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노후의3대 리스크모바일에서 작성

생갤러(223.33) 2023.08.11 02:17:37
조회 539 추천 0 댓글 0


노후의 가족리스크 1 : 자녀리스크

1. 부모와 동거 중인 성인 캥거루족 30%나 돼!
‣ 성인이 되어 자립할 나이가 되었는데도 부모에게 경제적으로 기대어 동거하는 젊은이를 일컬어 ‘캥거루족’이라고 하는데 이들의 비율이 만만치가 않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최근 자료에 따르면 캥거루족이 19~49세 성인의 30%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혼인상태별로 보면 ‘미혼 성인 자녀’가 캥거루족인 경우가 64%로 기혼 3%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고, ‘비취업’ 성인 자녀의 경우 44%가 캥거루족이었다.
‣ 캥거루족을 연령별로 살펴보면, 30대의 경우 절반 이상이고, 40~44세도 44%로 적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경제적 요인(eg. 취업, 내 집 마련) 등으로 결혼을 늦추거나, 비혼을 선택하는 청년들이 늘어남에 따라 부모를 떠나는 나이도 점점 늦춰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이다.
af2de814ac19d09e572d79ad1fe82555_1661845696_0455.png

◎ 고령층의 대다수, 자녀 돌보고 싶지 않지만 현실은 15%가 자녀를 돌보고 있어!
‣ 라이나전성기재단이 만 55~74세 장노년층을 대상으로 조사한 ‘전성기 웰에이징 보고서’(2021.11)에서 가족 돌봄에 대한 인식이 눈에 띈다.  
‣ 응답자의 92%는 ‘앞으로 자녀를 돌볼 계획이 없다’고 답했지만, 현재 자녀를 돌보고 있는 비율이 15%로 ‘노부모(7%)’나 ‘손주(5%)’를 돌보고 있는 비율보다 2배 이상 높았다. 노년이 되어 이제는 돌봄 의무에서 벗어나고 싶지만 자녀와 노부모, 심지어 손주마저 돌보지 않으면 안되는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



노후의 가족리스크 2 : 부모간병 리스크




3. 한국인의 기대수명 83.5세, 건강수명 73.1세, 인생 마지막 10년은 아픈 상태로 누군가로부터의 돌봄이 필요한 시기!

‣ 통계청(‘국민 삶의 질’ 2021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의 ‘기대수명(2020년 0세 기준)’은 83.5세로 조사됐다. 유병기간을 제외한 기대수명을 일컫는 ‘건강수명’의 경우 73.1세여서 ‘기대수명’과 10년의 차이를 보이고 있어, 인생의 마지막 10년은 아픈 상태로 살게 된다.





<img src='http://www.mhdata.or.kr/img/m_menu_bar.png' alt='Numbers'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width: 26px;'><img src='http://www.mhdata.or.kr/img/m_logo01.png' alt='Numbers'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width: 145px;'>
<img src='http://www.mhdata.or.kr/img/m_menu_sc.png' alt='검색버튼'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width: 25px;'>





PDF 자료




후원
하기
<img src='http://www.mhdata.or.kr/img/kakao_icon.png' alt='kakao_icon'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width: 50px; height: 50px; border-radius: 50%;'>
<img src='http://www.mhdata.or.kr/img/youtube_icon.png' alt='youtube_icon'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width: 50px; height: 50px; border-radius: 50%;'>

158호-<노후의 3대 가족리스크>


2022-08-30 16:51  714 <img src='http://www.mhdata.or.kr/img/sns/twitter.png' alt='트위터로 보내기'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width: 26px;'> <img src='http://www.mhdata.or.kr/img/sns/facebook.png' alt='페이스북으로 보내기'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width: 26px;'> <img src='http://www.mhdata.or.kr/img/sns/vimeo.png' alt='비메오 링크 바로가기'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width: 26px;'> <img src='http://www.mhdata.or.kr/img/sns/link.png' alt='클립보드 복사' title='클립보드 복사'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width: 26px;'>



꼭 지켜주세요.

1)  본 자료는 무료로 볼 수 있지만, 저작권법에 따라 무단 전재, 복제, 배포를 금합니다.  

2) 본 자료는 저작권법을 준수하여 모든 통계 자료에 출처를 상세히 기록하고 있습니다.  

3) 자료 및 그래프를 인용하실 경우 연구소의 출처를 반드시 밝히시고  원자료 출처(생산자 및 소유자) 역시  밝혀야 합니다.

4) 본 자료의 PDF상의 그래프를 인용하실 경우 반드시 본 연구소 출처를 밝혀주셔야 합니다. (동영상, 서적 등 모든 자료)  




1. 주요내용 : [노후의 3대 가족리스크]

- 노후의 3대 가족리스크 : 자녀리스크, 부모간병, 황혼이혼




연령별로 행복지수를 살펴보면 50대 이후가 되면서 낮아지기 시작한다. 그도 그럴것이 회사에서의 퇴직, 본인의 건강문제, 부모 간병, 자녀 문제, 부부 갈등 등 여러 문제가 동시에 발생 되기 때문이다. 최근 동아일보에서 ‘독립하지 못하는 성인 자녀’, ‘갑자기 닥쳐오는 부모 간병’, ‘황혼이혼’ 리스크 등 ‘노후의 3대 가족 리스크’를 기획기사로 다루었다*. 성인이 되었지만 경제적인 요인 등으로 ‘캥거루족’이 된 자녀와 함께 살면서, 노환으로 병원에 계시는 노부모를 돌봐야 하는 ‘간병’의 길은 녹록지 않다. 또, 결혼한 지 20년 이상 되었지만 노후 30년은 자유롭게 살겠다며 결혼생활을 정리하는 중장년 부부도 부쩍늘어 지난해 이혼한 부부 10쌍 중 4쌍은 ‘황혼이혼’이다. 모두가 ‘가족’과 연결되어 있고, 무엇 하나 쉬운 문제가 없다.이번 <158호>에서는 앞서 언급한 ‘노후의 가족리스크’를 세 가지 주제로 나누어, 각 주제별(자녀리스크, 부모간병, 황혼이혼) 현황과 실태를 살펴보았다. 현재 5060세대가 직면한 주요 가족 문제 리스크를 조명해 보면서 교회의 중심 리더십 그룹인 이들의 삶에 대해 잠시 들여다 보고자 한다.


2. 최근 조사통계 언론보도

   1) 한국인의 중국 인식

<img itemprop='image' content='http://www.mhdata.or.kr/data/editor/2208/af2de814ac19d09e572d79ad1fe82555_1661845086_0425.png' src='http://www.mhdata.or.kr/data/editor/2208/af2de814ac19d09e572d79ad1fe82555_1661845086_0425.png' alt='af2de814ac19d09e572d79ad1fe82555_1661845086_0425.png' class='img-tag '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max-width: 100%; width: auto; height: auto;'>



노후의 가족리스크 1 : 자녀리스크




1. 부모와 동거 중인 성인 캥거루족 30%나 돼!

‣ 성인이 되어 자립할 나이가 되었는데도 부모에게 경제적으로 기대어 동거하는 젊은이를 일컬어 ‘캥거루족’이라고 하는데 이들의 비율이 만만치가 않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최근 자료에 따르면 캥거루족이 19~49세 성인의 30%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혼인상태별로 보면 ‘미혼 성인 자녀’가 캥거루족인 경우가 64%로 기혼 3%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고, ‘비취업’ 성인 자녀의 경우 44%가 캥거루족이었다.

‣ 캥거루족을 연령별로 살펴보면, 30대의 경우 절반 이상이고, 40~44세도 44%로 적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경제적 요인(eg. 취업, 내 집 마련) 등으로 결혼을 늦추거나, 비혼을 선택하는 청년들이 늘어남에 따라 부모를 떠나는 나이도 점점 늦춰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이다.

<img src='http://www.mhdata.or.kr/data/editor/2208/thumb-af2de814ac19d09e572d79ad1fe82555_1661845696_0455_835x349.png' alt='af2de814ac19d09e572d79ad1fe82555_1661845696_0455.png' class='img-tag '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max-width: 100%; width: auto; height: auto;'>



◎ 고령층의 대다수, 자녀 돌보고 싶지 않지만 현실은 15%가 자녀를 돌보고 있어!

‣ 라이나전성기재단이 만 55~74세 장노년층을 대상으로 조사한 ‘전성기 웰에이징 보고서’(2021.11)에서 가족 돌봄에 대한 인식이 눈에 띈다.  

‣ 응답자의 92%는 ‘앞으로 자녀를 돌볼 계획이 없다’고 답했지만, 현재 자녀를 돌보고 있는 비율이 15%로 ‘노부모(7%)’나 ‘손주(5%)’를 돌보고 있는 비율보다 2배 이상 높았다. 노년이 되어 이제는 돌봄 의무에서 벗어나고 싶지만 자녀와 노부모, 심지어 손주마저 돌보지 않으면 안되는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

<img src='http://www.mhdata.or.kr/data/editor/2208/thumb-af2de814ac19d09e572d79ad1fe82555_1661845704_2319_835x375.png' alt='af2de814ac19d09e572d79ad1fe82555_1661845704_2319.png' class='img-tag '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max-width: 100%; width: auto; height: auto;'>



2. 한국의 부모, ‘노후에 자녀에게 손 벌리고 싶지 않다’ 95%!

‣ 한국인들은 노후에 자녀의 부양에 대해 어떤 생각을 하고 있을까? 이와 관련 5060세대에게 두 가지 질문을 하였다. ‘나는 노후에 내 자식에게 손을 벌리고 싶지 않다’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95%가 동의했고, ‘추후 재산 상속보다 현재 자녀의 부모 부양비를 덜어주는 것이 낫다’에 대해 87%가 동의했다.

‣ 이는 한국의 부모들이 정작 자신들은 노후 대비를 하지 못하고 있지만(노후준비율 31%), 자신들의 노후생활에 있어 자녀들에게 짐이 되지 않기를 원하는 마음이 강함을 보여주는 데이터이다.

<img src='http://www.mhdata.or.kr/data/editor/2208/thumb-af2de814ac19d09e572d79ad1fe82555_1661845712_8455_835x344.png' alt='af2de814ac19d09e572d79ad1fe82555_1661845712_8455.png' class='img-tag '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max-width: 100%; width: auto; height: auto;'>



노후의 가족리스크 2 : 부모간병 리스크




3. 한국인의 기대수명 83.5세, 건강수명 73.1세, 인생 마지막 10년은 아픈 상태로 누군가로부터의 돌봄이 필요한 시기!

‣ 통계청(‘국민 삶의 질’ 2021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의 ‘기대수명(2020년 0세 기준)’은 83.5세로 조사됐다. 유병기간을 제외한 기대수명을 일컫는 ‘건강수명’의 경우 73.1세여서 ‘기대수명’과 10년의 차이를 보이고 있어, 인생의 마지막 10년은 아픈 상태로 살게 된다.

<img src='http://www.mhdata.or.kr/data/editor/2208/thumb-af2de814ac19d09e572d79ad1fe82555_1661845736_9114_835x492.png' alt='af2de814ac19d09e572d79ad1fe82555_1661845736_9114.png' class='img-tag '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max-width: 100%; width: auto; height: auto;'>



4. 지난 10년간 사적 간병 수요 1.5배 증가, 간병비 2.2배 증가!

‣ 작년에 발간된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의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학술지에 실린 ‘사적 간병비 규모 추계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정책적 시사점’ 논문을 보면, ‘유급 간병비’와 ‘가족 간병인’의 기회비용을 더한 ‘사적 간병비’ 규모는 2008년 3조 6,550억 원에서 2018년 8조 240억 원으로 10년 사이 2.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사적 간병 수요도 점점 늘어나 2008년 5,774만 명(입원일 수를 기준으로 한 연 인원)에서 2018년 8,944만 명으로 1.5배 증가했다.

‣ 노후의 가장 큰 리스크로 불리우는 ‘간병 파산’이란 단어는 가족 간병 탓에 직장을 포기하거나 이혼, 심지어는 한계에 이르러 ‘간병 살인’까지 가는 모든 것을 아우른다.

‣ 간병은 경제적 문제로 연결되는데 병원비 외에 ‘유급 간병인’ 비용은 어떻게 될까? 일 평균 간병비는 2008년 52,000원에서 2018년 73,000원으로 뛰었고, 2021년에는 88,000원으로 상승했다.

Mz정신차려라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AD 보험상담은 디시공식설계사에게 받으세요! 운영자 24/02/28 - -
112423 나이처먹고 이노텍계약직은왜가냐? [9] ㅇㅇ(117.111) 23.09.19 457 1
112422 이노텍 반년하다가 최근에 재입사 했는데 [2] 생갤러(59.151) 23.09.19 526 0
112418 현촉시밭 [5] ㅇㅇ(117.111) 23.09.19 323 1
112417 자화전자 돈 이만큼받냐? [2] 생갤러(221.157) 23.09.19 997 1
112416 거제 조선소 조공인데 연봉8000임 ㅇㅇ(121.180) 23.09.19 53 1
112414 방진복 입고 일하는사람들 어캐버티냐???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9 360 0
112411 구노텍 4공장 방진화 잃어버렸는데 [2] 생갤러(223.39) 23.09.19 360 0
112409 구미사투리 ㅂㅅ같다 [6] ㅇㅇ(117.111) 23.09.19 331 0
112408 온세미 오퍼 스펙 체크좀 [9] 생갤러(118.235) 23.09.19 489 0
112407 자동차차체 조립 빡셈? [3] ㅇㅇ(1.253) 23.09.19 211 0
112405 오늘 타결되면 타결금 바로 나오냐? [1] 생갤러(118.235) 23.09.19 256 0
112404 전라도 말 꺼내지말라고 ㅇㅇ(180.230) 23.09.19 74 0
112403 7년차 이상 조장이랑 평직원 연봉차이 없을까? [2] 생갤러(223.38) 23.09.19 228 0
112402 오퍼레이트 일 어려움? [1] 생갤러(125.189) 23.09.19 165 0
112401 경창 = 중견인척하는 좆소 ㅇㅇ(121.182) 23.09.19 108 0
112398 근무형태 주말쉬는 2조2교대나 4조3교대 6근2휴 어떰? 다 힘듬? [4] ㅇㅇ(119.75) 23.09.19 207 0
112396 현촉 1직인데 큰일남 [5] 생갤러(223.39) 23.09.19 471 0
112395 야간너무쓸쓸하다 ㅇㅇ(106.101) 23.09.19 124 0
112394 이노텍은 몇개월 일해야 실급받을수 있음? [9] 생갤러(106.101) 23.09.19 464 1
112391 니들도 맨날 그만두고싶다고 생각드냐 ㅇㅇ(175.118) 23.09.19 103 0
112390 지방은 차없으면 직장구하기 힘드냐 [1] ㅇㅇ(175.118) 23.09.19 149 0
112389 대구에 잘생긴 애들 많냐? [9] ㅇㅇ(106.101) 23.09.19 403 0
112386 2조2교대 월급 280이거 맞냐 [4] 생갤러(211.36) 23.09.19 613 0
112385 라도살면 피해의식이 안생길수 없음 [7] ㅇㅇ(106.102) 23.09.19 151 1
112384 4년제 체대생 생산직 자격증 질문 [8] 생갤러(223.39) 23.09.19 372 0
112383 30살에 얼마모아놨는게 정상임? [6] ㅇㅇ(182.161) 23.09.19 382 0
112382 일하는중에 화상면접 봐야하는데 [3] 생갤러(210.183) 23.09.19 171 0
112381 구미 원래 이러냐 버스타도 틀딱밖에 안보이네 생갤러(222.103) 23.09.19 105 0
112380 숙사 1인실 쓰는 법 tot(118.235) 23.09.19 237 1
112379 현촉타결 [6] 생갤러(223.39) 23.09.19 451 2
112378 현촉이 뭐 줄임말이냐 현대 촉?? [5] 생갤러(124.56) 23.09.19 328 0
112377 현촉은 고졸 못함 ?? [2] ㅇㅇ(125.142) 23.09.19 245 0
112376 궁금해서 물어보는건데 너네 공장안가면 돈벌방법있음? [1] ㅇㅇ(117.110) 23.09.19 158 0
112375 전라도에 태어나서 좆같네 시발 [3] ㅇㅇ(106.102) 23.09.19 230 0
112374 지방 상황이 많이 안좋나보네 ㅋㅋ ㅠ [5] ㅇㅇ(14.45) 23.09.19 420 0
112373 생산직 고만 하고싶다 시이이이방 [7] 생갤러(14.37) 23.09.19 355 0
112372 그래서 가결 입금 언제 됨?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9 167 0
112371 1년 일해서 한 5천만원 버는 방법 없냐 24살인데 내년에 25살 [7] 생갤러(124.56) 23.09.19 317 0
112370 현차 내년 성과금 예상 [3] ㅇㅇ(182.161) 23.09.19 431 1
112369 현차 가결ㅅㅅ 생갤러(116.45) 23.09.19 215 0
112367 구미 앰생도시임? [2] 생갤러(210.113) 23.09.19 240 0
112366 현차 임단협 가결 [10] 펜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9 459 1
112365 이노텍 문신충들 볼때마다 좆같네 [3] ㅇㅇ(223.62) 23.09.18 390 2
112363 현촉1직인데잠안옴 [3] ㅇㅇ(223.39) 23.09.18 253 0
112361 구미 lg이노텍 떡값 받고 런 치면 다시 뱉어야함? [8] ㅇㅇ(222.237) 23.09.18 607 0
112360 현차거의 가결분위기네 [4] 야딱촉탁기분촉탁(118.235) 23.09.18 265 1
112359 회사에 경계선지능장애인 사람잇엇는대 개불쌍함 [2] 생갤러(211.234) 23.09.18 256 0
112357 고졸무스펙으로 현대로템 생산직 이런데 가능함 [6] 생갤러(124.56) 23.09.18 1075 0
112356 실업급여 관련 질문 다 답변해준다 들어와라 [11] 생갤러(218.148) 23.09.18 274 4
112355 자재쪽이 편함 조립라인이 편함? 생갤러(49.173) 23.09.18 70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