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북한산성, 왕의 길을 가다.

1866(116.47) 2011.06.21 12:02:26
조회 489 추천 0 댓글 2


간만에 북한산에 갔습니다.
오래전 북한산성에 행차한 숙종의 흔적을 따라가 봤습니다.

=================

지금으로부터 정확히 300년전인 1711년 숙종37년에

숙종은 오랜 논의 끝에 북한산성 축성을 결정하고

어제시 한수를 썼다.

 

경연에 임하여 접한 계획 심사숙고 끝에 나온 것,

우리 백성들과 이를 지키려니 더없이 기쁘구나.

옛날에 온조의 도읍지가 이곳에 건립되웠고,

오늘날엔 행궁이 이곳에 세워지네.

그 아름다운 진나라 효산의 험준함에 비할 만하고,

높기는 자못 촉도의 위태로움 같네.

우뚝 솟은 높은 성채와 새 성가퀴 웅장하니,

해동 제일가는 산성 과연 뉘라 쌓을고.

 

임진왜란을 격은지 얼마 안되어 조선역사 최대의 치욕인 병자호란(1636년)을 격고 청과 군신관계를 맺었다.

오랑캐 나라인 청을 인정하지 않았으나 성곽을 쌓을 수 없다는 강화조약때문에

국가방어대책을 강구하지 못하고 오랜기간 강대국 청의 눈치를 살피던 차에

 왜구의 침입을 이유로 북한산성축성을 결정하게 되었다.

 

외적의 침입에 대비하고 백성을 지킬 수 있는 천혜의 요새를 쌓게 된 기쁨을 숙종은 시속에 드러내고 있다.

 

그 해에 6개월간에 걸쳐 북한산성을 쌓고

 다음해인 임진년(1712년), 임진왜란이 있은지 120년 되는 해에

숙종은 북한산성을 방문한다.

 

그 방문기록을 6수의 시로 남겼는데,

나는 그 시를 따라 길을 나섰다.

 

*******

 

난리에 대비한 계획이 깊어 새 성에 거동코자

새벽에 남문을 나서니 북과 나팔 소리 울린다.

날랜 기병 수천이 나뉘어 행차를 따르는데,

바람 훈훈하고 해는 기니 마침 여름이로다.

 

1712년 4월 10일, 숙종은 북한산성을 직접 보고 보완책을 강구하고자 여러 신하들과 도성을 나섰다.

 

숙종실록에, \'임금이 북한 산성에 행행(行幸)하였다.

아침 일찍 떠나 서교(西郊)를 경유하여 북한산성에 이르렀다\' 하여

숭례문을 나서서 의주대로인 무악재, 홍제원, 현재의 불광동을 지나서 대서문으로 들어섰다.

 

141C29424DFEFF6C20F090

<동여도(東輿圖)의 경조오부도(京兆五部圖), 규장각소장>의 일부분

 

나는 6월 18일, 한낮 서울 날씨가 32.9도인 날 가장 뜨거운 2시경 북한산성을 찾았다. 

 

산성의 물이 빠져나오는 계곡에 설치된 둘레길에서 바라본 북한산 전경.

 

 

190C47464DFF5CBA032781

 

 

서문 초입에서 한 번 머리 둘러 보니

기개가 장건하고 마음이 웅대해져 내 근심 풀리네.

나라 도성 지척에 금성탕지의 견고한 성 있는데,

어찌 우리 백성 수호하는 서울을 버리랴.

 

대서문으로 들어서기 전 숙종은 북한산을 바라보며

우뚝 솟은 삼각산 봉우리와 계곡 좌우측의 원효봉과 의상봉의

그 견고한 모습을 보고는 백성과 함께 변란을 견딜 수 있음에 안심한 듯하다.

나는 계곡을 따라 올랐다.

산성의 물이 빠져나가는 수구가 있던 자리로 도성의 오간수문처럼 홍예문을 쌓았으나

지금은 수구는 사라지고 계곡 양쪽의 성곽만 남아있다.

 

18419A444DFF037732D717

 

수구 오른쪽 대서문 방향의 성곽

 

145178444DFF03800A0B39

 

산성방어를 위해 건립되었던 11개 절중의 수구 안쪽에 위치했던 서암사.

최근 터만 남아있던 서암사의 복원공사가 시작되었다.

 

134549444DFF03862A550C

 

계곡의 물이 많이 가물었다.

 

144E8F444DFF038C135C37

 

방어취약지역인 계곡방향 저지대의  보완을 위해 축성된 중성문.

 숙종이 방문할 당시는 없었던 시설로써

숙종이 방문하여 지세를 살펴보고 서문의 방어보완을 위해 중성문 축성을 명령하였다.

 

17501D444DFF03930E82D0

 

중성문의 성곽이 노적봉 아래로 뻗어있다.

 

1846F4444DFF03972659C9

 

 

중성문옆 계곡에도 홍예식 수구가 설치되었으나 지금은 흔적이 사라졌다.

 

123D9B3C4DFF045338CB8B

 

 

북한산성에서 가장 경치가 좋은 계곡에 자리잡은 산영루의 초석들이 수풀에 뒤덮여 있다.

 

1963BC544DFF0FB3044F8E

 

19604C544DFF0FBA0A97BC

 

산영루 누각 아래 산그림자가 아름답게 비추던 계곡

 

145727544DFF0FC0243329

 

산영루 뒤의 비석거리

북한산성을 관리하던 책임자들의 공덕을 기리는 공덕비들로 약 200년간 하나씩 세워졌다.

 

숙종이 방문하던 당시에는 북한산성 관리조직이 확정되지 않아

이문제에 대해 방문현장에서 여러 신하들과 논의를 하였으나 

의견이 분분하여 차후 묘당에서 논의할 것을 지시하였다.

 

175E1E544DFF0FCA1403B8

 

165E67544DFF0FD1081AE6

 

산영루 조금위에 산성중심부 너른 평지에 위치한 중흥사.

북한산성 축성과 방어를 위해 전국에서 동원된 승병들과 산성내 11개 사찰을 지휘하는 북한치영(北漢緇營)이 자리했다.

 

전열을 가다듬고 도열한 승군들과 팔도도총섭 성능스님이 이곳쯤에서 왕의 행차를 맞이하지 않았을까...

 

북한산성 중심사찰 역할을 하던 중흥사는 일제강점기 파괴되어

현재는 그 터만이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

14571F544DFF0FD82103C1

 

2060CA544DFF0FDE0CE735

 

1507ED5A4DFF0FEC154AB1

 

현재 중흥사 복원을 위한 불사가 진행되고 있다.

 

1275DD5A4DFF0FF2324F74

 

중흥사 주변 곳곳에 집터 흔적이 널려 있다.

 

1403B95A4DFF0FFB1FCC99

 

 

19082D5A4DFF10021682BA

 

험한 길 10리를 걸어 행궁에 이르니

우뚝 솟은 시단봉이 바로 동쪽 곁에 있네.

노적봉 머리엔 구름이 아직 안 걷히었고

백운대 위에도 아직 안개가 자욱하네.

 

왕이 유사시 북한산성으로 피했을 때 머물기위한 시설인 행궁이

내외전을 비롯한 120여칸의 여러 시설을 갖추고 중흥사 안쪽 계곡에 자리잡고 있었다.

숙종이  행궁을 방문하고 행궁을 둘러싼 주위의 여러 봉우리를 묘사한다.

 요즘은 수풀이 우거져 봉우리가 잘 보이지 않는다.

 

행궁 건너편에 장수지휘소인 동장대가 있는 시단봉이 보인다.

 

124538554DFF6D6A06701F

 

산영루 인근에서 촬영한 노적봉

 

164376554DFF6D6B09B348

 

우거진 수풀사이로 보이는 백운대 방향의 만경대와 용암봉.

 

1539BA554DFF6D6D1B9A7C

 

현재 일제강점기 사라져버린 행궁을 복원하기위해 발굴공사가 한창이다.

 

13095B5A4DFF100911971C

 

167F295A4DFF101924D54E

 

190E0E514DFF10202954F7

 

1638B14E4DFF1E320716D7

 

203A304E4DFF1E3A031A9D

 

2025404E4DFF1E4137463C

 

15317E4E4DFF1E47174728

 

1627334E4DFF1E522BAFFF

 

 

행궁아래 자리잡은 경리청상창지.

종로구 평창동의 평창과 함께 곡물을 비축하는 경리청소속의 창고자리였다.

지금의 석축위로 나무만 무성하다.

 

191AE24A4DFF1E730BA2E6

 

120F994A4DFF1E7A26CA3F

 

1714624A4DFF1E811407E0

 

숙종은 당초 석가봉에 오르려 했으나 산세가 험해서

동장대가 있는 시단봉을 올랐다.

 

1211E54A4DFF1E8F229BB1

 

저 동대(東臺)에 오르니 하늘에 오른 듯하고

일천 봉우리 깎아지른 듯 서서 구름에 접해 있네.

외적(外賊)이 감히 접근 못할 뿐만 아니라

긴팔 원숭이도 반드시 기어오를 수 있을지 근심하네.

 

북한산성 안밖이 훤히 보이는 동장대에 올라 주변을 살펴본 숙종은 

삼각산의 높이와 험한 산세에 놀라며 외적이 침입하기 어려울 것이라 안심하며

원숭이도 오르기를 자신하지 못할 것이라며 자못 호기를 부린다.

 

184FCF484DFF1E921BF3F3

 

1251B3484DFF1E9618EFF0

 

 동장대에서 본 대남문 방향의 능선으로써 험한 능선을 따라 성곽이 쌓여있어

외적방어에 자신을 가질만 했다.

 

13489E554DFF75D2193BC3

 

오른쪽 아래 나무 뒷편이 행궁이 있는 곳으로 시야를 가리고 있다.

 

144D0C484DFF1E9B210755

 

 

1624D3534DFF6EA837275F

일제강점기의 행궁사진, 국립문화재연구소 소장.

 

의장대 이미 앞서 가 돌아오는 길에 벌리어 섰고

성 동쪽으로 어가(御駕)가 나가는데 역시 길이 험하도다.

천천히 가면서 두루 살펴보니 뛰어난 경승이 많은데

더군다나 맑은 강 둘리어 그 흥취가 적지 않네.

 

유사시 왕이 도성과 북한산성을 오가는 문은 가장 큰 대성문인데

평상시 북한산성을 둘러본 숙종은 대성문을 사용하지 않고 산성 동쪽의 문, 대동문으로 나섰다.

가마를 타고 가파른 계곡을 내려가는 숙종은

듬직한 북한산성에 고무되어 계곡의 흥취를 즐기고 있는듯 하다.

 

1119F3524DFF7413346293

   

14545E4D4DFF1F23467A24

 

도성암이란 절간 지나니 평탄한 길 나오고

바람과 먼지 눈에 가득한데 해는 저물어 가네.

남녀들은 숲처럼 모여 서서 의장행렬 바라보고

원한을 품은 이들 어가 앞에 하소연할 걸 허락하였네.

 

 대동문을 나선 숙종은 소귀천계곡의 도성암을 지나

현재의 우이동으로 내려왔다.

새벽에 출발한 어가행렬이 북한산성을 넘어 평지로 내려왔을 때 해가 져가고 있었으나

최고의 이벤트인 왕의 행렬을 보기위해 남녀노소가 구름처럼 몰려들었다.

 

164096594DFF78010D0537

 

백성의 민원에 귀기울이며

새벽에 도성밖 서쪽 길로 나선 왕은 북한산성을 가로질러 동쪽 길로 돌아와서

도성안 궁궐로 들어갔다.

 

*********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공지 등산 갤러리 이용 안내 [140] 운영자 05.10.27 77597 28
197673 격투기 배우면 반달곰이랑 싸워서 이길수있냐? ㅇㅇ(121.179) 01:36 9 0
197672 못생긴 사람에 대하여 -니체- [1] ㅇㅇ(58.29) 01:09 16 0
197671 이번주말은 설악산 혼자 기온이 낮네 [1] ZEN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57 29 0
197670 형제봉 [1] 등갤러(222.111) 00:52 33 0
197669 물은 여름철 기준 시간당 250ml 잡으면 됨. [1] ㅇㅇ(223.62) 00:33 49 0
197668 살로몬이 등산브랜드야 런닝 브랜드야? [3] 등갤러(182.224) 06.20 53 0
197667 등산이 가난한 사람들에게 특히 좋은 취미인 이유 [1] 등갤러(211.186) 06.20 101 2
197666 금정산 4시간코스 스틱필요하까여?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34 0
197665 내가 등산 고수임 등갤러(118.235) 06.20 39 0
197664 줄 대신 서주는 알바 이런 실제로 있냐? 줄서보는 알바 ㅋㅋ [3] 등갤러(180.196) 06.20 52 0
197663 반달곰은 무등산으로 전부 옮기면 됨. 등갤러(14.35) 06.20 41 0
197662 소모임 어플에사 등산동호회 활동 해본사람? [3] 등갤러(39.7) 06.20 85 0
197661 등산에도 고수찾는거 존나 병신같네 [6] 등갤러(220.78) 06.20 303 8
197660 반달곰 단속 해야한다고 생각하는 사람? [14] 등갤러(182.224) 06.20 87 0
197659 살로몬 등산복 어때? [4] 등갤러(182.224) 06.20 82 0
197658 토요일날 서울에 비가 올까 [3] 등갤러(106.101) 06.20 68 0
197657 관악산 자운암 능선에 다녀왔습니다...@.@... [1] 투어(223.62) 06.20 81 3
197656 백두대간 수목원 가본 사람 있음? [2] 등갤러(211.186) 06.20 38 0
197655 찐따들 아가리 해라 ㅊ 쳐맞듣다 [2] 유니버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66 0
197654 비브람 tc5 밑창은 어때? [1] 등갤러(124.57) 06.20 65 0
197653 등갤에서 좆목질하는 고닉 명단 추려봄 [9] 등갤러(46.165) 06.20 348 7
197652 등산용 간이 정수 시스템 간단글 [6] ㅇㅇ(223.38) 06.20 142 1
197651 제주도살면 훈련하기좋겠다 매일 오름만 올라도 [2] ㅇㅇ(121.155) 06.20 96 0
197650 업힐빌런. 솜잠바빌러. 전라도빌런 [7] 등갤러(124.57) 06.20 231 3
197649 미친듯이 업힐 치고 올라갈 때 [10] ㅇㅇ(116.34) 06.20 126 1
197648 요즘 등갤에서 꼴보기 싫은 글 ’다녀올께‘ ’밥먹자‘ [9] 등갤러(39.7) 06.20 155 2
197647 퓨처라이트 방수자켓 써보고 싶은데 후기가 아예 없네 [2] 등갤러(147.47) 06.20 79 0
197646 (진지) 그래도 북한엔 2000M 이상 고봉들이 좀 있네? [3] 훈남노노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0 153 2
197645 보덕암에서 신륵사 택시 타보신분 있나요? [5] 등갤러(220.120) 06.20 93 0
197644 하남검단산 정상 찍었다 [7] 등갤러(119.70) 06.20 106 2
197643 등력 평가 좀 [8] 등갤러(39.7) 06.20 275 3
197642 이번 주 토욜 산행 결정했따 [2] 등갤러(39.7) 06.20 113 0
197640 날 더우니 입맛은 분명 없는데 [6] 1111(222.238) 06.20 100 0
197639 1000고지 이상 산 하산 후 공감 .txt [3] ㅇㅇ(223.39) 06.20 160 3
197638 약수물 아무거나 먹고 싶으면 브리타 휴대용 정수기 물병사라 [1] 등갤러(118.235) 06.20 118 0
197637 요즘 사람들은 진짜 약수터물도안마심? 나어릴땐 아빠랑 같이 [4] ㅇㅇ(59.30) 06.20 108 0
197636 여기 틀딱들은 밥처먹는거 왜 올리는거냐 [8] 등갤러(223.48) 06.20 290 8
197635 우울증 1년만에 완치 했습니다 제 경험 공유합니다............. [16] ㅇㅇ(118.235) 06.20 709 19
197634 이번 주말 백운대 vs 신선대 [5] ㅇㅇ(117.111) 06.20 99 1
197633 바람막이, 레인쉘, 소프트쉘, 하드쉘의 차이 등갤러(172.226) 06.20 87 2
197632 근데 김일성이 박정희 쿠데타 처음에 존나 좋아서 공중제비 돌았다는데 등갤러(211.36) 06.20 59 0
197631 습도 높으면 정말 힘든게 [4] 1111(222.238) 06.20 153 0
197630 지리산 (언제 올라간지 까먹음) [3] 등갤러(118.235) 06.20 112 2
197628 님들 약수터 물 마심? [10] ㅇㅇ(61.39) 06.20 140 0
197627 비올때 흘림골 어떰? [2] 등갤러(49.1) 06.20 104 0
197626 오늘 종로5가 구경갈건데 [2] 등갤러(39.7) 06.20 78 0
197625 이번 토요일 설악산 기온이 낮은데 바람막이 두꺼운거가져갈가? [4] 등갤러(218.150) 06.20 103 0
197624 서락산 대종주 눈치게임중 등갤러(172.226) 06.20 62 0
197623 주말마다 비와서 서락산 릴레이에 브레이크 걸림 [1] 등갤러(172.226) 06.20 57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