20F090

<동여도(東輿圖)의 경조오부도(京兆五部圖), 규장각소장>의 일부분

 

나는 6월 18일, 한낮 서울 날씨가 32.9도인 날 가장 뜨거운 2시경 북한산성을 찾았다. 

 

산성의 물이 빠져나오는 계곡에 설치된 둘레길에서 바라본 북한산 전경.

 

 

190C47464DFF5CBA032781

 

 

서문 초입에서 한 번 머리 둘러 보니

기개가 장건하고 마음이 웅대해져 내 근심 풀리네.

나라 도성 지척에 금성탕지의 견고한 성 있는데,

어찌 우리 백성 수호하는 서울을 버리랴.

 

대서문으로 들어서기 전 숙종은 북한산을 바라보며

우뚝 솟은 삼각산 봉우리와 계곡 좌우측의 원효봉과 의상봉의

그 견고한 모습을 보고는 백성과 함께 변란을 견딜 수 있음에 안심한 듯하다.

나는 계곡을 따라 올랐다.

산성의 물이 빠져나가는 수구가 있던 자리로 도성의 오간수문처럼 홍예문을 쌓았으나

지금은 수구는 사라지고 계곡 양쪽의 성곽만 남아있다.

 

18419A444DFF037732D717

 

수구 오른쪽 대서문 방향의 성곽

 

145178444DFF03800A0B39

 

산성방어를 위해 건립되었던 11개 절중의 수구 안쪽에 위치했던 서암사.

최근 터만 남아있던 서암사의 복원공사가 시작되었다.

 

134549444DFF03862A550C

 

계곡의 물이 많이 가물었다.

 

144E8F444DFF038C135C37

 

방어취약지역인 계곡방향 저지대의  보완을 위해 축성된 중성문.

 숙종이 방문할 당시는 없었던 시설로써

숙종이 방문하여 지세를 살펴보고 서문의 방어보완을 위해 중성문 축성을 명령하였다.

 

17501D444DFF03930E82D0

 

중성문의 성곽이 노적봉 아래로 뻗어있다.

 

1846F4444DFF03972659C9

 

 

중성문옆 계곡에도 홍예식 수구가 설치되었으나 지금은 흔적이 사라졌다.

 

123D9B3C4DFF045338CB8B

 

 

북한산성에서 가장 경치가 좋은 계곡에 자리잡은 산영루의 초석들이 수풀에 뒤덮여 있다.

 

1963BC544DFF0FB3044F8E

 

19604C544DFF0FBA0A97BC

 

산영루 누각 아래 산그림자가 아름답게 비추던 계곡

 

145727544DFF0FC0243329

 

산영루 뒤의 비석거리

북한산성을 관리하던 책임자들의 공덕을 기리는 공덕비들로 약 200년간 하나씩 세워졌다.

 

숙종이 방문하던 당시에는 북한산성 관리조직이 확정되지 않아

이문제에 대해 방문현장에서 여러 신하들과 논의를 하였으나 

의견이 분분하여 차후 묘당에서 논의할 것을 지시하였다.

 

175E1E544DFF0FCA1403B8

 

165E67544DFF0FD1081AE6

 

산영루 조금위에 산성중심부 너른 평지에 위치한 중흥사.

북한산성 축성과 방어를 위해 전국에서 동원된 승병들과 산성내 11개 사찰을 지휘하는 북한치영(北漢緇營)이 자리했다.

 

전열을 가다듬고 도열한 승군들과 팔도도총섭 성능스님이 이곳쯤에서 왕의 행차를 맞이하지 않았을까...

 

북한산성 중심사찰 역할을 하던 중흥사는 일제강점기 파괴되어

현재는 그 터만이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

14571F544DFF0FD82103C1

 

2060CA544DFF0FDE0CE735

 

1507ED5A4DFF0FEC154AB1

 

현재 중흥사 복원을 위한 불사가 진행되고 있다.

 

1275DD5A4DFF0FF2324F74

 

중흥사 주변 곳곳에 집터 흔적이 널려 있다.

 

1403B95A4DFF0FFB1FCC99

 

 

19082D5A4DFF10021682BA

 

험한 길 10리를 걸어 행궁에 이르니

우뚝 솟은 시단봉이 바로 동쪽 곁에 있네.

노적봉 머리엔 구름이 아직 안 걷히었고

백운대 위에도 아직 안개가 자욱하네.

 

왕이 유사시 북한산성으로 피했을 때 머물기위한 시설인 행궁이

내외전을 비롯한 120여칸의 여러 시설을 갖추고 중흥사 안쪽 계곡에 자리잡고 있었다.

숙종이  행궁을 방문하고 행궁을 둘러싼 주위의 여러 봉우리를 묘사한다.

 요즘은 수풀이 우거져 봉우리가 잘 보이지 않는다.

 

행궁 건너편에 장수지휘소인 동장대가 있는 시단봉이 보인다.

 

124538554DFF6D6A06701F

 

산영루 인근에서 촬영한 노적봉

 

164376554DFF6D6B09B348

 

우거진 수풀사이로 보이는 백운대 방향의 만경대와 용암봉.

 

1539BA554DFF6D6D1B9A7C

 

현재 일제강점기 사라져버린 행궁을 복원하기위해 발굴공사가 한창이다.

 

13095B5A4DFF100911971C

 

167F295A4DFF101924D54E

 

190E0E514DFF10202954F7

 

1638B14E4DFF1E320716D7

 

203A304E4DFF1E3A031A9D

 

2025404E4DFF1E4137463C

 

15317E4E4DFF1E47174728

 

1627334E4DFF1E522BAFFF

 

 

행궁아래 자리잡은 경리청상창지.

종로구 평창동의 평창과 함께 곡물을 비축하는 경리청소속의 창고자리였다.

지금의 석축위로 나무만 무성하다.

 

191AE24A4DFF1E730BA2E6

 

120F994A4DFF1E7A26CA3F

 

1714624A4DFF1E811407E0

 

숙종은 당초 석가봉에 오르려 했으나 산세가 험해서

동장대가 있는 시단봉을 올랐다.

 

1211E54A4DFF1E8F229BB1

 

저 동대(東臺)에 오르니 하늘에 오른 듯하고

일천 봉우리 깎아지른 듯 서서 구름에 접해 있네.

외적(外賊)이 감히 접근 못할 뿐만 아니라

긴팔 원숭이도 반드시 기어오를 수 있을지 근심하네.

 

북한산성 안밖이 훤히 보이는 동장대에 올라 주변을 살펴본 숙종은 

삼각산의 높이와 험한 산세에 놀라며 외적이 침입하기 어려울 것이라 안심하며

원숭이도 오르기를 자신하지 못할 것이라며 자못 호기를 부린다.

 

184FCF484DFF1E921BF3F3

 

1251B3484DFF1E9618EFF0

 

 동장대에서 본 대남문 방향의 능선으로써 험한 능선을 따라 성곽이 쌓여있어

외적방어에 자신을 가질만 했다.

 

13489E554DFF75D2193BC3

 

오른쪽 아래 나무 뒷편이 행궁이 있는 곳으로 시야를 가리고 있다.

 

144D0C484DFF1E9B210755

 

 

1624D3534DFF6EA837275F

일제강점기의 행궁사진, 국립문화재연구소 소장.

 

의장대 이미 앞서 가 돌아오는 길에 벌리어 섰고

성 동쪽으로 어가(御駕)가 나가는데 역시 길이 험하도다.

천천히 가면서 두루 살펴보니 뛰어난 경승이 많은데

더군다나 맑은 강 둘리어 그 흥취가 적지 않네.

 

유사시 왕이 도성과 북한산성을 오가는 문은 가장 큰 대성문인데

평상시 북한산성을 둘러본 숙종은 대성문을 사용하지 않고 산성 동쪽의 문, 대동문으로 나섰다.

가마를 타고 가파른 계곡을 내려가는 숙종은

듬직한 북한산성에 고무되어 계곡의 흥취를 즐기고 있는듯 하다.

 

1119F3524DFF7413346293

   

14545E4D4DFF1F23467A24

 

도성암이란 절간 지나니 평탄한 길 나오고

바람과 먼지 눈에 가득한데 해는 저물어 가네.

남녀들은 숲처럼 모여 서서 의장행렬 바라보고

원한을 품은 이들 어가 앞에 하소연할 걸 허락하였네.

 

 대동문을 나선 숙종은 소귀천계곡의 도성암을 지나

현재의 우이동으로 내려왔다.

새벽에 출발한 어가행렬이 북한산성을 넘어 평지로 내려왔을 때 해가 져가고 있었으나

최고의 이벤트인 왕의 행렬을 보기위해 남녀노소가 구름처럼 몰려들었다.

 

164096594DFF78010D0537

 

백성의 민원에 귀기울이며

새벽에 도성밖 서쪽 길로 나선 왕은 북한산성을 가로질러 동쪽 길로 돌아와서

도성안 궁궐로 들어갔다.

 

*********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30565 형님들요. 종로5가 장비점 질문합니다. 우모복 [7] RAB(210.218) 11.12.18 629 0
30563 20260글 이거 생산적인 글 썼는데 까방권 몇달 될거라 생각했는데,,, [7] ㅇㅇ(222.239) 11.12.18 319 0
30562 ㅇㅇ 넌 등산을 왜 하는거냐 ? [6] 자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17 375 0
30559 내일 새벽에 주요거점에가면 현질로 버스산악회 곱사리낄수 있나요..? [2] 운영자(112.171) 11.12.17 295 0
30557 ㅇㅇ아 너 혹시 딸쟁이 아니냐? [4] ㄹㅇㄴㅁ(59.187) 11.12.17 316 0
30556 도봉산 운동 [10] 금호동(175.193) 11.12.17 425 0
30555 바라클라바?? 라는거 필요할까요? [42] ㄹㅇㄴㄹㄹㄹ(180.182) 11.12.17 711 0
30554 사실,,,,솔직하게 말하자면 나도 등산스틱을 사려고 했었지,,, [8] ㅇㅇ(222.239) 11.12.17 618 0
30552 운동 그리고 등산 [4] ㅇㅇ(222.239) 11.12.17 291 0
30551 오케xxxx 추천인 아디좀 .... (등산화 이중 하나만 골라주세요ㅠㅠ) [6] Cartman(175.113) 11.12.17 326 0
30550 배낭 리터질문 [4] 우히히(220.89) 11.12.17 317 0
30549 음,,, 이 불신의 정체는 뭘까? [12] ㅇㅇ(222.239) 11.12.17 455 0
30548 겨울방한장갑 질문요 [6] 우히히(220.89) 11.12.17 357 0
30547 65리터 배낭 샀어요 ㅋㅋ [1] 편한-잠자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17 360 0
30546 장비얘기하다 욕많이먹었네, 생산적인 얘기 하나해야 보완되겠지 [11] ㅇㅇ(222.239) 11.12.17 443 0
30545 유니클로 19900원 플리스자켓 가성비좋음. 추천함. [5] 민망타이즈(123.213) 11.12.17 1168 0
30544 롯데마트 베이직아이콘 기능성 타이즈바지 괜찮네요.^^ 민망타이즈(123.213) 11.12.17 461 0
30543 저 등산갤러 형님들꼐 질문하나 드립니다.ㅠ 아부지 사드린 스패츠관련문제ㅠ [6] 나그네(180.189) 11.12.17 366 0
30542 [긴급 질문] 지금 월악산 윗쪽에 눈 쌓여 있나요? [2] tttrrree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17 77 0
30541 주말 산에 못가시는분들은 시청하시길.. 촐라체(211.243) 11.12.17 214 0
30538 듣보잡 홈쇼핑제품이라고 놀려댔는데 [7] 등산6개월차(58.232) 11.12.17 567 0
30535 병신글에 로긴 [2] 송혜교(원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17 158 0
30533 우리나라는 비싸면 대장인것 같네요. 흠냐리(119.195) 11.12.17 286 1
30530 첫눈구경 [5] 다랑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17 229 0
30529 지리산 종주 하려고 하는데... [1] 주냉(211.37) 11.12.17 179 0
30528 형님들, 이런거 좋은거 없나요? [2] 관악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17 194 0
30527 송추에서 자운봉까지 많이 무서운가요? [5] 초보등산(211.195) 11.12.17 380 0
30526 안녕하세요 등산갤 형님들 지리산에대해서 좀 여쭤보려고합니다 [7] 아흥야메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17 334 0
30525 패기와 객기, 그리고 장비 [6] Temp(211.187) 11.12.17 463 0
30524 지금 코롱 헤스티아 패딩 사면 후회할까요.. [2] ㅇㅇ(1.246) 11.12.17 2127 0
30523 영상앨범 산 재방한다 [2] 남근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17 213 0
30522 ㅇㅇ 에게 바치는 글 [16] 생크림맛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17 534 0
30521 고고한사람 [34] 한라산눈옴(220.127) 11.12.17 511 0
30520 ㅇㅇ형 [22] (175.113) 11.12.16 364 0
30519 도봉산 코스 추천 좀요. [11] 국기봉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16 380 0
30518 바지 색깔 투표 좀 해주세요(밤색vs회색) [7] fdsafasd(59.187) 11.12.16 335 0
30516 영알 잘 댕겨오겠습니다. [9] indiabir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16 260 1
30515 밑에 등산초보가 겨울철 등산복장 이랬는데 ㅋㅋㅋ내가 알려줌 [18] ㅇㅇ(116.126) 11.12.16 1176 2
30514 12/16 오색ㅡ설악 등반후기 [7] 태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16 368 0
30512 부끄럽구요. 노스 등산화 사실분 ? [5] 런닝맨(218.146) 11.12.16 503 0
30511 아쿠 스위테라 질문점.. [5] Cartman(175.113) 11.12.16 343 0
30510 [장비글]처음 겨울산 등산시 필요한 것 정리(주관적인) [8] SOLAR-C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16 944 1
30509 오늘 도락산 [2] 주피터(180.182) 11.12.16 199 0
30506 등산하지 마라. [7] ㅇㅇ(58.232) 11.12.16 485 0
30505 [뻘글]산거지라는 단어가 갑자기 생각난다 [3] ㅇㄴ(121.129) 11.12.16 278 0
30503 등산종자들 등산이 힘든 줄 암 졸라 우낌 [9] ㅇㅇ(116.126) 11.12.16 533 1
30502 내일 지리산 반주(반종주ㅋㅋ)갈꺼임. [7] 파즈(118.47) 11.12.16 201 1
30500 등산장비중에 가장 멍청한 돈낭비 [23] ㅇㅇ(116.126) 11.12.16 1024 0
30499 2마트 `아웃도어 가격 거품빼기` 나섰다? [4] 추추(211.243) 11.12.16 1032 0
30498 드디어 등산화 샀음 [27] 관악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2.16 801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